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034B1 -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034B1
KR101111034B1 KR1020110025627A KR20110025627A KR101111034B1 KR 101111034 B1 KR101111034 B1 KR 101111034B1 KR 1020110025627 A KR1020110025627 A KR 1020110025627A KR 20110025627 A KR20110025627 A KR 20110025627A KR 101111034 B1 KR101111034 B1 KR 10111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pipe
outlet
inlet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고지마
마사유키 니시다
다카유키 야마우치
가츠요시 고데라
타로 미무라
쥰이치 하라
유타카 야마다
야스히로 미나가와
유키 기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65G47/1485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using suction or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반송물을 종래보다도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송물 분리기구(10)는 반송물(W)의 도입구(9a) 및 도출구(8d)를 구비한 통기 관로(9, 8c, 8d)와, 용기 내부에 도출구(8d)가 개구하는 동시에, 도출구(8d)에 대향하여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7b) 및 반송물(W)이 배출되는 배출구(7e)를 가지고, 도출구(8d)로부터 도출된 반송물(W)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배출구(7e)로부터 배출하는 반송물 수용기(7)와, 통기 관로에 도입구(9a)로부터 도출구(8d)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반송물(W)을 도입구(9a)로부터 도입하여 도출구(8d)로부터 도출한 후에 분리용 망체(7b)에 충돌시키는 기류발생수단(8, 8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SEPARATING MECHANISM FOR CONVEYED OBJECTS AND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부품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매우 적합한 반송물 끼리를 서로 분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등의 반송물을 각종의 처리장치나 검사장치 등에 공급하기 위해 파츠 피더(parts feeder)(진동식 반송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파츠 피더는 스파이럴형의 트랙을 구비한 보울형의 반송체를 가지는 보울 피더나 직선형의 트랙을 구비하거나 리니어 피더 등을 가지고, 랜덤으로 집합한 다수의 반송물을 반송로(트랙)를 따라 반송하면서 최종적으로 반송물을 일렬로 정렬시켜서 공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반송물을 반송해갈 때에 반송물의 최소한 일부가 점착성이 있거나 반송물이 정전기를 띠고 있으면, 반송물끼리 붙어서 덩어리가 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정렬 상태로 이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로의 바닥면(반송면)에 공기 분출구(20)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공기 분출구(20)의 위쪽에 망체(網體, 16)를 구비한 반송물 받이(1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피가공물 분리기구(1)를 설치하는 일이 있다. 이 피가공물 분리기구(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기 분출구(20)로부터 압축 공기를 분출시키는 것으로 피가공물(W)이 위쪽으로 뿜어 올려지고, 망체(16)에 충돌하거나 낙하하였을 때의 충격으로 피가공물(W)이 분리된다.
일본국 특허 제402480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피가공물 분리기구(1)를 구비한 파츠 피더에서는 다수의 피가공물(W)이 밀집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분출구(20) 위에 도달했을 때에 공기 분출구(20)로부터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통과하는 피가공물(W)의 일부가 위쪽으로 뿜어 올려지지 않고, 피가공물(W)에 충분한 분리처리가 실시되지 않거나 일부의 피가공물(W)이 그대로 처리되지 않고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즉, 공기 분출구(20)의 개구 위치에 대한 피가공물(W)의 상대적 위치관계나 피가공물의 자세 등에 의해 피가공물(W)의 비산 강도나 비산 방향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모든 피가공물에 균질한 분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또 이 분리처리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에어량이나 에어압을 과대하게 설정하면 피가공물(W)이 망체(16)에 충돌하거나 그 반발력으로 트랙 위로 낙하할 때에 큰 충격을 받아서 손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과제는 반송물을 종래보다도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반송물 분리기구는, 반송물의 도입구 및 도출구를 구비한 통기 관로와, 용기 내부에서 상기 도출구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구에 대해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아래방향을 향하는 한편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반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된 상기 반송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반송물 수용기와, 상기 통기 관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한 후에 상기 분리용 망체에 충돌시키는 기류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 망체의 내면은 상기 배출구로 향하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발생수단에 의해 발생한 기류로 인해 반송물이 통기 관로의 도입구로부터 도입되어 내부를 통과하고 도출구로부터 도출되어 분리용 망체에 충돌하기 때문에, 복수의 반송물이 점착성이나 정전기 등에 의해 결합하고 있어도 반송물은 기류를 타서 통기 관로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받는 충격이나 도출구에 대향하는 분리용 망체에 충돌하는 것으로 받는 충격에 의해 상호 분리되고, 최종적으로 반송체 수용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통기 관로를 통하여 반송물을 망체에 충돌시키는 것으로 통기 관로의 내부에 도입된 모든 반송물에 분리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통기 관로 내를 기류를 타서 통과할 때나 망체로 충돌할 때에 충격을 충분히 받을 수 있으므로, 반송물을 종래보다도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반송물은 통기 관로의 내부로부터 분리용 망체로 향하여 기류에 의해 도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피가공물을 기류에 의해 뿜어 올렸을 때에 비산 거리나 비산 방향이 흐트러져서 망체로의 충돌형태가 불균일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분리용 망체에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충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류발생수단은 상기 통기 관로의 중도위치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여 기류를 불어넣음으로써 상기 도출구로부터의 상기 반송물의 도출력을 얻는 동시에 상기 도입구로의 상기 반송물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류 인젝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물을 상기 중도위치로부터 도출구로 향하여 확실하게 기류를 타서 내보낼 수 있는 동시에, 중도위치로부터 불어 넣어진 기류에 의해 통기 관로의 상류 측에 발생하는 부압(負壓)에 의해 도입구로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입구로의 흡인력으로 주위로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반송물을 통기 관로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고, 또 흡입한 반송물을 비산시키지 않고 기류를 타서 반송하고나서 망체로 충돌시켜 분리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법과 같이 공기 분출구의 개구 위치와 반송물의 상대적 위치관계나 반송물의 자세에 의해 비산 거리나 비산 방향이 흐트러져서 망체로의 충돌상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확실하고 또한 균일한 분리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간이한 구조에 의해 통기 관로 전체에 필요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류 인젝터구조의 상류 측에 상기 통기 관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입관을 더 가지고, 상기 도입관의 선단에 상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통기 관로의 상류 측 부분을 도입관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반송체 자체에 천공(穿孔) 부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등, 반송체의 형상이나 구조 등에 제약을 받기 어려워 지기 때문에 도입구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상기 도입구는 상기 반송물의 반송면과 비접촉 상태에서 반송로 위에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체의 형상이나 구조에 전혀 제약을 받지 않고 도입구의 위치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반송체에 대해 반송물 분리기구를 장착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기 