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134B1 -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134B1
KR101115134B1 KR1020097021614A KR20097021614A KR101115134B1 KR 101115134 B1 KR101115134 B1 KR 101115134B1 KR 1020097021614 A KR1020097021614 A KR 1020097021614A KR 20097021614 A KR20097021614 A KR 20097021614A KR 101115134 B1 KR101115134 B1 KR 10111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ll
cleaned
work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996A (ko
Inventor
또마스 까씨아또르
뤼도빅 베르지에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9012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이 세정 모드에서 작동하면서 소정의 세정 속도에 따라 롤의 축에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압연기 롤(2)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작업의 시작 위치와 작업의 종료 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이 압연기 롤(2) 상에서 한정되는 한정 단계를 또한 포함하고, 세정 단계가 작업 영역에 제한되는 것을 주로 특징으로 한다. 세정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작동하는 노즐이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및/또는 작업의 시작 위치까지 롤(2) 축에 평행하게 횡단하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노즐, 압연기 롤, 작업 영역, 스트립, 랜스

Description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METHOD FOR CLEANING A ROLLING MILL ROLL AND CORRESPONDING DEVICE}
본 발명은 고압 분사에 의해 연속적인 아연도금 라인(galvanization lines)들의 출구에서 실행되는 압연기 롤(rolling mill roll), 특히 스킨-패스 밀(skin-pass mill)의 세정에 관한 것이다.
스킨-패스 밀은 한 쌍의 지지 롤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지지 롤들 상에 한 쌍의 작업 롤들이 놓여지고, 한 쌍의 작업 롤들 사이에서 아연도금 스트립이 박판화된다.
작업 롤들 사이로 아연도금 스트립들이 통과하는 동안에, 아연도금 스트립들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된 일부 아연 입자들이 작업 롤에 부착될 수 있고 작업 롤로부터 지지 롤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입자들은 롤이 회전할 때마다 스트립의 코팅 상에 자국(imprint)을 남길 수 있고, 제품이 판매될 수 없거나 또는 등급 하락이 요구될 정도로 표면의 질을 충분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스킨-패스 밀 상에는, 소정의 인장 및 연신에 대한 작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물 및 윤활 유제(lubricant emulsion)로 작업 롤들 사이에서의 틈새의 윤활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과 접촉되지 않는 영역들에서의 작업 롤들 상에는 유지(油脂) 퇴적물(greasy deposit)이 생성된다.
그리고, 박판화되는 제품이 더 넓은 스트립을 갖는 제품으로 변경될 때, 이 유지 퇴적물은 새로운 스트립의 두 개의 에지들에 손상을 가할 수 있고 스트립의 시각적인 외관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들 단점들을 보정하기 위해서, 문헌 일본 특허 제9262607호에서는 세제 유체의 가압 분무에 의해 롤들을 세정하는 기계식 수단이 실행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들은, 분무 노즐들이 분무된 액체의 세제 효과로 인해 윤활 제품의 코팅들의 유지(油脂)를 제거하기에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지만, 부착 입자들, 특히 아연 입자들을 제거하기에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한 넓은 분사를 갖는 저 압력 분무 노즐들을 필요로 한다.
좁은 분사를 갖는 고 에너지 분무 노즐의 다른 형태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노즐들은, 한편으로는, 세정될 롤과 노즐 사이의 거리의 정확한 조정과 이에 따른 사용되는 여러 개의 작업 롤들의 직경들에 대한 적합성을 필요로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롤을 따른 분사들의 충격의 유효범위를 얻기 위해서, 비용 및 기계적 복잡성의 관점에서 비합리적인 상당한 개수의 분무 노즐들을 실행하거나, 혹은 가동 랜스(mobile lance) 상에 장착된 하나의 노즐을 실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럽 특허 제0 995 504호는 롤을 따라, 달리 말하면, 롤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가동 랜스를 포함하는 세정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배치구성은 분사의 충격 폭에 따라서 롤의 회전 속도에 대한 랜스의 변위의 비율의 완전한 동 기화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분사의 비교적 작은 충격 크기를 고려하면, 분사의 충격의 양호한 유효범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세정 랜스 또는 세정 랜스들의 비교적 느린 변위 속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해결책은 시간 낭비이고 세정 제품들의 관점에서 낭비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소모(결과적으로 방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시간 낭비를 피하기 위해서 분무 장치들의 사용이 최적화되게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한다.
