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476B1 -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476B1
KR101103476B1 KR1020077002321A KR20077002321A KR101103476B1 KR 101103476 B1 KR101103476 B1 KR 101103476B1 KR 1020077002321 A KR1020077002321 A KR 1020077002321A KR 20077002321 A KR20077002321 A KR 20077002321A KR 101103476 B1 KR101103476 B1 KR 10110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upling part
coupling
suppo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421A (ko
Inventor
베른트 라이펜베르크
라이문트 휘브너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3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2Knobs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20)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핸들의 한 단부는 베어링 연장부(21)에 의해서 도어 외측(34)으로부터, 도어 내부(33)에 고정된 지지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로크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전기 제어부가 이용되며, 상기 2개의 전기 제어부 중에서 하나의 제어부(42)는 핸들(20)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나머지 제어부(41)는 차량 내부에 있다. 상기 제어부의 2개의 부분(41, 42) 사이에서는 2개의 라인 섹션(61, 62)을 갖는 전기 라인이 진행하고, 상기 라인 섹션들은 하나의 전기 커플링부(51) 및 대응 커플링부(5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커플링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핸들(20)의 베어링 연장부(21)에 전기 커플링부(52)를 위한 수용부(28)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라인 섹션(61)에 있는 대응 커플링부(51)는 도어 외부 케이싱(30)의 개구(31)로부터 돌출하고, 아직까지 장착되지 않은 핸들(20)의 커플링부(52) 내부에 커플링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핸들 조립시에는 핸들(20), 커플링부(52) 및 대응 커플링부(51)로 이루어진 공통의 구성 유닛이 존재한다. 조립 후에 핸들(20)이 규정된 바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들의 선회축이 동시에 상기 커플링된 커플링부(52) 및 대응 커플링부(51)를 위한 회전축으로서 이용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EVICE FOR ACTUATING A LOCK INTEGRATED IN A DOOR, HATCH, OR SIMILAR, ESPECIALLY IN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외측에 배치된 핸들은 자신의 양 핸들 단부에 상이한 과제들을 위한 연장부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연장부는 로크와 상호 작용하는 한편, 다른 연장부는 베어링 지점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베어링 연장부"로 표기된다. 도어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 연장부를 위한 대응 베어링 지점을 갖는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다. 핸들의 조립은 도어 외측으로부터 이루어진다. 핸들의 조립을 위해 도어 외부 케이싱은 2개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통해 2개의 연장부가 핸들에 의해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핸들의 조립은 설정 동작(setting movemnet)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베어링 지점은 핸들에 의해서 지지부의 대응 베어링 지점으로 삽입된다.
로크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개 부분으로 형성된 전기 제어부가 이용된다. 상기 장치의 "컴포트(comfort)-구현예"가 제시된다. 그와 반대로 이와 같은 전기 제어부가 없으면 "표준-장치"가 동작한다. 그 경우에는 유사한 기능들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발휘된다. 상기 컴포트-장치의 경우에 하나의 제어부는 핸들에 통합되어 있는 한편, 다른 나머지 제어부는 차량 내부에 있다. 상기 2개의 제어부는 하나의 전기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라인은 2개의 섹션으로 분리되며, 상기 2개의 섹션은 2개 부분으로 된 하나의 전기 커플링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라인 섹션에는 한편으로는 제어부와 맞물린 커플링부가 존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제어부와 연결된 대응 커플링부가 존재한다. 핸들의 조립시에는, 해체시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가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 해체되어야 한다. 핸들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플링부가 핸들 베어링 영역에 배치되어 핸들의 작동시 자체 선회 동작을 수행해야만 한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00 62 042 A1호에는 상기와 같은 유형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대응 커플링부가 지지부에 고유의 회전 베어링 지점을 갖는다. 따라서, 자유 단부에 대응 커플링부를 구비한 방사형 부재가 지지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102 32 583 A1호에는, 핸들의 베어링 연장부에 특별한 커플링부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핸들에 있는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해당 대응 커플링부는 임시적인 회전축 및 임시적인 축 수용부를 통해 지지부 내에 규정된 각도 위치로 장착되어 있다. 그 경우 핸들의 대응 커플링부는 상기 지지부의 커플링부에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지지부에 대하여 선회된다. 상기 선회시에는 대응 커플링 부재와 지지부 사이의 임시적인 회전 결합이 풀어진다. 선회 후에는 핸들이 지지부와 평행하게 이동함으로써, 핸들에 있는 최종적인 회전축은 지지부에 있는 최종 회전 베어링 수용부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최종 회전 베어링은 로크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의 추후의 동작에서도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특수하게 형성된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 그리고 상기 대응 커플링과 지지부 사이에 있는 임시적인 회전축 및 회전축 수용부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필요성은 제조 및 조립시에 비용을 야기하고,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핸들, 지지부,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는 특별히 전기 제어부를 구비한 상기 컴포트-장치용으로만 형성되었고, 전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전기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는 표준-핸들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커플링, 대응 커플링, 핸들 및 지지부가 단지 컴포트-장치의 전기 제어부용으로만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는 줄어들고 그에 따라 비용은 비교적 높아진다.