관로의 최소한 일부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관재(管材)로 구성되고, 이 관재의 외면에는 전기적으로 접지된 도전재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통기 관로의 최소한 일부를 관재(예를 들면, 상기 도입관)로 구성하는 경우로서 이 관재를 유전체로 구성할 때에는, 통기 관로와 반송물의 마찰에 의해 통기 관로와 반송물이 함께 대전(帶電)하는 동시에, 반송물이 통기 관로의 내면에 정전력에 의해 흡착되기 쉬워지는 것으로 반송물의 반송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관재의 외면에 전기적으로 접지된 도전재를 접촉시키는 것으로, 관재의 관벽에 대전하는 정전기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반송이 저해되기 어려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도전재는 상기 관재의 외면 위에서 관로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관로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관재의 외면에 도전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도전재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수용기는 상기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측부에 분리용 망체가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배출구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출구로부터 도출된 반송물이 분리용 망체에 충돌한 후에 바닥부로 향하여 낙하하므로 중력에 의해 반송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하는 경사 안내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분리용 망체에 충돌한 후에 바닥부로 향하여 낙하한 반송물이 경사 안내면에 의해 배출구를 향하여 안내되므로 반송물을 배출구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바닥부에는 외부에 대하여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배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기류가 바닥부 망체로부터 외부로 유출 가능해짐으로써 기류가 배출구에 집중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기류에 의해 반송물이 배출구로부터 과잉인 속도로 배출된다고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배출된 반송물의 비산에 의한 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반송물 수용기의 상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상부 망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도출구로부터 방출된 기류가 상부 망체를 통해 위쪽으로 유출 가능해짐으로써 바닥부로 향하는 기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류에 의해 반송물이 배출구로부터 과잉인 속도로 배출된다고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배출된 반송물의 비산에 의한 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반송물 수용기의 측부에 분리용 망체가 설치되는 동시에 바닥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반송물 수용기에서 그 상부와 하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가지는 망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배출구로 기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수용기에는 상기 분리용 망체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반송물이 상기 분리용 망체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직접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규제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물이 분리용 망체에 충돌한 후에 직접 배출구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된 반송물의 비산에 의한 반송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반송장치는 반송물이 반송되는 반송로를 구비한 반송체와, 상기 반송로의 제1의 반송 위치를 향해 개구하는 도입구 및 도출구를 구비한 통기 관로와, 용기 내부에서 상기 도출구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구에 대해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아래방향을 향하는 동시에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반송물이 배출되어 상기 제1의 반송위치보다도 하류 측의 제2의 반송위치에 개구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된 상기 반송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반송물 수용기와, 상기 통기 관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한 후에 상기 분리용 망체에 충돌시키는 기류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 망체의 내면은 상기 배출구로 향하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류발생수단은 상기 통기 관로의 중도 위치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여 기류를 불어 넣음으로써 상기 도출구로부터의 상기 반송물의 도출력을 얻는 동시에 상기 도입구로의 상기 반송물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류 인젝터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류 인젝터구조의 상류 측에 상기 통기 관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입관을 더 가지고, 상기 도입관의 선단에 상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도입구는 상기 반송물의 반송면과 비접촉 상태에서 이 반송면 위에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물을 통기 관로 내에 받아들이고나서 망체에 충돌시킨다고 하는 분리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송물을 종래보다도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반송물을 흡입하는 것에 의해 통기 경로 내에 도입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고 균일하게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반송장치의 실시형태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도 1a) 및 개략측면도(도 1b).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반송물 분리기구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상기 실시 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도입관의 외면에 도전재를 권회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도 4a), 도전재의 접촉부분의 확대단면도(도 4b), 및 도전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 설명도(도 4c).
도 5는, 분리용 망체, 상부 망체 및 바닥부 망체로서 이용할 수 있는 망체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도 5a), 이 망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평면도(도 5b) 및 확대단면도(도 5c), 및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망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평면도(도 5d) 및 확대단면도(도 5e).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초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반송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반송장치(100)는 보울형의 파츠 피더(parts feeder)(진동식 반송장치, 이하 동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반송기구(4)와, 이 제1의 반송기구(4)에 접속된 리니어형 파츠 피더로 이루어지는 제2의 반송기구(5)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제1의 반송기구(4) 및 제2의 반송기구(5)는 기대(基台, 3) 위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기대(3)는 설치대(1) 위에 방진(防振) 요소로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방진기구(2)를 통해 지지된다.
제1의 반송기구(4)는, 기대(3) 위에 설치된 회전 진동기(40)(도 1 참조)와, 이 회전 진동기(40) 위에 고정된 보울형의 반송체(41)를 가지고, 회전 진동기(40)에 의해 반송체(41)가 축선 둘레의 회전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반송체(41)의 내측 중앙에는 반송물 멈춤부(42)가 설치되고, 이 반송물 멈춤부(42) 내부로부터 그 주변의 경사 내측을 향한 경사 내면 위에 걸쳐서 스파이럴형의 반송로(43)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43)는 상기 반송물 멈춤부(42)의 내부로부터 상기 경사 내면을 따라 서서히 위쪽으로 향하면서 외주 측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된다. 반송로(43)는 상기 경사 내면에 형성된 단면 L자형의 홈(내측이 개방된 편홈(片溝))에 의해 구성된다. 반송로(43)의 홈 폭은, 반송물 멈춤부(42)에 가까운 상류 측에서는 넓게 구성되어 다수의 반송물(피가공물)(W)이 겹쳐지거나 병렬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하류 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서히 또는 순차적으로 작아져서 반송물(W)의 일부를 반송로(43)로부터 내측으로 탈락시키면서 반송물(W)의 겹침이나 줄을 서서히 해소해간다.