이 목적을 염두에 두고, 먼저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의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즐이 세정 속도에서 작용하면서 세정 속도에 따라 롤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법은, 롤 상에서, 작업의 시작 위치와 작업의 종료 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이 결정되는 결정 단계를 또한 포함하고, 세정 단계는 작업 영역으로 제한되는 것을 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다른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 세정될 롤에 가압된 세정 제품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세정 노즐과,
- 노즐을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장치는,
- 작업의 시작 위치와 작업의 종료 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과,
- 세정 단계를 작업 영역으로 제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본질적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스(lance) 또는 랜스들을 세정될 롤의 제너레이터 기구(generator mechanism)를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세정은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들을 선택함으로써 선택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예시적이고 비소모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이하의 부록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개시내용을 살펴보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조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축 XX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하나의 랜스와 두 개의 작업 영역들을 위한 작업 위치와 휴지 위치를 도시한다.
도 3B는 두 개의 랜스들과 두 개의 작업 영역들을 위한 작업 위치 및 휴지 위치를 도시한다.
도 3C는 하나의 랜스와 하나의 작업 영역을 위한 작업 위치 및 휴지 위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박판화될 금속 스트립(1)이 스킨-패스 밀의 작업 롤(2a, 2b)들 사이를 지나간다. 이들 작업 롤들은 지지 롤(3a, 3b)들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가압된 세정 제품을 세정되는 롤에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랜스 상에 장착된 세정 노즐(61)을 포함한다.
하나의 노즐이 여러 개의 롤들을 세정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노즐들이 하나의 단일 롤을 세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노즐이 하나 이상의 롤을 세정하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랜스는 하나 이상의 노즐을 구비하고, 적절한 예로서 각각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도 1 및 도 3A), 하나 이상의 랜스(6a)가 상부 작업 롤(2a)의 세정을 보장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랜스(6b)가 하부 작업 롤(2b)의 세정을 보장한다. 특정한 적용예들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랜스(7a)가 상부 지지 롤(3a)의 세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고,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다른 랜스(7b)가 하부 지지 롤(3b)의 세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3B), 하나 이상의 롤(또는 각각의 롤)은 복수의 랜스들에 의해 세정될 수 있고, 적절한 예로서 2개의 랜스들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작업 롤들 중 하나 이상을 세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업 롤들 중 하나 이상을 세정하기 위한 랜스(6a, 6b)들은 분무 노즐(61)과, 세정 제품(적절한 예로서 가압된 유체)이 호스(63)에 의해 공급되는 본체(62)를 포함한다. 본체(62)는 노즐을 변위시키는 수단, 적절한 예로서, 병진이동 장치(translation device, 65)에 의해 운반되는 축방향 조정 장치(64)에 의해 지지된다.
축방향 조정 장치(64)의 예는 병진이동 및 회전 이동이 폭 화살표에 의해 도식화된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되어 있다.
축방향 조정 장치(64)는 랜스(6a, 6b)의 경사각(α)이 롤(2a, 2b)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병진이동 장치(65)의 슬라이드(652) 상에 장착되고 피봇할 수 있는 지지부(641)를 포함한다.
슬라이드(652)에 대한 지지부(641)의 피봇팅은, 예를 들어, 서보모터(servomotor)에 의해 전동화(motorized)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피봇팅 랜스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랜스는 작업 롤(2)에 이어서 지지 롤(3)의 세정을 각각 보장한다. 제1 제어 부품(643)은 롤들의 직경에 대한 적합성을 보장한다.
