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476B1 -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 - Google Patents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476B1
KR101106476B1 KR1020090048398A KR20090048398A KR101106476B1 KR 101106476 B1 KR101106476 B1 KR 101106476B1 KR 1020090048398 A KR1020090048398 A KR 1020090048398A KR 20090048398 A KR20090048398 A KR 20090048398A KR 101106476 B1 KR101106476 B1 KR 10110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ust
knitting
ov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068A (ko
Inventor
우베 스팅겔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12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물 시스템(6)이 제안되며, 이 편물 시스템(6)은 로커 안내부(23)가 편물 바늘(4)의 종방향 위치의 작용으로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를 이동시키게 한다. 결과적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피봇 운동은 편물 바늘(4)의 전후의 선형 운동을 추종하도록 강제실행된다. 단일 박스 캠은 상기 편물 시스템(6)을 제어하기에 충분하다. 임의의 경우에, 단지 박스 캠들을 편물 바늘(4)에 할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전용 구동부 및 박스 캠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편물 바늘, 편물 시스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디바이스, 편물기

Description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Needle-driven knock-over sinker}
본 발명은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holding-down and knock-over sinker),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포함하는 편물 시스템 및 편물 시스템을 포함하는 편물 기계에 관한 것이다.
편물 시스템은 종종 편물 공정에 관여되는 싱커 뿐 아니라, 예를 들어 래치 바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편물 바늘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스티치 형성(stitch formation) 동안 편물형 직물을 제자리에 유지하거나 또는 특정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바늘 및 싱커는 싱커 뿐 아니라 바늘이 이동하는 도중에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독일 특허 제 31 08 041C2호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및 편물 바늘을 포함하는 편물 시스템을 갖는 원형 편물기를 공개하고 있다. 편물 시스템은 편물 실린더로서 설계된 침상(needle bed)에 배열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뿐 아니라 편물 바늘은 운동에 영향을 받는다. 이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편물 바늘 과 홀딩-다운 싱커는 자체 박스 채널과 교통하는 발형상체(foot)를 각각 가진다. 결과적으로, 편물 바늘 뿐 아니라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주로 전후로 즉,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그 싱커 채널의 경사면 상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결과로 종방향 운동은 상하 지향된 횡방향 운동으로 부분적으로 변환된다.
싱커 및 바늘 사이의 원하는 상대 운동은 침상의 형상에 의해서, 특히 그에 제공된 경사면에 의해서 제한된다. 또한, 하나는 편물 바늘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대한 것인 적어도 두개의 박스 캠들을 갖는 캠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형태들중 적어도 하나의 관점에서 개선된 편물 시스템 및 관련 요소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의해서 달성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와 연관된 장점들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사용하고 편물기의 편물 시스템을 사용할 때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편물 바늘 및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사이에 구동 연결부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 디바이스는 홀딩-다운 싱커의 운동 및 편물 바늘의 운동 사이의 힘 및 동작 전달을 실행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운동을 편물 바늘의 운동과 결합하고 그에 따라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대한 구동부로서 편물 바늘을 사용한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편물 바늘 및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사이의 구동 연결을 이루는 디바이스는 전동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요소들 또는 그 섹션들 및 편물 바늘의 부분들 또는 섹션들은 서로 직접 접촉하는 전동 소자로서 작용하거나 또는 추가 소자들의 개재로 인하여 서로 접촉해서 동작을 전달한다.