제2의 반송기구(5)는, 기대(3) 위에 설치된 직선 진동기(50)와, 이 직선 진동기(50) 위에 고정된 반송체(51)를 가지고, 직선 진동기(50)에 의해 반송체(51)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반송체(5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반송로(52)가 설치된다. 반송로(52)의 상류 단(端)은 위에서 설명한 반송로(43)의 하류 단에 접속된다. 반송로(52)를 반송되어 가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소정의 반송자세로 일렬로 정렬된 반송물(W)은 선단부(53)로부터 도면에 예시하지 않은 각종의 처리장치(검사장치, 실장장치 등)로 공급된다.
상기 반송물(W)은, 반송과정에서 상기 반송로(43) 및 (52)로부터 서서히 배제되거나 자세변환을 받음으로써, 최종적으로 요구사양에 따른 자세로 일렬로 정렬된다. 최근의 고속 반송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반송로의 상류 측 부분에서는 반송물(W)의 겹침 또는 줄을 허용하는 동시에 반송물(W)의 반송자세를 제약하지 않게 해서 고밀도로 반송하고, 하류 측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상기 반송 자세나 겹침 또는 줄을 서서히 제약해서 반송자세도 규제해가며, 반송로의 하류 측 부분에서는 최종적으로 반송물(W)을 소정의 반송자세로 거의 극간 없이 일렬로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반송과정에서 반송로(43) 위에서 배제되는 반송물(W)은 상기 경사 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낙하하고, 상기 반송물 멈춤부(42) 내로 복귀하며, 다시 반송로(42) 위를 상승한다. 또한, 도 1a에 예시하는 반송체(41)에서는 그 내부에 있는 반송물(W)을 반송로(43)의 일부에만 도시하고, 다른 부분에서는 반송물(W)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즉, 반송로(43) 중, 후술하는 제1의 반송위치(43a)로부터 그 상류 측의 제1의 반송로 부분, 및 후술하는 제2의 반송위치(43b)로부터 그 하류 측의 제2의 반송로 부분에서는 반송물(W)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1의 반송로 부분보다 더 상류 측의 부분과, 제2의 반송로 부분보다 더 하류 측의 부분에서는 반송로(W)를 도면에서 예시하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 제1의 반송로 부분과 제2의 반송로 부분 사이의 영역은 다음에 설명하는 반송물 분리기구(10)의 동작에 의해 본래 반송물(W)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송장치(100)에는 반송물 분리기구(10)가 설치된다. 이 반송물 분리기구(10)에서 제1의 반송기구(4)의 반송체(41) 위에는 반송물 수용기(7)가 설치되고, 이 반송물 수용기(7)에는 기류 인젝터구조(8)가 접속고정된다. 이 기류 인젝터구조(8)에는 도시하지 않은 컴프레서, 에어 배관, 압력조정기, 전자밸브 등의 기체 공급기로부터 압축 공기 등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튜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기관(8a)이 접속된다. 또한, 이 급기관(8a)에 도시하지 않은 이오나이저(ionaizer)를 통하여 기체(제전(除電)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반송물(W)에 대한 제전(除電)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기류 인젝터구조(8)에는 상기의 통기 관로의 도입 측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튜브 등의 도입관(9)이 접속된다. 도입관(9)의 선단에는 도입구(9a)가 설치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서는 도입관(9)은 2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또한, 상기 각 수지튜브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tetrafluoro ethylene) 등의 불소 수지로 구성된 것이 반송물(W)과의 마찰을 저감하여 이에 따른 대전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입관(9)은 본 발명의 통기 관로의 가장 상류 측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복수의 반송물(W)이 결합한 덩어리가 다수 도입되어 그 덩어리도 크기 때문에, 도입관(9)의 내경을 어느 정도는 크게 해서 막힘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 반면, 내경을 너무 크게 하면 후술하는 분리용 망체(7b)로의 충돌에 의해 반송물(W)에 과잉인 충격을 주지 않는 정도의 기류로는 도입구(9a)에서 충분한 흡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통기 관로 내에서 반송물(W)에 분리작용이 일어나는 정도의 적당한 충격을 반송물(W) 끼리의 충돌이나 관벽과의 충돌로 인해 부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도입관(9)의 내경(개구 단면적)은 중요하다. 도입관(9)의 개구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각형인 경우에는, 도입관(9)의 내경은 단경(短頸) 또는 최소의 대향면 거리를 반송물(W)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치수의 3배 이하, 가능하면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반송물 분리기구(10)는 상기 반송물 수용기(7), 기류 인젝터구조(8) 및 도입관(9)에 의해 구성된다. 도 2는 반송물 분리기구(91)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반송물 분리기구(10)의 상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도 2의 A-A선을 따른 수직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반송물 분리기구(10)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반송물 분리기구(10)는 엄밀하게는 도입관(9)의 처리상태나 지지도구(7g)의 구조, 기류인젝터구조(8)에서의 급기관(8a)의 접속부 등의 세부에 있어서 다른 점을 가지지만, 이 다른 점에 대해서는 어느 쪽을 채용하여도 좋은 취지이다. 또 아래의 설명에서는, 반송물 분리기구(10)를 반송체(4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설치하였을 때의 반송체(41)의 축선 측을「반경방향 내측」, 이 축선과는 반대 측을「반경방향 외측」이라고 한다. 그러나 반송물 분리기구(10) 자체에서는 반경 방향의 내측인지 외측인지는 특히 무의미하고 상대적인 위치관계에만 의의가 있으므로, 단지 절대적인 위치관계의 일 예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반송물 수용기(7) 및 기류 인젝터구조(8)는 지지도구(7g)에 의해 보호 유지되어 고정되고 있다. 지지도구(7g)는 기대(3) 위에 고정되고, 각 반송 기구(4) 및 (5)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직접 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도구(7g)의 강성을 과잉으로 높이지 않아도 반송물 수용기(7) 및 기류인젝터구조(8)가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진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가장 결함이 생기지 않으면 지지도구(7g)를 기대(3) 위에 고정하여도 되고, 또는 반송물 수용기(7)나 기류인젝터구조(8)를 반송체(41)에 대해 직접, 또는 다른 지지부재를 통해 고정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도시 예에서는 지지도구(7g) 등의 지지구조는 후술하는 도출관(8d)에 연결된다. 또한, 반송기구(4) 및 (5)로부터의 진동을 더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해 지지도구(7g)를 설치대(1) 위에 고정하여도 된다.