다른 슬라이드(642)는 지지부(641)에 장착되고, 전자는 작업 롤(2a, 2b)의 표면(21)으로부터 필요한 거리까지 노즐(61)의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제어 부품(643)의 작용 하에 랜스(6a, 6b)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슬라이드(652)의 변위는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시스템 또는 체인 시스템 또는 그뿐 아니라 볼 나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동은 보조 전동기에 의해 보장되 는 것이 유리하다. 슬라이드(652)는 롤러들에 의한 레일(651) 상의 안내 캐리지(guided carriage)이다.
병진이동 장치(65)는 작업 롤(2a, 2b)의 축에 평행한 랜스(6a, 6b)를 운반하는 축방향 조정 장치(64)의 변위를 보장할 수 있는 제2 제어 부품(653)의 작용 하에 롤(2a, 2b)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슬라이드(652)와 스킨-패스 밀의 프레임에 고정된 레일(651)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부품(643) 및 제2 제어 부품(653)은 동일하다. 양호하게, 노즐은 제1 속도에 따라 세정되는 롤의 회전의 축에 평행한 이동, 바람직하게 전방 및 후방 이동으로 설정된다.
공지된 방식에 있어서, 제1 속도는 다음의 파라미터들, 즉 세정되는 롤의 직경, 상기 롤의 회전 속도 및 상기 롤 상의 노즐에 의해 방출된 분사의 충격 폭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된다. 세정 단계에서의 속도의 이러한 제어는, 예를 들어, 제어 부품(653)에 의해 실행된다.
작업 롤의 알려진 직경과 롤(2a, 2b)에 대한 랜스(6a, 6b)의 각도(α)(도 1)에 따라서, 축방향 조정 장치(64)의 제어 부품(643)은 작업 롤(2a, 2b)의 표면(21)으로부터 필요한 거리에서 노즐(61)을 위치설정시킨다.
롤의 표면에 대하여 노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어 부품(643)은 위치설정 센서가 장비될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또는 대안으로서 휠(wheel) 및 볼 나사 기구, 랙 및 피니언 기구 또는 벨트 기구를 구동시키는 보조 전동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작업 롤(2a, 2b)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병진이동 장치(65)의 제어 부품(653)은, 롤이 회전할 때 세정될 롤의 전체 표면이 커버되는 방식으로 세정 분사의 충격의 최적의 유효범위를 보장하기 위해서 노즐(61)을 요구 속도로 변위시키고 작업 롤(2a, 2b)의 표면(21)을 따라 제어한다.
따라서, 세정 속도 또는 작업 속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노즐은 소정의 세정 속도로 변위되고, 소정의 세정 압력 및 소정의 세정 유량으로 세정 유체를 방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될 롤 상의 작업의 시작 위치와 작업의 종료 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과, 세정 단계를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은 복수의 작업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은 롤들 및/또는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얻도록 구성된 광학 수단이다.
각각의 작업 영역은 유효범위 영역(R)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도 1), 광학 수단은 이미지를 압연기의 제어 부스(control booth) 내에 존재하는 제어 스크린으로 보내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8a, 8b, 8c, 8d)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보낸 이미지들을 평가할 수 있고 각각의 작업 영역에 대한 작업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 영역들의 결정은 표면 결함 검출 시스템(10a, 10b)(도 4)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조명기 장치(101)는 스킨-패스 밀의 출구에서 코팅된 스트립(1)을 조명한다. 고선명 카메라 CCD(102)는 감기지 않은 스트립의 이미지를 포착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출원 제0 974 833호에서 알려져 있다.
카메라 CCD(102)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는 비네팅(vignetting) 및 조명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임의의 왜곡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필터 유닛(103)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나서, 여과된 이미지들은 드러나야 할 "의심 영역(suspect areas)"으로 간주되는 영역, 즉 세정될 입자들을 함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을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그레이-레벨(gray-level) 또는 윤곽 검출 형태 이미지 처리 유닛(contour detection type image processing unit, 104)에서 처리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유형의 결함들을 구별하는 시야를 갖는 정교한 형태학적 분석 모델들을 사용하는 것이 강제적이지는 않는다.
