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072B1 -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072B1
KR101554072B1 KR1020130144382A KR20130144382A KR101554072B1 KR 101554072 B1 KR101554072 B1 KR 101554072B1 KR 1020130144382 A KR1020130144382 A KR 1020130144382A KR 20130144382 A KR20130144382 A KR 20130144382A KR 101554072 B1 KR101554072 B1 KR 10155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foot bath
herbal
green tea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212A (ko
Inventor
김구환
양현옥
Original Assignee
김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환 filed Critical 김구환
Priority to KR102013014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와 쑥 등의 한방재료를 사용하여 발의 세균을 억제하고 하지 혈액순환 증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 위생적이고 경제적인 액상의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족욕을 할 때 온수에 첨가하는 기존용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이고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는 한방 족욕첨가제를 경제이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하여 제품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은 건조시킨 쑥의 애엽과 세절하거나 분말로 만든 함초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쑥 애엽 0.1~5중량부, 함초 0.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담아 중탕기에 넣고 60~125℃의 온도에서 30~20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중탕솥에서 80~125℃의 온도로 10~30분 동안 1.5~2.5기압으로 멸균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멸균된 추출액을 캔이나 파우치에 담아 밀봉하여 한방족욕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함초와 쑥을 주원료로 하는 한방족욕첨가제로서 재료의 혼합 비율과 투입시간, 압력과 온도 등을 최적화하여 저렴하고 위생적이며, 항균, 보습, 피부재생 효능이 탁월한 한방족욕첨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ot bath additives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본 발명은 함초와 쑥을 주원료로 만든 한방족욕첨가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는 쑥, 함초와 함께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을 추가로 혼합하여 보다 더 한방효과를 줄 수 있는 족욕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종래 족욕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소금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제품이거나, 천연물을 세절 또는 갈아서 티백에 담거나 족욕물에 섞어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족욕물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등 사용이 불편하고, 효능에 있어서도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입 허브 원료를 사용하여 고가이지만 족욕첨가제로서의 효능이 뛰어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를 구성하고 있는 주원료인 쑥과 함초, 계지, 상백피 및 탄산수소나트륨의 주요 성분과 효능은 다음과 같다.
쑥(Artemisia princeps)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쑥, 산쑥, 황해쑥 등이 있으며, 이들 잎은 애엽(艾葉)이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약효로는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해주고, 하복냉통, 냉대하 및 생리불순에 효과가 있고, 피부 가려움증과 습진에는 애엽을 다린 약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병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상이나 방사선 피부궤양에 애엽을 다린 물로 세척하면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콜레라균 및 피부진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쑥의 艾葉은 밭과 들에서 자라는데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갯벌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한해살이 염생식물로서, 화석식물의 성상을 지니며, 염분농도가 진한 척박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함초는 5~6월에 싹이 통통하게 올라와 7~8월에 진한 녹색으로 변하였다가 10월이 되면 붉게 변하면서 납작하고 둥근 열매를 맺는다. 함초는 각종 미네랄과 소금기가 많이 함유된 갯벌에서 자라며, 함수율이 90% 이상이고 맛이 짜다.
함초에는 인체에 유용한 여러 종류의 유기물과 철,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 같은 무기물 및 미네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함초의 잎에 많이 들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티로신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함초의 줄기 및 뿌리에는 리신, 글루탐산 및 타우린이 많이 들어 있다. 무기질을 살펴보면 함초 100g 당 Ca 650mg, Na 1333.8mg, Mg 50mg, K 650mg, Zn 29.6mg, Fe 84.8mg, I 70mg 등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도 Cu, Ni, Mn 등 여러 종류의 미네랄과 계면활성제 효능이 있는 베타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계지(桂枝)는 계수나무(Cinnamomum loureirii)의 어린 가지로 성미는 맵고 달고 따뜻하다. 계지는 경락을 따뜻하게 하여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오래된 종기 및 잘 낫지 않는 피부궤양에 효과가 좋다. 또한 계지는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피부진균, 폐렴쌍구균 및 디프테리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계지의 주성분은 시나믹 알데하이드이며, 계지는 또한 피부 땀구멍을 열어 주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허리 아래로 몰려 있는 피를 흩어주고 관절을 이롭게 하며 통풍을 치료한다.
