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225B1 -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225B1
KR101103225B1 KR1020097016883A KR20097016883A KR101103225B1 KR 101103225 B1 KR101103225 B1 KR 101103225B1 KR 1020097016883 A KR1020097016883 A KR 1020097016883A KR 20097016883 A KR20097016883 A KR 20097016883A KR 101103225 B1 KR101103225 B1 KR 10110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ight emitting
substituted
organic light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927A (ko
Inventor
나오키 야마다
사토시 이가와
마사시 하시모토
미나코 나카스
다카유키 호리우치
준 가마타니
신지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3/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ring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13/28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 C07C13/3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 C07C13/62Poly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condensed rings with more than three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11/55Dipheny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7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6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of the carbon skeleton with at least one of the condensed ring systems formed by three or mor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49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 C07C255/5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a carbon skeleton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condensed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1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1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04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06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 C07C2603/1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 C07C2603/1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ring member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only one five-membered ring
    • C07C2603/18Fluorenes; Hydrogenated fluo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4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40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 C07C2603/4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our condensed ring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rings
    • C07C2603/50Pyrenes; Hydrogenated p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0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 C07C2603/52Ortho- or ortho- and peri-condensed systems containing five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3/00Systems containing at least three condensed rings
    • C07C2603/56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 C07C2603/58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2603/60Ring systems containing bridged rings containing three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ring with less than six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나는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9
(일반식 (I)에 있어서, R14, R15, R16, R20, 및 R21 중 적어도 하나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내는 Rn를 나타내고, Rn로 나타내지 않는 Rl1 내지 R22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 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n로 나타내지 않는 Rl1 내지 R22는 서로 같아도 되고 또는 달라도 되고;
Figure 112009049373391-pct00020
(일반식 (i)에 있어서, R23, R24, R25, R26, 및 R27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23, R24, R25, R26, 및 R27는 서로 같아도 되고 또는 달라도 되고, 단, R23, R24, R25, 및 R26 중, 적어도 1조의 인접하는 치환기가 서로 결합해서 환을 형성함)).

Description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BENZO[a]FLUORANTHENE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광성 유기 화합물 또는 인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 박막을 끼우는 소자이다. 또, 각 전극으로부터 홀(정공) 및 전자를 주입해서 형광성 화합물 또는 인광성 화합물의 여기자를 생성시킴으로써, 이 여기자가 기저 상태로 돌아올 때에, 유기 발광 소자는 광을 방사한다.
유기 발광 소자의 최근의 진보는 현저하고, 그 특징은 저인가 전압에서 고휘도, 발광 파장의 다양성, 고속 응답성, 발광 디바이스의 박형ㆍ경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사실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는 광범위한 용도에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태로서는 한층 더 고휘도의 광출력 또는 고변환 효율이 필요하다. 또, 장시간의 사용에 의한 경시 변화나 산소를 포함한 분위기 기체나 습기 등에 의한 열화 등의 내구성의 면에서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가 있다.
또, 풀 컬러 디스플레이 등에의 응용을 고려하면, 색순도가 높은 청, 록, 적의 발광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도 아직 충분히 해결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벤조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189247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2-8867호 공보, 및 Chem. Mater. 2003, 15, 4854-4862에 있어서, 벤조플루오란텐 화합물이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극히 발광 효율 및 휘도가 양호하고, 또한 내구성이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1
일반식 (I)에 있어서, R14, R15, R16, R20 및 R21 중 적어도 하나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내는 Rn를 표시한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2
일반식 (i)에 있어서, R23, R24, R25, R26 및 R27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23, R24, R25, R26 및 R27는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단, R23, R24, R25, 및 R26 중, 적어도 1조의 인접하는 치환기가 서로 결합해서 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한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발광 효율 및 휘도가 양호하고, 또한 내구성이 있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전형적인 실시형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제1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제1실시형태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3
일반식 (I)에 있어서, R14, R15, R16, R20 및 R21 중 적어도 하나가 하기의 일반식 (i)로 나타내는 Rn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R15가 Rn이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4
일반식 (i)에 있어서, R23, R24, R25, R26, 및 R27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R23, R24, R25, R26, 및 R27는 서로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단, R23, R24, R25, 및 R26 중, 적어도 1조의 인접하는 치환기가 서로 결합해서 환을 형성한다. 환을 형성하는 인접하는 치환기의 조합은 2조 이상 있어도 된다.