독일 특허 출원서 제 196 33 894 C2호에 따른 장치에서는 대응 커플링부가 지지부의 베어링 스탠드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커플링의 선회 베어링은 상호 결합된 베어링- 및 대응 베어링 지점과 함께 핸들과 지지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 특허 출원서 제 199 47 977 C1호에는 상기 장치의 추가의 한 변형예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지지부의 별도의 베어링에 있는 대응 커플링부뿐만 아니라 핸들의 베어링 연장부에 있는 커플링부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장치들에서는, 지지부에서의 대응 커플링부의 선회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에서의 전기 커플링부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추가의 부품들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은 복잡한 제조 및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한다. 상기 추가의 부품들은 값비싼 공간을 요구한다. 상기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의 결합이 핸들의 베어링 조립과 연관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 접촉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도어의 외부 케이싱 뒤에서 실행되고, 그렇기 때문에 검사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 접촉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가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고, 커플링 후에 핸들의 작동시 핸들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술한 유형의 간단하면서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되어 있고 아래와 같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조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전기 제어부가 핸들에 내장된 후에, 본 발명이 전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컴포트-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라인 섹션에 배치된 커플링부가 베어링 연장부의 수용부 내부에 삽입된다. 핸들의 베어링 연장부에 있는 수용부가 커플링부를 필요에 따라 삽입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되면, 선행 기술에서 이미 이용 가능한 공지된 커플링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커플링부 없이도 핸들이 전기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는 서문에 언급된 "표준-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핸들 및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컴포트-장치뿐만 아니라 표준-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부품 개수는 많아지고 그에 따라 컴포트-경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경제적인 제조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의 적용예와 무관하게 기존의 전기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서도 아무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2개의 전기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와 관련해서도 많은 부품 개수 및 경제적인 제조가 실현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의 수많은 적용 가능성들 중에서 한 가지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표현이 가능한 것은, 대응 커플링부 및 지지부가 본 발명에서는 상호 결합되어 있는 소자들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지지부는 오히려 하나의 홀을 구비하기만 하면 되며, 상기 홀로부터는 라인 섹션이 자유롭게 돌출할 수 있고, 상기 홀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부에는 대응 커플링부가 연결되어 있다. 핸들 조립 개시 전에는 진자 방식으로 걸려 있는 대응 커플링부가 수동으로 파지될 수 있고, 지지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라인 섹션과의 유연한 연결을 활용하여 커플링 섹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 섹션은 핸들 수용부 내에 해체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 및 커플링은 커플링 과정이 잘 관찰될 수 있고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는 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그 결과물로서 핸들 조립 전에 이미 존재하는 복잡하면서 핸들,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로 이루어진 구성 유닛이 얻어진다.