상백피(桑白皮)는 뽕나무(Morus alba)의 뿌리껍질로 성미는 달고 차다. 상백피는 폐의 기운을 잘 흐르게 하여 천식에 효과가 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종기를 치료하며, 각기로 인한 부종, 피부가려움증, 두드러기를 치료한다. 민간요법으로 어린아이의 태열과 발진, 두드러기에 상백피 다린 물로 목욕하면 효과가 있다. 상백피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성분인 모르신(morusin), 물베린(mulberrin), 물베로크로멘(mulberrochromene), 시클로물베린(cyclomulberrin)과 쿠마론(Coumarone)계 성분인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엑다이스테론(ecdysterone), 스코폴레틴(scopoletin)이 함유되어 있다. 상백피는 황색포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및 이질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상백피의 채취 시기는 따로 없으나 10년 이상 묵은 뽕나무의 뿌리에서 채취한다. 상백피는 땅위로 나온 뿌리는 사용하지 말고, 동쪽 땅속으로 뻗은 뿌리의 흰 껍질을 사용한다.
탄산수소나트륨(NaHCO)은 바다나 땅속의 광상(鑛床) 그리고 생물의 몸속에 존재하는 약알칼리성을 띤 천연 미네랄 물질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소다(NaHCO3)속의 탄산이온(HCO3)이 중화됨으로써 물(H2O)과 이산화탄소 (CO2), 염(Na)으로 분해되며, 물은 약알칼리성을 띠게 되고 연마작용을 한다. 또한 물을 부드럽게 만들어 피부 보습작용과 세정효과를 높여주며, 또한 산성 악취를 흡수하고 알카리성 냄새도 제거한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젖산을 잘 배출하게 하여 손발이 저린 증상을 개선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피로 회복, 어깨 결림, 냉증 등에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5500호에 강화사자발쑥, 어성초, 익모초, 눈연꽃, 함초로 구성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7834호의 경우에는 함초 분말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화장료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함초 분말은 곱게 갈아도 섬유질이 남아 피부에 간혹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5565호에는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인체의 히알루론산 생성으로 피부외용제로의 기능을 하는 기술에 불과하다.
종래 고형의 족욕첨가제는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인체에의 친화력도 떨어지고, 또한 천연재료를 분말형태로 사용하는 족욕첨가제는 40℃ 내외의 족욕수에 첨가하였을 때 물의 온도가 낮고 사용시간이 짧아 물로 유효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않으며, 족욕수에 족욕첨가제의 가루나 찌꺼기 혼입되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족욕첨가제가 분말 티백 제품인 경우 밀봉이 되지 않아 보관시 방향 성분이 날아갈 우려가 있고, 사계절 온습도 차이가 많은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습기와 곰팡이의 오염 위험이 상존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5500호(공개일자 2012. 05. 3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7834호(공개일자 2001. 04. 15)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5565호(공개일자 2013. 02. 14)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 건강에 최적화한 족욕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해, 함초와 쑥을 끓여 유효성분을 최대한 추출한 수 있는 제조법을 제시하고, 간편하고 위생적인 제조공정을 통해 원료의 효능을 극대화하고, 항균력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을 돕고, 노폐물 제거효능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한방족욕첨가제를 위생적으로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는 함초, 쑥을 부직포자루에 넣어 음용수와 함께 중탕기에 투입하고 70~125℃의 온도에서 30~20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을 얻는다. 이때 용매로 투입하는 음용수는 내용물 무게의 5~5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 한 것은 내용물 대비 음용수는 10~20배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는 농축량으로 환산하여 제품의 성분량을 조절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상의 공정을 거친 내용물을 중탕솥에서 80~125℃의 온도로 10~30분 동안 가열하여 1.5~2.5기압으로 멸균한 다음 파우치나 캔, 병 등의 용기에 담아 제품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완전 멸균 상태에서 파우치나 캔, 병 등에 담아 밀봉하면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보관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는 족욕에 가장 적합한 위생적이고 인체 친화력이 뛰어난 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만든 족욕첨가제는 효능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고, 별도의 향을 첨가하지 않아도 쑥 등의 천연 향이 기호성을 증진시킨다. 쑥이나 계지 등은 방향 성분에 의해 발향효과가 탁월하며, 항균력이 우수한 천연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족욕시 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수입산 허브재료보다 가격대비 경제성이 탁월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는 함초, 쑥,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 등의 한방 재료를 가열 공정등으로 유효성분을 최대한 추출한 다음 밀봉하여 제품화하기 때문에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이 간편하고 이물질이 없으며 개봉하는 순간 향기가 피어올라 족욕을 하는 사람의 기분을 향상시켜주고 편안하게 한다. 본 발명 한방족욕첨가제는 발 등 족부의 건강증진에 최적화한 제품이고, 경제적이고 선호도가 뛰어나며 사용이 용이한 제품이다.
