KR101115911B1 -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911B1
KR101115911B1 KR1020100000165A KR20100000165A KR101115911B1 KR 101115911 B1 KR101115911 B1 KR 101115911B1 KR 1020100000165 A KR1020100000165 A KR 1020100000165A KR 20100000165 A KR20100000165 A KR 20100000165A KR 101115911 B1 KR101115911 B1 KR 101115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ock
vending machine
opening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397A (ko
Inventor
토시노리 카츠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6Interlocks, e.g. for locking the doors of compartments other than that to be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예를 들면 공구 등의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진입된 경우에도,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를 제공할 것.
해결 수단
로트 부재(R)와,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또한 자신에게 형성된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진입한 로크 부재와 계합 가능한 로크 위치와, 로크 부재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배설된 슬라이더(31)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더(31)는,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인 공구(K)가 진입된 경우에, 공구(K)의 선단에 맞닿는 당접편(3122)을 자신의 연재 단부의 소정 개소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LOCK UNIT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 본체 및 문짝체(扉體)의 한쪽에 배설된 로크 부재와, 다른쪽에 배설된 슬라이더가 계합함에 의해, 문짝체가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로크 부재와 슬라이더와의 계합이 해제됨에 의해, 문짝체가 개방 이동하여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앞면이 개구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는 자동판매기 본체와, 이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배설된 문짝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문짝체에는, 사각형형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또한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에 지지된 슬라이더가 배설되어 있다. 슬라이더는,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슬라이더 지지 부재에 의해 해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판매기 본체에 배설된 훅형상의 금구(金具)인 로크 부재가 자신의 사각형형상 개구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만, 해당 로크 부재와 계합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문짝체를 개방 이동시킴에 의해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는 개방되고, 상품의 보충 등이 가능하다.
그 한편, 문짝체를 폐쇄 이동시켜서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함에 의해, 슬라이더 지지 부재에 의해 해제 위치에 유지된 슬라이더의 사각형형상 개구에 로크 부재가 진입하고, 해당 로크 부재가 슬라이더 지지 부재를 밀어내림에 의해, 슬라이더 지지 부재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고, 슬라이더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슬라이더의 사각형형상 개구의 상연부(上緣部)와 로크 부재가 맞닿고, 슬라이더와 로크 부재가 계합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와 로크 부재가 계합함에 의해, 문짝체가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2002-342827호 공보
그런데, 문짝체가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문짝체에 마련된 방도판(防盜板)을 벗겨서,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장척형상(長尺狀)의 봉형상체(棒狀體)인 공구가 슬라이더의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진입된 경우, 슬라이더는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해당 공구의 선단은, 슬라이더 지지 부재, 또는 지지 부재(이하, 슬라이더 지지 부재 등이라고도 한다에 맞닿아 버리고, 그 중간부가 슬라이더의 사각형형상 개구의 연부에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단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공구를 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따라 요동시키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슬라이더가 슬라이더 지지 부재 등과 분리되어,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져 버리면, 슬라이더와 로크 부재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문짝체를 개방 이동시킴에 의해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버리고, 타당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공구 등의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진입된 경우에도,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는, 앞면이 개구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또한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는 자동판매기 본체와,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양태로 배설된 문짝체의 한쪽에 부착된 로크 부재와,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또한 자신에게 형성된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진입한 상기 로크 부재와 계합 가능한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부재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와 상기 문짝체의 다른쪽에 배설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가 