반송물 수용기(7)는, 수직인 축선을 구비한 원통형의 용기 본체(7a)와, 이 용기 본체(7a)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1) 선단의 측부 개구에 설치되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7b)와, 용기 본체(7a)의 상부 개구에 설치되어 통기성을 구비한 상부 망체(7c)와, 용기 본체(7a)의 하부 개구에 부착되어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7d)와, 용기 본체(7a)의 하부와 바닥부 망체(7d)와의 사이에 설치된 배출구(7e)와, 이 배출구(7e)의 위쪽에서 용기 본체(7a)의 주위에 튀어나오도록 구성된 반송물(W)의 비산 방지용의 차폐판(7f)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바닥부 망체(7d) 및 배출구(7e)는 반송물 수용기(7)의 바닥부를 구성한다.
기류인젝터구조(8)에서는 상기 급기관(8a)에 접속된 급기로(8b)와, 상기 도입관(9)에 접속된 통기로(8c)가 합류하고, 이 합류점보다 먼저 도출관(8d)이 연속하도록 설치된다. 이 도출관(8d)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7a)에 접속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반송물 수용기(7)와 기류 인젝터구조(8)가 일체로 구성된다. 도시 예의 경우, 급기관(8a)은 유량조절기(8f)에 접속되고, 유량조절기(8f)의 출구가 급기로(8b)에 접속된다. 급기로(8b)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서 그대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관로를 구비한 도출관(8d)에 접속된다. 통기로(8c)는 급기로(8b) 및 도출관(8d)의 관로에 대해 도출 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합류한다. 급기로(8b) 및 도출관(8d)의 관로의 최소한 내면 부분은 반송물(W)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우레탄고무 등의 연질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테트르플루오로 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등의 표면마찰이 작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출관(8d)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7a) 내로 돌출하고, 그 선단이 통기 관로의 도출구(8e)가 되어 용기 본체(7a)의 내부에 개구하고 있다. 이 도출구(8e)는 간격을 두고 상기 분리용 망체(7b)와 대향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7a)의 돌출부(71)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지만, 수직선(용기 본체(7a)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수평 방향)이 아니고 경사진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돌출부(71)의 선단에 있는 측부개구도 상기 돌출방향에 대응하여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위쪽으로 개구하고, 이에 따라서 분리용 망체(7b)도 용기 본체(7a)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도출관(8d)의 돌출방향 또는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아래쪽을 향한다. 분리용 망체(7b)의 경사진 아래쪽 방향의 도출관(8d)의 돌출방향 또는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는 도출구(8e)로부터의 반송물(W)의 도출속도, 반송물(W)의 내충격성, 분리용 망체(7b)의 강성, 반송물(W)의 형상 등에 의한 반동각도의 분포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반송물(W)이 분리용 망체(7b)에 충돌한 후에 도출관(8d)에 부딪히는 것을 회피해서 원활하게 아래쪽의 배출구(7e)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사각도θ는 2 내지 2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내지 10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용 망체(7b)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금속판에 다수의 가는 구멍을 형성한 메시(mesh)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 분리용 망체(7b)의 내면은 우레탄고무 등의 연질수지 외의 연질소재로 코팅된다. 이 코팅층은 충돌 시의 반송물(W)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여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용 망체(7b)는 원환형의 고정프레임(72)에 의해 상기 돌출부(71)에 고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용 망체(7b)를 섬유(72)(도 5d 참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섬유(72)를 연질 섬유로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반송물(W)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용기 본체(7a)의 상부 개구는 상기 도출관(8d)의 통과위치보다도 위쪽에 설치된다. 이 상부 개구에는 상부 망체(7c)가 원환형의 고정프레임(73)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부 망체(7c)도 상기 분리용 망체(7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망체(7c)의 개구 범위는 가능한 한 넓은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 개구 범위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도시 예와 같이 도출구(8e)의 바로 위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 한정하면, 반송물(W)의 위쪽으로의 비산은 저하되지만 기류의 확산작용은 저하된다. 한편, 상기 개구 범위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도출구(8e)의 바로 위의 위치를 넘어서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기류의 확산작용은 높아지지만 반송물(W)은 위쪽으로 비산하기 쉬워진다. 상기의 관계는 도출관(8d)의 돌출량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이 돌출량을 변화시키면 도출관(8d)과 분리용 망체(7b)와의 거리가 변화하고, 반송물(W)의 분리용 망체(7b)에 충돌하였을 때의 충격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출관(8d)을 용기 본체(7a)에 대해 출납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7a)의 하부 개구에는 바닥부 망체(7d)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경사진 자세로 고정된다. 하부 개구의 반경방향 외측의 개구 테두리는 절결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7e)를 형성한다. 즉, 배출구(7e)는 용기 본체(7a)와 바닥부 망체(7d)의 최하부(반경방향 외측의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바닥부 망체(7d)는 상부 망체(7c)와 같이 구성할 수 있지만, 그 내면에는 이 내면 위를 반송물(W)이 원활하게 미끄러져서 떨어질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큰 상기 코팅층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히려 바닥부 망체(7d)가 설치된 용기 본체(7a)의 바닥부 내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기 위한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외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코팅층 등의 저 마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닥부 망체(7d)는 낙하 시에 반송물(W)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연질소재로 구성하거나, 또는 박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 망체(7d)의 내면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경사 안내면을 구성하고, 이 경사 안내면을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면서 먼저 상기 배출구(7e)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반송물(W)은 바닥부 망체(7d)의 내면인 경사 안내면에 안내되면서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서 떨어지고, 최종적으로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바닥부 망체(7d)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물(W)을 배출구(7e)를 향해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이 기능을 다하는 것만으로 된다면 망체가 아니라 가는 구멍이 없는, 용기 본체(7a)와 일체의 수지판이나 금속판 등의 판 재료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물 수용기(7)의 바닥부에 바닥부 망체(7d)를 설치하는 것으로 배출구(7e)로 향하는 기류를 억제하여 반송물(W)의 배출속도를 절감함으로써 반송물(W)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바닥부 망체(7d)의 내면에서 구성되는 경사 안내면의 경사 각도Φ는 반송물(W)이 원활하게 미끄러져서 떨어지기 위해 필요한 각도이고, 게다가 반송물(W)이 배출구(7e)로부터 과잉인 속도로 배출되지 않는 범위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 예에서는 경사 각도Φ는 20 내지 45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35도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부에 망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경사 안내면의 경사각은 상기와 같다.
