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30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30Y1
KR200459430Y1 KR2020110005237U KR20110005237U KR200459430Y1 KR 200459430 Y1 KR200459430 Y1 KR 200459430Y1 KR 2020110005237 U KR2020110005237 U KR 2020110005237U KR 20110005237 U KR20110005237 U KR 20110005237U KR 200459430 Y1 KR200459430 Y1 KR 200459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n hole
peripheral portion
hole member
inn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옥
Original Assignee
한상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돌 filed Critical 한상돌
Priority to KR2020110005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의 원통형 본체; 복수의 핀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로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도록 후방 단부에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일단과 접촉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일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핀 홀 부재; 및 상기 핀 홀 부재의 핀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핀 홀 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핀 홀 부재의 후방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 내부에 별도의 위치 규제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본체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CC 카메라(무인 카메라) 등의 통신 장비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에 별도의 위치 규제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도 핀 홀 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교환국 장치, 기지국 장비, 중계기 및 인터넷 관련 장치 등의 설비와 부품에는 주파수가 높은 RF 신호와 같은 특정 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하여 RF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러한 RF 케이블은 용도 및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많은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며, 연결 부품의 구조적 특징에 적합하게 제작된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여 각 부품에 채택하고 있다.
동축 케이블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N-type, BNC-type, TNC-type, SMA-type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사용되는 커넥터의 형태, 케이블이 종류, 신호의 주파수 범위, 결합 방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일 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넉터는 중공의 원통형상 본체(10), 본체(10)의 일단에 삽입되는 핀 홀 부재(20) 및 핀 홀 부재(20)의 핀 홀에 삽입되는 접속 단자(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일단의 외주연에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고, 타단의 외주연에 나사산(11)을 구비한다. 걸림턱이 구비된 본체(10)의 일단은 통신 장비의 리셉터클 또는 다른 커넥터와 결합되고, 나사산(11)이 구비된 본체(10)의 타단은 케이블 접속 부재에 결합된다.
그리고, 핀 홀 부재(20)는 핀 형상의 접속 단자(30)들이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는 복수의 핀 홀을 구비하고, 본체(10)의 타단으로부터 본체(10) 내부로 압입된다. 여기서, 본체(10)의 내부에는 핀 홀 부재(20)의 압입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단턱(40)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단턱(40)을 본체(10)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이캐스팅 주조를 통해 본체(10)를 제조한 후 추가적인 가공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10)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턱(40)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가공을 하는 경우, 본체(10) 내부에서 단턱(40)의 정확한 위치를 잡는 것이 쉽지 않고, 단턱(40)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 핀 홀 부재(20) 역시 제 위치를 벗어나서 결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추가적인 가공을 피하기 위해 다이캐스팅 주조로 한 번에 본체(10)를 제조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금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에 별도의 위치 규제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도 핀 홀 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중공의 원통형 본체; 복수의 핀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로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도록 후방 단부에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일단과 접촉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일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핀 홀 부재; 및 상기 핀 홀 부재의 핀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핀 홀 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내주연에 상기 핀 홀 부재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핀 홀 부재는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치합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제1내주연부 및 상기 제1내주연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내주연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내주연부 및 상기 제2내주연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핀 홀 부재는 상기 제2내주연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내주연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핀 홀은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제1홀 및 상기 제1홀와 연통되어 상기 제1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2홀에 삽입되어 상기 핀 홀 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방 접속부, 상기 전방 접속부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후방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 접속부는 외주연에 주변과 직경이 다른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접속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주변 부분을 감싸는 복수의 덮개를 구비한 전선 연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핀 홀 부재의 후방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본체 내부에 별도의 위치 