이러한 조치의 결과로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대한 개별 구동부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갖춘 편물 시스템은 편물 바늘과 상호작용하는 단지 하나의 외부 구동부를 필요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편물 바늘과 연계된 편물 캠 조립체의 캠 경로일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운동은 편물 바늘의 운동으로부터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으로 인하여, 편물기의 편물 캠 조립체의 설계를 실질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운동은 싱커 채널의 바닥의 설계와 무관하다. 편물 바늘의 곡률 운동의 경로에 대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곡률 운동의 경로 변화는 바늘 및 싱커 베드(sinker bed)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들 및/또는 편물 바늘 또는 박스카(boxcar)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양호하게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예를 들어,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가 바늘의 출력 운동 또는 종방향 운동에 대한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운동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침상 위에 지지된다. 바늘 및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사이의 결과적인 상대 운동은 바늘에 대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횡방향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횡방향 운동은 선형 운동일 수 있지만, 가장 단순한 경우에, 상기 운동은 피봇 운동의 요소이므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안내 및 지지를 실질적으로 단순화한다. 결과적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양호하게는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피봇 지지부는 예를 들어, 편물 바늘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축을 형성하는 피봇 베어링에 의해서 실행된다. 양호하게는, 피봇축은 편물 바늘의 평탄측 뿐 아니라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평탄측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정렬된다.
양호하게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굴곡형 녹-오버 에지를 가진다. 후자는 편물 바늘에 의해서 픽업된 절단-스티치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곡률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 프로파일은 단면이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피봇축에 대하여 일정한 반경 및 그에 따른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편물 바늘의 운동을 향하여 지향된 추가 동작 요소(반대 운동)를 편물형 직물에 부여하기 위하여 가변 곡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대향 또는 반대 운동의 결과로 인하여, 편물기 및 편물 시스템에 훨씬 멀리 도달하는 영향을 가지는 바늘 스트로크는 생략될 수 있다. 바늘 운동을 생략하면, 설계의 단순성을 위하여 그리고 편물기의 크기 감소를 위하여, 또한 편물 속도의 증가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편물형 직물 및/또는 절반-스티치를 위한 홀딩-다운 공간을 형성하는 슬릿형 리세스를 가진다. 상기 홀딩-다운 공간은 녹-오버 에지의 섹션 및 홀딩-다운 에지 사이에 형성된다. 슬릿 위에서, 싱커는 빌(bill)을 가진다. 빌의 형상은 절반-스티치들이 상기 절반-스티치들이 잠재적으로 상기 녹-오버 공간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이 없이, 바늘 샤프트에 의해서 안전하게 꿰메지는 방식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회전 운동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빌은 홀딩-다운 에지의 전방 영역의 모따기형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입구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바늘 샤프트에 위치한 절반-스티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의 해서 안전하게 고정되고 홀딩-다운 공간에 의해서 수용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및 바늘 사이의 동력 전달 디바이스는 편물 바늘에 연결된 안내 소자를 포함하고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캠을 포함하는 캠 안내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편물 바늘이 이동할 때, 상기 소자는 안내 캠을 따라 이동하고, 이렇게 할 때,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피봇 위치를 조정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안내 캠 및 안내 소자가 서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적당한 편향 수단에 의해서 피봇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안내 캠은 그러나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종방향 슬릿형 리세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로커 안내부의 일부이다. 상기 슬릿형 리세스는 양호하게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피봇축에 대해서 그 길이를 따라 다른 반경을 가지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로커 안내부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제공된 굴곡형 슬릿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때, 편물 바늘은 편물 바늘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핀과 같은 안내 소자로서 특징되고, 상기 핀은 상기 로커(rocker)와 결합된다. 편물 바늘의 전방향 또는 역방향 운동은 그에 따라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전후 피봇을 실행한다. 편물 바늘의 핀은 그때 로커의 플랭크와 직접 결합하는 슬라이드 블록일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예를 들어 핀 상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형 슈즈 등과 같은 충격 감소 또는 마모 최소화 중간 소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및 적어도 하나의 편물 바늘을 포 함하는 편물 시스템은 바늘 및 싱커 베드의 공통 채널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및 편물 바늘은 평탄측을 향하여 평탄해질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대한 피봇 베어링은 바늘 및 싱커 베드의 스트립 벽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피봇 운동을 고려하여 가장 큰 가능한 유극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늘 및 싱커 슬릿들은 천공 바닥을 갖는 싱커-측단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양호한 실시예를 고려할 때,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녹-오버 에지를 따라 그 몸체가 감소된 두께를 나타내는 섹션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작동하는 동안 바늘과 접촉하는 평탄측은 계단을 구비한다. 편물 바늘과 대면하고 녹-오버 에지에 인접하는 측면의 섹션은 더이상 편물 바늘의 측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오히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는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가 충분히 크면, 이것은 편물 시스템의 상당한 대칭을 유도한다. 두개의 인접한 편물 시스템 및 그 편물 바늘들을 볼 때, 편물 바늘들 사이에 위치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녹-오버 에지는 편물 바늘들 사이에 중심설정 또는 대체로 중심설정된다.