계합함에 의해, 상기 문짝체가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계합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문짝체가 개방 이동하여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진입된 경우에, 해당 봉형상체의 선단에 맞닿는 당접편(當接片)을 자신의 연재(延在) 단부(端部)의 소정 개소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는, 상술한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 슬라이더를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 상기 로크 부재가 진입하여 해당 로크 부재에 밀려내려진 경우에, 해당 슬라이더의 지지를 해제하고, 해당 슬라이더가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되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 부재는, 상기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진입된 경우에, 해당 봉형상체의 선단을 상기 당접편에 맞닿게 하기 위한 노치부가 형성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는,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진입된 경우에, 해당 봉형상체의 선단에 맞닿는 당접편을 자신의 연재 단부의 소정 개소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봉형상체의 선단 및 중간부는 모두 동일 부재인 슬라이더에 맞닿아 있게 되어, 선단을 지점으로 하여 봉형상체를 요동시켜도, 지레의 원리에 의해 슬라이더가 변형하여 버릴 뿐이고, 슬라이더가 슬라이더 지지 부재 등과 분리하여,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져 버릴 우려가 없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로크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겉문의 대부의 내부에 배설된 슬라이더 등,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과 반대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동작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5에서 공구가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의 알맞는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로크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예를 들면 캔들이 음료, 펫트병들이 음료, 종이팩들이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또는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자동판매기 본체인 본체 캐비닛(1)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1)은, 앞면이 개구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2개로 구획되고 상측이 상품 수용고(收容庫)(2), 하측이 기계실(3)로 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2)는, 그 내부를 미리 설정된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실(室)이고, 상품 수용고(2)를 구성하는 벽 부재는 각각 단열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등,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이나, 전열 히터 등, 내부 분위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이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수용고(2)에는, 상세한 설명은 할애하지만, 상품 래크(4)와 버킷 구동 수단(5)이 마련되어 있다. 상품 래크(4)는,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좌우 방향에 따라 병설함에 의해 구성한 것으로, 개개의 상품 수납 칼럼으로 구획한 상품 수납 통로에 복수의 상품을 전후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품 래크(4)는, 상품 수용고(2)에서 좌우 한 쌍이 되는 양태로 부착한 래크 지지측판(도시 생략) 사이에 건너지러지는 양태로 상하 방향에 따라 복수단 마련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측이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본 경우의 왼쪽을 나타내고, 우측이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본 경우의 오른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버킷 구동 수단(5)는, X축 반송 기구와 Y축 반송 기구 조립체로서 구성한 것이다. X축 반송 기구는, 본체 캐비닛(1)의 내부로서 상품 래크(4)의 전방역에서 좌우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레일 부재를 구비하고, X축 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일 부재의 연재 방향(좌우 방향)에 따라 탑재하는 버킷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Y축 반송 기구는, 좌우 한 쌍의 반송 지지 프레임에 마련한 것이다. 이들 반송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 부근에는 풀리가 회전 자유롭게 되는 양태로 배설되어 있다. 이 풀리에는, 장척형상의 색형상체(索狀體)인 벨트가 걸어 돌고 있고, 이 벨트의 일단에는 웨이터가 접속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Y축 반송 기구는, Y축 모터의 구동에 의해 풀리가 회전하고, 이로써 지지 부재에 지지된 레일 부재, 및 버킷을 탑재한 X축 반송 기구를 상하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계실(3)에는, 상기 증발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압축기 및 응축기)나, 각종 제어 기기 등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닛(1)의 앞면에는, 속문(內扉)(10) 및 겉문(外扉)(20)이 마련되어 있다. 속문(10)은,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을 감입(嵌入)하여 형성한 것이고, 상품 수용고(2)의 앞면을 덮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속문(10)은 폐쇄 이동하여 상품 수용고(2)의 앞면을 폐색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 수용고(2)의 앞면을 구성하는 단열 부재이다.
이 속문(10)의 투명판의 중앙부 우측 하방역(下方域)에는, 사각형형상의 상품 반출구(11)가 형성됨과 함께, 그 상품 반출구(11)을 개폐하기 위한 반출 플래퍼(12)가 마련되어 있다. 반출 플래퍼(12)는, 하단이 자유단이 되는 양태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지(軸支)되고, 일상상태에서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상품 반출구(11)을 폐쇄하는 것이다.
