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89B1 -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 Google Patents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89B1
KR101102989B1 KR1020090005523A KR20090005523A KR101102989B1 KR 101102989 B1 KR101102989 B1 KR 101102989B1 KR 1020090005523 A KR1020090005523 A KR 1020090005523A KR 20090005523 A KR20090005523 A KR 20090005523A KR 101102989 B1 KR101102989 B1 KR 10110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power supply
drive motor
inert atmospher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52A (ko
Inventor
이은표
정원명
홍동희
구정회
이원경
조일제
권기찬
유길성
김호동
주용선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2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 크레인에 트롤리 홀더를 설치하여 트롤리가 트롤리 홀더에서 완전히 분리 및 접속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트롤리에 설치되는 인양 구동 모터, 횡행 및 주행 구동 모터, 트롤리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력공급부가 완전히 분리 및 접속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트롤리 접속용 후크가 설치된 인양호스트 그리고 크레인에 전원공급을 위해 설치된 피드쓰루에 발생한 실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한 이중실링 구조를 구성므로서 원격으로 천장크레인을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크레인은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양구동모터(1), 1차전원공급장치(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모터전원공급장치(109), 상기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구동모터(2), 상기 전후구동모터(2)는 커플링(6)에 의해서 감속기(7)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7)의 양측에 구비된 커플링(8)을 매개로 회전축을 통해 연결된 트롤리 바퀴(10), 트롤리(100)의 측면 외각에 접하며 인양호스트(104)의 트롤리접속후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양돌출봉(22)을 포함하는 트롤리(100); 상기 트롤리바퀴(10)에 아랫방향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트롤리바퀴(10)와 접촉 구비되는 레일(26), 상기 레일(26)이 하측에 연결된 트롤리거더(103),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26)에서 수평방향 바깥 양측에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구비된 가이드레일(25),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25)의 상측에 접촉 구비된 레일블럭(24), 상기 레일블럭(24)이 하부에 고정된 트롤리홀더프레임(23),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6)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1차전원공급장치(106)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1차전원공급장치연결부(106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6)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트롤리홀더(102),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하부에 구비된 트롤리거더바퀴(58), 상기 트롤리거더바퀴(58)에 좌우주행모터출력축(57)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하부에 베벨기어(25)가 구비된 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하는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인의 트롤리 수용부; 상기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인의 상부 일정 위치에서 상기 인양돌출봉(21)과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와 조인트(402)에 의해서 연결된 상하이동체인(201), 상기 상하이동체인(201)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이동모터(202)를 구비한 인양호스트(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원격보수수장치를 개시한다.
천장크레인, 불활성 분위기 셀, 호이스트

Description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OVERHEAD CRANE FOR INERT ATMOSPHERE CELL}
본 발명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핵물질을 취급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 내에 설치된 천장 크레인 운영 중 크레인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로 인한 부품교환 및 수리의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 수리가 필요한 부품을 원격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출입이 없이도 고장 난 부품을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핵물질을 취급하는 시설 또는 셀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천장 크레인은 횡행 및 주행 구동장치 그리고 인양 호이스트 장치로 조립되어 있었다. 이들 각각의 부품들은 기계구조물 뿐 아니라 전원공급과 신호전달을 위한 전기공급장치의 설치 및 전선의 연결에 있어서 서로 완전히 분리하거나 접속할 수 없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핵물질을 취급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 내에 설치된 천장 크레인의 운영 중 크레인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로 인한 부품교환 및 수리의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가 불활성 분위기 셀 내에 출입을 하여 작업을 하여왔 다.
작업자가 셀 내에 출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셀 내부 제염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후 셀 내를 공기 분위기로 전환한 후 셀 내로 출입이 가능하다. 셀 내의 작업이 끝난 후 불활성 가스 분위기 셀은 다시 공기 분위기로 전환을 하여야 했다.
셀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공기분위기로 또는 공기 분위기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전환하는 데는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이 있어왔다.
