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757B1 -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757B1
KR101098757B1 KR1020097015169A KR20097015169A KR101098757B1 KR 101098757 B1 KR101098757 B1 KR 101098757B1 KR 1020097015169 A KR1020097015169 A KR 1020097015169A KR 20097015169 A KR20097015169 A KR 20097015169A KR 101098757 B1 KR101098757 B1 KR 10109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uorescent tube
contact
spr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038A (ko
Inventor
타케하루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관(CCFL관)과 인버터 기판의 전기적 접속을 목적으로 한, 가격이 저렴하며 조립작업성이 향상된 액정패널용 백라이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10a)는, 콘택트(2)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1)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2)는, 상기 하우징(1)에 유지되는 유지부, 형광관의 접속부(51)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18)와,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19)를 가진다. 상기 제 1 접속부(18)는 상기 유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플로팅부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유지부의 타단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BACKLIGHT ASSEMBLY AND CONNECTOR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패널용 백라이트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백라이트에 이용되는 형광관은, 유리관으로 이루어진 램프와, 램프의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듀멧(dumet)선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형광관의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램프접속부재(커넥터)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콘택트로 이루어진다. 콘택트는 대략 H자 형상인 평면전극부와,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형상 전극부와, 그 양측에 형성된 호(弧)형상 전극부와, 호형상 전극부에 연속되며 각각 굴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중간부분은, 상호간이 일단 좁아졌다가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간에 원형의 공간을 가지는 램프 유지부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선단측부분은, 상호간이 열린 구조로 되어 있다.
램프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 예컨대, 듀멧선이, 한 쌍의 아암의 상호간이 열린 선단측부분으로부터, 램프 유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입력단자를 분리시킬 때에도, 형광램프를 램프접속부재로부터 분리하도록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램프를 간단하고 쉽게 램프접속부재에 대해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커넥터의 경우, 형광관은, 선단이 구형(球刑)으로 형성된 듀멧선을 가진다. 형광관은, 램프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램프 홀더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의 인가를 받아 광을 출사한다. 램프 홀더는, 형광관에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전원인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인가부재는, 형광램프의 듀멧선에 접속되는 전원인가단자를 가진다. 상기 전원인가단자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을 가진다. 형광관은, 듀멧선의 구형 부분에 의해, 전원인가단자로부터 램프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커넥터는, 폴더 캡 및 연결 플레이트의 부재비용이 든다. 또한, 램프(CCFL관)를 삽입한 후, 접촉력을 확보하기 위해 커넥터의 폴더 캡을 끼워넣는 작업 공정수, 및 커넥터 연결 플레이트에 삽입하고, 연결 플레이트의 판금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 공정수가 늘어난다.
또한, 커넥터 실장시 및 기판 고정시에 θ편차가 발생한 경우, 접속부가 듀멧선이기 때문에, 직접 듀멧선(53) 근원의 유리부에 부하가 걸려, 유리 파손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램프 교환시에는, 램프의 분리가 곤란해져, 다른 부품도 교환할 수 밖 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덮개를 매립하여 강제적으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덮개의 부품비용 및 덮개를 끼워넣는 작업이 가산된다.
특허문헌 3에 나타낸 커넥터는, W형 형광관의 양단에, 캡형상의 페룰(ferrule)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페룰을 삽입한 형광관 벽을 실리콘 접착재에 의해 고정시키고, 또한 페룰의 외측면부분에, 형광관의 양(兩) 단자인 듀멧선을 관통시켜 외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납땜하였다.
상기 형광관은, 반사판과 유지부재인 콘택트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콘택트는, 형광관의 고압측과 접지(ground)측에 각각 동일형상의 것을 1개씩 설정하였다. 콘택트는, 형광관을 유지하기 위해 형광관의 양단에 설치한 페룰을, 형광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고 유지하는 스프링성을 구비한 동일형상의 한 쌍의 플랜지와, 형광관의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상기 플랜지와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선단측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빠짐 방지를 위한 판 스프링을 각각 설치한 다른 한 쌍의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 쌍의 플랜지는, 백라이트 기판에 형성된 2개의 평행한 긴 구멍에 각각 삽입된다.
특허문헌 3의 커넥터에서는, 콘택트를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 기판에 콘택트의 일부를 삽입하여 납땜해야 하므로, 기판과 형광관 간의 위치 편차의 수정이 곤란한 동시에, 그 설계나 공정이 어려웠다.