겉문(20)은,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필요에 응하여 단열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고,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을 감입하여 이루어지는 윈도우(21)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해당 자동판매기는 겉문(20)의 윈도우(21)를 통하여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한 이른바 뷰 타입의 것이다. 또한, 겉문(20)의 정면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판매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상품 선택 버튼이나,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입금구 등, 상품을 자동판매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구성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닛(1) 및 상기 겉문(20)에는,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로크 부재(R) 및 슬라이더(31)(도 2 참조)이 각각 배설되어 있다. 로크 부재(R)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의 우방측 전단(前端)의 소정 개소에 배설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R)은, 종래 공지의 것이고, 훅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금구이다. 슬라이더(31)는, 겉문(20)의 개방단에 형성된 주머니부(22)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다. 도 1중의 부호 23은, 로크 부재(R)과 같은 높이 레벨에 형성되고, 해당 로크 부재(R)의 진입을 허용하는 주머니부(22)의 개구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겉문(20)의 주머니부(22)의 내부에 배설된 슬라이더(31) 등,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로크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31)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과 반대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슬라이더(31)을 상방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이들 도 2 내지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장치는, 슬라이더(31)외, 연결 부재(32), 실린더 레버(33) 및 규제 부재(34)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더(31)는, 강판 등의 판재를 적절히 굴곡하여 구성한 것으로,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기부(基部)(311)에서의 주머니부(袋部)(22)의 개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각형형상의 개구(이하, 슬라이더 개구라고도 한다)(3111)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1)의 양측부(312)의 상방에는,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긴 구멍(3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31)는, 겉문(20)의 주머니부(22)에 고착된 횡단면이 ㄷ자형상을 이룬 슬라이더 지지편(지지 부재)(35)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슬라이더 지지편(35)의 양측부(351)에는, 관통구멍(3511)이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더 핀 부재가 그 관통구멍(3511) 및 긴 구멍(3121)을 삽통함에 의해, 슬라이더(31)는 상하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핀 부재와 긴 구멍(3121)의 하연부가 맞닿는 위치가 슬라이더(31)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의 상한 위치이고, 슬라이더 핀 부재와 긴 구멍(3121)의 상연부가 맞닿는 위치가 슬라이더(31)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의 하한 위치이다. 상한 위치가 해제 위치이고, 하한 위치가 로크 위치이다. 즉, 슬라이더(31)는, 로크 위치와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31)의 내부에는,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이 상기 슬라이더 핀 부재에 삽통된 양태로 해당 슬라이더 핀 부재의 축심(軸心) 주위에 요동 가능해지는 양태로 축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지지 부재(36)는, 강판 등의 판재를 적절히 굴곡하여 횡단면이 개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겉문(20)의 개방단측에 위치하는 측부(361)의 하방측 연재 단부에는, 슬라이더(31)의 기부(311)(겉문(20)의 이면측)을 향하여 돌출한 걸이부(掛部)(3611)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핀 부재에 권회(卷回)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B)에 의해 항상 슬라이더(31)의 기부(311)를 향하여 가세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 지지 부재(36)는, 슬라이더(31)가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한 위치, 즉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걸이부(3611)가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돌출하여, 해당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 계합하여 슬라이더(31)을 해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그 한편, 슬라이더 지지 부재(36)는, 겉문(20)의 폐쇄 이동에 의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본체 캐비닛(1)에 배설된 로크 부재(R)가 주머니부(22)의 개구(23)을 통과한 후에 슬라이더 개구(3111)를 통하여 슬라이더(3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내부로 진입한 로크 부재(R)가 해당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의 기부(362)에 형성된 당접부(3621)에 맞닿음에 의해 스프링부재(B)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더(31)의 기부(311)로부터 이격(離隔)하는 양태로 요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이 슬라이더(31)의 기부(311)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요동하면, 걸이부(3611)와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더(31)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한 위치, 즉 로크 위치에 이른다. 이로써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 로크 부재(R)가 맞닿고, 슬라이더(31)는, 로크 위치에서 로크 부재(R)와 계합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31)에 있어서, 겉문(20)의 개방단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부(312)의 연재 단부의 소정 개소, 즉 슬라이더 지지 부재(36)과 같은 정도의 높이 레벨의 개소에는, 당접편(3122)이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접편(3122)은, 그 측부(312)의 연재 단부로부터 개방단측의 측부(312)를 향하여 연재되는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의 기부(362)에서, 겉문(20)의 개방단과 반대측의 영역, 즉 당접편(3122)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노치부(362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32)는, 강판 등의 판재를 적절히 굴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슬라이더(31)의 하단부에 겉문(20)의 개방단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양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3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따라 연재되는 수평부(321)과, 이 수평부(321)의 단부(端部)보다 하방을 향하여 연재되는 수하부(垂下部)(322)를 갖고 있다. 수하부(322)에서, 그 연재 단부에는 훅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레버(33)는, 겉문(20)의 정면에 마련된 키 삽입구(도시 생략)에 삽입된 키의 시정(施錠) 조작 및 해정(解錠) 조작에 응하여 회동하는 키 실린더의 내통(內筒)에, 자신의 축부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는 양태로 축지되어 있다(키 실린더의 외통은 겉문(20)의 프레임재에 고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의 삽입구에 삽입된 키의 해정 조작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해정 이동하는 한편, 해당 키의 시정 조작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시정 이동하는 것이다. 이 실린더 레버(33)는, 타원형상부(331)를 갖고 있고, 이 타원형상부(331)에서 축부와 다른 부분에 로드 부재(332)가 연결 부재(32)의 수하부(322)를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 로드 부재(332)는, 연결 부재(32)의 수평부(321)의 하방역에 위치하고 있다.