대안적이거나 조합 가능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롤의 청결상태는 상기 롤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을 실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세정될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세정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수단은 번들(bundle) 또는 레이저 빔 삼각측량(laser beam triangulation)에 의해 상기 롤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외래 물질(아연 입자, 윤활 제품 등)의 부착은 측정된 프로파일의 변편차로서 측정된다.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엡실론(MICRO EPSILON)에 의해 제작된 "스캔컨트롤(scanCONTROL) 2800"이라는 제품이 상용 기준으로서 인용된다.
레이저 라인이 세정되는 롤의 표면 상에 투사된다. 이러한 레이저 라인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복귀 광학계가 카메라 매트릭스, 적절한 예로서 CMOS 상에 재생한다. 이 카메라 이미지로부터, 제어기는 거리 정보(축 z)뿐만 아니라 레이저 라인(축 x)을 따른 실제 위치를 계산하고, 2차원 좌표들의 시스템에서 두 개의 결과들을 공시한다.
롤을 따른 레이저 센서의 변위에 의해 3D 표시가 얻어진다.
레이저 번들 또는 빔 삼각측량 센서가 랜스 지지부(6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런너(runners, 651)들 상의 슬라이드(652)의 고속 변위에 의해 회전되는 롤의 표면을 청소하고, 슬라이드(652)의 변위 인코더를 참조하여 세정될 막힌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빔의 크기는, 예를 들어, 1mm 내지 150mm, 바람직하게 10mm 내지 100mm이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장치는 분석되는 롤의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세정될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도록 상기 수단과 상호작용하는 공기 블로잉 수단(air blowing means), 적절한 예로서 압축된 공기 블로잉 노즐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보호 커버는 세정 단계 동안 삼각측량 윈도우를 보호하도록 사용된다.
결함의 시각적 또는 자동적 검출은 작업 영역(20, 21) 또는 세정 영역(10, 11, 12)의 한계를 한정할 수 있다. 작업 영역(20, 21, 22)은 작업의 시작 위치, 적절한 예로서,
- 도 3A에서 B와 D,
- 도 3B에서 B와 B', 및
- 도 3C에서 I와,
작업의 종료 위치, 적절한 예로서 각각,
- 도 3A에서 C와 E,
- 도 3B에서 C와 C', 및
- 도 3C에서 J를 포함한다.
작업 영역은 세정될 영역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하나 또는 두 개의 유효범위 영역(R)에 의해 증가된다.
세정될 영역(10, 11)(도 3A, 도 3B, 도 3C에서 음영 영역)은 세정되는 영역의 시작 위치, 적절한 예로서,
- 도 3A에서 B와 G,
- 도 3B에서 B와 B', 및
- 도 3C에서 K와,
세정되는 작업의 종료 위치, 적절한 예로서 각각,
- 도 3A에서 F와 E,
- 도 3B에서 F와 F', 및
- 도 3C에서 L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예를 들어,
위치 A는 제1 랜스(6)에 대한 휴지 위치를 나타내고(도 3A, 도 3B, 도 3C), 위치 A'는 제2 랜스(6')에 대한 휴지 위치를 나타낸다(도 3B).
도 3A는 세정 단계가 단일 랜스(6)에 의해 실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롤(2)은 세정될 제1 영역(10)과 세정될 제2 영역(11)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세정되는 영역들은 박판화된 스트립(1)과 접촉되지 않는 롤(2)의 단부들에 대응하고, 세정될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예로서, 동일한 치수들을 갖는 유효범위 영역(R)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작업 영역(20)과 제2 작업 영역(21)을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동일한 영역들이 세정되고 동일한 작업 영역들이 한정되지만, 세정이 제1 랜스(6)와 제2 랜스(6')에 의해 각각 실행되는, 도 3A의 변형을 도시한다. 위치 A', B' 및 C'들은 제2 랜스(6')에 대한 도 3B에서의 위치 A, B 및 C들에 대칭이다. 기술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휴지 위치 A 및 A'들은 롤(2)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C는 세정 단계가 단일 랜스(6)에 의해 실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롤(2)은 박판화된 스트립(1)의 표면에 대응하는 세정될 영역(12)을 포함한다. 작업 영역(22)은 박판화된 스트립(1)의 폭의 각각의 단부에서 위치된 제1 유효범위 영역 및 제2 유효범위 영역(R)을 적절한 예로서 포함하여 형성된다.