또한, 형광관의 램프를 페룰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하고, 듀멧선을 이 페룰에 접착한 후, 인출된 듀멧선을 접어 구부려서 페룰에 납땜해야 하므로, 이러 한 작업에 따른 공정수가 추가되어, 비용이 상승되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29459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344602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23604호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형광관(CCFL관)과 인버터 기판의 전기적 접속을 목적으로 한, 가격이 저렴하며 조립작업성이 향상된 액정패널용 백라이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백라이트 조립체로서, 상기 백라이트 조립체는, 접속부를 가지는 형광관과,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유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플로팅부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유지부의 타단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백라이트 조립체로서, 상기 케이싱은, 판금과 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판금과 상기 지지대에 의해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형광관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백라이트 조립체로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각각의 접점과 고정단까지의 판 폭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형광관과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유지부의 일단측으로부터 플로팅부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유지부의 타단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형광관의 위치결정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커넥터로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각각의 접점과 고정단까지의 판 폭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형광관의 일례의 단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2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특허문헌 3에 도시된 형광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형광관을 접속하기 위한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콘택트를 기판에 장착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형광관의 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7의 콘택트(2)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도 7의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7의 하우징(1)의 사시도이고, (b)는 도 7의 하우징(1)의 배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7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이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지지대의 작용의 설명에 제공되는 정면도이고, (c)는 (b)의 부호 61로 표시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지지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7의 (a)는 도 16의 커넥터의 상면도이고, (b)는 도 16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c)는 도 16의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d)는 도 16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8의 (a) 및 (b)는 도 16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이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판금의 커넥터 삽입구멍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콘택트는 일부만 도시되고, 나머지는 생략되어 있다.
도 22는 백라이트 조립체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2의 백라이트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도 22의 백라이트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의한 백라이트 조립체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형광관(60)은, 유리관으로 이루어진 램프(52)와, 램프의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듀멧선(53)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형광관(60)의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로서는, 도 2(특허문헌 1 참조) 및 도 3(특허문헌 2 참 조)에 나타낸 것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램프 접속부재(커넥터; 122)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인 홈부에 좌우단(端)이 각각 압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램프접속부재(122)는, 콘택트로 이루어지며, 대략 H자 형상인 평면전극부(122A)와,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형상 전극부(122B)와, 그 양측에 형성된 호형상 전극부(122C)를 구비하고 있다. 호형상 전극부(122C)에 연속하여 각각 굴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아암(124)의 중간부분은, 상호간이 일단 좁아졌다가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간에 원형의 공간을 가지는 램프 유지부(126)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아암(124)의 선단측부분은, 상호간이 열린 구조로 되어 있다.
램프(52)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 예컨대, 듀멧선(53)이, 한 쌍의 아암(124)의 상호간이 열린 선단측부분으로부터, 램프 유지부(126)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램프(52)의 입력단자(53)를 분리시킬 때에도, 형광램프(52)를 램프접속부재(122)로부터 분리하도록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램프(52)를 간단하고 쉽게 램프접속부재(122)에 대해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평면전극부(122A) 상에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커넥터재(材)인 러버 커넥터(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러버 커넥터(132) 내에는 복수 개의 금속선(132A)이 등간격으로 들어 있어, 도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2에 나타낸 형광관(60)은, 램프 홀더(130)에 고정된다. 램프 홀더(130)는, 형광관(60)의 일단부를 가이드하여 고정하며, 형광관(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형광관(60)에 전원전압을 인가한다. 램프 홀더(130)는 홀더 본체(140) 및 전원인가부재(150)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140)는 바닥부(141) 및 램프 지지부(145)를 포함한다. 램프 지지부(145)는 바닥부(1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램프 지지부(145)의 상부에는 형광관(60)의 단부가 배치되는 램프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전원인가부재(150)는, 홀더 본체(140)의 상부로부터 홀더 본체(140)의 바닥부(141)까지 관통되도록 배치된다. 전원인가부재(150) 중 바닥부(141)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접속단자'라 정의하고, 전원인가부재(150) 중 접속단자에 연속되어 형성되고, 홀더 본체(14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을 '전원인가단자'라 정의한다. 전원인가단자는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을 가진다.
형광관(60)은 램프 홀더(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전압을 인가받아 광을 출사한다. 또한, 형광관(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램프(52), 전극(53b) 및 리드선(듀멧선; 53)을 포함한다.