용기 본체(7a)의 내부에는, 분리용 망체(7b)와 배출구(7e)의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의 주벽에 고정된 규제 판(7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 판(74)은, 분리용 망체(7b)에 충돌해서 낙하한 반송물(W)이 직접(즉, 용기 본체(7a)의 내면에 한 번도 접촉하지 않고, 또는 이 내면에 접촉하여도 과잉인 속도를 유지한 채)배출구(7e)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위쪽에서 낙하해온 반송물(W)을 일단 받아들이고, 상기 바닥부 망체(7d) 등의 바닥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라면 규제 판(7e)을 통기성이 있는 망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용기 본체(7a)의 주위에는 차폐판(遮蔽板, 7f)이 튀어나오게 설치된다. 도시 예의 경우, 차폐판(7f)은 용기 본체(7a)보다도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부분이 더욱 넓게 튀어나오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된 반송물(W)이 반송 체(41)의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차폐판(7f)의 반경방향 외측의 테두리부는 반송체(41)의 내면 형상을 따라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도시 예에서는, 용기 본체(7a)의 주벽의 외측에 환상의 지지 프레임(75)이 고정되고, 이 지지 프레임(75)을 통하여 차폐판(7f)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의 도출관(8d)과 지지도구(7g)의 연결구조를 유지한 채, 또는 이 연결구조 대신에 지지 프레임(75)을 지지도구(7g)에 연결하는 것으로 용기 본체(7a)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인젝터구조(8) 및 도입관(9), 및 용기 본체(7a)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투광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입구(9a)로부터 배출구(7e)까지의 반송물(W)의 경로가 모두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시 예에서는 반송물 수용기(7), 인젝터구조(8) 및 도입관(9)이 모두 투광성 소재(바람직하게는 투명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반송물 분리기구(10)의 내부에 있는 반송물(W)을 매우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송물(W)이 막히는 등의 문제를 용이하게 알게 되거나 사전에 예측할 수 있으므로, 반송속도가 저하되거나 반송불능에 빠지는 사태를 단시간에서 해소하거나 미리 회피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예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도입관(9)의 외면에 띠형 또는 선형의 도전재(9d)가 나선형으로 권회되고, 이 도전재(9d)는 지지도구(7g)의 접속점(9y)에서 도전 접속됨으로써 어스(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전체로 구성되는 도입관(9)의 내부를 통과하는 반송물(W)에 마찰 등에 의해 유기(誘起)되는 정전기를 완화할 수 있다. 이 도전재(9d)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송물(W)의 통과 중에 상기 기류인젝터구조(8)에 의한 기류의 불어넣기를 정지하면 도입관(9)의 내면에 대전(帶電)한 반송물(W)이 달라붙지만, 상기 도전재(9d)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접지하면 반송물(W)이 달라붙는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a에는 도입관(9)에 도전재(9d)를 권회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4b에는 도전재(9d)의 접촉부분의 확대 단면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도전재(9d)를 도입관(9)의 외면에 접촉시켜서 전기적으로 접지하면 도입관(9)과 그 주위의 공기와의 사이에 어스가 삽입되어 쉴드효과를 일으키고, 도입관(9)의 관벽과 주위의 공기가 유전 분극하여 그것들의 경계면에 전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도입관(9) 내를 통과하는 반송물(W)이 대전하고 있어도 도입관(9)의 관벽 내면에 흡착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재(9d)가 도입관(9)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송물(W)과의 마찰에 의해 도입관(9)의 관벽이 대전하면 이 관벽과 그 주위의 공기층이 유전 분극해서 그것들 사이의 경계면에 서로 역극성의 전하가 발생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도입관(9)의 관벽의 대전상태(전하)가 유지되므로 도입관(9)의 내부를 통과하는 반송물(W)은 역극성으로 대전한 도입관(9)의 관벽 내면에 흡착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반송물 수용기(7)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부 망체(7d)가 도전재로 구성되고, 이 도전재가 상기 경사 안내면으로서 용기 내측에 노출하도록 구성하며, 도전선(7x)을 통하여 접속점(7y)에서 지지도구(7g)에 도전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7a) 내로부터 경사 안내면 위를 이동하여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되는 반송물(W)의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부 망체(7d) 등의 바닥부 내면은 반송물(W)이 반송물 분리기구(10)로부터 방출되는 배출구(7e)의 바로 앞에 위치하므로, 반송물 분리기구(10)에 도입되기 전부터 대전하고 있던 전하(電荷)는 물론, 반송물 분리기구(10)의 내부에서 새롭게 대전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편리하다. 또한, 정전기의 제거성능의 관점에서 보면 반송물 수용기(7)의 바닥부에 바닥부 망체(7d) 대신에 가는 구멍을 가지지 않은 도전 판을 설치해서 이것을 전기적으로 접지하면 반송물(W)에 대한 접촉면적의 증대나 접촉저항의 저감에 의해 한층 더 제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광성 소재로 반송물 분리기구(10)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 각 부분은 실질상 유전체로 구성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도입관(9) 내를 기류를 타서 이동하는 과정, 기류인젝터구조(8) 내를 통과하는 과정 등이라고 한 통기 관로 내의 이동과정에서, 또는 도출구(8e)로부터의 도출 후의 분리용 망체(7b)로의 충돌, 용기 본체(7a)의 내면 또는 규제 판(45)으로의 충돌시 등에서 반송물(W)이 대전하기 쉬워지는 것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어스구조에 의한 제전수단의 효과는 매우 높아진다. 발명자가 확인해 본바, 상기의 어스구조를 상기 이오나이저와 함께 채용하면 배출된 반송물(W)의 대전량(측정전압)은 어스 구조 및 이오나이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10% 정도로 저하되었다.