따라서, 편물기의 레그들의 가변 인장 응력과 잡다한 단점의 영향을 피할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상의 계단 형태의 일측 오프셋 대신에,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에 적당한 오프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두께는 그때 균일해진다. 그러나, 녹-오버 에지의 영역에서 두께 감소량을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측방향 오프셋과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의 추가 상세한 구성은 종속항, 설명 및/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핵심 형태 및 잡다한 상황에 한정된다. 도면은 추가 상세 구성을 공개하고 보충적인 것으로 고려된다.
도 1은 편물기(1)의 상세 구성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상세 구성은 예를 들어, 편물 실린더, 원형 편물기, 리브 다이얼(rib dial) 등을 포함하는 바늘 및 싱커 베드(2)를 포함한다. 바늘 및 싱커 베드(2)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뿐 아니라 편물 바늘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 배치된 복수의 채널들(3)을 구비한다. 도 1은 함께 편물 시스템(6)을 형성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뿐 아니라 편물 바늘(4)을 도시한다. 이 편물 시스템(6)은 도 1의 화살표(7)로 상징적으로 도시된 편물 바늘(4)의 종방향 운동에 의해서 구동된다. 편물 바늘(4)에 목표 전후 운동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바늘은 소위 박스 캠과 접촉하는 발형상체(8)를 구비한다. 바늘 및 싱커 베드(2) 및 박스 캠(9) 사이의 상대 운동은 박스 캠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발형상체가 화살표(7) 방향으로 박스 캠(9)의 경사도에 따라서 전후로 변위되게 하고, 그에 따라서 편물 바늘(4)이 구동되게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편물 바늘(4)의 더욱 상세하고 양호한 이해를 제공한다. 편물 바늘은 일단부에 후크(11)를 갖는 생크(shank;10)를 구비한다. 니들 브레스 트(needle breast;12)는 후크(11) 부근에서 상승하고, 상기 니들 브레스트는 내부에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래치(14) 및 래치 슬릿(13)을 구비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편물 바늘에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피봇축(16)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지지 디바이스(15) 상에서 지지되는 시트 금속의 평탄한 요소, 양호하게는 거의 평면형 요소이다. 여러 편물 시스템(6)의 지지 디바이스(15)는 채널들(3)을 한정하는 스트립 벽들의 리세스 또는 보어에 착석되는 예를 들어 핀으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는, 개별적인 지지 디바이스(15)의 피봇축(16)은 [편물 실린더 또는 리브 다이얼들과 같은 둥근 침상을 고려하여] 거의 최소 각도 편차를 가지고 서로 대응한다. 편물 바늘(4)은 화살표(7)의 방향으로 선형 운동을 실행할 수 있지만,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화살표(17)의 방향으로 피봇 운동을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8)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동 기구로서 도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에 제공된 슬릿(21)의 플랭크(flank)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적어도 양호하게는, 두개의 캠 경로(19,20)들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캠 경로(19,20) 즉, 슬릿 플랭크들은 슬릿(21)의 잠재적인 곡률과는 무관하게 회전축(16) 주위에서 각각에 대해서 정렬된다. 즉, 슬릿 폭은 양호하게는, 슬릿의 각 지점에서 동일 크기를 가진다.