작업을 도시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세정 노즐은 휴지 위치 A 내에 먼저 위치설정된다. 이송 단계에서, 노즐은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및/또는 작업의 시작 위치까지 롤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된다.
적절한 예로서,
- 작업의 시작 위치까지, 다시 말하면, 휴지 위치 A로부터 위치 B까지(도 3A 및 도 3B)
- 다른 작업 영역의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다시 말하면, 위치 C로부터 위치 D까지(도 3A)
- 및/또는 휴지 위치까지, 다시 말하면, 작업 영역의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위치 E로부터 위치 A까지(도 3A), 또는 위치 C로부터 위치 A까지(도 3B), 및 위치 C'로부터 위치 A'까지(도 3B), 그리고 위치 J로부터 위치 A까지(도 3C).
작업 영역이 결정되면, 본 발명으로 인하여, 세정 단계는 이 작업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노즐이 세정 속도와는 상이한 속도로 작동하고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및/또는 작업의 시작 위치까지 롤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되는 이송 단계로 인해 제한이 이루어진다. 이 이송 단계에서, 노즐은 세정 속도와는 상이한 속도로 작동한다.
작동 속도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파라미터들, 즉 변위 속도, 노즐에 의해 공급되는 유량, 및 노즐 출구에서의 세정 유체 압력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이송 단계 동안, 상기 작업 영역을 벗어난 노즐의 변위는, 적절한 예로서 더 큰 세정 속도로서 알려진 제1 속도와 다른, 이송 속도로서 알려진 제2 속도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 제2 속도는 롤의 회전 속도에 종속되지 않고, 노즐을 변위시키는 수단의 함수로서 최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이송 단계 동안, 유량, 다시 말해 단위 시간마다 노즐에 의해 전달되는 세정 제품의 양은 세정 단계 동안 전달되는 세정 유량과 상이하며, 적절한 예에서는 더 적다. 실시예에서, 노즐의 이송 단계 동안, 세정 제품은 제1 압력(세정 압력)과는 상이한 제2 압력[적절한 예에서는 더 적거나 사실상 제로 압력임(세정 제품의 공급이 단절)] 하에 세정될 롤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스트립(1)의 알려진 폭의 함수로서, 축방향 조정 장치(65)의 제어 부품(653)은 필요한 정확한 지점에서 세정을 시작하고 멈추기 위해서 작업 롤(2a, 2b)의 표면(21)을 따라 최대 속도에서 노즐(61)을 위치시킨다.
도 3A의 예에서, 랜스(6)는 그 휴지 위치 A로부터 롤 테이블의 에지에 대응하는 건조 유제 퇴적물(dry emulsion deposit, 9a)의 세정 시작 위치 B까지 최대 속도로 이동하고 이어서 위치 B로부터 위치 C까지 모니터링된 세정 속도에서 세정을 보장하고, 그리고 나서 건조된 유제(9b)의 제2 퇴적물의 시작 위치 D에서 최대 속도로 위치설정되고 이어서 위치 D로부터 위치 E까지 모니터링된 세정 속도에서 세정을 보장하고, 최종적으로 최대 속도로 휴지 위치 A로 복귀한다. 유효 범위(R)에 의해 작업 영역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3B의 예에서, 두 개의 랜스(6, 6')들은 그들의 휴지 위치 A 및 A'로부터 건조된 유제 퇴적물(9a, 9b)의 각각의 작업의 시작 위치들 B 및 B'로 모두 최대 속도로 이동하여 위치되고 이어서 위치 B 및 위치 B'로부터 위치 C 및 위치 C'까지 모니터링된 속도에서 세정을 보장하고, 최대 속도에서 그들 각각의 휴지 위치 A 및 위치 A'로 복귀한다.