R14, R15, R16, R20, 및 R21로 나타내는 Rn이란, 예를 들면 축합다환기를 말한다. 축합다환기란, 구체적으로는, 나프틸기, 아줄레닐기, 펜탈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인다세닐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릴기, 페날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아세페난트릴기, 아세안트릴기, 트리페닐레닐기, 크리세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이미다졸릴기, 카르바졸릴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플루오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피레닐기, 또는 페릴레닐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Rn이 가져도 되는 치환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및 t-부틸기등의 알킬기;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페닐비닐기, 및 디페닐비닐기 등의 알케닐기; 에티닐기, 프로피닐기, 부티닐기, 및 페네티닐기 등의 알키닐기; 벤질기 및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페닐기, 비페닐기, 플루오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3,5-디-t-부틸페닐기, 2,4,6-트리메틸페닐기, 4-t-부틸페닐기, 3,5-디메틸페닐기, 9,9-디메틸-9H-플루오레닐기, 및 톨릴기 등의 아릴기; 티에닐기, 피롤릴기, 및 피리딜기 등의 복소환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벤질아미노기, 디페닐아미노기, 디톨릴아미노기, 디아니솔릴아미노기, 페닐나프틸아미노기, 및 디-(4-t-부틸페닐)아미노기 등의 아미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
폭시기, 및 페녹시기 등의 알콕시기; 페녹시기, 4-메틸페녹시기, 및 나프톡시기 등의 아릴록시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및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R14, R15, R16, R20, 및 R21 중 Rn은 아닌 것, R23 내지 R27 중 환의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것, 및 Rl1 내지 R13, R17 내지 R19, 및 R22는 각각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록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할로겐 원자의 예로서 불소, 염소, 취소, 및 옥소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예로서 메틸기, 에틸기, 노멀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멀 부틸기, 터셔리 부틸기, 세컨더리 부틸기, 옥틸기, 1-아다만틸기, 및 2-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의 예로서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록시기의 예로서 페녹시기,4-메틸페녹시기, 및 나프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의 예로서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페닐비닐기, 및 디페닐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키닐기의 예로서 에티닐기, 프로피닐기, 부티닐기, 및 페네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의 예로서 벤질기 및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의 예로서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벤질아미노기, 디페닐아미노기, 디톨릴아미노기, 디터셜 부틸아미노기, 디아니솔릴아미노기, 및 카르바조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서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나프틸기, 아줄레닐기, 펜탈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인다세닐기, 아세나푸테닐기, 페날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아세페난트릴기, 아세안트릴기, 트리페닐레닐기, 크리세닐기, 페릴레닐기, 및 플루오레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소환기의 예로서 티에닐기, 피롤릴기, 피리딜기, 피리미딜기, 비피리딜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터티에닐기, 이미다졸릴기, 카르바졸릴기, 아크리디닐기, 및 페난트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록시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랄킬기, 아미노기 및 알킬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는 일반식 (I)의 Rn이 가져도 되는 치환기의 예와 같다. 또, R14, R15, R16, R20, 및 R21 중 Rn는 아닌 것, R23 내지 R27 중 환의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것, 및 R11 내지 R13, R17 내지 R19, 및 R22는 서로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 중심 재료인 벤조[a]플루오란텐의 발광 양자 수율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치환의 벤조[a]플루오란텐은 분자 자체의 형광 양자 수율이 낮기 때문에, 이 벤조플루오란텐 골격에 분자 자체의 형광 양자 수율을 향상시키는 치환기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벤조[a]플루오란텐을 함유하는 각종 화합물에 대해 화합물 자체의 형광 양자 수율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또, 하기의 표 1에 있어서, 벤조[a]플루오란텐의 형광 양자 수율은 실험치이며, 벤조[a]플루오란텐 이외의 화합물의 형광 양자 수율은 Steaven L. Murov, Ian Carmichael, Gordon L. Hug, Handobook of Photochemistry, 1993년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이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5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식 (I) 중의 Rn이 일반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진 플루오렌, 플루오란텐, 벤조[k]플루오란텐, 피렌, 및 페릴렌은 벤조[a]플루오란텐보다 형광 양자 수율이 높다. 이 때문에, 이들 화합물의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하는 치환기의 적어도 하나를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에 도입하면,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형광 양자 수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벤젠, 비페닐아민류에 속하는 트리페닐아민은 벤조[a]플루오란텐보다 형광 양자 수율이 낮다. 이 때문에, 이들 화합물의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하는 치환기를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에 도입해도, 벤조[a]플루오란텐의 형광 양자 수율은 향상되지 않는다.
또, 일반식 (I) 중의 Rn이 9위를 결합수로 사용하는 안트라센을 나타낼 때, 이 안트라센을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에 도입해도, 벤조[a]플루오란텐의 형광 양자 수율의 향상을 볼 수 없다. 특히, 일반식 (I) 중의 R15에 9위를 결합수로 사용하는 안트라센 골격을 도입하면,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과 안트라센 골격 사이에 생기는 입체적 반발이 너무 크다. 따라서, 일반식 (i)의 Rn에 있어서, R26와 결합해서 9위를 결합수로 사용하는 안트라센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R27는 환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형광 양자 수율을 향상시키는 치환기는, 바
람직하게는, 일반식 (I) 중의 R14, R15, R16, R20, 및 R21 중의 어느 하나에 도입된다. 해당 치환기는, R14, R15, R16, R20, 및 R21의 어느 하나에 도입되고 있다면, 복수 도입되어도 된다. 이들 위치의 어느 하나에 해당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은,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자신의 천이 모멘트의 방향으로 해당 치환기를 도입하는 것과 같다. 해당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천이 모멘트가 커지므로,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형광 양자 수율이 한층 더 향상된다.