완전하게 커플링된 상기 구성 유닛은 지지부 내에서 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핸들의 조립 과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를 규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핸들의 추후 동작에서도 유지된다. 핸들 조립시에는 전기 커플링이나 대응 커플링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그 결과로, 핸들의 선회 동작을 위한 베어링 지점은 동시에 추후의 규정에 따른 사용시, 상기 핸들의 선회 동작과 무관하게 연결된 커플링의 회전 동작의 중심이 되는 회전 베어링 지점로서도 이용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에 있는 커플링부의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지지부에서 대응 커플링부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고유의 베어링 지점 및 부품이 없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특수 제조는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 전기 제어부 없는 장치에서도 이용되는 지지부도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지 차량 측 나머지 제어부의 라인 섹션만이 필요하며, 상기 나머지 제어부의 단부에는 지지부에서 변위되는 대응 커플링부가 존재한다. 지지부의 다양한 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는 실제로 더 많은 부품 수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능성은 지지부의 제조 비용을 낮추고, 그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비용도 낮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조치 및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들,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도어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별도이며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도어 외부 케이싱 앞에 있는 핸들의 종단면으로서, 이 경우 2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전기 제어부에 속하는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는 여전히 연결 해체된 상태이고,
도 2a는 커플링부가 핸들에 배치되기 전에 상기 커플링부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따른 커플링부를 화살표(Ⅱb)의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2a, 2b의 커플링부에 속하고 상기 지지부의 구성 부품인 해당 라 인 섹션을 구비한 대응 커플링부의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2b와 유사하게, 도 3a의 커플링부를 화살표(Ⅲb)의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여전히 상호 분리된 부품 그룹들을 절단선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이 경우 지지부는 생략되었고, 다만 대응 커플링부를 구비한 해당 라인 섹션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이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플링부가 삽입되기 전에 핸들의 단부를 도시한 도 4에 상응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지지부 측 대응 커플링부가 핸들 측 커플링부에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경우에도 지지부는 함께 도시되지 않았으며,
도 7a는 전기 커플링부 및 대응 커플링부를 커플링한 후에, 베어링 지점을 갖는 베어링 연장부 영역에서 도 6에 도시된 핸들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와 유사한 핸들 베어링 연장부의 수평 단면도이며,
도 8은 핸들이 도 6에 화살표로 표시된 설정 동작에 의해 지지부에 장착되어 차량 도어의 사용 위치에 배치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상응하는 종단면들이고,
도 9는 외부 케이싱을 생략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완전하게 장착된 장치를 후면으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사시도에서는 도어 외측에 배치되어 장착된 핸들에 대한 조망이 가능하며,
도 10은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면 평면도로서, 이 경우에도 마찬 가지로 외부 케이싱은 생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지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는 도어 내부(33)에서 도 1 및 도 8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외부 케이싱(30) 뒤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 외부 케이싱(30)은 여러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지 지지부(10)의 중앙 영역만을 커버하는 셸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또한 도어 외측(34)으로부터 지지부(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핸들(20)도 속한다. 이 목적을 위해 핸들(20)은 자신의 양 단부에 연장부(21, 22)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서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연장부(21)에 베어링 지점(23)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연장부는 이하에서 "베어링 연장부"로 표기된다. 다른 연장부(22)는 조립 후에 도어 내부(33)에 있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로크와 상호 작용하고, 이 목적을 위해 후크 단부(24 등)를 구비한다.