램프(52)의 단부는 홀더 본체(140)에 형성된 램프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된다.
듀멧선(53)은, 전극(53b)과 전원인가부재(15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듀멧선(53)은 연결부(165) 및 이탈방지부(53a)를 포함한다. 연결부(165)는 전극(53b)으로부터 램프(52)의 외부로 연장되어 전원인가단자에 접속된 다. 이탈방지부(53a)는 연결부(165)의 단부에 형성된다.
램프(52)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탈방지부(53a)의 제 1 단면적은 연결부(165)의 제 2 단면적보다 크다. 이탈방지부(53a)는 연결부(16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53a)는, 리드선(53)이 전원인가단자로부터 램프(52)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커넥터는, 폴더 캡 및 연결 플레이트의 부재비용이 든다. 또한, 램프(CCFL관; 52)를 삽입한 후, 접촉력을 확보하기 위해 커넥터의 폴더 캡을 끼워넣는 작업 공정수, 및 커넥터 연결 플레이트에 삽입하고, 연결 플레이트의 판금을 고정시키는 작업 공정수가 증가된다.
또한, 커넥터 실장시 및 기판 고정시에 θ편차가 발생한 경우, 접속부가 듀멧선이기 때문에, 직접 듀멧선(53) 근원의 유리부에 부하가 걸려, 유리 파손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램프 교환시에는, 램프의 분리가 곤란해져, 다른 부품도 교환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덮개를 매립하여 강제적으로 콘택트와 접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덮개의 부품비용 및 덮개를 끼워넣는 작업이 가산된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3은, 형광관(55)에 페룰(51)을 삽입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W형 형광관(55)의 양단에는, 페룰(51)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페룰(51)을 삽입한 형광관(55)은 실리콘 접착재(56)에 의해 고정시키고, 또한 페룰(51)의 외측면부분에, 형광관(55)의 양 단자인 듀멧선(53)을 납땜(54)하였다. 상기 형광관(55)은, 도시되지 않은 반사판과 유지부재인 콘택트(10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반사판과 콘택트(105)의 위치관계는, 2개의 유지부재(105)를 백라이트 기판에 설치하고, 이 백라이트 기판을 반사판에 부착시킴으로써 결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형광관(55)을 유지하는 콘택트(105)는, 형광관(55)의 고압측과 접지측에 각각 동일 형상의 것이 1개씩 설정되어 있다.
콘택트(105)는, 형광관(55; 도 4참조)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형상의 제 1 플랜지(105a, 10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105a, 105b)의 형상은, 플랜지의 선단부분을 형광관(55)의 양단에 설치한 페룰(51)의 외경에 적합한 직경으로 굽힘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전체에 스프링성을 부여하여, 형광관(55)의 양단에 설치한 페룰(51)을, 형광관(55)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어 유지함으로써, 콘택트(105)로부터 형광관(55)이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콘택트(105)에는, 제 1 플랜지(105a, 105b)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플랜지(105a, 105b)의 대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 2 플랜지(105c, 105d)를 가지고 있다. 제 2 플랜지(105c, 105d)에는, 플랜지의 선단측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판 스프링(105e) 및 판 스프링(105f)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라이트 기판(106)에는, W형 형광관(55)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2개의 평행한 긴 구멍(106a, 106b)을 설정한다. 그리 고, 상기 2개의 평행한 긴 구멍에는, 콘택트(105)의 플랜지(105c, 105d)를 각각 삽입한다. 백라이트 기판(106)의 긴 구멍(106a, 106b)에 콘택트(105)의 플랜지(105c, 105d)를 삽입하면, 판 스프링(105e, 105f)의 선단이 백라이트 기판(106)의 평면부분에 걸려 유지된다. 또한, 콘택트(105)의 회전방지를 위해, 2개의 평행한 긴 구멍(106a, 106b)에 콘택트(105)의 플랜지(105c, 105d)가 삽입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커넥터에서는, 콘택트(105)를 기판(106)에 고정하기 위해, 기판(106)에 콘택트(105)의 일부를 삽입하여 납땜해야 하므로, 기판(106)과 형광관(55)간의 위치 편차의 수정이 곤란한 동시에, 그 설계나 공정이 어려웠다. 또한, 형광관(55)의 램프(52)를 페룰(51)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시키고, 듀멧선(53)을 상기 페룰(51)에 접착한 후, 인출된 듀멧선을 구부려 페룰(51)에 납땜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에 따른 공정수가 추가되어, 비용이 상승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a)는, 램프(52)의 전극부의 발열성을 고려한 내열성이 높은(160℃ 정도)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과,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제의 콘택트(2)를 가지고 있다. 