이하, 일반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6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7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8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재료로서 함유시킴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 색순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들의 성능이 향상하는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5원환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5원환구조에 기인하는 전자 흡인성에 의해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전자 주입성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하면, 음극으로부터 발생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구동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사용은 유기 발광 소자의 장수명화에도 기여한다.
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HOMO와
LUMO의 레벨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홀이나 전자의 캐리어 주입의 밸런스를 고려한, 이 화합물의 분자 설계가 가능하다.
J. Phys. Chem. 1994, 98, 5639-5643에 의하면, 유기 발광 소자가 발하는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자를 구성하는 발광재료에 대해 이하의 요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1. 발광재료의 분자의 스토크스 시프트(Stokes shift)가 작을 것(기저 상태와 여기 상태를 비교해서 분자의 구조 변화가 작을 것);
2. 발광재료의 분자끼리의 분자 회합이 억제되고 있을 것; 및
3. 발광재료의 분자의 발광 스펙트럼의 반값폭이 좁을 것.
여기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에 도입되는 치환기, 특히, 플루오레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등은 스토크스 시프트가 작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입체 장해가
큰 치환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화합물 분자끼리의 회합은 억제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에 있어서는, 스토크스 시프트가 작은 치환기나 회전 부위가 적은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발광재료의 분자의 발광 스펙트럼의 반값폭을 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화합물에 있어서, 비페닐기보다 플루오렌기가 회전 부위가 적고, 스토크스 시프트도 작기 때문에, 플루오렌기를 도입하는 편이 비페닐기를 도입하는 것보다 발광 스펙트럼의 반값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재료로 사용하면, 유기 발광 소자가 발하는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레닐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피레닐기, 또는 페릴레닐기 등을 치환기로서 사용했을 경우는, 스토크스 시프트가 작다.
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여러가지 치환기 중의 어느 하
나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발광색에 대응해서 화합물의 분자 설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 발광 소자의 내구성에 대해서 이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의 화학적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5원환구조에서 유래하는 전자 흡인 효과에 의해 일중항 산소 분자 등의 구전자 반응에 의한 반응성은 낮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여기서, 식 (I)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15의 위치에 탄소 원자 및 수소 원자로 구성되는 치환기를 도입한다. 이 위치는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 중에서도 구전자 반응성이 제일 높은 치환 위치이므로, 이 위치에 수소 원자보다 이탈능이 낮고 화학반응성이 낮은 치환기를 도입하면,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의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식[I]의 R15의 위치에 아릴기나 복소환기 중에서도 입체적으로 부피가 큰 축합다환기를 도입한다. 이 경우, 치환기의 입체 장해에 의한 화합물의 화학 반응성 저하의 효과에 의해 한층 더 화합물 자체의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에 치환하는 치환기가 벤조[a]플루오란텐보다 밴드 갭이 넓은 경우에는, 화합물의 분자 자체의 발광에 대해서는, 그 치환기에서 유래하는 발광이 지배적이 된다. 이것은, 화합물의 HOMO 궤도나 LUMO 궤도가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 내에 국재화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벤조[a]플루오란텐 골격의 화학적 안정성의 효과는 더욱 증대하므로, 유기 발광 소자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 음극, 및 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끼워지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 구성된다. 또, 이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에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적어도 1 종류 함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처음에, 부호의 설명을 한다.