규제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본체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장비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5c는 도 5a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a는 도 3의 핀 홀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핀 홀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3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커넥터 본체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3의 핀 홀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핀 홀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접속 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본체(110), 핀 홀 부재(120), 및 접속 단자(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의 중간에 환형의 플랜지(111)를 구비하며, 이 플랜지(111)를 경계로 일단이 통신 장비의 리셉터클 또는 다른 커넥터와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블 접속 부재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일단 및 타단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1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연결 부재와의 결합시 밀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 홀 부재(120)는 본체(110)의 내주연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10)로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 홀(121)을 구비하여, 본체(11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핀 홀 부재(120)는 후방 단부에 플랜지(122)를 구비한다. 플랜지(122)는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어 핀 홀 부재(120)가 본체(110)에 삽입될 때, 본체(110)의 일단과 접촉하여 핀 홀 부재(120)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핀 홀 부재(120)에 구비된 플랜지(122)는 핀 홀 부재(12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본체(110)에 삽입될 때, 핀 홀 부재(120)가 일정한 깊이까지만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10)와 핀 홀 부재(120) 사이에 일정한 위치에서의 결합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10)와 핀 홀 부재(120)의 일정한 위치의 결합 관계는 본원고안에 따른 커넥터가 통신 장비 또는 다른 커넥터와 접속할 때, 후술되는 접속 단자(130)와의 정확한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
접속 단자(130)는 핀 홀 부재(120)에 구비된 복수의 핀 홀(121)에 삽입되어 핀 홀 부재(12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접속 단자(130)의 핀 홀 부재(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부분은 다른 커넥터 또는 통신 장비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부분이고, 접속 단자(130)의 핀 홀 부재(120)의 후방에 위치된 부분은 전선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구성에 의해, 핀 홀 부재(120)가 본체(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항상 일정한 위치로 결합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핀 홀 부재(120)가 후방 단부에 플랜지(12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10) 내부에 핀 홀 부재(120)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체(110)의 제조 공정이 간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10)는 내주연에 핀 홀 부재(120)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핀 홀 부재(120)는 외주연에 본체(110)의 가이드 돌기(112)와 치합되도록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4)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12)와 가이드 홈(124)의 치합 구성에 의해, 본체(110)에 핀 홀 부재(120)를 삽입할 때,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하다.
한편, 본체(110)와 핀 홀 부재(120)의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은, 본체(110)의 내주연의 직경보다 핀 홀 부재(120)의 외주연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도면에서 보았을때 좌측에 제1내주연부(110a)를 구비하고 우측에 제2내주연부(11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내주연부(110b)는 제1내주연부(110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1내주연부(110a)와 제2내주연부(110b)의 직경 차이로 인해, 제1내주연부(110a)와 제2내주연부(110b) 사이에는 단턱(110c)이 형성된다.
또한, 핀 홀 부재(120)는 제2내주연부(110b)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내주연부(110b)에 억지끼움된다.
이때, 핀 홀 부재(120)의 직경이 제2내주연부(110b)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제2내주연부(110b)에 핀 홀 부재(120)가 삽입되면, 핀 홀 부재(120)는 미세하게 부피가 축소되도록 변형되면서 본체(110) 내부에 삽입이 되고, 핀 홀 부재(120)의 단부가 단턱(110c)을 지나게 되면, 변형되었던 부분이 다시 복원되어 제1내주연부(110a)에 접촉하게 된다. 즉, 본체(110) 내부로 삽입된 핀 홀 부재(120)의 단부는 제1내주연부(110a)와 제2내주연부(110b) 사이에 구비된 단턱(110c)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핀 홀 부재(120)는 본체(110)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핀 홀 부재(120)에 구비된 핀 홀(121)은 직경이 다른 제1홀(121a)과 제2홀(122b)로 이루어진다. 제1홀(121a)은 핀 홀 부재(120)의 후방으로부터 접속 단자(1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홀(121b)은 제1홀(121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1홀(121a)과 연통된다.
그리고, 접속 단자(130)는 전방 접속부(130a)와 후방 접속부(130b)를 포함한다. 전방 접속부(130a)는 핀 홀 부재(1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홀(121a)을 지나 제2홀(121b)에 삽입되고, 후방 접속부(130b)는 전방 접속부(130a)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홀(121a)에 삽입된다. 여기서, 후방 접속부(130b)는 전방 접속부(130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방 접속부(130a)와 후방 접속부(130b) 사이에는 제1홀(121a)과 제2홀(121b) 사이의 직경 차이로 인해 형성된 단턱(112c)에 맞물리는 환형 플랜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 단자(130)가 핀 홀 부재(120)에 삽입되면, 접속 단자(130)의 전방 접속부(130a)는 핀 홀 부재(120)의 제2홀(121b)을 관통하여 핀 홀 부재(12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방 접속부(130b)는 제1홀(121a) 내부에 삽입된 위치된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접속부(130b)는 외주연 중간에 주변과 다른 직경의 걸림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후방 접속부(130b)는 걸림부(132) 및 걸림부(132)의 주변 부분을 감싸는 복수의 덮개(141)를 구비한 전선 연결부(140)와 결합된다.