본 발명은 쑥과 함초 등의 한방 추출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한방족욕첨가제이며, 위생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품이고, 경제적으로 저렴다. 또한 발의 피로는 물론 발의 저림과 혈액순환 증대로 인한 발의 따뜻함, 부종 감소, 미백, 각질제거, 항균 등 다양한 효능을 보였으며 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혈액순환이 불량하거나 손이나 발이 저린 환자에게 한방족욕첨가제와 더불어 일라이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보았다. 한방족욕첨가제를 끓일 때 일라이트와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지 않는 것은 재료의 특성을 살리기 위함이다. 일라이트와 탄산수소나트륨은 미네랄과 반응하여 중화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족욕 시 온수에 한방족욕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쑥과 함초를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쑥, 함초와 함께 계지, 상백피, 백모근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추가로 혼합하여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함초와 쑥을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는 함초와 쑥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한방족욕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한방족욕첨가제에 사용되는 쑥은 약쑥, 산쑥 또는 황해쑥의 애엽(艾葉)을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함초는 잎, 뿌리 및 줄기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함초의 각 기관마다 함유된 미네랄 또는 아미노산의 함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채취한 함초를 세절하거나 분말로 만들어서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세절 또는 분말로 함초를 가공하는 것은 함초의 유효성분을 최대한 추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한방족욕첨가제는 함초, 쑥을 부직포자루에 넣어 음용수와 함께 중탕기에 투입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이때 용매로 투입하는 음용수는 내용물 무게의 5~5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것은 내용물 대비 음용수는 10~20배정도가 좋다.
이상의 공정을 거친 내용물을 중탕솥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가압 멸균한 다음 파우치나 캔, 병 등의 용기에 담아 제품을 제조한다.
음용수 100중량부에 상기에 준비한 쑥의 애엽 0.1~5중량부, 함초 0.1~5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중탕기에 넣고 70~125℃의 온도에서 30분 ~20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쑥과 함초를 음용수에 넣고 중탕할 때 추출되는 추출액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촘촘한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상기 원료를 넣어 물과 함께 중탕한다.
상기와 같이 쑥 및 함초를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넣고 음용수와 함께 중탕하는 것은 미세한 섬유분말이 추출액에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함초의 경우 곱게 갈아지지 않은 목질분말 성분이 피부 모공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상기 추출액은 중탕솥에서 80~125℃의 온도로 10~30분 동안 1.5~2.5기압으로 멸균한 후 캔이나 파우치에 담아 밀봉하면 한방족욕첨가제의 제품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은 근골격계 염증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추출액을 포장할 때 멸균에 더 바람직한 온도와 시간은 추출액을 120±3℃의 온도로 20±5분 동안 2기압의 압력으로 처리하면 보다 더 완전하게 멸균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완전 멸균한 상태에서 캔이나 파우치에 담아 밀봉하면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보관력이 우수하다.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는 쑥과 함초와 함께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을 추가로 투입하여 보다 더 한방효과를 줄 수 있는 족욕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을 추가로 투입하는 경우에는 음용수 100중량부에 쑥의 애엽 0.1~5중량부, 함초 0.1~5중량부에, 미리 채취하여 건조시킨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의 원료 각 0.1~5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중탕기에 넣고 70~125℃의 온도에서 30~20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쑥, 함초,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를 음용수에 넣고 중탕할 때 추출액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촘촘한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상기 원료를 넣어 물과 함께 중탕한다.
상기와 같이 쑥 및 함초를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넣고 음용수와 함께 중탕하는 것은 미세한 섬유분말이 추출액에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정으로 얻은 쑥, 함초,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의 추출액은 중탕솥에서 80~125℃의 온도로 10~30분 동안 1.5~2.5기압으로 멸균한 후 캔이나 파우치에 담아 밀봉하면 한방족욕첨가제의 제품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제품은 근골격계 염증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추출액을 포장할 때 멸균에 더 바람직한 온도와 시간은 추출액을 120±3℃의 온도로 20±5분 동안 2기압의 압력으로 처리하면 보다 더 완전하게 멸균된다.
[실시예 1] 쑥 및 함초를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 제조
1. 봄에 채취한 쑥의 애엽을 햇볕에 말려 보관하고, 한해살이 염생식물인 함초는 수확하여 세절하거나 곱게 갈아 분말을 만든다.
2. 쑥 300g과 함초 300g을 부직포주머니에 담아 중탕기에 넣고 음용수 40L를 부은 다음 100℃ 온도 전후로 150분 정도 끓여 추출액이 24L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3.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얻은 추출액 24L를 120℃의 온도 및 2기압의 압력조건으로 15분 동안 멸균한 다음 120ml씩 파우치에 담아 한방족욕첨가제 200개를 얻었다.
[실시예 2] 쑥, 함초,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을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 제조
1. 봄에 채취한 쑥의 애엽을 햇볕에 말려 보관하고, 한해살이 염생식물인 함초는 수확하여 세절하거나 곱게 갈아 분말을 만든다.