(1)은 기판, (2)는 양극, (3)은 발광층, (4)는 음극, (5)는 홀 수송층, (6)
은 전자 수송층, (7)은 홀 주입층, (8)은 홀/엑시톤 블록킹층, 그리고 (10), (20), (30), (40), 및 (50)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유기 발광 소자(10)는, 기판(1) 상에, 양극(2), 발광층(3) 및 음극(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기 발광 소자(10)는, 발광층(3)이 홀 수송능, 전자 수송능, 및 발광성의 성능을 모두 가지는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또는 발광층(3)이 홀 수송능, 전자 수송능, 및 발광성 중의 어느 하나의 특성을 각각 가지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유기 발광 소자(20)는, 기판(1) 상에, 양극(2), 홀 수송층(5), 전자 수송층(6), 및 음극(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기 발광 소자(20)는, 홀 수송성 및 전자 수송성의 어느 하나를 가진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송성만 또는 홀 수송성만을 가진 유기 화합물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 유기 발광 소자(20)에 있어서는, 홀 수송층(5) 또는 전자 수송층(6)이 발광층을 겸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유기 발광 소자(30)는, 도 2의 유기 발광 소자(20)에 있어서 홀 수송층(5)과 전자 수송층(6) 사이에 발광층(3)을 삽입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유기 발광 소자(30)에 있어서는, 캐리어 수송 기능과 발광 기능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홀 수송성, 전자 수송성, 및 발광성 중의 어느 하나의 특성을 각각 가진 유기 화합물을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료 선택의 자유도가 극히 증가하는 동시에, 발광 파장을 달리하는 여러 가지의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색상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중앙의 발광층(3)에 캐리어 또는 여기자를 유효하게 감금해서 유기 발광 소자(3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유기 발광 소자(40)는, 도 3의 유기 발광 소자(30)에 있어서 양극(2)과 홀 수송층(5) 사이에 홀 주입층(7)을 삽입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유기 발광 소자(40)에 홀 주입층(7)을 구비함으로써 양극(2)과 홀 수송층(5) 사이의 밀착성 또는 홀의 주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주고, 그리고 소자의 구동 전압의 저하에 효과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유기 발광 소자(50)는, 도 3의 유기 발광 소자(30)에 있어서 홀 또는 여기자(엑시톤)가 음극(4)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저해하는 층(홀/엑시톤 블록킹층(8))을 발광층(3)과 전자 수송층(6) 사이에 삽입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온화 퍼텐셜이 매우 높은 화합물을 홀/엑시톤 블록킹층(8)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50)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단, 상기의 제1 내지 제5실시형태는 단지 매우 기본적인 소자 구성이며,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극과 유기층과의 계면에 절연성층을 형성해도 되고, 그 위에 접착층 또는 간섭층을 형성해도 되며, 그리고 홀 수송층을 이온화 퍼텐셜이 다른 2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상기의 제1 내지 제5의 어느 실시형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유기 발광 소자용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발광층의 각각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1개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또는,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복수의 층의 각각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사용하면, 유기 발광 소
자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하면, 이 화합물을 여러 가지 실시형태의 어느 하나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순도, 발광 효율, 및 수명의 점에서 유기 발광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발광층은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발광층은 호스트와 게스트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은 게스트인 불순물 재료, 및 호스트인 형광 재료 및 인광 재료의 어느 것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층 내의 호스트 또는 게스트로서 사용하면, 색순도, 발광 효율, 및 수명의 점에서 유기 발광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층의 게스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호스트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안정한 아몰퍼스막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축합다환유도체이다. 여기서, 고효율 및 내구성을 가진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자신의 발광 양자 수율이 높거나 호스트 자체가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이들 요건을 만족하는 축합다환유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렌 유도체, 피렌 유도체, 플루오란텐 유도체, 또는 벤조플루오란텐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유도체의 각각은 형광 양자 수율이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층의 게스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전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이며, 농도 소광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발광층의 호스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게스트는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소망하는 발광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게스트 이외에, 정공 수송성 화합물, 전자 수송성 화합물 등을 게스트와 함께 이러한 화합물을 가진 층을 도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특히,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외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저분자계 및 폴리머계의 홀 수송성 화합물, 발광성 화합물, 및 전자 수송성 화합물의 어느 하나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홀 수송성 화합물의 예로서,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아릴디아민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폴리(비닐카르바졸), 폴리(실릴렌), 폴리(티오펜), 그 외 도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발광성 화합물의 예로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외에, 축합환방향족 화합물(예를 들면 나프탈렌 유도체, 페난트렌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피렌 유도체, 테트라센 유도체, 코로넨 유도체, 크리센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9,10-디페닐안트라센 유도체, 루브렌 등); 퀴나크리돈 유도체; 아크리돈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피란 유도체; 나일 레드; 피라진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벤조티아졸 유도체; 벤즈옥사졸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유기금속 착체(예를 들면,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 등의 유기 알루미늄 착체, 유기 베릴륨 착체); 및 폴리(페닐렌 비닐렌) 유도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폴리(페닐렌) 유도체, 폴리(티에닐렌 비닐렌) 유도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등의 고분자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성 화합물의 예로서, 옥사디아졸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티아졸 유도체, 티아디아졸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페릴렌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안트론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및 유기 금속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양극으로서는 일 함수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음극의 예로서, 금, 백금, 은, 동, 니켈, 팔라듐, 코발트, 셀레늄, 바나듐, 텅스텐 등의 금속 원소 및 이들의 합금;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인듐(ITO), 산화 아연 인듐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도전성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전극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병용해도 된다. 또, 양극은 단층으로 구성해도 되고, 다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음극으로서는 일 함수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음극의 예로서,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인듐, 루테늄, 티타늄, 망간, 이트륨, 은, 납, 주석, 크롬 등의 금속 원소를 들 수 있다. 또는, 이들 금속을 조합해서 합금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튬-인듐, 나트륨-칼륨,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리튬, 알루미늄-마그네슘, 및 마그네슘-인듐 등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산화 주석 인듐(ITO) 등의 금속 산화물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극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병용해도 된다. 또, 음극은 단층으로 구성해도 되고, 다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판으로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제 기판 및 세라믹스제 기판 등의 불투명성 기판; 유리, 석영, 및 플라스틱 시트 등의
투명성 기판이 사용된다.