규제 부재(34)는, 강판 등의 판재를 적절히 굴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규제 핀 부재(37)을 통하여 겉문(20)의 프레임재에 그 규제 핀 부재(37)의 중심축을 자신의 축심으로 하여 그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34)는, 하방이 개방된 홈부(341)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중추부(重錘部)(342)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중추부(342)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규제 부재(34)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홈부(341)에 연결 부재(32)의 훅부(323)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즉, 규제 부재(34)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홈부(341)가 훅부(323)의 상방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 규제 부재(34)와 실린더 레버(33)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38)가 개재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8)는, 규제 부재(34)에 연결하여 있고, 실린더 레버(33)가 해정 이동하는 경우에, 실린더 레버(33)의 타원형상부(331)의 주연부의 일부에 접맞대여저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규제 부재(34)를 중추부(342)의 중력에 대항하여 상방향으로 요동시켜서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실린더 레버(33)가 해정 이동하는 경우에, 실린더 레버(33)의 로드 부재(332)가 연결 부재(32)의 수평부(321)의 하면에 맞닿기 전에, 실린더 레버(33)의 타원형상부(331)의 주연부의 일부가 가이드 부재(38)에 맞닿도록 미리 조정하고 있다. 이로써, 실린더 레버(33)의 로드 부재(332)가 연결 부재(32)의 수평부(321)에 맞닿기 전에 규제 부재(34)가 허용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 부재(32)의 훅부(323)는, 규제 부재(34)의 홈부(34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로크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본체 캐비닛(1)의 내부에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우선, 겉문(20)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로크 장치가 유지하고 있는 경우부터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로크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31)는 로크 위치에 위치하여 로크 부재(R)와 계합하고 있고, 규제 부재(34)는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분별없는 제삼자에 의해 겉문(20)의 방도판(24)(도 5 참조)이 벗겨지고,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1)의 슬라이더 개구(3111)에 이물을 삽입시켜서 슬라이더(31)을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려고 하여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슬라이더(3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32)의 훅부(323)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규제 부재(34)에 맞닿아, 슬라이더(31)를 그 이상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자동판매기에 대해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하는 루트 맨에 의해 키 삽입구에 키가 삽입되어 해당 키를 해정 조작함에 의해, 실린더 레버(33)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여 해정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정하는 실린더 레버(33)의 주연부의 일부가 가이드 부재(38)에 맞닿음에 의해, 규제 부재(34)가 중추부(342)의 중력에 대항하여 규제 위치로부터 허용 위치를 향하여 요동한다. 이로써 연결 부재(32)의 훅부(323)는, 규제 부재(34)의 홈부(341)로부터 이탈한다. 즉, 규제 부재(34)는, 자신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32)의 상방으로의 변위량을 규제하여 슬라이더(31)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는 한편, 자신이 허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32)의 변위를 허용하는 것이다.