핸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2개의 개구(31, 32)가 이용되며, 핸들 조립시에 상기 2개의 연장부(21, 22)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조립은 베어링 연장부(21)의 영역에서 "설정 동작"으로 기술될 수 있는 다수의 동작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 동작은 도 6에서 2개의 동작 화살표(25, 26)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정 동작은 화살표(25)로 도시된 관통 삽입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베어링 연장부(21)는 핸들(20)에 의해서 케이싱 개구(31)를 통과하여 지지부의 제 1 리세스(11)에 도달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핸들-연장부(22)도 또한 제 2 케이싱 개구(32)를 통과하여 지지부(10) 내에 있는 유사한 리세스(12)에 도달한다. 상기 관통 삽입 단계(25) 후에는 가로로 향하는 이동 단계가 도 6의 화살표(26)의 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핸들 측 베어링 지점(23)은 지지부(10)에 제공된 대응 베어링 지점(13)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최종 위치는 도 8 및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지점(23) 및 대응 베어링 지점(13)은 도 7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핸들(20)을 위한 선회 축(40)을 결정한다. 장착된 핸들(20)의 작동시에는 상기 핸들이 도 8의 화살표(27)의 방향으로 선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핸들(20)을 통한 로크의 기계적인 동작 - 이 동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핸들-연장부(22)가 관여한다 - 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2개 부분(41, 42)으로 형성된 매우 안락한 전기 제어부도 가능케 한다. 도 1에서 핸들(20) 내부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부(42) 그리고 차량에 할당되어 있고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부(41)가 존재한다. 도 8에 따른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2개의 제어부(41, 42)가 하나의 전기 라인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 라인은 도 8에서 알 수 있는 2개의 섹션(61, 62)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섹션(61)은 도 9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바와 같이 지지부(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그곳에는 다양한 지지 수단(14)이 제공되어 있다. 다른 섹션(62)은 도 1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핸들(20) 내에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라인 섹션(61, 26)은 도 8의 사용 상태에서는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전기 커플링(5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은 아래와 같은 특이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도 2a 및 2b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인 섹션(62)에는 커플 링부(52)가 존재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보호용 슬리브(56) 내부에 전기 플러그 콘택(54)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용 슬리브(56)는 러그(68)(lug)에 의해서 자신의 개구 영역 너머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러그 단부에는 홀(35)이 존재한다.
도 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20)의 베어링 연장부(21)에는 수용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본 경우에 주머니로서 형성되었다. 상기 주머니(28)는 베어링 지점(23)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곳에서 주머니 개구(29)를 형성한다. 도 5의 평면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주머니에는 종방향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52)가 주머니(28) 내부로 삽입되면, 도 6 및 도 7b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커플링부(57)의 하우징 슬리브(56)가 국부적으로 돌출하지만, 그곳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도 7b에서 두드러진 바와 같이, 도 5에서 볼 수 있는 주머니 바닥(36)에는 후방 절단부(37)가 제공되고, 하우징(56)의 내부 단부(38)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절단부에 후방으로부터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삽입된 커플링부(52)는 주머니(28)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커플링부(52)의 삽입시에는 해당 라인 섹션이 상기 주머니 연장부(39)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의 진행 상태는 도 5 및 도 7b에서 특히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주머니 연장부 내에는 또한 공동부(19)가 제공되어 있으며, 도 2a 및 도 7b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프로파일 부재(63)가 삽입 및 설치시에 상기 공동부 내부에 배치된다.