편물 바늘(4)은 예를 들어, 편물 바늘(4)에 부착되거나 또는 몰딩된 핀(22)으로 구성된 측방향 돌출부를 가진다. 핀(22)은 슬릿(21)을 통해서 연장되거나 또 는 적어도 상기 슬릿 안으로 연장된다. 핀의 직경 크기는 캠 경로(19,20)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다. 이 과정에서, 핀(22), 캠 경로(19,20) 및 슬릿(21)은 편물 바늘(4)의 선형 운동을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피봇 운동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배치된 로커 안내부(23)를 각각 형성한다. 이것은 피봇축(16)으로부터의 캠 경로(19)의 거리가 캠 경로(19)의 길이에 대해서 변화될 때 달성된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피봇축(16) 주위에서 굴곡되는 쿨리어링 에지(couliering edge;24) 또는 녹-오버 에지를 가진다. 쿨리어링 에지(24)는 직선형 섹션 및 굴곡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는, 쿨리어링 에지는 둥근 원호의 윤곽을 가지며, 피봇축(16)은 상기 쿨리어링 에지 중심이다. 상기 쿨리어링 에지(24)는 스티치 형성을 위해서 녹-오버 에지를 제공한다. 또한, 수용 공간(25)이 상기 쿨리어링 에지(24)에 제공되며, 상기 공간은 홀딩-다운 공간으로 지칭된다. 수용 공간(25)은 일측에서는 녹-오버 에지(24)에 의해서 한정되고, 타측에서는 다운홀더 에지(downholder edge;26)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다운홀더 에지는 상기 에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쿨리어링 에지(24)와 대면하는 빌의 측부로 연장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녹-오버 에지(24)는 둥근 원호로 구성되고, 일정한 곡률을 나타낸다. 다른 방안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리어링 에지(24)는 교번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티치 형성은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가 피봇될 때, 고정식 기준점 및 쿨리어링 에지(24) 사이에서, 대향 운동으로도 지칭되는 상대 운동이 발생하므로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상대 운 동은 필수적으로 바늘 운동과 대향으로 발생하며, 이 결과로 바늘 스트로크가 생략될 수 있다.
빌의 형상은 절반-스티치들이 꿰메(spear)지지 않고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고정식으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회전 운동에 적응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싱커의 빌은 다운홀더 에지(26)의 넓은 전방 영역(27)에서 경사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입구 섹션을 이용하여, 바늘 생크 상에 위치한 절반-스티치는 싱커에 의해서 안전하게 고정되어서 수용 공간(25) 안으로 안내된다. 경사진 섹션(27)은 일측 상의 수용 공간(25)의 깔때기형 팽창부를 형성한다.
도면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특히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쿨리어링 에지(24)에 인접한 영역에서 감소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평탄한, 양호하게는, 평면형 옆면(29)이 편물 바늘(4)의 필수적으로 평면형 옆면(30)과 접촉하는 동안(도 4 참조), 편물 바늘(4)과 대면하는 영역(28)의 옆면(31)은 옆면(30)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한다. 옆면(29,31)은 계단(32)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추가로 또는 다른 방안으로, 영역(28)은 오프셋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조치의 목적은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가 편물 바늘들(4) 사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대략 인접 편물 바늘(4) 사이의 중심에 쿨리어링 에지(24)를 배치하는 것이다. 명백한 바와 같이,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및 편물 바늘(4)을 포함하는 편물 시스템(6)은 스트립 벽(33,34)에 의해서 한정되는 채널(3)에 배열된다. 스트립 벽(33,34)에 의해서 한정되는 채널(3)의 바닥은 싱커가 아래 방향으로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에서 천공될 수(또는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도 1에 표시된다. 이 과정에서, 피봇 싱커에 대한 설치 공간은 채널들(3)이 싱커의 피봇 영역에서, 즉 채널 바닥이 함께 생략되는 편물 실린더의 상부 영역에서 충분히 분할될 때, 생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편물 실린더의 분할을 허용하지만,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편물 바늘(4)이 지지되어서 스티치 형성 영역 직전까지 안내되도록, 피봇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를 수용하는 바늘 채널의 영역만을 충분히 분할할 수도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스트립 벽(33,34)의 대응 리세스에서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향 돌출부(3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35)는 지지 디바이스(15)를 수용한다. 지지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편물 실린더의 외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에 연결된 핀(36)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핀은 지지 디바이스를 나타낸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리셉터클의 핀(36)은 나선형 스프링, 고정 클립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돌출부(35)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핀(36)을 위한 밀폐된 수용 보어를 가질 수 있으며 임의의 측방향 탄력성을 나타낼 수 있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가 설치될 때, 돌출부(35)는 핀(36)이 적당한 개방부에 위치하도록 약간 탄성 방식으로 측부로 굽혀진다.