그 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정 이동하는 실린더 레버(33)의 로드 부재(332)가 연결 부재(32)의 수평부(321)의 하면에 맞닿고, 해당 로드 부재(332)에 가압되어 연결 부재(32)가 상방을 향하여 변위하는 결과, 연결 부재(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31)도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31)가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해제 위치에 위치하면,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의 걸이부(3611)가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이면측으로 돌출하여, 해당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 계합하여 슬라이더(31)을 해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31)가 해제 위치에 유지되면, 로크 부재(R)와의 계합 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연결 부재(32)는, 수평부(321)와 수하부(322)로 구성되어 있고, 하방이 개방된 형태를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루트 맨이 키 삽입구에서 키를 뽑아내기 위해 키를 시정 조작하여도,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1)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실린더 레버(33)의 하방으로의 시정 이동을 허용한다.
즉, 연결 부재(32)는, 슬라이더(31)에 일체적으로 배설되고, 또한 실린더 레버(33)가 해정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실린더 레버(33)에 맞대여짐에 의해 자신이 변위하여 슬라이더(31)를 로크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실린더 레버(33)가 시정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시정 이동을 항상 허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32)가 실린더 레버(33)의 시정 이동을 항상 허용하기 때문에, 루트 맨은, 키 삽입구에서 키를 뽑아낸 후, 겉문(20)을 개방 이동시킴에 의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고, 그 후 속문(10)을 개방 이동시켜서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규제 부재(34)는, 실린더 레버(33)가 시정 이동한 경우에도,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32)의 훅부(323)의 선단이 맞닿아 있음에 의해 허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한 후, 루트 맨은, 겉문(20)을 폐쇄 이동시켜서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시킴에 의해, 본체 캐비닛(1)의 로크 부재(R)가 슬라이더 개구(3111)을 통하여 슬라이더(31)의 내부로 진입하고,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의 기부(362)에 형성된 당접부(3621)에 맞닿는다. 이로써 슬라이더 지지 부재(36)가 슬라이더(31)의 기부(311)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요동하여, 걸이부(3611)와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더(31)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한 위치, 즉 로크 위치에 이르고, 슬라이더 개구(3111)의 상연부와 로크 부재(R)가 맞닿아, 슬라이더(31)가 로크 위치에서 로크 부재(R)와 계합하여, 겉문(20)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한 후, 겉문(20)을 폐쇄 이동시켜서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시키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키 삽입구에 키를 재차 삽입하여 해정 조작 등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상술한 로크 장치에서는, 슬라이더(31)에는, 하나의 측부(312)(겉문(20)의 개방단과 반대측의 측부(312))의 연재 단부에 당접편(312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지지 부재(36)의 기부(362)에서의 당접편(3122)에 대향하는 영역에 노치부(36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겉문(20)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분별없는 제삼자에 의해 겉문(20)에 배설된 방도판(24)이 벗겨지고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장척형상의 봉형상체인 공구(K)가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진입된 경우에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공구(K)의 선단을 당접편(3122)에 맞닿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공구(K)의 선단 및 중간부는 모두 동일 부재인 슬라이더(31)에 맞닿아 있게 되어, 선단을 지점으로 하여 공구(K)를 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따라 요동시켜도, 지레의 원리에 의해 슬라이더(31)가 변형하여 버릴 뿐이고, 슬라이더(31)가 슬라이더 지지 부재(36) 등과 분리되어,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져 버릴 우려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인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의하면, 연결 부재(32)가, 실린더 레버(33)가 해정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실린더 레버(33)에 맞대여짐에 의해 자신이 변위하여 슬라이더(31)를 로크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실린더 레버(33)가 시정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시정 이동을 항상 허용하기 때문에,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한 후, 겉문(20)을 폐쇄 이동시키는 경우에, 키 삽입구에 키를 재차 삽입시킬 필요가 없어서,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이 번잡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규제 부재(34)가, 자신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32)의 상방으로의 변위량을 규제하여 슬라이더(31)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는 한편, 자신이 허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32)의 변위를 허용하기 때문에, 겉문(20)이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방도성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상품 보충 등의 작업의 고효율화를 도모하면서, 방도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공구(K) 등이 슬라이더 개구(3111)로부터 진입된 경우에도, 해당 공구(K) 등의 선단이 슬라이더(3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당접편(3122)에 맞닿기 때문에, 슬라이더(31)가 슬라이더 지지 부재(36) 등과 분리되어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져 버릴 우려가 없고, 이로써, 슬라이더(31)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는, 문짝체가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데도 유용하다.