또한 불활성 가스는 인체에 치명적일뿐 아니라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 및 출입문 개폐로 인한 방사선물질의 셀 외부 누출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 크레인에 트롤리 홀더를 설치하여 트롤리가 트롤리 홀더에서 완전히 분리 및 접속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트롤리에 설치되는 인양 구동 모터, 횡행 및 주행 구동 모터, 트롤리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력공급부가 완전히 분리 및 접속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트롤리 접속용 후크가 설치된 인양호스트 그리고 크레인에 전원공급을 위해 설치된 피드쓰루에 발생한 실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한 이중실링 구조를 구성하므로서 원격으로 천장크레인을 유지보수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양구동모터(1), 1차전원공급장치(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모터전원공급장치(109), 상기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구동모터(2), 상기 전후구동모터(2)는 커플링(6)에 의해서 감속기(7)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7)의 양측에 구비된 커플링(8)을 매개로 회전축을 통해 연결된 트롤리 바퀴(10), 트롤리(100)의 측면 외각에 접하며 인양호스트(104)의 트롤리접속후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양돌출봉(22)을 포함하는 트롤리(100); 상기 트롤리바퀴(10)에 아랫방향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트롤리바퀴(10)와 접촉 구비되는 레일(26),상기 레일(26)이 하측에 연결된 트롤리거더(103)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26)에서 수평방향 바깥 양측에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구비된 가이드레일(25),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25)의 상측에 접촉 구비된 레일블럭(24), 상기 레일블럭(24)이 하부에 고정된 트롤리홀더프레임(23),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1차전원공급장치(106)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1차전원공급장치연결부(106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트롤리홀더(102),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하부에 구비된 트롤리거더바퀴(58), 상기 트롤리거더바퀴(58)에 좌우주행모터출력축(57)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하부에 베벨기어(25)가 구비된 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하는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인의 트롤리 수용부; 상기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 인의 상부 일정 위치에서 상기 인양돌출봉(21)과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와 조인트(402)에 의해서 연결된 상하이동체인(201), 상기 상하이동체인(201)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이동모터(202)를 구비한 인양호스트(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원격보수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 상기 1차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6), 마그네틱자석전원공급장치(107),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 예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10)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천장크레인 트롤리 원격수리장치에 있어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급전원선(27)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2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을 수용하는 비전도체(29),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30),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된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3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이 고정된 비전도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 상기 1차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6), 마그네틱자석전원공급장치(107),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 예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10)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천장크레인 트롤리 원격수리장치에 있어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급전원선(28)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2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을 수용하는 비전도체(29), 상기 상부전 도체전극봉(28)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30),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된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3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이 고정된 비전도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후구동모터(12), 예비전후구동모터(13), 좌우주행모터(50), 예비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천장크레인 트롤리 원격수리장치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급전원선(74)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6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을 수용하는 비전도체(69),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70),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된 공급전원선(7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7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이 고정된 비전도체(72), 상기의 각각의 모터(12,13,50,60)의 하단부에 구비된 탈착이 가능한 맞물림클러치(3a,3b,3c,3d), 상기의 각각의 모터(12, 13 ,50, 60)를 수용하는 프레임(75)의 상측말단에 구비된 후크(12), 상기 맞물림 클러치( 3a, 3b, 3c, 3d)와 상기 프레임(75)을 입출(入出)이 가능도록 수용하는 모터 클러치 홀더(11a, 11b, 11c, 11d)를 구비하고, 상기 인양호스트(104)의 하측말단에 상기 조인트(402)와 연결되어 상기 후크(12)와 탈착이 될 수 있는 모터접속후크(64)를 구비한 상기 인양호스트(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원격보수장치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불활성 기체 천장크레인 트롤리 원격수리장치에 있어서,