도 3C의 예에서, 랜스(6)는 그 휴지 위치 A로부터 작업 시작 위치 I까지 최대 속도에서 이동하고 이어서 스트립(1)에 부착하는 아연 입자들을 세정하기 위해서 위치 I로부터 위치 J까지 모니터링된 속도에서 세정을 보장하고, 그리고 나서 그 휴지 위치 A로 최대 속도에서 복귀한다. 이 실시예에서, 작업 영역(22)은 작업의 시작 위치 I로부터 세정될 영역의 시작 위치 K까지 연장하는, 상류인, 제1 영역의 유효범위와, 세정될 영역의 종료 위치 L로부터 작업의 종료 위치 J까지 연장하는, 하류인, 제2 영역의 유효범위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105)은 의심 영역들이 보이자마자 의심 영역들의 에지들에서 작업 영역 내에서의 유효범위(R)를 바람직하게 추가함으로써 세정될 영역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고, 변위 명령(작업 영역 내의 세정 속도와 작업 영역의 외부의 다른 속도)들을 액추에이터(653)로 전달한다. 대안적으로, 의심 영역들이 보이자마자, 제어 유닛(105)은, 경우에 따라, 롤의 전체 폭 또는 하나 이상의 유효범위(R)에 의해 증가된 스트립을 갖는 접촉 폭에 대응하는 단일 폭 또는 유효범위(R)로 증가된 스트립과 접촉되지 않은 오로지 롤들의 말단부들의 세정을 보장하는 변위 명령(작업 영역 내의 세정 속도와 작업 영역의 외부의 다른 속도)들을 액추에이터(653)로 전달한다(도 3A, 도 3B, 도 3C).
세정 작동의 트리거링(triggering)은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먼저 기술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지지 롤들을 세정하기 위해서 도 1의 랜스(7a, 7b)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들은 랜스(6a, 6b)와 동일하게 슬라이드(652)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롤(3a, 3b)들이 작업 롤(2a, 2b)들보다 흔히 적게 변화되고 노즐(71)과 롤 표면(31) 사이의 거리의 조정이 반드시 요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랜스(7a, 7b)들은 그들의 고유한 축방향 조정 장치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도 1), 특정 적용예들의 경우에, 장치는 공극(5)의 윤활을 보장하도록 윤활 유제 분무 바아(4a, 4b)를 더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CCD 카메라는 각각의 랜스의 케이싱(62)에 설치될 수 있고 일체형일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는 세정 단계들이 실행되지 않는 박판화 단계들 동안에 롤들[지지부(641)가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652) 상에서 전동화된 방식으로 피봇하도록 장착되는 경우의 작업 롤 및 지지 롤]의 표면의 이미지들을 얻는다. 이들 이미지들은 표준 방식[자동 표면 검사 시스템(Automatic Surface Inspection System)]으로 처리되고, 처리 후에, 먼지와 같은 대조 확인된 변형물들은 세정 랜스들의 작동을 일으키게 한다. 유리하게, 격막(diaphram)은 세정 동안 카메라들의 렌즈들을 보호한다.