금속제의 콘택트(2)는, 형광관(CCFL관; 50)과, 인버터 기판(40; 도 13, 도 14 및 도 15 참조)을 접속하는 데 이용된다. 형광관(50)은, 일단측이 콘택트의 일단에 삽입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버터 기판(40)은, 콘택트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커넥터 하부에 개구된 삽입구(4)에 삽입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형광관(50)은, 램프(52)와, 램프(52) 내부로부터 인출된 듀멧선(53)과, 접속부로서 램프(52)의 일단을 덮는 단면이 U자 형상인 금속제 캡으로 이루어진 페룰(51)을 가지고 있다. 페룰(51)의 일단에는, 듀멧선(53)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듀멧선(53)은 관통구멍을 통해 페룰(51)의 외부로 인출되어, 납땜(납땜부(54)를 통한 고정) 또는 압접(壓接) 등의 기계적인 접속에 의해 페룰(51)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또한, 페룰(51)과 듀멧선(53) 간의 접속은, 압입이나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이루어져도 좋다.
도 9의 (a)는 도 7의 콘택트(2)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도 7의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콘택트(2)는, 'コ'자 형상의 베이스부(14)의 단부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금속편에 의해 램프측 접속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부인 램프측 접속부(18)는, 형광관(50)의 일단의 페룰(51)부분을 끌어들이는 형상인 한 쌍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선단부(11)와, 여기에 이어지는 L자 형상(산형상)으로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 1 스프링부(12)와, L자 형상(골짜기형상)으로 서로 내측을 향해 오목한 제 2 스프링부(13)를 가진다. 상기 제 2 스프링부(13)는 램프측 베이스부(14)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측 베이스부(14)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판 조각으로 이루어진 플로팅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버터측의 접속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2)의 램프 삽입구인 선단부(11)는, 페룰(51)이 삽입되기 쉽도록, 그리고 좌굴(挫屈)을 방지하기 위해, 비스듬한 테이퍼(taper)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제 1 스프링부(12)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가지므로, 램프(CCFL관; 52)를 삽입한 후, 페룰(51)부분을 접촉유지시키는 동시에, 램프(52)의 높이방향(Y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한 콘택트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2 스프링부(13)를 마련함으로써, 내진동, 내충격을 고려하여, 램프의 높이방향(Y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접속부인 인버터측의 접속부(19)는, 플로팅부(15)에 접속된 인버터측 베이스부(17)와, 인버터측 베이스부(17)의 하단에서 폭방향의 2곳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구부러져 상방으로 연장되어 산형상을 이루고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대략 S자 형상인 한 쌍의 제 3 스프링부(16)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 3 스프링부(16)는, 접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인버터측 베이스부(17)로부터 2개로 분기되어 2개가 평행하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진동시의 공진주파수를 달리하여 접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제 3 스프링부(16)가 각각 다른 스프링성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고, 즉, 스프링부의 폭을 달리하고 있다.
또한, 공진주파수를 달리하기 위해, 스프링부의 판 두께를 바꾸거나, 스프링부의 길이를 바꾸거나, 혹은 이들을 조합시켜도 된다.
인버터측 베이스부(17)의 양측에는 상기 콘택트(2)를 하우징(1)의 수용부에 압입고정하기 위한 유지부로서의 압입부(17a)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 하단부에는 이 때의 가이드를 쉽게 하기 위한 모따기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a), (b)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1)은 박스형이며, 판금과 지지대의 틈새에 Y방향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양측에 지지대와 판금에 삽입했을 때의 누름부가 되는 단면이 L자 형상인 돌출부(3)와, 전측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부(3d)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3)는, 수평부(3b)와 내측에 테이퍼부를 구비한 상승부(3c)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브(31; 도 12 참조)를 수용하는 홈(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부에 의해 홈(3a) 내부로의 리브(31)의 삽입이 가이드된다.