에이셀과 불활성기체 셀의 사이에 압입된 이중실링(83), 상기 이중실링(83)의 중간부에 연결된 불활성기체검출기 연결구(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에 의하면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 크레인 트롤리 홀더에서 트롤리를 원격으로 완전 분리 및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서 트롤리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할 때 트롤리를 셀 바닥으로 이동시켜 원격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리완료 후 원격 재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주행 및 횡행 주 모터 손상시 예비 보터를 사용하여 인양장치까지 트롤리거더 및 트롤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주행 및 횡행모터 그리고 리미트의 전원공급장치를 원격으로 분리 및 접속할 수 있으므로 모터 및 리미트 스위치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됨으로서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셀 내 출입해야하는 경우 선행되어야 하는 셀 내 제염 및 불활성 분위기 해제의 빈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피드쓰루를 이중실링 구조로 하고 불활성기체검출기를 구비하므로 서 셀 내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실링의 상태를 신속히 확인 대처를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원격보수장치의 구성은 트롤리(100), 트롤리 홀더(102) 및 트롤리 거더(103)와 인양호스트(104)로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롤리(100)는 측면도에서 봤을 때 하부에 구비된 이송수단에 의해서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트롤리 홀더(102)는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트롤리(100)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트롤리 거더(103)는 하부에 구비된 이송수단에 의해서 측면도에서 봤을 때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인양호스트(104)는 트롤리(100)에 고장이나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생겼을 때 트롤리(100)를 원격에 의해서 분리하고 작업이 끝났을 때 트롤리 홀더(102)에 안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2는 트롤리가 인양호스트에 의해서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정면도의 확대도이고 도4는 도2의 측면도의 확대도이며 도5는 도2의 평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트롤리(100)는 크게 전원공급부, 모터부, 이송장치부, 인양돌출봉, 전후리미트스위치(19)로 나눌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1차전원공급장치(106), 전후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9),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 마그네틱자석클러치전원공급장치(107), 예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10), 전후리미트스위치 전원공급장치(108)를 포함한다.
1차전원공급장치(106)는 1차적으로 유입된 전력을 전후 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와 예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10)에 나누어주는 기능을 한다.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는 트롤리(100)에 수용되어 있는 전후구동모터(2)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전원공급장치(107)는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 14c)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전후리미트스위치전원공급장치(108)는 전후리미트스위치(19,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상기의 전원공급장치들(106, 109, 105, 107, 110, 108)은 반드시 별개로 구비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통합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를 택할 수도 있다.
모터부는 전후구동모터(2), 예비구동모터(110), 인양구동모터(1)를 포함한다.
인양구동모터(1)는 트롤리(100)의 하부에 구비된 후크(18)를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전후구동모터(2)는 출력축(9)에 연결된 트롤리바퀴(10)에 회전력을 제공함에 의해서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이 측면도에서 봤을 때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예비전후구동모터(13)는 예비전후구동모터(13)의 출력축과 맞물림클러치(3b) 사이에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를 구비한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는 전후구동모터(2)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체결되지 않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체결된다. 이로서 예비전후구동모터(13)는 전후구동모터(2)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예비적으로 출력축(9)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송장치부는 커플링(6, 8), 출력축(9),및 감속기(7)를 포함한다.
전후구동모터(2)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커플링(6)으로 연결된 감속기(7)에 제공된다. 감속기(7)에서 조절된 회전력은 감속기(7)의 양측 면에 구비된 커플링(8)을 통해서 출력축(9)에 전달이 된다. 출력축(9)의 양 끝단에 고정된 트롤리바퀴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인양돌출봉(21)은 트롤리(100)의 양측 면에 위치하고 있다. 인양돌출봉(21)은 트롤리(100)가 인양호스트(104)에 의해서 인양시 도 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트롤리접속후크(22)와 체결된다.