후방 접속부(130b)에 결합되는 전선 연결부(1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접속부(130b)와 결합될 때, 후방 접속부(130b)를 둘러싸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전선 연결부(140)는 후방 접속부(130b)와 전선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변형이 되기 때문에, 기존에 접속 단자와 전선을 납땜하는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고안의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0a: 제내주연부
110b: 제내주연부 110c: 단턱
111: 플랜지 112: 가이드 돌기
120: 핀 홀 부재 121: 핀 홀
121a: 제1홀 121b: 제2홀
121c: 단턱 122: 플랜지
124: 가이드 홈 130: 접속 단자
130a: 전방 접속부 130b: 후방 접속부
131: 플랜지 132: 걸림부
140: 전선 연결부

Claims (5)

  1. 중공의 원통형 본체;
    복수의 핀 홀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로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도록 후방 단부에 외주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일단과 접촉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일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핀 홀 부재; 및
    상기 핀 홀 부재의 핀 홀에 삽입되어 상기 핀 홀 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내주연에 상기 핀 홀 부재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핀 홀 부재는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 돌기와 치합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제1내주연부 및 상기 제1내주연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2내주연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내주연부 및 상기 제2내주연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핀 홀 부재는 상기 제2내주연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내주연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은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제1홀 및 상기 제1홀와 연통되어 상기 제1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2홀에 삽입되어 상기 핀 홀 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방 접속부, 상기 전방 접속부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후방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접속부는 외주연에 주변과 직경이 다른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접속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주변 부분을 감싸는 복수의 덮개를 구비한 전선 연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10005237U 2011-06-13 2011-06-13 커넥터 KR200459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37U KR200459430Y1 (ko) 2011-06-13 2011-06-13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237U KR200459430Y1 (ko) 2011-06-13 2011-06-13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430Y1 true KR200459430Y1 (ko) 2012-04-17

Family

ID=4660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237U KR200459430Y1 (ko) 2011-06-13 2011-06-13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3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224B1 (ko) 2008-01-12 2008-12-10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수신안테나용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조립구조
KR20090108038A (ko) * 2007-06-21 2009-10-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KR20100052154A (ko) * 2008-11-10 2010-05-19 주식회사 효성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KR20100082192A (ko) * 2009-01-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038A (ko) * 2007-06-21 2009-10-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백라이트 조립체와 이것에 이용되는 커넥터
KR100873224B1 (ko) 2008-01-12 2008-12-10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수신안테나용 동축 커넥터와 안테나 커넥터의 조립구조
KR20100052154A (ko) * 2008-11-10 2010-05-19 주식회사 효성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KR20100082192A (ko) * 2009-01-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8903B2 (ja) ツーピースキャビティインサー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11715892B2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142895B2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8029324B1 (en) RF connector assembly
KR102004736B1 (ko) 삽입형 컨넥터
US9673568B2 (en) Plug connector
US9490582B2 (en) Insulation body of a plug-in connector
CN102437477B (zh) 一种可群插的高功率小型射频同轴连接器
US9509105B2 (en) Connector structure
US9059521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JP6259517B2 (ja) 複数のプラグインコネクタを備えるシステムおよび多重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108281834B (zh) 连接器插座以及连接器
US8925189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20057629A1 (zh) 一种转换插头、电源适配器加工方法及转换插头、电源适配器
US9793623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a receptor connector
US9661263B2 (en) Uninterruptible power/CATV signal coupler
KR200459430Y1 (ko) 커넥터
US20180090891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KR101081747B1 (ko)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US20130090018A1 (en) Cable connector
JP3204119U (ja) ケーブルテレビ同軸ビデオネットワーク伝送器及びその挿入接続ソケット
US93314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ating port for different transporting interfaces
US2009026998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eeve therein
KR100593698B1 (ko) 동축콘넥터의 구조
KR20160072862A (ko)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