또 기판에 컬러 필터막, 형광색 변환막, 유전체 반사막 등을 사용해서 발색광을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판 상에 작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접속해서 본 발명의 소자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소자의 광 인출 방향에 관해서는, 보텀 에미션 구성(기판측으로부터 광을 인출하는 구성) 및 탑 에미션 구성(기판의 반대측으로부터 광을 인출하는 구성)의 양쪽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는 진공 증착법, 용액 도포법, 레이저 등을 사용한 전사법, 또는 스프레이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이 함유되는 유기층은 진공 증착법이나 용액 도포법 등에 의해 형성하면, 형성되는 층 자체의 결정화 등이 일어나기 어렵고, 경시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한층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 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예시 화합물 D-31의 합성]
Figure 112009049373391-pct00009
(a) 중간체 화합물 1-2의 합성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하기의 시약 및 용매를 넣었다.
화합물 1-1: 1.0g(3.96mmol)
디클로로 메탄: 50ml
다음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빙냉하의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취소 0.20ml와 디클로로 메탄 10ml를 혼합한 용액을 반응 용액에 적하했다. 그 다음에 반응 용액을 5시간 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반응 용액을 여과해서, 얻어진 결정을 메타놀로 세정함으로써, 황색 결정인 중간체 1-2를 1.24g(수율 95%) 얻었다.
(b) 예시 화합물 D-31의 합성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이하의 시약 및 용매를 넣었다.
화합물 1-2: 0.205g(0.623mmol)
화합물 1-3: 0.220g(0.415mmol)
톨루엔: 50ml
에탄올: 20ml
다음에, 반응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탄산 세슘 5g와 물 50ml를 혼합한 수용액을 이 반응 용액에 적하하고, 그 다음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100g를 첨가했다. 다음에, 반응 용액을 77℃로 승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종료 후, 유기층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했다. 다음에,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 톨루엔 및 헵탄의 혼합 용매)로 정제함으로써, 황색 결정인 예시 화합물 D-31을 O.231g(수율 85%) 얻었다.
질량분석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D-31이 655의 M+를 가진 것을 확인했다.
또, 1H-NMR 측정에 의해 예시 화합물 D-31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l3, 40O MHz) σ(ppm): 8.84(d, 1H), 8.44(d, 1H), 8.02(d, 1H), 7.98-7.96(m, 1H), 7.73-7.58(m, 14H), 7.52-7.48(t, 1H), 7.44-7.39(m, 6H), 7.28-7. 24(m, 1H), 7.10-7.06(t, 1H), 6.98(d, 1H), 6.80(d, 1H), 6.60(d, 1H)
또, 예시 화합물 D-31에 대해 농도 10-6mol/l의 톨루엔 희박용액에 있어서의 발광스펙트럼을 측정했다. 그 결과, 발광 스펙트럼은 발광 피크가 513nm인 양호한 녹색을 나타냈다. 단, 발광 스펙트럼 측정은 형광 분광 광도(F-4500, (주) 히타치 제작소 사제)를 사용하고, 여기 파장을 340nm로 했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D-31의 발광 양자 수율의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예시 화합물 D-31에 대해 농도 1O-6mol/l의 톨루엔 희박용액을 조제했다. 다음에, 해당 희박용액에 대해 분광 광도계(U-3310, (주) 히타치 제작소 사제)를 사용해서 파장 340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그 다음에, 해당 희박용액에 대해 형광 분광 광도(F-4500, (주) 히타치 제작소 사제)를 사용해서 340nm를 여기 파장으로 했을 때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얻어진 발광 스펙트럼으로부터 발광 피크의 면적을 산출했다.
상기의 흡광도 및 발광 피크의 면적을 사용해서 디페닐안트라센의 값을 1.0으로 했을 경우의 발광 양자 수율의 상대치를 산출하고, 이것을 상대 양자 수율 1로 했다. 한편, 벤조[a]플루오란텐의 값을 1.0으로 했을 경우의 발광 양자 수율의 상대치를 마찬가지로 산출하고, 이것을 상대 양자 수율 2로 했다. 예시 화합물 D-31에 있어서의 상대 양자 수율 1 및 상대 양자 수율 2의 산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예시 화합물 D-2, D-3, D-6, D-48, 및 D-49의 합성]
실시예 1의 (b)에 있어서, 화합물 1-3 대신에 하기의 표 2에 나타내는 피나콜보란 유도체 중의 대응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예시 화합물 D-2, D-3, D-6, D-48, 및 D-49를 합성할 수 있다. 단, 예시 화합물 D-2, D-3, D-6, D-48, 및 D-49의 1H-NMR 스펙트럼은 이하와 같다.