주머니(28) 내에 있는 상기 커플링부(52)의 삽입 위치는 로킹 연결부(17, 18)에 의해서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 목적을 위해, 특히 도 7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6)은 대각으로 마주 놓인 한 쌍의 클립 노우즈(17)를 구비하며, 상기 클립 노우즈는 도 5의 삽입 방향(43)으로 콘택 경사면을 갖는다. 도 5 및 도 7a의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삽입시에는 슬리브 형태의 하우징 영역이 휘어져서 상기 클립 노우즈(17)가 리세스(18)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리세스는 핸들(20)의 베어링부(21)의 측벽에 제공되어 있다. 그때 대응 커플링부(51)가 도 1 및 4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연결(15)되면, 하우징(56)의 슬리브부가 보강됨으로써, 상기 클립 노우즈(17)가 핸들-리세스(18) 내부에 결합되는 과정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상기 커플링부(52)는 핸들 내부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도 3a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대응 커플링부(51)는 실제로 해당 라인 섹션(61)의 연장된 파형에 대하여 직각으로 진행한다. 도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부는 콘택팅을 위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플러그 콘택(53)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콘택의 하우징(55)은 핀(pin) 형태로 형성되었고, 커플링부(52)에 속하는 하우징 슬리브(56)의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형 횡단면에 상응한다. 하우징 핀(55)의 링형 구역 주변에는 밀봉 링(57)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봉 링은 연결(15) 후에 하우징 슬리브(56)의 내벽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지지 작용은 전술한 하우징 슬리브의 보강 및 핸들 내에 있는 상기 하우징 슬리브의 삽입 위치를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커플링부(52)와 대응 커플링부(51) 간의 전기 접촉 결합도 또한 고정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고정 장치(35, 45)가 이용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하우징 러그(58) 내부의 홀(35) 및 대응 커플링부(51)의 하우징 핀(55)에 있는 고정용 캠(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러그(58)는, 상기 고정용 캠(45)이 홀(35)에 결합될 때까지 그리고 그 이후까지, 도 7a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 홀 에지에 후방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은 커플링(50)이 자신의 결합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준다. 상기 커플링부(51, 52)의 커플링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고정용 캠(45)이 홀(35)로부터 릴리스 될 때까지, 우선 러그(58)가 수동으로 구부러져야만 한다. 그 경우에는 재차 상기 2개 커플링부(51, 52)가 도 1의 연결 (15)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52)는 주머니(28) 내부에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수용된 커플링부(52)는 도 1에 따른 핸들(20) 내부의 확실한 고정 최종 위치에 존재한다. 케이싱-개구(31)로부터는 지지부 측에 있는 다른 라인 섹션(62)의 단부 섹션이 돌출하며, 상기 라인 섹션의 외부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이미 언급된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커플링(50)의 전기 대응 커플링부(51)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핸들(20)의 조립이 시작되기 전에, 대응 커플링부(51)는 도 1에 도시된 연결(15) 화살표의 방향으로 주머니 개구(29)를 관통하여, 커플링부(52)에 속하는 하우징(56)의 슬리브 개구에 커플링된다. 이와 같은 커플링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라인 섹션(61, 62)이 전기 커플링(50)을 통해 서로 콘택 됨으로써, 핸들(20)의 조립이 시작되기 이전에도 이미 핸들 측 제어부(52)는 차량 측 나머지 제어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 섹션(61)의 지지부 단부에 전기 접속 섹션(16)이 제공되며, 상기 접속 섹션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연결 대응 부재 및 라인을 통해 차량 측 나머지 제어부(41)로 가이드 된다.
커플링 후에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 핸들 내에 수용된 커플링부(52) 및 그곳에 커플링된 대응 커플링부(51)가 공통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된 구성 유닛(60)을 형성한다. 상기 구성 유닛(60)은 기술된 방식으로 설정 동작(25, 26)에 의해서 지지부의 리세스(11, 12) 내부에 장착된다. 그 결과물은, 이미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 위치이다. 그 경우에는, 도 7에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핸들(20)의 선회 동작(27)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에는 전체 구성 유닛(60)이 공통의 선회축(40)을 중심으로 움직이며, 상기 선회축은 핸들(20)이 본래부터 구비하고 있는 선회축이다. 상기 커플링(50)의 2개의 부분(51, 52)은 핸들(20)의 작동(27)시 함께 움직인다; 핸들의 선회축(14)은 동시에 커플링(50)을 위한 회전축으로서 이용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부 (도 1)
11: 21을 위한 10의 제 1 리세스 (도 1)
12: 22를 위한 10의 제 2 리세스 (도 1)
13: 10에 있는 23을 위한 대응 베어링 지점 (도 1)
14: 61을 위한 지지 수단 (도 8)
15: 52에 있는 51의 커플링 화살표 (도 1)
16: 61에 대한 전기 연결 섹션 (도 6)
17: 로킹 연결부, 클립 노우즈 (도 7a)
18: 로킹 연결부, 리세스 (도 7a)
19: 20에 있는 공동부 (도 7b)
20: 핸들 (도 1)
21: 20에 있는 제 1 연장부, 베어링 연장부 (도 1)
22: 20에 있는 제 2 연장부 (도 1)
23: 21에 있는 베어링 지점 (도 1)
24: 22에 있는 후크 단부 (도 1)
25: 10에서의 20의 설정 동작, 관통 삽입 단계 (도 5)
26: 10에서의 20의 설정 동작, 이동 단계 (도 5)
27: 20의 선회 화살표 (도 7)