또한, 하우징(1)의 하부에는, 인버터 기판(4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가 개구되어 있다. 삽입구(4)는, 인버터 기판(40)의 삽입성을 고려하여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1)은, 콘택트(2)를 조립해 넣을 수 있는 압입구를 가진다. 압입구(도시 생략)는 콘택트(2)의 삽입성을 고려하여,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판금(20)에 대한 오(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모서리부에 C면(6)을 가지고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a)는, 판금(20)의 각형구멍(21)에 삽입된다. 이 때, 판금(20)에 커넥터(10a)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후,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에 형광관(5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12의 화살표(35)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면에 형광관(50)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cut-out)부(32)를 구비한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대(30)를 부착시킨다. 여기서, 판금(20) 및 지지대(30)를 합하여 '케이싱'이라 부른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 기판(40)을 삽입구에 삽입(카드 에지 구조의 접속)함으로써, 백라이트 조립체(25)의 조립이 종료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지지대의 내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판형상의 리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브(31)의 간격은 커넥터(10a)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내측의 홈(3a) 내에 리브(31)가 삽입되어, 도 14(c)의 도 14(b)에서 부호 61로 표시된 부분 중 부호 36으로 표시한 절취부분만 나타낸 확대도에 있어서, 커넥터(10a)의 상하이동이 억제된다.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지지대(30) 내부에 리브(35)가 설치되어, 커넥터(10a)의 상면을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리브(35)도, 커넥터(10a)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형광관(페룰(51))과 인버터 기판(40)의 접속을 커넥터화함으로써, 납땜작업에 따른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형광관(50)의 교환작업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교환작업으로 인한 공정수가 불필요해지며, 다른 부품까지 교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형광관(50)의 듀멧선(53)에 직접 부하가 걸리지 않는 페룰(51)을 가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리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염려가 감소되어, 장기적으로 안정된 램프의 점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허문헌 2와 같은 커넥터를 연결 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연결 플레이트를 판금에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커 넥터를 직접 판금(20)에 삽입시키기 때문에, 작업 공정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허문헌 2와 같은 폴더 캡을 끼워 넣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 실장시 및 기판 조립시에 케이싱과 커넥터 사이, 혹은 커넥터와 형광관 사이의 위치 편차나, θ편차가 발생된 경우에도, 램프(52)에 직접 부하가 걸리지 않고, 또한, θ편차를 흡수하는 플로팅부를 구비한 플로팅단자형상이기 때문에,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6 및 도 17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b)는, 램프(52)의 전극부의 발열성을 고려한 내열성이 높은 (160℃ 정도)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과,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제의 콘택트(2)를 가지고 있다. 금속제의 콘택트(2)는, 형광관(CCFL관; 50)과, 인버터 기판(40; 도 13, 도 14 및 도 15 참조)을 접속하는 데 이용된다. 형광관(50)은, 일단측이 콘택트에 삽입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버터 기판(40)은, 콘택트의 타단에 접촉되도록, 커넥터 하부에 개구된 삽입구(4)에 삽입된다.
콘택트(2)는, 도 9의 (a) 및 (b)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b)의 하우징(1)은, 돌출부(5)가 상승부(3c) 및 홈(3a)을 가지지 않고, 수평부(3b)를 가진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즉, 하우징(1)은 박스형이며, 판금과 지지대의 틈새에 Y방향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양측에 지지대와 판금에 삽입했을 때의 누름부가 되는 돌출부(5)와, 전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부(3d)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5)는, 수평부(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1)의 하부에는, 인버터 기판(4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가 개구되어 있다. 삽입구(4)는, 인버터 기판(40)의 삽입성을 고려하여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1)은, 콘택트(2)를 조립해 넣을 수 있는 압입구를 가진다. 압입구(도시 생략)는 콘택트(2)의 삽입성을 고려하여,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또한, 판금(20)으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모서리부에 C면(6)(도 21 참조)을 가지고 있다.
