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247B1 -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247B1
KR101094247B1 KR1020080123926A KR20080123926A KR101094247B1 KR 101094247 B1 KR101094247 B1 KR 101094247B1 KR 1020080123926 A KR1020080123926 A KR 1020080123926A KR 20080123926 A KR20080123926 A KR 20080123926A KR 101094247 B1 KR101094247 B1 KR 10109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column
slope
shock absorbing
absorbing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550A (ko
Inventor
나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에스 filed Critical (주) 에스에스
Priority to KR102008012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2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사면에 하부를 매설하여 수직으로 형성하는 H-빔지주(110)와, 상기 H-빔지주(110)의 상단에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로프(14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2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설치하는 차단망(130)과, 상기 H-빔지주(110) 각각에 양단을 상하로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하되 중앙부분이 사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부가 절곡되게 하는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60), 및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설치하는 보조차단망(170)으로 구성하므로 대규모의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도로 등으로 낙석 침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낙석, 낙서방지책, 사면

Description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Falling rock prevention fence for impact absor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에서 낙석발생시 효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낙석방지책의 낙석 차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책은 사면의 도로변이나 사면의 소단 등에 설치하여 상부 측에서 발생되는 낙석을 차단하여 도로 등으로 낙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낙석방지책은 낙석을 차단하여 낙석의 도로 침입 등을 방지하였으나 충돌에너지의 흡수가 극히 미미하여 소규모 낙석 발생시에도 낙석방지책이 쉽게 훼손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낙석의 차단효과를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사면 등에서 낙석이 발생하는 경우 다각적으로 낙석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대규모의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도로 등으로 낙석 침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석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효율적으로 낙석을 차단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은 사면에 하부를 매설하여 수직으로 형성하는 H-빔지주와, 상기 H-빔지주의 상단에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로프와, 상기 H-빔지주와 H-빔지주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와, 상기 H-빔지주 H-빔지주 사이에 설치하는 차단망과, 상기 H-빔지주 각각에 양단을 상하로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하되 중앙부분이 사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부가 절곡되게 하는 충격흡수프레임과, 상기 충격흡수프레임과 충격흡수프레임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 및 상기 충격흡수프레임과 충격흡수프레임 사이에 설치하는 보조차단망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은 낙석이 발생하면 절곡상태의 충격흡수프레임이 절곡핀을 기준으로 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협지상태의 슬 라이드구가 H-빔지주의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며, 큰 충격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1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2차로 상단와이어로프가 당겨지면서 나선파이프가 나선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펴지면서 2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으로 대규모의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도로 등으로 낙석 침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요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을 나타낸 측면도로써, A) 도는 낙석발생 전 측면도이고, B) 도는 낙석발생 후 측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100)은 사면에 하부를 매설하여 수직으로 형성하는 H-빔지주(110)와, 상기 H-빔지주(110)의 상단에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상단와이어 로프(14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2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설치하는 차단망(130)과, 상기 H-빔지주(110) 각각에 양단을 상하로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하되 중앙부분이 사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부가 절곡되게 하는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60), 및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설치하는 보조차단망(170)으로 구성한다.
상기 H-빔지주(110)는 사면의 도로 경계지점이나 소단 부분에 하부를 매설하고 수직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빔지주(110)는 매설부위에 연결구(111)의 상부측이 노출되게 매설하고 H-빔지주(110)의 하단에 연결편(113)을 형성하여 연결핀(112)으로 결합하므로 H-빔지주(110)의 하부가 절곡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횡와와이로프(120)와 차단망(130)은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통상으로 방법으로 결합한다.
상기 상단와이어로프(140)는 나선파이프(141)에 끼워 H-빔지주(110)의 상단에 사면을 연결하여 낙석으로 인한 충격발생시 나선파이프(141)가 펴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은 양단에 슬라이드구(151)를 연결핀(152)로 각각 결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구(151)를 H-빔지주(110)에 상하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되 충격흡수프레임(150)의 중앙부분을 절곡핀(153)으로 결합하여 절곡부분이 사면 측 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슬라이드구(151)는 H-빔지주(110)의 좌우측에서 끼워지는 구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드구(151)와 충격흡수프레임(150)의 결합과 동시에 H-빔지주(110)와 슬라이드구(151)가 협지상태를 유지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횡와이어로프(160)와 보조차단망(170)은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낙석이 발생하면 충격흡수프레임(150)나 충격흡수프레임(150)에 설치된 횡와이어로프(160) 또는 보조차단망(170)에 1차적으로 충돌하여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절곡상태의 충격흡수프레임(150)이 절곡핀(153)을 기준으로 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협지상태의 슬라이드구(151)가 H-빔지주(110)의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나아가, 대규모 낙석발생으로 큰 충격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2차로 H-빔지주(110)나 횡와이어로프(120) 또는 차단망(130)으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 H-빔지주(110)가 연결편(11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게 된다.
이때 상단와이어로프(140)가 당겨지면서 나선파이프(141)가 나선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펴지면서 2차로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더불어, 절곡상태의 충격흡수프레임(150)이 절곡핀(153)을 기준으로 펴지게 됨으로써, H-빔지주(110)와 횡와이어로프(120) 및 차단망(130)과, 충격흡수프레임(150)과 횡와이어로프(160) 및 보조차단망(170)이 2중 구조를 형성하므로 낙석을 보다 견고하게 차단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설치상태를 요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을 나타낸 측면도로써,
A) 도는 낙석발생 전 측면도이고,
B) 도는 낙석발생 후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낙석방지책 110 : H-빔지주
111 : 연결구 112 : 연결핀
120 : 횡와이어로프 130 : 차단망
140 : 상단지지와이어로프 141 : 나선파이프
150 : 충격흡수프레임 151 : 슬라이드구
152 : 연결핀 153 : 절곡핀
160 : 횡와이어로프 170 : 보조차단망

