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713B1 -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713B1
KR101105713B1 KR1020117006088A KR20117006088A KR101105713B1 KR 101105713 B1 KR101105713 B1 KR 101105713B1 KR 1020117006088 A KR1020117006088 A KR 1020117006088A KR 20117006088 A KR20117006088 A KR 20117006088A KR 101105713 B1 KR101105713 B1 KR 10110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ing
powdered medicine
plate
piece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397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하지메 카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3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포량의 편차를 방지한다.
분배접시(5)의 상면에 형성된 환형상 홈(4)에 가루약을 수용하고, 환형상 홈(4)을 따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가루약을 긁어모으는 동시에,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일체화된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에 의해 가루약을 1포 분량만큼 긁어낸다.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스크레이핑면(12a)과는 반대측의 비스크레이핑면(12b)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를 설치하고, 스크레이핑시에 비스크레이핑면(12b)에 부착되는 가루약을 환형상 홈(4)으로 낙하시킨다.

Description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POWDER MEDICINE SCRAPING DEVICE AND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배접시의 환형상 홈 내에 공급된 가루약을 일정량씩 긁어내기 위한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상기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를 구비한 약제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로서, 분배접시의 상면 외주부에 형성한 환형상 홈에 가루약을 수용하고, 상기 환형상 홈을 따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로 긁어모으는 동시에,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에 일체화된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1포 분량만큼 긁어내도록 한 것이 공지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3-237715호
상기 종래의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에서는, 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된 가루약은 청소가 가능하며, 미리 청소에 의해 제거되는 분량을 고려하여 분배접시에 대한 가루약의 공급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1포 분량을 원하는 분포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분배접시로부터 최초의 1포 분량을 긁어낼 때, 스크레이핑면과는 반대측의 면(비(非)스크레이핑면)에 가루약이 부착되어, 함께 긁어내어지는 점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었다. 또한,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되는 분량, 최종 포(包)의 분포량이 적어지는 점에 대해서도 고려되지 않았었다. 이 경우, 비스크레이핑면에 가루약이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분배접시의 이송량을 조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가루약의 종류에 따라 부착 상황이 다르므로, 모든 가루약에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에 의한 스크레이핑 아웃 폭치수보다도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에 의한 스크레이핑 폭치수가 작을 경우, 가루약을 긁어내기 전에, 일단, 분배접시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종 포의 약을 비스크레이핑면으로 긁어모을 필요가 있으므로, 비스크레이핑면에 대한 가루약의 부착량이 증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포량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배접시의 상면에 형성된 환형상 홈에 가루약을 수용하고, 환형상 홈을 따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scraping plate)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가루약을 긁어모으는 동시에,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scraping-out plate)를 회전시킴으로써 긁어모은 가루약을 1포 분량만큼 긁어내도록 한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로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스크레이핑면과는 반대측의 비(非)스크레이핑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scraping-down member)를 설치하고, 스크레이핑시에 상기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되는 가루약을 환형상 홈으로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1포째의 가루약을 긁어낼 때,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에 의해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된 가루약을 환형상 홈으로 긁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1포째와 최종 포에서 가루약의 분포량이 다른 경우가 없어지고, 또한, 이들의 분포량을 다른 분포량과 합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는, 일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아암부재의 타단측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상기 아암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와, 그 주변부분이 오염되거나, 가루약이 부착되거나 하면, 아암부재로부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분리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가 있다. 또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가 손상되거나 열화(劣化)되면,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가 탈부착 가능한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는,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에 계탈(係脫)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유지부에 유지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에 일체화되는 스크레이핑 다운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위치결정하였을 때, 스크레이핑 다운편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scraping-down edge)가,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비스크레이핑면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유지부에 유지시켜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위치결정하면,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비스크레이핑면에 확실히 슬라이딩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면,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된 가루약을 확실히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편은 금속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편은,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가 형성되는 탄성편과, 탄성편에 일체화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금속편을 가이드편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편은 유지부에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 만으로 좋고, 또한, 금속편은 가이드편과 탄성편에 일체화하는 것 만으로 좋으므로, 유지부에 대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의 탈부착성, 및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비스크레이핑면에 대한 탄성편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의 위치결정 정밀도와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암부재의 유지부는, 하면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된 볼을 몰입(沒入)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유지편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의 가이드편은, 상기 볼이 계탈하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적절히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에 의한 가루약의 스크레이핑 아웃 방향이 분배접시의 내주측인 경우에는 내주가장자리에, 외주측인 경우에는 외주가장자리에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포장장치를, 상기 어느 구성의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설치한 것 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된 가루약을 환형상 홈으로 긁어내어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분포량을 몇 포째의 포장인지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1포째가 많아지고, 최종 포가 적어진다는 분배접시를 사용한 타입에 발생하는 특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루약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가루약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루약공급장치 및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아암부재를 하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아암부재에서 케이싱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방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측」, 「단(端)」 및 이들의 용어를 포함하는 다른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포장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약제포장장치는, 가루약공급장치(1), 정제공급장치(2), 포장장치(3) 등을 구비한다.