28: 21에 있는 수용부, 주머니 (도 5)
29: 51을 위한 28의 주머니 개구 (도 1, 5)
30: 외부 케이싱 (도 1)
31: 21을 위한 30의 제 1 개구 (도 1)
32: 22를 위한 30의 제 2 개구 (도 1)
33: 도어 내부 (도 1)
34: 도어 외측 (도 1)
35: 51, 52를 위한 고정 장치, 58에 있는 홀 (도 2a)
36: 28의 주머니 바닥 (도 5, 7b)
37: 36의 후방 절단부 (도 7b)
38: 52의 내부 단부 (도 7b)
39: 62를 위한 주머니 연장부 (도 5, 7b)
40: 선회축 (도 8, 9, 10)
41: 제어부 (도 1)
42: 20에 있는 제어부 (도 1)
43: 28로의 52의 삽입 동작을 나타내는 화살표 (도 5, 7a)
45: 51, 52의 고정 장치, 고정용 캠 (도 7b)
50: 전기 커플링 (도 8)
51: 50의 대응 커플링부 (도 1, 2a)
52: 50의 커플링부 (도 1, 3a)
53: 51의 매트릭스 형태의 플러그 콘택 (도 3b)
54: 52의 주형(male mould) 모양의 플러그 콘택 (도 2b)
55: 핀 형태의 하우징, 하우징 핀 (도 3a, 3b)
56: 슬리브 형태의 하우징, 52의 하우징 슬리브(도 2a, 2b)
57: 51의 밀봉 링 (도 3a, 3b)
58: 56에 있는 러그 (도 2a, 7a)
60: 20, 51, 52로 이루어진 구성 유닛(도 8)
61: 51에 있는 전기 라인 섹션 (도 3a)
62: 52에 있는 라인 섹션 (도 2a)
63: 62에 있는 프로파일 섹션 (도 2a, 7b)

Claims (7)

  1. 특히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외측(34)에 있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핸들(20)로서, 상기 핸들의 일 단부가 베어링 지점(23)을 갖는 연장부(베어링 연장부)(21)를 포함하는, 핸들(20),
    상기 핸들(20)의 베어링 지점(23)을 위한 대응 베어링 지점(13)을 갖는, 상기 도어의 내부(33)에 고정된 지지부(10),
    2개의 부분으로 된 로크용 전기 제어부들(41, 42)로서, 상기 전기 제어부들 중 하나의 제어부(42)가 상기 핸들(20) 내에 통합되어 있고, 전기 라인의 두 개의 섹션들(61, 62)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 있는 상기 전기 제어부들 중 나머지 제어부(41)에 연결된, 2개의 부분으로 된 로크용 전기 제어부들(41, 42), 및
    상기 핸들 내에 통합되어 있는 상기 제어부(42)에 연결된 커플링부(52) 및 상기 차량 내에 있는 상기 나머지 제어부(41)에 할당된 대응 커플링부(51)로 이루어진, 상기 전기 라인의 2개의 섹션들(라인 섹션)(61, 62) 사이에 있는 2개 부분으로 구성된 전기 커플링(5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20)의 베어링 연장부(21)는 상기 도어의 외측(34)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외부 케이싱(30)에 있는 개구(31)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핸들의 대응 베어링 지점(23)은 상기 도어의 내부(33)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10)의 대응 베어링 지점(31)에 장착(25, 26)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 지점(23) 및 상기 대응 베어링 지점(13)이 상기 핸들(20)을 작동(27)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10) 내에 선회축(40)을 형성하며,
    상기 커플링부(52) 및 상기 대응 커플링부(5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크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의 베어링 연장부(21)가 상기 커플링부(52)를 위한 수용부(28)를 포함하며,
    상기 대응 커플링부(51)의 라인 섹션들(61)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개구(31)로부터 진자 방식으로 상기 도어의 외부 케이싱(30)에 걸려 있으며,
    걸려 있는 상기 대응 커플링부(51)는 상기 지지부(10) 내에서 상기 핸들의 조립(25, 26)이 시작되기 전에 수동으로 파지되고, 상기 라인 섹션들(61)에서의 유연한 연결을 활용하여 상기 핸들의 수용부(28)의 커플링부(52)에 연결(15)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의 조립(25, 26) 전에는 이미 상기 핸들(20) 및 상기 핸들(20)에 수용된 커플링부(52)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10) 외부에 있는 연결(15)된 상기 대응 커플링부(51)도 또한 나중에 상기 지지부(10) 내부에 장착되어 공통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된 하나의 구성 유닛(60)을 형성하며,
    상기 핸들 조립(25, 26) 후의 상기 핸들(20)의 작동(27)시에는 상기 핸들(20)의 상기 선회축(40)이 동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상기 커플링부(52) 및 상기 대응 커플링부(51)를 위한 회전축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핸들(20)의 커플링부(52)가 삽입(43)될 수 있는 몰딩된 주머니(28)이며,
    상기 핸들(20)의 제어부(42)에 연결되는 상기 라인 섹션들(62)이 상기 주머니(28)의 연장부(39)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28)의 베어링 지점(23)을 향하고 있는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대응 커플링부(51)를 연결(15)하기 위해 상기 주머니에 개구(2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28)에 종방향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상기 커플링부(52)가 상기 종방향 슬롯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돌출하며,
    상기 주머니에 형성된 상기 개구(29)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상기 주머니의 바닥(36)에 후방 절단부(37)가 제공되고, 삽입된 상기 커플링부(52)의 내부 단부(38)가 상기 후방 절단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주머니(28)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커플링부(52)가 하나의 로킹 연결부의 두 개의 상보적인 소자(17, 18)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상보적인 소자는 상기 커플링부(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로킹되고, 상기 핸들(20) 내에서 상기 커플링부(52)의 삽입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상보적인 소자 중 하나의 상보적인 소자는 하나 이상의 클립 노우즈(17)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두 개의 상보적인 소자 중 나머지 상보적인 소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18)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부로 상기 클립 노우즈(17)가 삽입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커플링부(52)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대응 커플링부(51)가 고정 장치의 상보적인 부재들(35, 45)을 구비하고,
