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628B1 -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 Google Patents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628B1
KR101096628B1 KR1020100033611A KR20100033611A KR101096628B1 KR 101096628 B1 KR101096628 B1 KR 101096628B1 KR 1020100033611 A KR1020100033611 A KR 1020100033611A KR 20100033611 A KR20100033611 A KR 20100033611A KR 101096628 B1 KR101096628 B1 KR 10109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ap
kkujippo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135A (ko
Inventor
오상균
Original Assignee
오상균
금만경꾸지뽕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균, 금만경꾸지뽕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오상균
Priority to KR102010003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6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꾸지뽕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꾸지뽕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 윤택 효과와 보습효과 및 아토피성 피구에 효과가 양호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비누 베이스(Soap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꾸지뽕 추출액 3∼3.5 중량부, 호호바 오일 0.4∼0.6 중량부, 올리브 오일 0.2∼0.4 중량부, 포도씨 오일 0.2∼0.4 중량부, 알콕시 글리세롤 0.1∼0.3 중량부, 토코페롤 0.1∼0.3 중량부, 아르기닌 0.2∼0.4 중량부 및 향료 0.8∼1.2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 비누 조성물을 가열을 통해 용해시킨 다음, 일정한 형태로 성형 제조되어진다.

Description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Soap using mulbery sap}
본 발명은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피부 윤택과 보습효과 및 아토피성 피구에 효과가 양호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넓은 뜻으로는 포화 및 불포화 고급 지방산, 토르유 지방산, 수지산, 나프텐산 등 금속염의 총칭이고, 좁은 뜻으로는 주로 세정에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이라 표현되어 있다(두산세계백과 인용).
전술한 바와 같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비누의 정의가 이처럼 쉽지 않은 것이기에 쉽게 풀어 설명해 보면 "비누란 물의 힘을 빌려서 거품을 내어 표면의 때를 깨끗하게 제거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비누가 때를 제거해 주는 원리는 비누의 화학적 구조에 있는데 비누는 성냥개비처럼 머리와 꼬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비누의 화학적 구조 중 기다란 꼬리 부분(탄산수소 부분)은 기름과 친한 성질(친유성)을 가지고 있어 비누가 물에 녹으면 기름을 붙잡아 감싸는 역할을 하고, 둥그런 머리 부분(카르복시기)은 물과 친한 성질(친수성)이 있어 물 쪽으로 달려 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피부나 섬유에서 때를 분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물과 기름을 섞는 역할을 "계면활성"이라 하는데, 핸드메이드 비누는 이때 천연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의 비누는 세안, 손발세척, 머리감을 때, 목욕시 등 피부 청결을 위한 세척과 냄새 제거와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된다. 게다가, 시중에 시판중인 제품도 앞서와 같은 통상적 기능 수행과 비듬 방지 및 여드름 방지 등 특수 목적을 위해 부가적인 원료의 사용이나 기능을 발휘하여 제조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비누 제조 방법은 우지, 돈지 등 동물성 기름이나 야자유, 올리브유, 팜유등 식물성 기름에 지방산과 나트륨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하여 소지 원료를 만드는 전처리 과정과 이렇게 만들어진 소지를 각종 미용 성분과 향료, 색소를 첨가하여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후처리 성형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전처리 공정은 외부에서 이루어지고, 국내 제조사들은 후처리 가공만 실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비누는 아래의 전처리 가공된 소지에 향료, 계면활성제, 보습제, 기능향상제, 특별 기능을 위한 품질향상제 및 비누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습도 조절 수분 등이 소지 이외의 부가적 첨가 원료를 포함하며, 이러한 첨가 원료의 총량은 10%를 넘지 않는 것이 제품 품질 관리 및 경제성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누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이나 화학성분의 첨가를 통해 다양한 기능성을 추구하고는 있으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고 있는 꾸지뽕을 활용한 비누 제품은 현재까지 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꾸지뽕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꾸지뽕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 윤택 효과와 보습효과 및 아토피성 피구에 효과가 양호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꾸지뽕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꾸지뽕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꾸지뽕의 활용도를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는 