가루약공급장치(1)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부에 환형상 홈(4)을 가진 도넛형상의 분배접시(5)를 구비한다. 분배접시(5)는, 서보모터(6)의 구동에 의해 원하는 피치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1회전이 5만 펄스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1 펄스 단위로 회전 및 정지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형상 홈(4)에는, 가루약 피더(7)로부터 가루약이 공급된다. 가루약 피더(7)는, 탄성지지된 트로프(8) 상에 공급호퍼(9)를 배치하고, 트로프(8)를 압전소자 등으로 진동시킴으로써, 공급호퍼(9) 내에 수용한 가루약을 분배접시(5)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분배접시(5)에 공급된 가루약은,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에 의해 1포 분량씩 긁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긁어내어진 가루약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수호퍼(11)를 통해 후술하는 포장장치(3)로 인도되어, 포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수호퍼(11)에는, 분배접시(5)로부터의 가루약 이외에, 정제공급장치(2)로부터 정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를 설치한 구성으로, 분배접시(5)의 중심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재(14)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는, 원반형상으로 외주가장자리에 고무 등의 환형상의 탄성체(15)를 가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배접시(5)를 회전시킴으로써, 한쪽의 면(스크레이핑면(12a))으로 환형상 홈(4) 내의 가루약을 둘레방향으로 긁어모은다. 탄성체(15) 및 그 근방에 부착된 가루약은, 일련의 스크레이핑 동작이 종료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재(14)를 회동시켜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크류 브러시(16)에 의해 긁어져 떨어뜨려지고, 배기덕트(17)를 통해 제거된다. 또한, 다른 쪽의 면(비스크레이핑면(12b))에 부착된 가루약은, 후술하는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에 의해 긁어져 떨어뜨려진다.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설치되어, 긁어모여진 가루약을 직경방향(도 4의 (a)는, 내주측으로 긁어내는 구성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외주측으로 긁어내는 구성을 나타낸다)으로 긁어낸다.
아암부재(1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케이싱(18) 내에, 구동풀리(19), 종동풀리(20) 및 보조풀리(21)를 설치하고, 이들의 사이에 벨트(22)를 걸친 것이다. 그리고, 구동풀리(19)를 모터(10a)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에 의해 후술하는 스크레이핑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아암부재(14)는, 분배접시(5)의 중심부에, 모터(10b)에 의해 지지축(14a)을 중심으로 하여 정역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아암부재(14)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가 분배접시(5)의 환형상 홈(4) 내에 위치하는 하방측의 스크레이핑·스크레이핑 아웃 위치와, 상방측으로 떨어진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한다. 아암부재(14)의 선단측에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선단 하방으로부터 상방 근방까지의 거의 90도의 범위에서 커버(2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23)는,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가 회전할 때에 주위에 가루약이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암부재(14)의 선단측 하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4)가 형성되며, 여기에는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가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부(2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8)의 선단 하면의 오목부(26)에,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유지편(27)을 형성한 것이다. 오목부(26)를 구성하는 바닥면에는 2부분에 관통구멍(26a)이 형성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한 프레스 피트 플런저(28)의 볼(도시생략)이 몰입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레이핑 다운편(29)과,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편(29)이 부착되는 가이드편(30)으로 이루어진다.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는, 가이드편(30)을 통해 아암부재(14)의 유지부(24)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크레이핑 다운편(29)은,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 탄성편(31)에, 금속편(32)을 일체화시킨 것이다. 탄성편(31)의 하단부에는, 분배접시(5)의 내주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된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31)의 배면(背面) 한쪽에는, 상하로, 금속편(32)을 베이킹 전에 유지하기 위한 돌조(突條; 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31)의 일방의 측가장자리(스크레이핑 다운 엣지(31a))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비스크레이핑면(12b)을 슬라이딩 접촉하고, 1회째의 스크레이핑 동작시, 비스크레이핑면(12b)에 부착된 가루약을 분배접시(5)의 환형상 홈(4)으로 긁어 떨어뜨린다.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31a)의 상부에는 절결부(31b)가 형성되어,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를 아암부재(14)의 유지부(24)에 장착할 때의 유지부(24)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금속편(32)은, 수직부(35)와 수평부(36)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편(32)의 수직부(35)는, 탄성편(31)의 배면에 형성된 돌조(34)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편(31)에는 베이킹에 의해 일체화된다. 금속편(32)의 수평부(36)는, 가이드편(30)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된다.