1 : 본체 캐비닛
20 : 겉문
31 : 슬라이더
3111 : 슬라이더 개구
3122 : 당접편
32 : 연결 부재
321 : 수평부
322 : 수하부
323 : 훅부
33 : 실린더 레버
331 : 타원형상부
332 : 로드 부재
34 : 규제 부재
341 : 홈부
342 : 중추부
35 : 슬라이더 지지편
36 : 슬라이더 지지 부재
3611 : 걸이부
3622 : 노치부
38 : 가이드 부재
R : 로크 부재
K : 공구

Claims (2)

  1. 앞면이 개구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또한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는 자동판매기 본체와,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양태로 배설된 문짝체의 한쪽에 부착된 로크 부재와,
    횡단면이 ㄷ자형상을 이루고, 또한 자신에게 형성된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진입한 상기 로크 부재와 계합 가능한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부재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와 상기 문짝체의 다른쪽에 배설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가 계합함에 의해, 상기 문짝체가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로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계합이 해제됨에 의해, 상기 문짝체가 개방 이동하여 상기 자동판매기 본체의 앞면 개구가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연재 단부의 소정 개소에, 상기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진입된 경우에 해당 봉형상체의 선단에 맞닿는 당접편이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로크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 슬라이더를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 상기 로크 부재가 진입하여 해당 로크 부재에 밀려내려진 경우에, 해당 슬라이더의 지지를 해제하고, 해당 슬라이더가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라이더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 부재는, 상기 사각형형상 개구로부터 장척형상의 봉형상체가 진입된 경우에, 해당 봉형상체의 선단을 상기 당접편에 맞닿게 하기 위한 노치부가 형성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KR1020100000165A 2009-05-08 2010-01-04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KR101115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3643 2009-05-08
JP2009113643A JP5287484B2 (ja) 2009-05-08 2009-05-08 自動販売機の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97A KR20100121397A (ko) 2010-11-17
KR101115911B1 true KR101115911B1 (ko) 2012-02-17

Family

ID=4336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165A KR101115911B1 (ko) 2009-05-08 2010-01-04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87484B2 (ko)
KR (1) KR1011159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986A (ja) 1998-04-13 1999-10-26 Sanpo Rokku Hanbai Kk 箱体用錠機構
JP2002030842A (ja) 2000-07-13 2002-01-31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2003106021A (ja) 2001-09-27 2003-04-09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6488B2 (ja) * 1995-10-30 2001-12-10 松下冷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施錠装置
JP2001006035A (ja) * 1999-06-18 2001-01-12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3872959B2 (ja) * 2001-02-21 2007-01-24 Ykk Ap株式会社 建具
JP4168601B2 (ja) * 2001-03-12 2008-10-2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453459B2 (ja) * 2004-06-23 2010-04-21 三協立山アルミ株式会社 面格子取付ブラケット
JP4477969B2 (ja) * 2004-08-30 2010-06-09 株式会社オプナス 扉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3986A (ja) 1998-04-13 1999-10-26 Sanpo Rokku Hanbai Kk 箱体用錠機構
JP2002030842A (ja) 2000-07-13 2002-01-31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2003106021A (ja) 2001-09-27 2003-04-09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62521A (ja) 2010-11-18
JP5287484B2 (ja) 2013-09-11
KR20100121397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6869B2 (ja) 自動販売機
JP2013191031A (ja) 自動販売機
JP2012137949A (ja) 自動販売機
JP201219479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2019053582A (ja) 自動販売機
KR101115911B1 (ko)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WO2011161810A1 (ja) 自動販売機のロック装置
KR101115920B1 (ko) 자동판매기의 로크 장치
JP574240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CN103295329B (zh)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09840991B (zh) 自动售货机
JP568589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44062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制御装置
JP4910846B2 (ja) 自動販売機
JP548237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55286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251728B2 (ja) 商品収納装置
JP567299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86151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5895741B2 (ja) 自動販売機用扉体の支持構造
JP5333061B2 (ja) 自動販売機
JP2010277280A (ja) 商品収納装置
JP202000916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17059092A (ja) 自動販売機
JP201210397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