비누 베이스(Soap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꾸지뽕 추출액 3∼3.5 중량부, 호호바 오일 0.4∼0.6 중량부, 올리브 오일 0.2∼0.4 중량부, 포도씨 오일 0.2∼0.4 중량부, 알콕시 글리세롤 0.1∼0.3 중량부, 토코페롤 0.1∼0.3 중량부, 아르기닌 0.2∼0.4 중량부 및 향료 0.8∼1.2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 비누 조성물을 가열을 통해 용해시킨 다음, 일정한 형태로 성형 제조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 비누의 제조과정에서 꾸지뽕 추출액은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중탕기 내부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중탕기 내부의 물을 200∼230℃의 온도 조건하에서 8∼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기 내의 꾸지뽕을 증기를 통해 찐 다음, 용기 내의 추출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득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전술한 꾸지뽕 추출액의 제조과정에서 용기 내에서 증기에 의해 쪄진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꾸지뽕 잔류물을 압착기를 통해 압착하여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증기를 통해 찌는 가운데 생성된 꾸지뽕 추출액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꾸지뽕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꾸지뽕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 윤택 효과와 보습효과 및 아토피성 피구에 효과가 양호한 비누를 제조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꾸지뽕 추출액에 비누 베이스, 오일,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꾸지뽕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꾸지뽕의 활용도를 더욱 활성화 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주요 구성요소인 꾸지뽕에 대하여 살펴보면 꾸지뽕나무는 산지와 촌락에 자생하는 높이 7∼8m정도의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이다. 열매는 일반 뽕나무보다 훨씬 크고 7∼8월에 익으며, 꽃은 녹색으로 4∼5월에 핀다. 특히, 잎은 깻잎처럼 타원형이며 솜털이 나 있으며, 일반 뽕나무와 달리 나무 줄기에는 가시가 돋아 있다. 또한,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하얗고 진한 액체가 흘러나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나무는 예로부터 꾸지뽕의 잎, 줄기, 뿌리를 끓여 각기, 폐렴, 폐결핵, 감기,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써 왔었다. 그런데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에 항암효과가 뛰어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암세포를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밥맛을 좋게 하여 몸무게를 늘려주며, 오줌을 잘나가게 하여 복수를 없애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은 말기 암환자의 저항력을 키워주어 스스로 병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꾸지뽕은 소화기 계통의 암 환자 중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쓸 수 없는 환자들한테 사용하여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몸무게를 늘려 주고 복수를 없애 주는 작용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고, 또한 꾸지뽕은 거의 부작용 없이 암 치료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나무로부터 분리한 신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제리쿠드라닌의 화학구조 및 생물 활성이란 논문에 의하면 지리산 일대에 자생하고 있는 꾸지뽕나무의 줄기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높은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꾸지뽕의 효능 때문에 최근에는 꾸지뽕 수액을 추출해서 음용하는 등 건강보조 식품이나 기능성 음료로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성분으로는 비누 베이스(Soap base), 꾸지뽕 추출액,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알콕시 글리세롤, 토코페롤, 아르기닌 및 향료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는 비누 베이스(Soap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꾸지뽕 추출액 3∼3.5 중량부, 호호바 오일 0.4∼0.6 중량부, 올리브 오일 0.2∼0.4 중량부, 포도씨 오일 0.2∼0.4 중량부, 알콕시 글리세롤 0.1∼0.3 중량부, 토코페롤 0.1∼0.3 중량부, 아르기닌 0.2∼0.4 중량부 및 향료 0.8∼1.2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 비누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누 베이스(Soap base), 꾸지뽕 추출액,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알콕시 글리세롤, 토코페롤, 아르기닌 및 향료가 일정 비율로 혼합된 조성된 조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운데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비누 조성물을 일정한 형태의 성형몰드에 충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자연 냉각을 통해 비누를 성형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 비누의 제조과정에서 꾸지뽕 추출액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어진다. 먼저, 중탕기에 맥반석 용기를 집어 넣고, 꾸지뽕의 줄기, 잎, 열매를 정선한 후 물에 세정하여 줄기는 맥반석 용기 내에 들어 갈수 있는 있도록 잘라서 집어 넣고 잎과 열매는 통째로 집어 넣는다.