가이드편(30)은, 금속판을 대략 'ヘ'자형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부착부(37)와 파지부(38)를 형성한 것이다. 부착부(37)의 하면 중앙부에는 스크레이핑 다운편(29)의 금속편(32)이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된다. 또한, 부착부(37)의 양단부에는 관통구멍(37a)이 각각 뚫려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30)은 스크레이핑 다운편(29)을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아암부재(14)의 유지부(24)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유지상태에서는, 유지부(24)에 설치한 프레스 피트 플런저(28)의 볼이 관통구멍(37a)에 걸림결합된다. 또한, 탄성편(31)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31a)가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비스크레이핑면(12b)에 슬라이딩 접촉, 또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없을 정도로 가압접촉된다. 또, 파지부(38)는, 유지부(24)에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를 탈부착시킬 때에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포장장치(3)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39)에 감긴 포장지(40)를 되감고, 인쇄부(41)에서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고, 길이방향으로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히트시일부(42)에서 3부분을 열 밀봉함으로써 회수호퍼(11)로부터의 약제를 1포 분량씩 포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약제포장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분배접시(5)의 환형상 홈(4)에 가루약을 균등하게 공급한 상태에서,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를 회동시켜,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를 환형상 홈(4)에 가압접촉시킴으로써 환형상 홈(4) 내의 가루약을 분리한다.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외주가장자리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탄성체(15)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접시(5)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환형상 홈(4) 내의 가루약을 적절히 분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분배접시(5)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 후,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 및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를 1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의해 긁어모여진 가루약은,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에 의해 1포 분량만큼 분리되어, 분배접시(5)로부터 긁어내어져 포장장치(3)에서 포장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분배접시(5)를 소정 피치씩 회전시킬 때마다,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 및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를 1회전시킴으로써, 포장장치(3)에서 1포 분량씩 포장한다.
그런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스크레이핑면(12a)에 부착되어 포장되지 않았던 가루약은, 일련의 스크레이핑 동작이 종료하고,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10)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크류 브러시(16)에 의해 청소된다. 한편, 1포째의 포장시, 환형상 홈(4) 내의 가루약을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의해 칸막이하여 긁어모았을 때,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비스크레이핑면(12b)에 가루약이 부착되지만, 상기 비스크레이핑면(12b)에 부착된 가루약은, 방진방지부재의 탄성편(31)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31a)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환형상 홈(4)으로 긁어져 떨어뜨려진다. 따라서, 최종 포에서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의 비스크레이핑면(12b)에 부착된 가루약 분량만큼 분량이 적어진다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는,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의해 탄성편(31)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31a)가 마모되면, 유지부(24)로부터 분리하여 간단히 새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25)는, 아암부재(14)에 탈부착 가능하게 하였지만, 별도의 부재(예컨대, 분배접시(5)를 지지하는 부위 등)에 탈부착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탈부착 가능하지 않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13)는 스크레이핑 플레이트(12)에 일체화하도록 하였지만, 별체로서 따로 구동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1: 가루약공급장치
2: 정제공급장치
3: 포장장치
4: 환형상 홈
5: 분배접시
6: 서보모터
7: 가루약 피더
8: 트로프
9: 공급호퍼
10: 스크레이핑 아웃 부재
11: 회수호퍼
12: 스크레이핑 플레이트
12a: 스크레이핑면
12b: 비스크레이핑면
13: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
14: 아암부재
14a : 지지축
15: 탄성체
16: 스크류 브러시
17: 배기덕트
18: 케이싱
19: 구동풀리
20: 종동풀리
21: 보조풀리
22: 벨트
23: 커버
24: 유지부
25: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
26: 오목부
27: 유지편
28: 프레스 피트 플런저
29: 스크레이핑 다운편
30: 가이드편
31: 탄성편
31a: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
31b: 절결부
32: 금속편
33: 경사면
34: 돌조
35: 수직부
36: 수평부
37: 부착부
38: 파지부
39: 롤
40: 포장지
41: 인쇄부
42: 히트시일부

Claims (8)