예시 화합물 D-2: 1H-NMR(CDCl3, 40OMHz) σ(ppm): 8.87(d, 1H), 8.45(d, 1H), 8.08-8.03(m, 3H), 7.97-7.91(m, 2H), 7.83-7.67(m, 8H), 7.62-7.57(m, 2H), 7.53-7.32(m, 7H), 1.65(s, 6H), 1.59(s, 6H)
예시 화합물 D-3: lH-NMR(CDCl3, 4OOMHz) σ(ppm): 8.8O(d, 2H), 8.47(d, 2H), 8.11-8.06(m, 8H), 7.81(d, 2H), 7.73-7. 42(m, 14H), 1.66(s, 6H)
예시 화합물 D-6: lH-NMR(CDCl3, 40OMHz) σ(ppm): 8.87(d, 1H), 8.46(d,1H), 8.07-8.01(m, 3H), 7.92(d, 1H), 7.84(d, 1H), 7.74(d, 1H), 7.70-7.68(m, 1H), 7.60-7.57(t, 1H), 7.54-7.49(m, 3H), 7.45-7.38(m, 5H), 2.10-2.06(m, 4H), O.48-0.45(m, 3H)
예시 화합물 D-48: lH-NMR(CDCl3, 40OMHz) σ(ppm): 8.88(d, 1H), 8.48(d, 1H), 8.06(t, 1H), 8.01(t, 1H), 7.70(t, lH), 7.66(t, 1H), 7.63(d, 1H), 7.60(d, 1H), 7.53(t, 1H), 7.49-7.43(m, 3H), 7.39(d, 1H), 7.31(t, 1H), 7.21(t, 1H), 7.15(d, 1H)
예시 화합물 D-49: lH-NMR(CDCl3, 40OMHz) σ(ppm): 8.88(d, 1H), 8.47(d, 1H), 8.07-8.02(m, 5H), 7.97-7.93(m, 2H), 7.71-7.65(m, 3H), 7.62-7.6O(m, 2H), 7.57-7.51(m, 2H), 7.45-7.40(m, 2H)
또, 예시 화합물 D-2, D-3, D-6, D-48, 및 D-49에 대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농도 1O-6 mol/l의 톨루엔 희박용액에 있어서의 발광 스펙트럼의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0
또한, 예시 화합물 D-2, D-3, 및 D-6에 대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대 양자 수율 1 및 상대 양자 수율 2의 산출을 행했다. 산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 2-1에 대해 농도 1O-6 mol/l의 톨루엔 희박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1
이 톨루엔 희박용액에 대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흡수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얻어진 흡수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대 양자 수율 1 및 상대 양자 수율 2의 산출을 행했다. 산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 2-2에 대해 농도 10-6mol/l의 톨루엔 희박용액을 조제했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2
이 톨루엔 희박용액에 대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흡수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또, 얻어진 흡수 스펙트럼 및 발광 스펙트럼으로부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대 양자 수율 1 및 상대 양자 수율 2의 산출을 행했다. 산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3
<실시예 5> [예시 화합물 D-9의 합성]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4
(a) 중간체 화합물 1-4의 합성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시약 및 용매를 넣었다.
화합물 1-1: 1.0g(3.96mmol)
디클로로메탄: 50ml
다음에, 반응 용액을 빙냉하의 조건에서 그리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취소 0.40ml와 디클로로메탄 10ml의 혼합 용액을 반응 용액에 적하하고,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얻어진 결정을 메타놀로 세정함으로써, 황색 결정의 중간체 1-4를 1.46g(수율 90%) 얻었다.
(b) 예시 화합물 D-9의 합성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시약 및 용매를 넣었다.
화합물 1-4: 0.255g(0.623mmol)
화합물 1-5: 0.626g(1.80mmol)
톨루엔: 50ml
에탄올: 20ml
다음에,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면서, 탄산 세슘 5g와 물 50ml를 혼합한 수용액을 이 반응 용액에 적하했다. 그 다음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150g를 이 반응 용액에 첨가했다. 다음에, 반응 용액을 77℃로 승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했다. 다음에,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톨루엔 및 헵탄의 혼합 용매)로 정제함으로써, 오렌지색 결정인 예시 화합물 D-9를 O.323g(수율 75%) 얻었다.
질량분석법에 의해 예시 화합물 D-9가 693의 M+를 가진 것을 확인했다.
또, 1H-NMR 측정에 의해 예시 화합물 D-9의 구조를 확인했다.