도 5에는, 상기의 분리용 망체(7b), 상부 망체(7c) 및 바닥부 망체(7d)로서 이용할 수 있는 망체의 개략 평면도인 도 5a 및 그 망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평면도인 도 5b 및 확대단면도인 도 5c를 도시한다. 이 망체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얇은 판상체(71)에(도시 예에서는 직사각형상의) 다수의 개구부(71a)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얇은 금속판의 표면에 그물코 모양의 에칭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것을 에칭법에 의해 에칭하는 것으로 에칭 마스크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평면 부분이 상기 개구부(71a)가 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망체는 도 5d의 확대평면도 및 도 5e의 확대평면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망체는, 단면이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의 섬유(72)로 구성된 망체이고, 섬유(72)가 적절한 형태로 짜여져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망체라면 기류를 섬유(72)의 단면형상을 따라서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고, 망체 통과 시에 기류의 반동이 적어져서 소용돌이도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반송물 수용기(7) 내에서의 기류에 의한 반송물(W)로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모든 망체에서도 망체의 개구율(망체 전체의 면적에 대한 개구부의 면적의 총합의 비)가 50%(특히, 75%)를 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류가 망체에서 원활하게 외부로 빠져나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분리용 망체(7b)에서 망체에 의한 기류의 반동에 의해 반송물(W)이 충돌하기 어려워지거나 기류의 반동에 의해 반송물 수용기(7)의 내부에 과잉인 기류나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개개의 개구부는 반송물(W)이 통과해버리거나 걸려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송물(W) 각 부분의 치수보다도 작은 개구 폭을 가질 필요가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류인젝터구조(8)의 급기관(8a)으로부터 급기로(8b)로 기류를 불어넣으면, 이 기류는 도출관(8d)의 내부를 통과해서 도출구(8e)에서 반송물 수용기(7) 내로 방출된다. 이때 통기로(8c)에는 부압이 발생하므로 도입관(9)의 선단의 도입구(9a)로부터 반송물(W)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관(9)의 선단에 있는 도입구(9a)는 반송로(43) 위에 설치된다. 이때 도입구(9a)는 반송체(41)와 접촉하지 않도록 반송로(43)의 반송면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 반송로(43) 위에 개구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보호 유지도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도입구(9a)는 반송로(43)중 다수의 반송물(W)이 겹쳐지거나 늘어선 상태로 반송되는 제1의 반송위치(43a)에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의 반송위치(43a)에서 반송물(W)이 도입관(9) 내에 흡인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반송물(W)의 최소한 일부 표면이 점착성이 있거나 반송물(W)이 정전기에 의해 서로 달라붙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반송위치(43a)에서 반송물(W)은 서로 달라붙어서 결합하여 복수의 반송물(W) 덩어리가 생긴다. 이 때문에 반송물(W)이 제1의 반송위치(43a)를 통과해서 그대로 반송로(43) 위를 반송되어 갈 경우에는, 복수의 반송물(W) 덩어리가 일체로 이동하기 때문에 반송로(43)의 폭이 서서히 또는 순차적으로 좁아져 가면 덩어리째로 반송로(43) 위에 남거나 반송로(43)로부터 배제되기 때문에, 반송물(W)이 겹쳐지거나 늘어선 상태를 조금씩 해소해 가는 것이 불가능하고, 최종적으로는 덩어리째로 반송로(43)로부터 배제되므로 반송로(43) 위에 반송물(W)이 존재하지 않는 극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남은 반송물(W) 만이 반송되어 간다. 이렇게 되면 반송장치(100)의 반송효율(반송속도)은 현저히 저하되고, 설계 능력의 5 내지 10분의 1 정도가 되어 버리는 일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1의 반송위치(43a)에서 반송로(43) 위의 모든 반송물(W)을 도입관(9) 내로 흡인한다. 이와 같이 반송물(W)을 통기 관로 내로 흡입하는 구성에서는 반송물(W)은 도입구(9a)를 향하여 주위로부터 흡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공기분출구로부터 기류를 분출하는 구성과 같이 반송물의 비산거리나 비산방향이 흐트러져서 확산해버리지 않고, 또 흡입 대상이 되는 반송물(W) 이외의 다른 반송물 등에 주는 영향도 저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반송물(W) 덩어리는 도입관(9) 내의 관로, 통기로(8c) 및 도출관(8d) 내의 관로로 구성되는 통기관로 속을 기류에 의해 반송되는 과정에서 반송 시의 요동에 의해 또는 관로 내면으로의 충돌이나 반송물(W) 끼리의 충돌 등에 의해 충격을 받기 때문에, 이 덩어리를 구성하는 반송물(W) 끼리가 상호 분리된다. 따라서, 통기관로 내로 가져온 반송물 전체에 확실히 분리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처리 정도가 흐트러지거나 처리되지 않는 반송물(W)이 생기는 일도 없다.