인양돌출봉(21)은 트롤리(100)가 인양호스트(104)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트롤리(100)의 양측 일정위치에 4개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리미트스위치(19, 20)는 트롤리(100)의 아랫면에 구비되어 천장크레인이 전후로 이동할 때 안전영역에서 작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서 안전영역의 양측 끝단에 전후리미트스위치(19,20)에 정지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도그(82)를 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1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의 트롤리의 수용부는 크게 트롤리홀더(102), 전원공급장치 연결부, 모터부, 이송장치부로 구성된다.
트롤리홀더(102)는 분리 및 접속이 가능하게 구비된 트롤리(10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트롤리홀더(102)의 상측 내면에는 트롤리경사면(402)을 구비한다. 트롤리경사면(402)은 트롤리(100)가 트롤리홀더(102)에 안착될 때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트롤리경사면(402)을 따라 미끄러져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공급장치 연결부는 1차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6a), 인양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마그네틱자석클러치 전원공급장치연결부(107a), 및 전후리미트스위치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8a)를 포함한다.
도 6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 크레인의 모터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106a, 107a, 108a)는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5)은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5)의 상부에는 레일블럭(24)이 접촉 구비되어 있다. 레일블럭(24)은 트롤리홀더 프레임(23)에 고정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5)과 레일블럭(24)이 접촉 구비 됨에 의해서 결합된 전원공급장치(105, 106, 107, 108)와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106a, 107a, 108a)는 트롤리(100)의 전후이동시 같이 이동하게 되어 공급전원선(33)의 단선을 막을 수 있다. 결합되어 있는 트롤리홀더프레임(23), 스틸플레이트(35), 및 비전도체(32)는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 전극봉(31)을 수용하고 있다.
모터부는 좌우주행모터(50), 예비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한다.
좌우주행모터(50)는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예비좌우구동모터(60)는 예비좌우구동모터(60)의 출력축과 맞물림클러치(3c) 사이에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c)를 구비한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c)는 좌우주행모터(5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체결되지 않고 작동하지 않을 때는 체결된다. 이로써 예비좌우주행모터(60)는 좌우주행모터(5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예비적으로 출력축(57)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송장치부는 레일(26), 가이드레일(25), 레일블럭(24), 감속기(55), 케이블베어(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26)은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고 트롤리바퀴(10)의 대응되는 하부에 위치에 접촉 구비된다. 트롤리바퀴(10)가 회전하면 레일(26)과의 마찰에 의해서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이 전후로 이동된다. 또한 레일(26)은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이 정해진 궤적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좌우주행모터 전원공급부(112)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 좌우주행모터(50)는 커플링(54)을 통해 감속기(55)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감속기(55)에 의해서 조절된 회전력은 양측에 구비된 커플링(56)을 통해 출력축(57)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출력축(57)은 양끝단에 있는 고정 구비된 트롤리거더바퀴(58)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은 좌우로 이동된다.
트롤리거더바퀴(58)의 하부에 접촉 구비되는 레일(59)은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이 정해진 궤적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블베어(27)는 좌우주행모터(60)와 트롤리홀더(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불활성기체 분위기 셀의 크레인이 이동시 케이블이나 전선을 보호하면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7은 천장 크레인의 모터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 6과 도7을 참조하여 전원공급장치(105, 106, 107, 108)와 전원공급장치연결부(105a, 106a, 107a, 108a)의 체결상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트롤리(100)는 측면에 수급전원선(27)을 수용한 전원공급장치 브라켓(34)을 구비한다. 전원공급장치 브라켓(34)의 하부 말단에서 상부전도체전극봉(28)은 수급전원선(27)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부전도체전극봉(28)은 비전도체(29)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상부전도체전극봉(28)의 외주면에는 압축스프링(30)이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끼워지게 된다. 상부전도체전극봉(28)의 하부말단의 외경을 압축스프링(30)보다 크게 구비하여 압축스프링(30)의 이탈을 막는다.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구비된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31)은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전원공급장치(105, 106, 107, 108)가 전원공급장치연결부(105a, 106a, 107a, 108a)에 연결시 압축스프링(30)은 탄성력을 통해 하부 전도체전극봉(31)과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의 밀착압력을 제공하여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더불어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 하부전도체전극봉(31)의 구성을 바꾸어 하부전도체전극봉(31)에 압축스프링(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105, 106, 107, 108)와 전원 공급장치연결부(105a, 106a, 107a, 108a)의 체결장치를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8은 호이스트를 이용 크레인의 본체로부터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를 분리 인양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9는 천장크레인의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10은 천장크레인의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분리 가능한 모터(2,50)는 프레임(75), 맞물림클러치(3a,3d), 모터클러치홀더(11), 후크(12), 모터접속후크(64), 및 전원공급장치와 전원공급장치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75)은 모터(2,50)와 맞물림클러치(3)를 수용하고 있다.