Claims (20)

  1. 노즐이 세정 속도에서 작동하면서 세정 속도에 따라 롤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는, 압연기 롤(2, 3)을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의 시작 위치(B, B', D, I)와 작업의 종료 위치(C, C', E, J)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20, 21, 22)이 상기 압연기 롤(2, 3) 상에서 결정되는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 단계가 작업 영역(20, 21, 22)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속도와 다른 속도에서 작동하는 상기 노즐이 작업의 종료 위치(C, C', E, J)로부터, 또는 작업의 시작 위치(B, B', D, I)까지, 또는 상기 작업의 종료 위치로부터 작업의 시작 위치까지 상기 압연기 롤(2, 3)의 축에 평행하게 변위되는 이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 동안, 상기 노즐은 제1 작업 영역(20)의 작업 종료 위치(C)로부터 제2 작업 영역(21)의 작업의 시작 위치(D)까지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 동안, 상기 노즐에 의해 인가되는 세정 제품의 유량이 세정 유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 동안, 상기 노즐에 의해 인가되는 세정 제품의 압력이 세정 압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 동안, 이송 속도가 상기 세정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0, 21, 22)은 세정될 영역의 시작 위치(B, B', G, K)와 세정될 영역의 종료 위치(F, E, F', L)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세정될 하나의 영역(10, 11, 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1, 22)은 작업의 시작 위치(D, I)로부터 세정될 영역의 시작 위치(G, K)까지 연장하는 제1 유효범위 영역(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0, 21, 22)은 세정될 영역(10, 11, 12)의 종료 위치(F, F', L)로부터 작업의 종료 위치(C, C', J)까지 연장하는 제2 유효범위 영역(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0, 21, 22)은 박판화된 스트립(1)의 폭의 함수로서 미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0, 21, 22)은 세정될 영역의 시작 위치(B, B', G, K)와 세정될 영역의 종료 위치(F, E, F', L)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세정될 하나의 영역(10, 11, 12)을 포함하고,
    세정될 상기 영역(12)은 박판화된 스트립(1)의 두 개의 에지(K, L)들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20, 21, 22)은 세정될 영역의 시작 위치(B, B', G, K)와 세정될 영역의 종료 위치(F, E, F', L)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세정될 하나의 영역(10, 11, 12)을 포함하고,
    세정될 상기 영역(10, 11)은 한편으로 상기 롤의 하나의 에지(B, B', E)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롤의 상기 에지에 가장 가까운 박판화된 스트립(1)의 에지(F, F', G)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롤의 청결상태 및 박판화된 스트립의 청결상태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시각적인 검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롤의 세정은 상기 롤의 표면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방법.
  15. 가압된 세정 제품을 세정될 롤(3, 4)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세정 노즐(61)과,
    상기 노즐을 변위시키는 수단(641, 642, 652)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압연기 롤의 세정 장치에 있어서,
    작업의 시작 위치와 작업의 종료 위치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과,
    세정 단계를 작업 영역으로 제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노즐을 변위시키는 수단은 상기 작업 영역 내에서는 제1 속도에 따라, 그리고 상기 작업 영역 외부에서는 상기 제1 속도와는 상이한 제2 속도에 따라 노즐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세정될 상기 롤 또는 다른 압연기 롤을 세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세정 노즐(71)을 더 포함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세정될 롤 상의 하나 이상의 작업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은 박판화된 제품의 표면의 이미지를 얻는 광학 수단(102)과, 얻어진 이미지에 대한 처리 수단(103, 104)을 포함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세정될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세정될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수단은 번들 또는 레이저 빔 삼각측량에 의해 상기 롤의 표면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세정될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하는 상기 수단과 상호 작동하는 공기 블로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압연기 롤 세정 장치.
KR1020097021614A 2007-04-18 2007-12-20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KR101115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2813 2007-04-18
FR0702813A FR2915118B1 (fr) 2007-04-18 2007-04-18 Procede de nettoyage de cylindre de laminoir et dispositif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996A KR20090122996A (ko) 2009-12-01
KR101115134B1 true KR101115134B1 (ko) 2012-03-05

Family

ID=3844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614A KR101115134B1 (ko) 2007-04-18 2007-12-20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134480B1 (ko)