상기와 같이 통기관로 내로 가져온 반송물(W)은 기류인젝터구조(8)를 통하여 도출구(8e)로부터 반송물 수용기(7) 내로 도출된다. 도출구(8e)로부터 도출된 상기 덩어리가 기류를 타서 분리용 망체(7b)에 충돌하였을 때에도, 그 충격에 의해 반송물(W) 끼리가 분리된다. 이때 도출구(8e)는 분리용 망체(7b)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도출구(8e)로부터 방출된 기류의 일부는 통기성이 있는 분리용 망체(7b)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물(W)의 분리용 망체(7b)로의 충돌이 분리용 망체(7b)에서 반동된 기류에 의해 방해받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기류인젝터구조(8)에서 공급되는 기류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반송물(W)의 분리용 망체(7b)로의 충돌 시에 받는 충격의 크기를 더욱 정밀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용 망체(7b)가 도출구(8e)에 대해 상기 경사 각도θ의 분량만큼 비스듬하게 대향하고 있음(정면으로 마주 대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분리용 망체(7b)에 충돌한 반송물(W)이 도출관(8d)의 선단 등에 다시 충돌해서 과잉인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분리용 망체(7b)는 배출구(7e) 측인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향하고 있으므로, 망체에 충돌한 반송물(W)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호 분리된 반송물(W)은 낙하각도에 따라서 용기 본체(7a)의 내면이나 규제 판(74)에 충돌하면서 강하하고, 최종적으로 바닥부 망체(7d) 위로 낙하한다. 이때, 반송물(W)의 강하상태는 용기 본체(7a)의 내부의 기류분포에 크게 영향을 주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7a)의 상부에 상부 망체(7c)가 설치되는 것으로 위쪽으로 향하여 기류가 외부로 방출되므로, 기류의 방향이 아래쪽으로 집중하기 어려워지고 반송물(W)의 강하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바닥부에 도달한 반송물(W)에 대해서는 기류가 바닥부 망체(7d)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으로 배출구(7e)를 향하는 기류가 저감되어 배출구(7e)로부터의 반송물(W)의 배출 속도가 억제되고, 외부로 나왔을 때의 반송물(W)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반송물(W)의 배출속도는 기본적으로 바닥부의 경사 안내면의 경사각도 Φ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분리용 망체(7b) 이외에 상부 망체(7c)나 바닥부 망체(7d)를 더 가짐으로써 반송물 수용기(7) 내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일부의 반송물(W)이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7a) 내를 계속 순환하는 것으로 손상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구(7e)를 반송체(41)의 반송로(43) 위에 개구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된 반송물(W)은 원활하게 반송로(43) 위로 이동한다. 배출구(7e)는 반송로(43)에서의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2의 반송 위치(43b)에 설치된다. 이 제2의 반송위치(43b)는 제1의 반송위치(43a)보다도 하류 측이지만 최소한 복수의 반송물(W)이 겹쳐지거나 늘어설 수 있는 폭을 갖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배출구(7e)로부터 반송물(W)이 어느 정도의 배출속도로 배출될 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폭을 갖지 않으면 비산해서 반송로(43)로부터 벗어나 버릴 가능성이 커져 반송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반송 위치(43c)보다도 하류 측(도시의 위쪽)에 있는 반송로(43)의 제3의 반송 위치(43c)에서 반송물(W)이 길이방향을 반송방향과 일치시킨 정규 자세로 반송될 경우에는 제2의 반송위치(43b)의 폭은 정규 자세에 있는 반송물(W) 폭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시 예에서와 같이 3배보다도 큰 폭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도시 예에서는, 제2의 반송 위치(43b)에서의 반송로(43)의 폭은 반송물(W)의 길이방향의 치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폭을 가지므로 반송물(W)이 반송로(43)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을 더욱 저하할 수 있다.
경사 안내면의 경사각도Φ나 마찰계수, 도출구(8e)로부터 방출되는 기류의 양, 상부 망체(7c) 및 바닥부 망체(7d)의 통기성 등은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되는 반송물(W)이 반송로(43) 위의 제2의 반송위치(43b)로부터 벗어나거나 반송로(43) 위로부터 낙하하지 않도록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차폐판(7f)은 반송체(41)의 경사 내면 근처까지 튀어나오는 것으로, 배출구(7e)로부터 배출된 반송물(W)이 제2의 반송 위치(43b)로부터 크게 벗어나도 반송체(41)의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설치되고, 특히 제2의 반송 위치(43b)로부터 크게 벗어나서 배출된 반송물(W)을 제2의 반송위치(43b) 및 그 반송방향의 전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입구(9a)에서 반송로(43) 위의 제1의 반송위치(43a)에 있는 반송물(W)을 흡입하고, 기류에 의한 반송 과정과 망체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 반송물(W)을 상호 분리한 후 제2의 반송위치(43b)로 복귀하므로, 반송물의 흡입 시에 다른 반송물에 영향을 주기 어렵고, 또 흡입한 모든 반송물(W)에 대해 균등하게 분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분리 처리를 충분히 또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확실하고 또한, 균일하게 분리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성이나 대전도가 높은 반송물(W)이라도 반송효율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최근에 특히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 높은 반송속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반송물 수용기(7)의 내면의 최소한 일부(바람직하게는 바닥부 내면, 또는 경사 안내면)을 도전재로 구성하여 이것을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것으로 반송물(W)의 대전이나 흡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인젝터구조(8)의 상류 측에 도입관(9)을 접속하고, 그 선단의 도입구(9a)를 반송로(43) 위에 개구시키고 있기 때문에 반송체(41)에 천공 부분을 설치하는 등 특수한 구조로 하지 않아도 반송물 분리기구(10)를 용이하게 장비할 수 있고, 또 가요성의 도입관(9)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입구(9a)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변경할 수 있는 등, 반송체(41)의 구조에 제약을 받기 어려워지며, 여러 가지 형태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도입구(9a)를 반송로(43)의 반송면(바닥면 및 측면)으로부터 이간시켜서 비접촉의 상태로 하여 반송로 위에 개구시키는 것으로, 반송체(41)의 형상이나 구조와는 무관하게 안정된 흡인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입구(9a)의 위치설정이나 변경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반송체(41)에 반송물 분리기구(10)를 사후 장착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더욱이, 도입관(9)의 외면에 도전재를 접촉시켜서 전기적으로 접지하는 것으로 반송물(W)의 대전이나 관벽 내면으로의 흡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송물 분리기구 및 반송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도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려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도입관(9)의 도입구(9a)를 제1의 반송위치(43a)에서 반송로(43) 위에 개구시키고, 제1의 반송위치(43a) 위를 반송물(W)을 흡인하여 그것보다도 하류 측의 제2의 반송 위치(43b)에 배출하고 있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호퍼 등의 공급부나 반송물 멈춤부(42) 내로부터 반송물(W)을 직접 흡인해서 반송로(43) 위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대신에 분리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반송물이 반송로(43) 위에 반송되는 것을 회피하기 때문에, 공급부나 반송물 멈춤부(42)와 반송로(43)를 분단하여도 된다. 또 반송 장치에 설치되는 반송기구로서는 보울형의 진동체(41)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설치대 2…방지기구
3…기대 4…제1의 반송기구
41…반송체 42…반송물 멈춤부
43…반송로 43a…제1의 반송위치
43b…제2의 반송위치 43c…제3의 반송위치
5…제2의 반송기구 7…반송물 수용기
7a…용기 본체 7b…분리용 망체
7c…상부 망체 7d…바닥부 망체
7e…배출구 7f…차폐판
75…규제판 8…기류인젝터구조
8a…급기관 8b…급기로
8c…통기로 8d…도출관
8e…도출구 9…도입관