도 5 내지 도 10에 따른, 편물 시스템(6)은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도 5는 편물 바늘이 채널(3)로부터 완전하게 구동되는 출발 위치를 도시한다. 그 래치(14) 뒤에 위치한 절반-스티치(37)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의 수용 공간(25)에서 유지된다.
도 6은 편물 바늘(4)의 귀환 스트로크의 출발 시에 추가 나선부(38)의 삽입을 도시한다. 도 5의 위치에 있는 로커 안내부(23)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반시계 방향의 최대 위치로 변위시키는 반면, 도 6에 따른 편물 바늘(4)의 출발 귀환 위치는 수용 공간(25)이 확대되고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빌이 그 전방에 있으므로 생크(10)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연속된 운동을 도시한다. 편물 바늘(4)의 귀환 스트로크는 다운홀더 에지(26)가 절반-스티치(37)를 푸는(release) 방식으로 로커 안내부(23)를 통해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로 전달되었다. 래치(14)는 폐쇄 운동을 시작하고,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그 피봇 운동을 지속한다. 바늘 생크(10) 상에 위치한 절반-스티치(37)는 후크(11)의 방향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쿨리어링 에지(24) 상에 슬라이드 위치하고, 이 과정에서 래치를 더욱 폐쇄하므로, 결국 도 8에 따른 위치에 도달한다.
도 8에 따라서, 편물 바늘(4)은 지속적으로 후퇴 운동함으로써, 이전의 절반-스티치(37)는 상기 절반-스티치가 스티치로서 최종적으로 폐기될 때까지 폐쇄 래치(14)의 후방에 걸쳐 슬라이드된다. 신규의 절반-스티치(39)는 편물 바늘(4)의 후크(11)에 동봉된다(도 9).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편물형 직물을 완전히 풀어낸다. 이는 후크(11)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도 9는 쿨리어링 공정을 도시한다. 편물 바늘은 최하위 위치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절반-스티치(39) 및 그후의 스티치의 길이는 각각 제한된다. 이는 쿨리어링 에지(24)에 대한 후크(11)의 내부 곡선 거리로부터 발생된다. 도시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벌지형 윤곽으로 인해서, 쿨리어링 에지(24)는 후크(11)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므로, 원하는 스티치 길이는 비교적 짧은 바늘 스트로크에 의해서 생성된다. 상기 바늘 스트로크는 바늘의 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쿨리어링 에지를 사용하여 해결하는 경우보다 짧아질 수 있다. 쿨리어링 에지(24)의 벌지형 윤곽없이, 바늘(4)은 동일한 스티치 길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채널(3) 안으로 더욱 후퇴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큰 박스 캠들이 필요하게 되고, 이것은 교대로 바늘 실린더 상의 시스템들(편물 시스템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도 10은 걸림 위치를 도시한다. 이 과정에서, 편물 바늘(4)은 절반-스티치(37)가 래치(14)를 개방하고 래치(14)에 대해서 슬라이드될 때까지 채널(3)로부터 다시 이동한다. 편물 바늘(4)의 운동으로 인하여,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15)는 홀딩-다운 위치를 다시 취한다. 즉, 화살표(17)의 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길어지기 전에, 도 5에 따른 출발 위치에 다시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 시스템(6)이 제안되며, 이 시스템은 편물 바늘(4)의 종방향 위치의 작용으로서 로커 안내부(23)가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를 이동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피봇 운동은 편물 바 늘(4)의 전후 선형 운동을 추종하도록 강제실행된다. 단일 박스 캠은 편물 시스템(6)을 제어하기에 충분하다. 결국, 박스 캠들을 편물 바늘(4)에 할당하는 것만 필요하다.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는 전용 구동부 및 박스 캠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물 시스템에 속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를 포함하는 편물기의 섹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 1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편물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다른 위치에 있는 도 2에 따른 편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따른 편물기의 침상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스티치 형성 공정의 여러 스테이지들의 본 발명의 편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편물 바늘(4) 및 편물 바늘(4)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물 시스템(6)을 위한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로서,