1H-NMR(CDCl3, 6OO MHz) σ(ppm): 8.9O(d, 1H), 8.52(d, 1H), 8.35(s, 1H), 8.16(d, 1H), 8.04(d, 1H), 7.94(d, 1H), 7.85-7. 51(m, 1OH), 7.45-7.34(m, 8H), 2.16-2. 08(m, 8H), O.49-0.42(m, 12H)
<실시예 6>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유리 기판 상에, 양극으로서 산화 주석 인듐(ITO)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120 nm의 막두께로 형성했다. 다음에, 얻어진 기판을 아세톤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IPA)로 순차적으로 초음파 세정했다. 그 다음에, 그 결과물을 비등하는 IPA에서 세정 후 건조했다. 또, 그 결과물을 UV/오존 세정했다. 이와 같이 처리를 행한 기판을 투명 도전성 지지 기판으로서 사용했다.
다음에, 투명 도전성 지지 기판 상에 하기의 화합물 3-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클로로포름 용액 0.1 중량%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20nm의 막두께로 형성함으로써, 홀 수송층을 형성했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5
다음에, 다른 유기층 및 음극을 구성하는 층을 1 O-5Pa의 진공 체임버 내에서의 저항 가열에 의한 진공 증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발광층으로서 게스트인 예시 화합물 D-2와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 3-2을 중량 농도비로 해서 5:95가 되도록 공증착했다. 이 때, 발광층의 막두께를 20nm로 했다. 다음에, 전자 수송층으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 3-3을 막두께 40nm로 형성했다. 다음에, 금속 전극층(1)으로서 LiF를 막두께 0.5nm로 형성했다. 다음에, 금속 전극층(2)으로서 Al를 막두께 150nm로 형성했다. 여기서, 금속 전극층(1) 및 금속 전극층(2)은 각각 음극으로서 기능한다.
Figure 112009049373391-pct00016
이상과 같이 해서,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6.1V의 인가 전압을 걸었다. 그 결과, 이 소자에 대해 전류 밀도 18mA/cm2에서 발광 휘도 1,720cd/m2의 녹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165mA/cm2로 유지하면서, 100시간 연속해서 소자를 구동시켰다. 그 결과, 이 소자의 초기 휘도에 비해 100시간 구동 후의 이 소자의 휘도 열화율은 5% 이하 정도로 작았다.
<실시예 7>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
실시예 6에 있어서, 발광층의 게스트를 예시 화합물 D-31으로 사용해서 전자 수송층의 막두께를 30nm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유기 발광소자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6.1V의 인가 전압을 걸었다. 그 결과, 이 소자에 대해 전류 밀도 30mA/cm2에서 발광 휘도 1,957cd/m2의 녹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165mA/cm2로 유지하면서, 100시간 연속해서 소자를 구동시켰다. 그 결과, 이 소자의 초기 휘도에 비해 100시간 구동 후의 이 소자의 휘도 열화율은 1% 이하 정도로 작았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있어서, 발광층의 게스트를 예시 화합물 D-3으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6.1V의 인가 전압을 걸었다. 그 결과, 이 소자에 대해 전류 밀도 18mA/cm2에서 발광 휘도 1,421cd/m2의 녹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165mA/cm2로 유지하면서, 100시간 연속해서 소자를 구동시켰다. 그 결과, 이 소자의 초기 휘도에 비해 100시간 구동 후의 이 소자의 휘도 열화율은 8% 이하 정도로 작았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 있어서, 발광층의 게스트를 예시 화합물 D-48으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6.1V의 인가 전압을 걸었다. 이 소자에 대해 전류 밀도 18mA/cm2에서 발광 휘도 1,205cd/m2의 녹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165mA/cm2로 유지하면서, 100시간 연속해서 소자를 구동시켰다. 그 결과, 이 소자의 초기 휘도에 비해 100시간 구동 후의 이 소자의 휘도 열화율은 8% 이하 정도로 작았다.
<실시예 10>
실시예 6에 있어서, 발광층의 게스트를 예시 화합물 D-49로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6.1V의 인가 전압을 걸었다. 그 결과, 이 소자에 대해 전류 밀도 18mA/cm2에서 발광 휘도 1,250cd/m2의 녹색 발광이 관측되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전류 밀도를 165mA/cm2로 유지하면서, 100시간 연속해서 소자를 구동시켰다. 그 결과, 이 소자의 초기 휘도에 비해 100시간 구동 후의 이 소자의 휘도 열화율은 8% 이하 정도로 작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의 청구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과 등가의 구성 및 기능을 모두 망라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출원은, 전체로서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2007년 5월 16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130526호와 2008년 4월 2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95673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Figure 112011047104721-pct00017
    (일반식 (I)에 있어서,
    R11, R12, R13, R14, R16, R17, R18, R19, R21, R22는 수소 원자이고,
    R15, R20은 수소 원자와 치환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지만, 적어도 어느 한쪽은 치환기이고, 상기 치환기는 나프틸기, 벤조플루오란테닐기, 플루오레닐기, 플루오레닐레닐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치환기는 메틸기, 에틸기, 플루오레닐기, 벤조[a]플루오란테닐기, 페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져도 됨)
  2.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구조식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Figure 112011047104721-pct00026
    Figure 112011047104721-pct00027
  3. 삭제
  4. 삭제
  5.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끼워지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이 제1항에 기재된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을 적어도 1 종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이 발광층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유기 발광 소자, 컬러 필터막,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컬러 필터막을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구조체.