프레임(75)을 상측 말단에는 후크(12)를 구비한다. 후크(12)는 인양 호이스트(104)의 말단에 구비된 모터접속후크(64)와 체결 또는 분리된다. 맞물림클러치(3a, 3d)는 모터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맞물림클러치(3a, 3d))의 체결 에 의해 트롤리바퀴(10)와 트롤리거더바퀴(58)에 전달한다. 모터클러치홀더(11)는 맞물림클러치(3a,3c)의 하단체결부를 수용하고 있고 프레임(75)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모터클러치홀더(11)는 상부에 모터클러치홀더경사면(11a', 11d')을 구비한다. 모터클러치홀더경사면(11a',11d')은 프레임(75)이 모터클러치홀더(11)에 결합시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정확하게 체결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전후구동모터(2)와 좌우주행모터(50)의 전원공급장치와 전원공급장치연결부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6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원공급장치(105, 106, 107, 108)와 전원공급장치연결부(105a, 106a, 107a, 108a)의 체결상태와 동일한바 상기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1은 천장크레인의 예비전후구동모터와 예비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2는 천장크레인의 예비전후구동모터와 예비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전후구동모터(13)와 예비좌우주행모터(60)의 구성과 전원 및 신호선의 연결 상태는 전후구동모터(2)와 좌우주행모터(50)의 구성과 전원 및 신호선의 연결 상태의 차이점은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의 구비여부이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는 예비전후구동모터(13)와 예비좌우주행모터(60)의 출력축과 맞물림클러치(3b,3c)의 사이에 구비된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는 전력의 공급여부에 따라 자력이 발생이 단속된다. 즉, 전력의 공급이 있는 경우 자력이 생겨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는 체 결되고 예비전후구동모터(13)와 예비좌우주행모터(60)의 출력축의 회전력은 전달된다. 반대로 전력의 공급이 없는 경우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는 분리되고 예비좌우주행모터(60)의 출력축의 회전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마그네틱자석클러치(14b,14c)는 회전력을 신뢰성 있게 단속하므로 서 전후구동모터(2)와 좌우주행모터(5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 예비전후구동모터(13)와 예비좌우주행모터(60)의 오작동으로 인한 전후구동모터(2)와 좌우주행모터(5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기능도 더불어 한다.