    편물 바늘(4) 및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사이에 구동 연결부를 생성하는 디바이스(18)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된 동력이 편물 바늘(4)을 통하여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에 전달되도록, 상기 디바이스(18)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운동을 편물 바늘(4)의 운동과 결합시키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상(2) 위에서 피봇가능한 지지를 위한 지지 디바이스(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3. 제 1 항에 있어서,
    녹-오버 에지(24)를 구비하는 평탄한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오버 에지(24)는 상기 편물 바늘(4)에 의해서 취해지는 절반-스티치(37,39)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굴곡형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5. 제 1 항에 있어서,
    동봉 공간(25)을 형성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8)는 상기 편물 바늘(4)에 연결된 안내 소자(22) 및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상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굴곡부(19,20)를 포함하는 캠 안내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안내부는 로커 안내부(rocker guide;23)의 일부이고, 상기 안내 소자(22)는 슬라이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오버 에지(24)에 인접하는, 상기 싱커는 그 몸체의 두께가 감소한 것으로 표시되는 섹션(2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
  9. 제 1 항에 따른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및 편물 바늘(4)을 포함하는 편물 시스템으로서,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및 상기 편물 바늘(4)은 평탄한 측방향 표면(29,30)을 따라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시스템.
  10. 제 9 항에 따른 편물 시스템을 갖는 편물기로서,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및 상기 편물 바늘(4)은 침상(2)의 공통 바늘 채널(3)에 배열되고,
    상기 편물기(1)는 상기 편물 바늘(4)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박스 캠(9)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의 운동은 편물 바늘(4) 및 홀딩-다운 및 녹-오버 싱커(5) 사이의 구동 커플링으로 인하여, 독점적으로 편물 바늘(4)의 운동의 작용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KR1020090048398A 2008-06-04 2009-06-02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 KR101106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7584A EP2130960B1 (de) 2008-06-04 2008-06-04 Stricksystem mit einer nadelgetriebenen Abschlagplatine
EP08157584.7 200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068A KR20090127068A (ko) 2009-12-09
KR101106476B1 true KR101106476B1 (ko) 2012-01-20

Family

ID=3965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398A KR101106476B1 (ko) 2008-06-04 2009-06-02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63127B2 (ko)
EP (1) EP2130960B1 (ko)
JP (1) JP5091194B2 (ko)
KR (1) KR101106476B1 (ko)
CN (1) CN101597836B (ko)
DE (1) DE502008001941D1 (ko)
TW (1) TWI4159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9625B2 (ja) 2010-09-30 2016-03-08 岡本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シンカー、編機、及び編機制御装置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DE102014118217B4 (de) * 2014-12-09 2020-12-31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undstrickmaschine
CN112760790B (zh) * 2020-12-30 2022-02-15 连云港元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脱圈成圈工艺
CN112760797A (zh) * 2020-12-30 2021-05-07 连云港元丰机械制造有限公司 新型高密针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7319A (fr) * 1957-11-11 1960-02-16 Métier à tricoter à main
EP0857802A2 (de) 1997-02-07 1998-08-12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JP2005113367A (ja) 2003-10-07 2005-04-28 H Stoll Gmbh & Co 少なくとも1つの針床を持つ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9708A (en) * 1920-05-11 Ments
DE1087743B (de) 1956-03-26 1960-08-25 Franz Eberl Handstrickgeraet
DE1965385A1 (de) * 1969-12-30 1971-07-15 Harry Appric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aschenware