도 18의 (a), (b) 및 도 19는 도 16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26)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6의 커넥터를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26)의 조립의 설명에 제공되는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판금의 커넥터 삽입구멍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콘택트(2)는 일부만 도시되고, 나머지는 생략되어 있다. 도 22는 백라이트 조립체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b)는, 판금(20)의 각형구멍(21)에 삽입된다. 이때, 판금(20)에 커넥터(10b)는 고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에 형광관(50)을 장착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형구멍(21)의 X방향, Y방향의 치수, 즉, 판금 펀칭 치수(PDx, PDy)는, 예컨대 10.1mm, 11.9mm이며, 커넥터의 X방향, Y방향의 치수(CDx, CDy)는, 예컨대 9.8mm, 11.6mm이다. 클리어런스(clearance)는 X방향, Y방향 모두 0.3mm 정도이다. 또한, 각형구멍(21)의 모퉁이부(21a)는, 내측으로 모서리가 제거된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10b)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모따기가 실시된 C면(6)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b)의 C면(6)과 모퉁이부(21a)는, 각형구멍(21)으로의 커넥터(10b)의 오삽입 방지를 위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대(30)를 부착시킨다. 여기서, 판금(20) 및 지지대(30)를 합하여 '케이싱'이라 부른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 기판(40)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시켜 삽입구에 삽입하면, 즉, 카드 에지 구조의 접속이 이루어져, 백라이트 조립체(26)의 조립이 종료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라이트 조립체(26)는, 조립 완성 후의, 각각의 구체적인 치수가, 예컨대, 인버터 기판의 두께 T1=1.6mm, 판금(20)의 두께 T2=1.2mm, 형광관의 굵기 T3=3.4mm, 인버터 기판과 중심과 판금(20)의 상면까지의 거리 D12=4mm, 형광관의 중심과 판금(20)의 상면 간의 거리 D23=5mm이다.
도 23의 (a) 및 (b)는, 도 22의 백라이트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금(20) 대신에 기판(27)을 이용한 경우에도, 커넥터의 상하방향의 이동은, 지지대(30)의 돌출부로 천정면을 누름으로써 억제하고 있다.
또한,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금(28)을 커넥터의 후방에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도, 커넥터(10b)의 후면과 판금(28) 사이에 6mm이상의 틈을 두고 있다. 또한, 커넥터(10b)의 후면과 판금(28) 사이에 거리를 두는 대신, 지지대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격벽(37)을 설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형광관(페룰(51))과 인버터 기판(40)의 접속을 커넥터화함으로써, 납땜을 하는 작업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형광관(50)의 교환작업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교환작업의 공정수가 불필요해지며, 다른 부품까지 교환해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형광관(50)의 듀멧선(53)에 직접 부하가 걸리지 않는 페룰(51)을 가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리에 크랙이 생길 염려가 감소되어, 장기적으로 안정된 램프의 점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허문헌 2와 같은 커넥터를 연결 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연결 플레이트를 판금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커넥터를 직접 판금(20)에 삽입시키기 때문에, 작업 공정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허문헌 2와 같은 폴더 캡을 끼워넣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 실장시나 기판 조립시에 θ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램프(52)에 직접 부하가 걸리지 않고, 또한, θ편차를 흡수하는 플로팅부를 구비한 플로팅 단자 형상이기 때문에, 접속의 신뢰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및 백라이트 조립체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패널의 백라이트 조립체에 적용된다.
본 출원은, 2007년 6월 2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7-163396호를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며, 그 개시된 내용의 전부가 여기에 포함된다.

Claims (6)

  1. 백라이트 조립체로서,
    상기 백라이트 조립체는, 접속부를 가지는 형광관과,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싱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를 끌어들이는 한 쌍의 선단부와, 여기에 이어지는 한 쌍의 스프링부와, 이들을 접속하는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제 1 스프링부와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연속한 제 2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 1 스프링부와 상기 제 2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부가 L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판금과 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판금과 상기 지지대에 의해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형광관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조립체.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각각의 접점과 고정단까지 의 판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조립체.