도 13은 상하측 맞물림클러치의 측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 3a', 3b', 3c', 3d')의 끝부분을 뾰족하게 구비하므로 서 프레임(75)을 모터 및 클러치홀더(11)에 안착시킬 때 상하측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 3a', 3b', 3c', 3d')가 임의 각도 위치에서도 원활히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4는 천장크레인의 크레인거더 좌우구동리미트의 설치 개념 및 플랜지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에어 셀과 불활성 기체 셀을 분리하는 벽면에 크레인거더좌우구동리미트(77)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전거리를 두고 설치하므로서 불활성 분위기 천장크레인이 좌우로 이동할 때 안전영역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4의 확대도는 피드쓰루(81)의 이중실링(83)을 나타낸 것이다. 이중실링(83)사이에는 일정한 압력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여기에 불활성기체검출기 연결구(84)를 위치시킴으로서 실링(83)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천장크레인의 트롤리 리미트스위치의 설치개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트롤리 리미트 스위치(19,20)는 트롤리거더103)의 상부 전후 양측에 구비된 도그(82)에 접촉시 불활성기체 셀의 천장크레인이 더 이상 이동을 멈추는 기능을 한다. 이로서 불활성기체 셀의 천장크레인은 전후이동시 안전영역에서 작동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원격보수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트롤리가 인양호스트에 의해서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2의 정면도의 확대도,
도 4는 도2의 측면도의 확대도,
도 5는 도2의 평면도의 확대도,
도 6은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 크레인의 모터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측면도,
도 7은 천장 크레인의 모터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호이스트를 이용 크레인의 본체로부터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를 분리 인양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천장크레인의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천장크레인의 전후구동모터와 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11은 천장크레인의 예비전후구동모터와 예비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선의 전극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천장크레인의 예비전후구동모터와 예비좌우주행모터의 전원 및 신호 선의 전극봉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3은 상하측 맞물림클러치의 측면도와 평면도,
도 14는 천장크레인의 크레인거더 좌우구동리미트의 설치 개념 및 플랜지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천장크레인의 트롤리 리미트스위치의 설치개념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양구동모터 2: 전후구동모터
3, 3a, 3b, 3c, 3d, 3a', 3b', 3c', 3d': 맞물림클러치
10: 트롤리바퀴
11a, 11b, 11c, 11d: 모터클러치홀더
11a', 11b', 11c', 11d': 모터클러치홀더경사면
13: 예비전후구동모터 14b, 14c: 마그네틱클러치
19, 20: 전후리미트 스위치 21: 인양돌출봉
24: 레일블럭 25: 가이드레일
26: 레일 28: 상부전도체전극봉
29: 비전도체 30: 압축스프링
31: 하부전도체전극봉 32: 비전도체
33: 공급전원선 50: 좌우주행모터
60: 예비좌우주행모터 75: 프레임
82: 도그 83: 이중실링
84: 불활성기체검출기 100: 트롤리 102: 트롤리홀더 103: 트롤리거더 104: 인양호스트 105: 인양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 105a: 인양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연결부 106: 1차전원공급장치 106a: 1차전원공급장치연결부
107: 마그네틱자석클러치전원공급장치
107a: 마그네틱자석클러치전원공급장치연결부
108: 전후리미트스위치전원공급장치
108a: 전후리미트스위치전원공급장치연결부
109: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
110: 예비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
111: 예비좌우주행모터전원공급장치
112: 좌우주행모터전원공급장치

Claims (16)

  1.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양구동모터(1),
    1차전원공급장치(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
    상기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후구동모터(2),
    상기 전후구동모터(2)는 커플링(6)에 의해서 감속기(7)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7)의 양측에 구비된 커플링(8)을 매개로 회전축을 통해 연결된 트롤리 바퀴(10),
    트롤리(100)의 측면 외각에 접하며 인양호스트(104)의 트롤리접속후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구비된 인양돌출봉(21)을 포함하는 트롤리(100);
    상기 트롤리바퀴(10)에 아랫방향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트롤리바퀴(10)와 접촉 구비되는 레일(26),
    상기 레일(26)이 상부에 고정 연결된 트롤리거더(103),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26)에서 수평방향 바깥 양측에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구비된 가이드레일(25),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25)의 상측에 접촉 구비된 레일블럭(24),
    상기 레일블럭(24)이 하부에 고정된 트롤리홀더프레임(23),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고정 구비된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 연결부(105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1차전원공급장치(106)에 수직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한 1차전원공급장치연결부(106a),