2.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을 각각 수확하여 건조시킨 다음 세절하거나 분말로 만든다.
3. 상기와 같이 준비한 한방족욕첨가제의 원료인 쑥, 함초, 계지, 상백피 및 백모근 각 300g을 부직포주머니에 함께 담아 중탕기에 넣고 음용수 50L를 넣은 다음 100℃ 온도 전후로 18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이 30L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4.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얻은 추출액 30L를 120℃의 온도 및 2기압의 압력조건으로 15분 동안 멸균한 다음 120ml씩 파우치에 담아 한방족욕첨가제 250개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한방족욕첨가제는 소비자가 족욕기를 이용하여 족욕을 할 때 족욕수 1~2.5L에 상기 파우치에 형태로 제품화된 한방족욕첨가제 1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를 족욕수에 혼합하여 족욕을 할 때 일라이트 10g, 탄산수소나트륨 15g을 추가로 족욕수에 혼합하여 사용하면 일라이트 및 탄산수소나트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라이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혼합하게 되면 발저림을 완화하여 주고, 발냄새 제거 및 발의 각질 등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를 족욕수에 혼합하여 사용할 때 티트리 및 라벤더 등의 허브 아로마를 족욕수에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허브의 향과 허브의 약리효과를 피로한 발에 가져다 줄 수 있다. 상기 허브 아로마는 한방족욕첨가제와 사용하거나 일라이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시킨 쑥의 애엽과 세절하거나 분말로 만든 함초를 준비하는 단계; 및
    음용수 100중량부에 상기 쑥 애엽 0.1~5중량부, 함초 0.1~5중량부, 계지 0.1~5중량부, 상백피 0.1~5중량부 및 백모근 0.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삼베자루 또는 부직포자루에 담아 중탕기에 넣고 70~125℃의 온도에서 30~200분 동안 끓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중탕솥에서 80~125℃의 온도로 10~30분 동안 1.5~2.5기압으로 멸균하는 단계; 및
    상기 멸균된 추출액을 캔이나 파우치에 담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과 함초를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는 소비자가 족욕수에 한방족욕첨가제를 사용할 때 일라이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족욕수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과 함초를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족욕첨가제는 티트리 및 라벤더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과 함초를 이용한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0130144382A 2013-11-26 2013-11-26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55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382A KR101554072B1 (ko) 2013-11-26 2013-11-26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382A KR101554072B1 (ko) 2013-11-26 2013-11-26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12A KR20150060212A (ko) 2015-06-03
KR101554072B1 true KR101554072B1 (ko) 2015-09-17

Family

ID=5350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382A KR101554072B1 (ko) 2013-11-26 2013-11-26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3166A (zh) * 2018-08-04 2018-11-23 湖南奇硒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富硒保健足浴粉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5410B (zh) * 2017-05-04 2018-02-27 李晟全 一种中药泡浴配方、制备方法及使用方法
CN107496680A (zh) * 2017-08-04 2017-12-22 芜湖凯奥尔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薰衣草足浴粉
CN115154509B (zh) * 2022-07-21 2023-07-18 内蒙古阿迪斯蒙医药有限公司 一种足浴舒通缓释粉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12B1 (ko) * 2011-05-25 2012-01-30 이귀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 및 그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712B1 (ko) * 2011-05-25 2012-01-30 이귀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 및 그 발효 생약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3166A (zh) * 2018-08-04 2018-11-23 湖南奇硒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富硒保健足浴粉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12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2453A (zh) 一种桑叶保健茶的制备方法
KR20110032804A (ko) 노니와 구아바를 이용한 기능성 차와 음료 제조방법
KR101554072B1 (ko)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US20110117263A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1390622A (zh) 一种清咽润喉保健饮料的制备方法
KR20010100562A (ko) 수제용 약차와 약술의 제조방법
EP2324718B1 (en) Health tea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156549A (zh) 一种清热润肺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17520A (ko) 식품용 솔잎차 및 건강식품용 솔잎분말제조방법
CN101933549B (zh) 利用核桃叶、杜仲叶、松针制备复合茶的方法
KR20110108557A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000055880A (ko) 뽕잎과 뽕나뭇가지 혼합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100733142B1 (ko)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옥수수 수염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690196A (zh) 一种柿子保健果酱的制备方法
KR102397833B1 (ko) 제주 청귤을 이용한 기능성 발포 세정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포 세정제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0824018B1 (ko) 함초와 동충하초를 함유한 기능성 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CN105724582A (zh) 一种速溶红豆奶茶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ES2401929T3 (es) Té saludable y método para preparar el mismo
KR20090057344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된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