9a…도입구 9d…도전재
10…반송물 분리기구 100…반송장치

Claims (14)

  1. 반송물의 도입구 및 도출구를 구비한 통기 관로와,
    용기 내부에서 상기 도출구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구에 대해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아래방향을 향하는 한편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반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된 상기 반송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반송물 수용기와,
    상기 통기 관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한 후에 상기 분리용 망체에 충돌시키는 기류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 망체의 내면은 상기 배출구로 향하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발생수단은, 상기 통기 관로의 중도위치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여 기류를 불어넣음으로써 상기 도출구로부터 상기 반송물의 방출력을 얻는 동시에 상기 도입구로의 상기 반송물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류인젝터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인젝터구조의 상류 측에 상기 통기 관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입관을 더 가지고, 상기 도입관의 선단에 상기 도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는 상기 반송물의 반송면과 비접촉 상태에서 반송로 위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관로의 최소한 일부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관재(菅材)로 구성되고, 이 관재의 외면에는 전기적으로 접지된 도전재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상기 관재의 외면 위에서 관로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수용기의 상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상부 망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11. 반송물이 반송되는 반송로를 구비한 반송체와,
    상기 반송로의 제1의 반송 위치를 향해 개구하는 도입구 및 도출구를 구비한 통기 관로와,
    용기 내부에서 상기 도출구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도출구에 대해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고,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아래방향을 향하는 동시에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반송물이 배출되어 상기 제1의 반송위치보다도 하류 측의 제2의 반송위치에 개구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된 상기 반송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반송물 수용기와,
    상기 통기 관로에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하여 상기 도출구로부터 도출한 후에 상기 분리용 망체에 충돌시키는 기류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외부에 대해 통기성을 구비한 바닥부 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 망체의 내면은 상기 배출구로 향하면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안내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로의 선단에 상기 도출구가 개구된 도출관이 상기 용기 내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분리용 망체는 상기 도출관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경사진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로의 선단에 상기 도출구가 개구된 도출관이 상기 용기 내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도출관의 돌출량이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면은 상기 분리용 망체가 설치된 일측으로부터 반대측의 상기 배출구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물 분리기구.
KR1020110025627A 2010-12-24 2011-03-23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 KR101111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7224 2010-12-24
JP2010287224A JP4809496B1 (ja) 2010-12-24 2010-12-24 搬送物分離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034B1 true KR101111034B1 (ko) 2012-03-13

Family

ID=4504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627A KR101111034B1 (ko) 2010-12-24 2011-03-23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09496B1 (ko)
KR (1) KR101111034B1 (ko)
CN (1) CN102530523B (ko)
TW (1) TWI4338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5786U1 (de) * 2013-06-27 2013-07-10 Beum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Stückgutteilen
CN104261062B (zh) * 2014-09-29 2016-04-27 苏州鑫睿达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模内铆接装置的螺母输送机构
TWI574798B (zh) * 2016-04-22 2017-03-21 All Ring Tech Co Ltd The material box and the material for the storage of the material collection device
JP2020015577A (ja) * 2018-07-24 2020-01-3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供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4225U (ko) * 1990-11-29 1992-07-22
JP2000335735A (ja) * 1999-05-28 2000-12-05 Nittoku Eng Co Ltd 部品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312B1 (ko) * 1971-02-27 1975-11-14
JPS6293119A (ja) * 1985-10-16 1987-04-28 Nippon Denso Co Ltd ばね分離装置
US5150499A (en) * 1990-11-16 1992-09-29 Shop Vac Corporation Static electric discharge for dust collector
JP4024809B2 (ja) * 2005-09-27 2007-12-19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パーツフィー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4225U (ko) * 1990-11-29 1992-07-22
JP2000335735A (ja) * 1999-05-28 2000-12-05 Nittoku Eng Co Ltd 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1634A (ja) 2012-07-12
CN102530523A (zh) 2012-07-04
JP4809496B1 (ja) 2011-11-09
TWI433807B (zh) 2014-04-11
TW201226294A (en) 2012-07-01
CN102530523B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034B1 (ko) 반송물 분리기구 및 이것을 구비한 반송장치
KR101196502B1 (ko) 피가공물 공급장치
US8876439B2 (en) Particulat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48243B1 (ko) 분사재 회수 장치, 분사재 회수 장치를 구비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 방법
US8016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emissions from an air classification device
US8813966B2 (en) Pneumatic vacuum separation plant for bulk materials
JP4868987B2 (ja) 容器蓋の異物除去装置
US10610817B2 (en) Cleanroom workstation particle capture system
JP5594059B2 (ja) キャップ供給装置
CN107032090B (zh) 块状物分离和输送装置
JP6097159B2 (ja) パーツフィーダー用除電器
CN211712092U (zh) 一种薄片料仓及薄片上料装置
CN220683737U (zh) 医用物料输送装置
JP4300974B2 (ja) 停弾装置用の分別回収装置
CN1152288A (zh) 气流输送方法和系统
JP5664502B2 (ja) コイル状部材の分離装置
JP7100405B1 (ja) 粉体供給装置
JP2015074536A (ja) 穀物吸引搬送装置
JP3929284B2 (ja) 部品整列供給装置
CN115582220A (zh) 泡沫塑料颗粒静电分离装置及垃圾处理设备
JP2017214203A (ja) 枚葉紙持ち上げ装置
CN111646122A (zh) 气流送料装置以及弹簧送料设备
JP5783583B1 (ja) フロス分離器及びフロス分離システム
US20050241476A1 (en) Contaminant removal device
JP2015202450A (ja) 乾式クリーニング筐体及び乾式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