    상기 트롤리홀더프레임(23)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트롤리홀더(102),
    상기 트롤리거더(103)의 하부에 구비된 트롤리거더바퀴(58),
    상기 트롤리거더바퀴(58)에 좌우주행모터출력축(57)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하부에 베벨기어(25)가 구비된 좌우주행모터(50)를 포함하는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인의 트롤리 수용부; 및
    상기 불활성 셀의 천장 크레인의 상부 일정 위치에서 상기 인양돌출봉(21)과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와 조인트에 의해서 연결된 상하이동체인(201),
    상기 상하이동체인(201)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이동모터(202)를 구비한 인양호스트(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접속후크(22)의 하측방향 말단에 경사면(4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홀더(102)의 상측 내면에 트롤리홀더 경사면(4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00)의 하단부에 전후리미트스위치(19, 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구동모터(2)와 결속되는 상부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의 하단부에 구비된 베벨기어(4,16), 상기 베벨기어(4,16)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예비전후구동모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와 하부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 끝단을 뾰족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전후구동모터(13)와 맞물림클러치(3b)의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자석클러치(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주행모터(50)와 결속되는 맞물림클러치(3d)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베벨기어(52), 상기 베벨기어(52)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예비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클러치(3d)의 상부와 하부 끝단을 뾰족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된 상기 예비좌우주행모터(60)와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클러치(3c)의 사이에 마그네틱 자석클러치(14c)가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105), 상기 1차전원공급장치(106), 마그네틱자석전원공급장치(107), 전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09), 예비구동모터전원공급장치(110)를 구비하는 트롤리(100),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급전원선(27)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2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을 수용하는 비전도체(29),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30),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과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된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3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이 고정된 비전도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공급전원선(33)이 연결된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을 수용하는 비전도체(32),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30),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31)과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상부위치에 구비된 수급전원선(27)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2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28)이 고정된 비전도체(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3. 제1항에 있어서,
    전후구동모터(2), 예비전후구동모터(13), 좌우주행모터(50), 예비좌우주행모터(60)를 포함하며,
    상하이동이 가능한 수급전원선(67)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6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을 수용하는 비전도체(69),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압입된 압축스프링(70),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과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는 대응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된 공급전원선(73)이 연결된 하부전도체전극봉(7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이 고정된 비전도체(72), 상기의 각각의 모터(12, 13, 50, 60)의 하단부에 구비된 탈착이 가능한 맞물림클러치(3a, 3b, 3c, 3d),
    상기의 각각의 모터(12,13,50,60)를 수용하는 프레임(75)의 상측말단에 구비된 후크(12),
    상기 맞물림 클러치( 3a,3b,3c,3d)와 상기 프레임(75)을 입출(入出)이 가능도록 수용하는 모터 클러치 홀더(11a, 11b, 11c, 11d)를 구비하고,
    상기 인양호스트(104)의 하측말단에 상기 조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후크(12)와 탈착이 될 수 있는 모터접속후크(64)를 구비한 상기 인양호스트(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클러치 홀더(11a, 11b, 11c, 11d)의 상부에 모터클러치홀더 경사면(11a', 11b', 11c', 11d'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된 공급전원선(74)이 연결된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의 외주면에 탄성이 있는 상태로 끼워진 압축스프링(70),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을 수용하는 비전도체(72), 상기 하부전도체전극봉(71)과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상부위치에 구비된 수급전원선(67)이 연결된 상부전도체전극봉(68), 상기 상부전도체전극봉(68)이 고정된 비전도체(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16. 제 1항에 있어서,