여기서, 맥반석은 1㎤당 3만-15만개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염물질, 세균,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시멘트 독성 중화, 항균, 방충 및 강한 탈취력을 보이는 것을 보고 되고 있다. 또한, 맥반석은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신진대사와 피부건강 관리에 매우 효과가 좋고, 산성이나 강알칼리성물을 약알칼리성(pH 7.2-7.4)으로 조절하며 수질을 활성화시켜 정수작용을 하며,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 Chemical Oxgen Demand) 이 감소하여 방부작용은 물론 활성화에 따른 생체에 활력을 주는 것을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및 흡수작용 등으로 식품의 선도유지와 맛의 증가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꾸지뽕 추출액의 추출시 사용되는 중탕기는 전기밭솥과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용기로, 하부에는 가스나 전기적인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으면 덮개에는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덮개를 닫으면 용기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가열하면 팽창된 증기로 인한 내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꾸지뽕의 줄기, 잎, 열매를 맥반석 용기에 집어 넣은 후에는 중탕기와 맥반석 용기 사이의 공간에 맥반석 용기 내로 물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물을 채워 넣는다. 즉, 맥반석 용기에는 물이 채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맥반석 용기에 꾸지뽕의 줄기, 잎, 열매를 채워 넣는 경유 잎과 열매는 작으므로 통째로 집어 넣고, 줄기는 용기 내로 집어 넣기에 알맞은 5∼10cm 정도로 잘라서 넣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탕기의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은 다음에는 증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중탕기의 덮개를 폐쇄하고, 열을 가해 중탕기 내의 물을 끓여 압력을 높임으로서 중탕기 내부의 온도를 200∼230℃로 유지하는 가운데 8∼10 시간 동안 가열하는 가운데 중탕기 내부에 발생되는 증기를 통해 맥반석 용기 내의 꾸지뽕을 찐다. 이때, 중탕기의 압력은 대기압 기준으로 2∼2.5 기압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탕기의 가열시 중탕기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가열하면 증기압에 의해 압력이 상승하면서 온도가 올라가고, 증기온도가 200∼230℃가 될때가지 가열하며, 230℃ 이상이면 가스불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중탕기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압력을 낮춰 온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탕기의 가열을 통해 꾸지뽕을 찌는 동안 증기는 맥반석 용기 내로 혼입되어 줄기, 잎, 열매에 열을 가해 내재된 수액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꾸지뽕의 열매는 100℃에서도 수액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지만 잎과 줄기는 100 ℃에서는 추출이 잘 되지 않는다. 특히, 줄기에 내재된 수액은 100℃에서 몇일 동안 열을 가해도 추출이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200∼230℃의 증기열 뿐만 고압이 줄기에 가해지면 열매와 잎은 간단하게 수액을 추출할 수 있고, 줄기도 내부까지 고압과 고열이 가해짐으로써 쉽게 수액이 추출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탕기의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통해 꾸지뽕을 찐 다음에는 중탕기의 덮개를 개방하여 맥반석 용기 내에 추출된 꾸지뽕 추출액을 별도의 용기로 옮긴 다음, 쪄진 상태의 줄기, 잎, 열매는 압착기를 통해 압착하여 추출되지 않은 상태의 수액을 추출하여 별도의 용기로 옮긴 꾸지뽕 추출액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 추출액의 수득과정과는 별도로 중탕기의 가열로 인해 발생되는 증기를 통해 꾸지뽕을 찐 다음에는 중탕기의 덮개를 개방하여 맥반석 용기 내의 꾸지뽕 줄기에서 단단한 심재만 가려낸 후 중탕기 덮개를 다시 폐쇄시켜 남아 있는 줄기, 잎, 열매를 60∼90분 동안 다시 찐다. 꾸지뽕의 줄기는 고온 고압이 작용해도 심재(목재부)에 의해 고온과 고압이 작용이 차단되어 수액이 일부 남아 있으므로 심재를 제거한 줄기, 잎, 열매를 다시 한번 200∼230℃의 고온 고압으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탕기에서 다시 찐 다음 맥반석 용기에 추출된 수액만 채취하고, 남아 있는 줄기, 잎, 열매의 잔류물은 압축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에 내재된 수액을 추출할 때 줄기와 잎은 100℃로만 일정시간 가열해도 어렵지 않게 수액을 추출할 수 있지만 줄기는 단단하여 어렵다. 