KR (1) KR101115134B1 (ko)
CN (1) CN101646507B (ko)
BR (1) BRPI0721581A2 (ko)
DK (1) DK2134480T3 (ko)
ES (1) ES2410087T3 (ko)
FR (1) FR2915118B1 (ko)
PL (1) PL2134480T3 (ko)
WO (1) WO2008129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3753A1 (de) * 2010-06-04 2011-12-08 Sms Siemag Ag Einrichtung zum Reinigen und Trocknen von Walzgerüsten
CN103170504B (zh) * 2013-03-01 2016-03-30 柳燕明 气垫无摩擦轧机清辊器及气垫无摩擦轧机清辊方法
CN103680928B (zh) * 2013-12-24 2015-12-02 天威保变(秦皇岛)变压器有限公司 一种线圈内径纸板筒的预处理工艺
WO2018050920A1 (de) 2016-09-19 2018-03-22 Sms Group Gmbh Walzenbearbeitung im laufenden prozess
CN111451283B (zh) * 2020-03-19 2021-08-03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辊面刮刀智能集控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023A (en) 1991-09-13 1995-10-24 International Rolling Mill Consultants Inc. Roll surfac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EP0995504A2 (de) 1998-10-20 2000-04-26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Walzen und/oder Rollen in Bandgiessanlagen, Walzwerken und/oder Bandprozesslinien, insbesondere Dressierwerken oder dergleichen Nachwalzwerk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705A (ja) * 1985-10-22 1987-05-07 Nippon Kokan Kk <Nkk> 圧延ロ−ルの欠陥検出除去装置
CN1121935C (zh) * 1998-05-01 2003-09-24 W·L·戈尔及同仁股份有限公司 可重复定位的喷嘴组件
FR2781570B1 (fr) * 1998-07-21 2000-08-25 Lorraine Laminage Dispositif de detection des defauts superficiels de bandes metalliques en defilement
ATE279300T1 (de) * 2000-08-22 2004-10-15 Lind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fernung metallischer verunreinigungen
EP1304174A1 (de) * 2001-10-19 2003-04-23 Aluminium Norf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Walzen
KR20040034896A (ko) * 2002-10-17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위치 및 시간제어 기능을 갖춘 롤표면 진공 소제 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023A (en) 1991-09-13 1995-10-24 International Rolling Mill Consultants Inc. Roll surfac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EP0995504A2 (de) 1998-10-20 2000-04-26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Walzen und/oder Rollen in Bandgiessanlagen, Walzwerken und/oder Bandprozesslinien, insbesondere Dressierwerken oder dergleichen Nachwalzwer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4480B1 (fr) 2013-03-06
CN101646507A (zh) 2010-02-10
CN101646507B (zh) 2012-03-21
FR2915118A1 (fr) 2008-10-24
DK2134480T3 (da) 2013-04-29
PL2134480T3 (pl) 2013-08-30
EP2134480A1 (fr) 2009-12-23
FR2915118B1 (fr) 2009-06-05
KR20090122996A (ko) 2009-12-01
ES2410087T3 (es) 2013-06-28
BRPI0721581A2 (pt) 2014-02-25
WO2008129141A1 (fr)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134B1 (ko) 압연기 롤을 세정하는 방법 및 대응 장치
CA2424956C (en) Liquid spr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EP3052322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of transport belt
AU2002211900A1 (en) Liquid spr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JP2016049522A (ja) 圧延ロ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120063C (zh) 半成品氧化皮去除设备
CN116985160A (zh) 一种轧机线上的在线机器人精整平台
JP3184183B2 (ja) 扁平ワークの検査装置
KR102420246B1 (ko) 약액의 스프레이 방법
KR102135156B1 (ko) 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JP2005131620A (ja) 建築板の塗装装置および塗装ガンの洗浄装置
JP2001065545A (ja) ロール表面の清掃装置
US20110168215A1 (en) Device for cleaning a roll of a rolling mill
WO2019097747A1 (ja) ストリップの端部検出装置及びブラッシング装置
KR101525060B1 (ko) 압연롤의 이물 제거장치
JP2004230315A (ja) 光学窓ガラス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US7748392B2 (en) Edge cleaner device for coating process
KR101408286B1 (ko) 정밀부품의 이물질 및 스케일 자동제거장치
KR102281548B1 (ko) 압연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83660B1 (ko) 연속소둔라인 탈지설비의 스트립 부착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2683Y1 (ko) 주편 용융덧살 자동제거장치
JPH0371911A (ja) 圧延油ワイパー装置
US20230008500A1 (en) Coating determination device of coating head and coating system
KR101080229B1 (ko) 계측 설비의 보호용 커버부를 위한 클리닝 장치
JP3338015B2 (ja) 異物焼付きを防止した圧延板の形状検出方法、前記方法を実施する圧延装置、および異物焼付きを防止した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