  9.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 기판을 포함하는 탑 에미션 구조체.
KR1020097016883A 2007-05-16 2008-05-15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103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0526 2007-05-16
JPJP-P-2007-130526 2007-05-16
JPJP-P-2008-095673 2008-04-02
JP2008095673A JP5361237B2 (ja) 2007-05-16 2008-04-02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PCT/JP2008/059393 WO2008140134A1 (en) 2007-05-16 2008-05-15 Benzo[a]fluoranthene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927A KR20090122927A (ko) 2009-12-01
KR101103225B1 true KR101103225B1 (ko) 2012-01-05

Family

ID=4000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883A KR101103225B1 (ko) 2007-05-16 2008-05-15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8668B2 (ko)
EP (1) EP2162415B1 (ko)
JP (1) JP5361237B2 (ko)
KR (1) KR101103225B1 (ko)
CN (1) CN101558028B (ko)
WO (1) WO2008140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4681B2 (ja) * 2008-04-01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5452881B2 (ja) * 2008-04-23 2014-03-2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薄膜太陽電池用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薄膜太陽電池
JP5335284B2 (ja) * 2008-05-22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KR20110008892A (ko) * 2009-07-21 2011-01-27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721475B2 (ja) * 2009-10-01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インデノピセン化合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有機発光素子
JP5725928B2 (ja) * 2011-03-29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新規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5830967B2 (ja) * 2011-06-29 2015-12-0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化合物
KR101913458B1 (ko) * 2015-04-23 2018-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7073933A1 (ko) * 2015-10-26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0177B1 (ko) 2015-10-26 201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00171B1 (ko) 2015-10-28 201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피로형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7033397B2 (ja) * 2016-03-29 2022-03-10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6853A1 (en) 2002-04-24 2004-04-22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s with improved operational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042B2 (ja) * 1996-11-07 2006-12-06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3855372B2 (ja) * 1997-06-09 2006-12-0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42989B1 (ko) * 1999-09-30 2008-07-0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발광 소자
JP4024009B2 (ja) * 2000-04-21 2007-12-19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4562884B2 (ja) * 2000-08-25 2010-10-1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936170B2 (ja) * 2001-11-07 2007-06-2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トップエミッションタイプ有機el素子
JP2004002351A (ja) 2002-03-27 2004-01-08 Tdk Corp 有機el素子
JPWO2004096945A1 (ja) * 2003-05-01 2006-07-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1,3,6,8−四置換ピレン化合物、有機el素子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07027356A (ja) * 2005-07-15 2007-02-01 Toyo Ink Mf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
US20090066227A1 (en) * 2005-12-20 2009-03-12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5317414B2 (ja) * 2006-04-20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ベンゾアントラセ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2007308477A (ja) * 2006-04-20 2007-11-29 Canon Inc 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4164514B2 (ja) * 2006-04-28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4227628B2 (ja) * 2006-04-25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化合物および有機発光素子
JP4818159B2 (ja) * 2006-04-27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ルオランテ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JP4819655B2 (ja) * 2006-04-27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4−アリールフルオレ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4827775B2 (ja) * 2007-03-13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JP2008263112A (ja) * 2007-04-13 2008-10-30 Canon Inc ジベンゾフルオランテン誘導体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159164B2 (ja) * 2007-05-14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ンゾ[ghi]フルオランテン誘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441348B2 (ja) * 2007-05-16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361238B2 (ja) * 2007-05-16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ンゾ[a]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6853A1 (en) 2002-04-24 2004-04-22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s with improved operational stabil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NG et al. Chem. Mater. 2003, 15, 4854-48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8028B (zh) 2013-01-23
CN101558028A (zh) 2009-10-14
US20100019661A1 (en) 2010-01-28
JP5361237B2 (ja) 2013-12-04
JP2008308485A (ja) 2008-12-25
WO2008140134A1 (en) 2008-11-20
US8138668B2 (en) 2012-03-20
EP2162415A1 (en) 2010-03-17
KR20090122927A (ko) 2009-12-01
EP2162415B1 (en) 2013-07-31
EP2162415A4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225B1 (ko)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098704B1 (ko)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4659695B2 (ja) フルオレン化合物及び有機発光素子
JP5252960B2 (ja) 縮合環芳香族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KR101037664B1 (ko) 신규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5335284B2 (ja) 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WO2008111540A1 (en) Fused ring aromat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ing same
KR101098612B1 (ko) 벤조[a]플루오란텐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5414258B2 (ja) ベンゾインデノクリセ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US8318326B2 (en) Fused poly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5495665B2 (ja) 有機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5774076B2 (ja) ベンゾインデノクリセ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JP2009040723A (ja) フルオランテン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