DE2545212A1 (de) * 1975-10-09 1977-04-21 Krenzler Fa Emil Verfahren und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DE3108041C2 (de) 1981-03-03 1985-01-31 Alfred 7031 Bondorf Buck Strickmaschine
DE3321385A1 (de) * 1983-06-14 1984-12-20 Terrot Strickmaschinen GmbH, 7000 Stuttgart Maschenbildende maschine
DE3609539A1 (de) * 1986-03-21 1987-10-01 Stoll & Co H Zweibettige flachstrickmaschine mit zwischen den nadeln angeordneten platinen
DE3917934A1 (de) 1988-06-13 1989-12-14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DE3935763A1 (de) * 1989-10-27 1991-05-02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KR0123800B1 (ko) * 1989-12-28 1997-11-27 마사히로 시마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카장치
DE4102207A1 (de) * 1991-01-25 1992-07-30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DE4128016A1 (de) * 1991-08-23 1993-02-25 Stoll & Co H Zweibettige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n und platinen
US5355699A (en) 1992-04-16 1994-10-1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US5244141A (en) * 1992-05-15 1993-09-14 Doolittle Milton A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characteristic small thin flat metallic parts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3155434B2 (ja) * 1994-11-16 2001-04-0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JP3498280B2 (ja) * 1996-05-15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装置
JP3667485B2 (ja) * 1997-02-19 2005-07-06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給糸切換方法
JP2000336562A (ja) * 1999-05-26 2000-12-05 Tsudakoma Corp 可動シンカー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7319A (fr) * 1957-11-11 1960-02-16 Métier à tricoter à main
EP0857802A2 (de) 1997-02-07 1998-08-12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JP2005113367A (ja) 2003-10-07 2005-04-28 H Stoll Gmbh & Co 少なくとも1つの針床を持つ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7836A (zh) 2009-12-09
US7963127B2 (en) 2011-06-21
US20090301138A1 (en) 2009-12-10
EP2130960B1 (de) 2010-12-01
EP2130960A1 (de) 2009-12-09
JP5091194B2 (ja) 2012-12-05
CN101597836B (zh) 2012-07-04
TW201016915A (en) 2010-05-01
KR20090127068A (ko) 2009-12-09
TWI415983B (zh) 2013-11-21
JP2009293180A (ja) 2009-12-17
DE502008001941D1 (de)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476B1 (ko) 바늘 구동형 녹-오버 싱커
CN100554554C (zh) 具有可动导纱部件的横机
KR102607933B1 (ko)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JP3232075B2 (ja) 複合針
EP0124156B1 (en) Composite dial needle for a sing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ribbed knitting
CN101858010B (zh) 筒状针织物编织用横机
US6895784B2 (en) Device for machine knitting
GB2070075A (en) Knitting Machine Needle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EP2471984A1 (en) Flat knitting machine
US4574596A (en) Stitch-forming machine
KR100779874B1 (ko) 기계적 루프의 형성을 위한 편물기 또는 경편기용 루프 형성 장치
KR100573873B1 (ko)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CN108138400B (zh) 成圈方法和装置
EP0603006B1 (en) A transferring jack of a flat knitting machine
JP4128328B2 (ja) たて編み機
KR19980087080A (ko) 편물 기계용 슬라이드형 바늘
US7251960B1 (en) Crochet galloon machine
KR101003082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용 가이드캠
KR101003081B1 (ko) 파일편성용 싱커 구동장치
JP6557430B1 (ja) 歯口隙間の大きさが変更可能な横編機構造
CN211057361U (zh) 一种双针筒织机成圈机构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2432612B1 (ko) 환편기의 실린더 캠 구조
EP4332286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pile kni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