    상기 상보적인 부재들은 연결된 후 서로 결합되고, 상기 대응 커플링부(51) 와 상기 커플링부(52)의 연결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작동 장치.
KR1020077002321A 2004-07-10 2005-06-22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장치 KR101103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3518 2004-07-10
DE102004033518.4 2004-07-10
PCT/EP2005/006738 WO2006005419A1 (de) 2004-07-10 2005-06-22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421A KR20070031421A (ko) 2007-03-19
KR101103476B1 true KR101103476B1 (ko) 2012-01-10

Family

ID=3505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321A KR101103476B1 (ko) 2004-07-10 2005-06-22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74889B2 (ko)
EP (1) EP1766165B1 (ko)
KR (1) KR101103476B1 (ko)
CN (1) CN1985060B (ko)
WO (1) WO2006005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010B2 (ja) * 2006-03-16 2010-09-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ハンドル
DE602007000993D1 (de) 2006-03-16 2009-06-10 Aisin Seiki Türgriff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06021120B9 (de) 2006-05-04 2018-09-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WO2008137634A1 (en) 2007-05-03 2008-11-13 Donnelly Corporation Illumination module for a vehicle
CN102828655A (zh) * 2008-04-14 2012-12-19 田永茂 拉手锁
DE102008036512A1 (de) * 2008-06-19 2009-1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US9260882B2 (en) 2009-03-12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niversal global latch system
DE102011050431A1 (de) * 2011-05-17 2012-1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auteil für ein Fahrzeug
US9551166B2 (en) 2011-11-02 2017-0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interior door release system
US9416565B2 (en) 2013-11-21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ezo based energy harvesting for e-latch systems
US9903142B2 (en) 2014-05-13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and powered latch system
US9834964B2 (en) 2014-05-13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vehicle door latch and exterior handle with sensor
US10119308B2 (en) 2014-05-13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latch system for vehicle doors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10323442B2 (en) 2014-05-13 2019-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safe door unlatching operations
US10273725B2 (en) 2014-05-13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stomer coaching method for location of E-latch backup handles
US9909344B2 (en) 2014-08-26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door latch system with powered backup unlock feature
US9725069B2 (en) 2015-10-12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less vehicle systems
US10550610B2 (en) 2016-06-22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ide override emergency handle for door release
US10227810B2 (en) 2016-08-03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ority driven power side door open/close operations
US10087671B2 (en) 2016-08-04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driven door presenter for vehicle doors
US10329823B2 (en) 2016-08-24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control system for powered vehicle doors
DE102016010555A1 (de) * 2016-08-31 2018-03-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anordnung mit formschlüssig befestigtem Stecker