    에이셀과 불활성기체 셀의 사이에 압입된 이중실링(83), 상기 이중실링(83)의 중간부에 연결된 불활성기체검출기연결구(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KR1020090005523A 2009-01-22 2009-01-22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KR10110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23A KR101102989B1 (ko) 2009-01-22 2009-01-22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23A KR101102989B1 (ko) 2009-01-22 2009-01-22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52A KR20100086252A (ko) 2010-07-30
KR101102989B1 true KR101102989B1 (ko) 2012-01-05

Family

ID=4264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23A KR101102989B1 (ko) 2009-01-22 2009-01-22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2286B (zh) * 2013-07-03 2015-07-15 珠海一多监测科技有限公司 一体式单轨滑线取电机构
KR102375171B1 (ko) 2015-05-08 2022-03-15 조성진 가로등, 신호등, 도로 표지판, 타워 폴을 포함한 각종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586987B1 (ko) 2015-09-04 2016-01-20 (주)청산가로등주 자중에 의한 편심 이동식 조립구조와 풀림 방지용 고밀착 지지부재를 갖는 도로 시설용 조립식 지주
KR101895805B1 (ko) 2018-03-09 2018-09-07 오정숙 안전성과 유지관리 성능 및 정위치 세팅 조립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된 다단 조립식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2293331B1 (ko) 2021-06-18 2021-08-24 ㈜엘피테크 3축(x,y,z) 동시 가압 고정구조와 지주의 회전방지 구조 및 자중 슬립식 밀착고정 구조 그리고 고강도 지지보강 구조를 갖는 가로등주
KR102383978B1 (ko) * 2022-02-09 2022-04-08 두텍 주식회사 안전 래칫암을 구비한 rmqc 트롤리 레일 정비용 트롤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806A (ko) * 1989-09-19 1991-04-27 성흥경 진모에 가까운 브러쉬용 합성수지제 털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186862Y1 (ko) 1999-12-28 2000-06-15 이재원 트롤리 바
KR200195460Y1 (ko) 2000-03-28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 트롤리바의 집전장치
KR20010086862A (ko) * 2000-03-03 2001-09-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패널 주입구 봉지장치 및 방법
KR20010095460A (ko) * 2000-03-30 2001-11-07 한민홍 저속주행 시 전방차량을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따라가는자율주행 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806A (ko) * 1989-09-19 1991-04-27 성흥경 진모에 가까운 브러쉬용 합성수지제 털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186862Y1 (ko) 1999-12-28 2000-06-15 이재원 트롤리 바
KR20010086862A (ko) * 2000-03-03 2001-09-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패널 주입구 봉지장치 및 방법
KR200195460Y1 (ko) 2000-03-28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 트롤리바의 집전장치
KR20010095460A (ko) * 2000-03-30 2001-11-07 한민홍 저속주행 시 전방차량을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따라가는자율주행 방법과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52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89B1 (ko) 불활성 분위기 셀의 천장크레인
US9623755B2 (en) Overhead power grid for mobile mining machines
US10899369B2 (en) Electric rail carriage
KR20120051013A (ko) 전력 공급 유닛, 육상 차량, 육상 차량에 포함된 전력 공급 유닛의 교환 방법 및 교환소
KR101656805B1 (ko)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JP2008222032A (ja) 電気自動車用ケーブル接続構造
CN206938908U (zh) 一种自清障agv小车
WO2020066097A1 (ja) 無人搬送車並びに電池の交換方法および充電方法
JP6319069B2 (ja) 走行設備
CN109334500A (zh) 用于自动导引运输车的自动充电对接机及自动导引运输车
US20150283910A1 (en) Energy transmission device and energy transmission system
CN109782170B (zh) 不抽转子的发电机膛内智能检测系统
CN209209753U (zh) 一种用于皮带物料输送的电动三通装置
CN107921874A (zh) 具有用于紧急情况的自动能量供应装置的运输车
GB2539301A (en) Overhead power grid for mobile mining machines
JP2016117476A (ja) 材料の移送および運搬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CN210006614U (zh) 开关箱,具有该开关箱的控制系统以及有轨电车
CN218677779U (zh) 一种自动插拔供电系统
JP2013172548A (ja) 無接点電力伝送装置の埃除去装置
GB2549489A (en) Convertible electric rail carriage
JPS61211176A (ja) 自動点検・作業装置
CN210272288U (zh) 晶圆搬送装置、故障救援系统
JP6491967B2 (ja) ハイブリッド鉄道車両の充電制御装置
CN217818080U (zh) 旋转矿热炉自动上电系统
CN216736151U (zh) 一种自动化输送线运输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