  1. 분배접시의 상면에 형성된 환형상 홈에 가루약을 수용하고, 환형상 홈을 따라 스크레이핑 플레이트(scraping plate)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가루약을 긁어모으는 동시에,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scraping-out plate)를 회전시킴으로써 긁어모은 가루약을 1포 분량만큼 긁어내도록 한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로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스크레이핑면과는 반대측의 비(非)스크레이핑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scraping-down member)를 설치하고, 스크레이핑시에 상기 비스크레이핑면에 부착되는 가루약을 환형상 홈으로 낙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플레이트는, 일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아암부재의 타단측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상기 아암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가 탈부착 가능한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는,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에 계탈(係脫)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유지부에 유지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에 일체화되는 스크레이핑 다운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를 위치결정하였을 때, 스크레이핑 다운편의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scraping-down edge)가, 스크레이핑 플레이트의 비스크레이핑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금속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편은, 스크레이핑 다운 엣지가 형성되는 탄성편과, 탄성편에 일체화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금속편을 가이드편에 일체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의 유지부는, 하면에, 돌출방향으로 가압된 볼을 몰입(沒入)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측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는 유지편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의 가이드편은, 상기 볼이 계탈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 다운 부재는, 스크레이핑 아웃 플레이트에 의한 가루약의 스크레이핑 아웃 방향이 분배접시의 내주측일 경우에는 내주가장자리에, 외주측일 경우에는 외주가장자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
  8. 제 6항에 기재된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
KR1020117006088A 2008-09-17 2009-09-01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 KR101105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8304 2008-09-17
JP2008238304A JP4465019B2 (ja) 2008-09-17 2008-09-17 散薬掻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PCT/JP2009/004303 WO2010032388A1 (ja) 2008-09-17 2009-09-01 散薬掻出装置及び薬剤包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397A KR20110039397A (ko) 2011-04-15
KR101105713B1 true KR101105713B1 (ko) 2012-01-17

Family

ID=4203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088A KR101105713B1 (ko) 2008-09-17 2009-09-01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65019B2 (ko)
KR (1) KR101105713B1 (ko)
TW (1) TWI359013B (ko)
WO (1) WO2010032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1025B2 (ja) * 2011-11-09 2016-05-2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分包装置
CN102556375B (zh) * 2012-02-27 2013-07-10 天津华津制药有限公司 用于粉针剂分装机的刮粉器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KR102285227B1 (ko) 2013-11-22 2021-08-0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불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083A (ja) * 1992-07-23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ヘッド制御装置
JPH0640083Y2 (ja) 1990-10-19 1994-10-19 正二 湯山 散薬定量供給装置
JP2000344202A (ja) 1999-06-04 2000-12-12 Ueda Avancer Corp 分包機
JP2004305721A (ja) 2003-03-24 2004-11-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JP2005231649A (ja) 2004-02-18 2005-09-02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分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7595B2 (ja) * 2002-02-12 2006-12-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掻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083Y2 (ja) 1990-10-19 1994-10-19 正二 湯山 散薬定量供給装置
JPH0640083A (ja) * 1992-07-23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印字ヘッド制御装置
JP2000344202A (ja) 1999-06-04 2000-12-12 Ueda Avancer Corp 分包機
JP2004305721A (ja) 2003-03-24 2004-11-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JP2005231649A (ja) 2004-02-18 2005-09-02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分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9013B (en) 2012-03-01
KR20110039397A (ko) 2011-04-15
WO2010032388A1 (ja) 2010-03-25
TW201012465A (en) 2010-04-01
JP2010070204A (ja) 2010-04-02
JP4465019B2 (ja)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713B1 (ko) 가루약 스크레이핑 장치 및 약제포장장치
JP6027691B2 (ja)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JP4273350B2 (ja) カプセル充填装置および方法
CN111491760B (zh) 用于交换抛光盘的装置
KR20180025850A (ko)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
JP6435156B2 (ja) 錠剤包装装置
KR101792195B1 (ko) 연질캡슐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캡슐 인쇄장치
JP2018114281A (ja) 薬剤払出し装置、散薬秤量装置及び薬剤分包システム
KR101489454B1 (ko) 드럼 충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0277B1 (ko) 약제포장장치
JP2009262944A (ja) 分包方法および分包装置
JP2008044660A (ja) 間欠移送式包装機
KR20060042258A (ko) 약제 포장 장치
KR20110132741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인쇄 장치 및 상기 인쇄 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2016043930A (ja) 散薬掻出機構および散薬分包機
JP5165620B2 (ja) クリーナー装置、散薬分包機
CN113547307A (zh) 牙箱组装机及其操作方法
JP2000344202A (ja) 分包機
JP5251579B2 (ja) ペースト状物質を有底孔に充填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936730B (zh) 墨水供给部、印刷装置、片剂印刷装置及墨袋
JP4258928B2 (ja) 充填機の充填重量検査装置
DE602005009725D1 (de) Gerät zum befördern stäbchenähnlicher artikel
JP7384383B2 (ja) 薬剤排出装置及び容器
JP2006044734A (ja) 薬剤分包装置用の散薬接触部材、及び薬剤分包装置、及び散薬接触面の表面処理方法
JP6570699B2 (ja) 錠剤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