따라서, 중탕기를 이용하여 온도를 200∼230℃ 까지 올리고,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함으로써 고온과 고압에 의해 단시간에 수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맥반석 용기 내부에는 물을 채워넣지 않고 중탕기와 맥반석 사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만 가열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꾸지뽕을 용기에 집어 넣고 여기에 물을 채워 가열함으로써 끓는 물을 통해 의해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하였으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꾸지뽕 추출액의 농도가 너무 낮아지고, 물속으로 용해된 꾸지뽕 추출액만을 걸러내기 위한 복잡한 과정을 다시 거쳐야만 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것을 통해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함으로써 맥반석 용기에 담긴 꾸지뽕 추출액에 수분이 일부만 혼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과정을 정리하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중탕기 내부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중탕기 내부의 물을 200∼230℃의 온도 조건하에서 8∼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기 내의 꾸지뽕을 증기를 통해 찐 다음, 용기 내의 추출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득하게 된다. 이때, 꾸지뽕 추출액의 제조과정에서 용기 내에서 증기에 의해 쪄진 꾸지뽕 잔류물을 압착기를 통해 압착하여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증기를 통해 찌는 가운데 생성된 꾸지뽕 추출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비누 베이스(Soap base) 100 중량부에 대하여 꾸지뽕 추출액 3∼3.5 중량부, 호호바 오일 0.4∼0.6 중량부, 올리브 오일 0.2∼0.4 중량부, 포도씨 오일 0.2∼0.4 중량부, 알콕시 글리세롤 0.1∼0.3 중량부, 토코페롤 0.1∼0.3 중량부, 아르기닌 0.2∼0.4 중량부 및 향료 0.8∼1.2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 비누 조성물을 가열을 통해 용해시킨 다음, 일정한 형태로 성형 제조된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액은 꾸지뽕의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별도의 용기에 충진하여 중탕기 내부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탕기 내부의 물을 200∼230℃의 온도 조건하에서 8∼1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용기 내의 꾸지뽕을 증기를 통해 찐 다음, 상기 용기 내의 추출된 꾸지뽕 추출액을 수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추출액의 제조과정에서 용기 내에서 증기에 의해 쪄진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꾸지뽕 잔류물을 압착기를 통해 압착하여 꾸지뽕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증기를 통해 찌는 가운데 생성된 꾸지뽕 추출액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KR1020100033611A 2010-04-13 2010-04-13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KR10109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11A KR101096628B1 (ko) 2010-04-13 2010-04-13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11A KR101096628B1 (ko) 2010-04-13 2010-04-13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35A KR20110114135A (ko) 2011-10-19
KR101096628B1 true KR101096628B1 (ko) 2011-12-21

Family

ID=4502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11A KR101096628B1 (ko) 2010-04-13 2010-04-13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707B1 (ko) * 2020-01-29 2020-09-17 김복술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35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99B1 (ko)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2517174B (zh) 一种山茶洁面皂
CN105754768B (zh) 一种含天然油茶皂苷的婴儿护理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0955003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CN105062722A (zh) 一种含桑椹及衍生品的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7157909A (zh) 一种防脱发洗发水
CN105410673A (zh) 一种富硒保健粽子
CN104770865A (zh) 一种芳香植物电子雾化液及其制备方法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CN105767994A (zh) 一种抗衰老大樱桃果酱
CN105950324A (zh) 一种山葵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1554072B1 (ko)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096628B1 (ko)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CN107980985A (zh) 一种虫茶制备工艺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KR102046974B1 (ko) 달팽이와 한약재를 주원료로 한 비누의 제조방법
CN107232352A (zh) 一种玫瑰花茶的制备方法
CN104256702B (zh) 一种鸭肉去腥护色的方法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CN105053367A (zh) 一种香椿叶保健茶的加工工艺
CN108541852A (zh) 一种山楂汁饮料及其加工工艺
CN109394578A (zh) 一种多功能亲肤复方精油
KR101150393B1 (ko)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KR101213278B1 (ko) 잔대추출물 및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세정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