US10458171B2 (en) 2016-09-19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pinch logic for door opening actuator
US10604970B2 (en) 2017-05-04 2020-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detect end-of-life in latches
US10907386B2 (en) 2018-06-07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door pushbutton releases
EP4209651A1 (en) * 2022-01-11 2023-07-12 U-Shin Italia S.p.A. Bracket to be assembled to an inner side of a vehicle door and associated assembly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2583A1 (de) * 2001-07-27 2003-02-13 Witte Velbert Gmbh & Co Kg Türgriff für Kraftfahrzeugtür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3894C2 (de) * 1996-08-22 1999-12-2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JP3648396B2 (ja) * 1998-12-02 2005-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ハンドル
CN1087804C (zh) * 1998-12-28 2002-07-17 金进国 汽车车门把手
IT1308388B1 (it) * 1999-02-23 2001-12-1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JP4345128B2 (ja) * 1999-03-30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及び該車両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ドア
US6079767A (en) * 1999-06-29 2000-06-2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ower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DE19943986B4 (de) * 1999-09-14 2004-04-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Kfz
DE19947977C1 (de) * 1999-10-05 2001-05-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DE19961360A1 (de) * 1999-12-17 2001-07-05 Bosch Gmbh Robert Türaußen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062042B4 (de) * 2000-12-13 2004-11-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er der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JP4003453B2 (ja) * 2001-12-26 2007-11-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検出装置
JP4015568B2 (ja) * 2003-01-29 2007-11-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及びそのコネクタ構造
JP4487562B2 (ja) * 2003-12-22 2010-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EP1582659B1 (en) * 2004-03-29 2013-03-2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handle for vehicle
DE602005021841D1 (de) * 2004-03-30 2010-07-29 Honda Lock Kk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2583A1 (de) * 2001-07-27 2003-02-13 Witte Velbert Gmbh & Co Kg Türgriff für Kraftfahrzeugtü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5060B (zh) 2011-06-15
US20070200369A1 (en) 2007-08-30
KR20070031421A (ko) 2007-03-19
EP1766165B1 (de) 2019-11-06
EP1766165A1 (de) 2007-03-28
CN1985060A (zh) 2007-06-20
US8474889B2 (en) 2013-07-02
US20120153642A9 (en) 2012-06-21
WO2006005419A1 (de)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476B1 (ko) 차량의 도어, 해치 등에 통합된 로크를 작동시키기 위한장치
CN102066160B (zh) 转向盘组件
CN104755683B (zh) 机动车门锁和用于选择性地运行这种机动车门锁的方法
EP2955793B1 (en) Vehicle-side connector
EP2955795B1 (en) Vehicle-side connector
JP4769302B2 (ja) 電気差込コネクタ
KR20060052813A (ko)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CN104871374B (zh) 插入式连接器的锁扣机构
CN109328254A (zh) 机动车锁
KR20020059606A (ko) 자동차에서 전자 로킹 시스템 및/또는 도어, 플랩등과같이 형성된 로킹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N101213348A (zh) 转接器以及使电机与车身部件的传动交接面相连接的方法
CN104066910B (zh) 具有可收缩的插入件和对应的展开模块的钥匙
JP2010527826A (ja) 自動車の出力遮断機
CN101253300B (zh) 用于圆筒锁的多件芯栓组件
CN104040099A (zh) 机动车门锁
KR20080080351A (ko) 자동차 로크 장치용 자동 해제 로크
US20060175860A1 (en) Vehicle sun vis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823470A (zh) 电动转向锁定装置
KR20200118649A (ko) 자동차의 충전용 도어의 비상해제 장치
US20210195768A1 (en) Door Handle for a Vehicle
KR100950024B1 (ko) 와이퍼 구동장치에서 잠금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KR100957454B1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CN102390464A (zh) 车辆用圆柱锁装置
JP74576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CN215904655U (zh) 用于单车的车身及单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