  4. 형광관과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유지부와,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형광관의 접속부를 끌어들이는 한 쌍의 선단부와, 여기에 이어지는 한 쌍의 스프링부와, 이들을 접속하는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각각 제 1 스프링부와 상기 제 1 스프링부에 연속한 제 2 스프링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연장설치되며, 상기 제 1 스프링부와 상기 제 2 스프링부에 의해 상기 제 1 접속부가 L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프링부는 상기 형광관의 위치결정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한 쌍의 스프링부를 가지며, 각각의 접점과 고정단까지의 판 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7015169A 2007-06-21 2008-06-19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KR101098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3396A JP4298766B2 (ja) 2007-06-21 2007-06-21 バックライト組立体と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JPJP-P-2007-163396 2007-06-21
PCT/JP2008/061191 WO2008156128A1 (ja) 2007-06-21 2008-06-19 バックライト組立体と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038A KR20090108038A (ko) 2009-10-14
KR101098757B1 true KR101098757B1 (ko) 2011-12-23

Family

ID=4015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169A KR101098757B1 (ko) 2007-06-21 2008-06-19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1958B2 (ko)
JP (1) JP4298766B2 (ko)
KR (1) KR101098757B1 (ko)
CN (1) CN101589270B (ko)
TW (1) TWI373179B (ko)
WO (1) WO2008156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6374B (zh) * 2008-03-04 2013-01-09 夏普株式会社 背光源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机
TWI387699B (zh) * 2008-10-28 201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燈座
US20110266952A1 (en) * 2009-02-13 2011-11-0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1081991A (ja) * 2009-10-06 2011-04-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US20130107134A1 (en) * 2010-06-24 2013-05-0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066618B2 (ja) * 2011-02-22 2012-11-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CN202132788U (zh) * 2011-04-29 2012-02-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及显示装置
KR200459430Y1 (ko) * 2011-06-13 2012-04-17 한상돌 커넥터
JP6419646B2 (ja) 2015-05-25 2018-1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アンテナ
USD851816S1 (en) 2017-04-14 2019-06-18 Curtis A. Roys Lamp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592A (ja) 2003-03-26 2004-10-21 Tdk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204657A (ja) * 2007-02-16 2008-09-04 Hirose Electric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927A (en) * 1977-08-17 1979-05-08 Owens Ossie E Multi-function clipboard apparatus
JPH07262910A (ja) 1994-03-18 1995-10-13 Stanley Electric Co Ltd 口金付管球
JP3462306B2 (ja) 1995-06-30 2003-11-05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冷陰極放電ランプおよびランプの点灯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2000123604A (ja) 1998-10-09 2000-04-28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181307B2 (ja) 2001-01-19 2008-11-1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6908326B2 (en) 2003-08-08 2005-06-21 J. S. T. Mfg. Co., Ltd. Floating connector
JP4017588B2 (ja) 2003-11-27 2007-12-05 Tdk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6344602A (ja) 2005-06-09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ランプ、ランプホルダー、電源供給モジュール、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JP4728065B2 (ja) 2005-08-12 2011-07-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1193686B1 (ko) 2005-08-29 2012-10-2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94012B1 (ko) * 2006-04-03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EP1860377A1 (en) 2006-05-23 200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fix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8726B1 (ko)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JP2008300145A (ja) 2007-05-30 2008-12-11 Alps Electric Co Ltd ランプ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592A (ja) 2003-03-26 2004-10-21 Tdk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204657A (ja) * 2007-02-16 2008-09-04 Hirose Electric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9270A (zh) 2009-11-25
TW200908480A (en) 2009-02-16
US20100008065A1 (en) 2010-01-14
CN101589270B (zh) 2012-12-19
KR20090108038A (ko) 2009-10-14
US8201958B2 (en) 2012-06-19
WO2008156128A1 (ja) 2008-12-24
JP2009004208A (ja) 2009-01-08
JP4298766B2 (ja) 2009-07-22
TWI373179B (en)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757B1 (ko)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US7926965B2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38337B1 (ko) 커넥터
US8888532B2 (en) Connector for mounting electrolytic capacitor onto board and electronic circuit apparatus
EP1883138A2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72980B1 (ko) 커넥터
JP2008098168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の組立方法
US8702263B2 (en) Lighting device, relay connector,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787299B1 (ko) 커넥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조립체
JP2004335227A (ja) ランプ保持構造
US8736789B2 (en) Slim LCD module and a socket therefor
EP2226906A1 (en) Relay connecter, assembl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chassis, assembl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and power supply, assembling structure of discharge tube and power supply to relay connector, illuminator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81815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2139593B1 (ko) 인쇄회로기판의 갭 서포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갭 서포터에 절연 시트를 결합한 패키지
KR20080032283A (ko) 램프소켓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8705246B2 (en) Electronic part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art
JP3083783U (ja) プローブ式電気コネクタ
CN118017299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以及带电路基板的电连接器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10037830A (ko) 컨택트 및 커넥터
JP2008210806A (ja) ランプ固定ユニット
JP2010140776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US20100110666A1 (en) Lamp socket assembly,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JP2007287441A (ja) コネクタ
JP2009259506A (ja) 多連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