Claims (4)

  1. 사면에 하부를 매설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매설부위에 연결구(111)의 상부측이 노출되게 매설하고 H-빔지주(110)의 하단에 연결편(113)을 형성하여 연결핀(112)으로 결합하므로 H-빔지주(110)의 하부가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H-빔지주(110)와,
    상기 H-빔지주(110)의 상단에 일측단을 결합하고 타측단을 사면에 고정시키되 나선파이프(141)에 끼워 H-빔지주(110)의 상단에 사면을 연결하여 낙석으로 인한 충격발생시 나선파이프(141)가 펴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는 상단와이어로프(14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20)와,
    상기 H-빔지주(110)와 H-빔지주(110) 사이에 설치하는 차단망(130)과,
    상기 H-빔지주(110) 각각에 양단을 상하로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하되 중앙부분이 사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돌출부가 절곡되게 하고 양단에 슬라이드구(151)를 연결핀(152)로 각각 결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구(151)를 H-빔지주(110)에 상하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중앙부분을 절곡핀(153)으로 결합하여 절곡부분이 사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횡와이어로프(160), 및
    상기 충격흡수프레임(150)과 충격흡수프레임(150) 사이에 설치하는 보조차단망(17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3926A 2008-12-08 2008-12-08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109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26A KR101094247B1 (ko) 2008-12-08 2008-12-08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26A KR101094247B1 (ko) 2008-12-08 2008-12-08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50A KR20100065550A (ko) 2010-06-17
KR101094247B1 true KR101094247B1 (ko) 2011-12-19

Family

ID=4236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926A KR101094247B1 (ko) 2008-12-08 2008-12-08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05B1 (ko) * 2015-04-28 2015-11-27 주식회사 성원안전 사면 낙석방지책
KR20190090188A (ko) 2018-01-24 2019-08-01 (주)창광이앤씨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US20220220679A1 (en) * 2021-01-11 2022-07-14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Combined type flexible glass net system used for protection against full-particle falling rocks on plank roads in scenic sport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1760A (zh) * 2010-12-17 2011-04-27 河南省新开元路桥工程咨询有限公司 岩堆地段路基的防落石方法
KR101887006B1 (ko) * 2018-01-26 2018-08-09 (주)대호철망휀스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CN109208453A (zh) * 2018-09-30 2019-01-15 中铁第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槽型梁组合桁架防落石结构
CH717561B1 (de) * 2020-06-24 2023-04-14 Ribbert Ag Wasserdurchlässige Stützkonstruktion.
CN112030794B (zh) * 2020-09-10 2022-01-28 温州市交通规划设计研究院 一种道路工程施工危岩防护机构体
CN115637663B (zh) * 2022-10-10 2024-05-28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岩溶山区滑坡路边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099A (ja) * 1999-05-10 2000-11-24 Sho Bond Constr Co Ltd 落石等の監視装置
JP2001248675A (ja) * 2000-03-03 2001-09-14 Railway Technical Res Inst 緩衝装置およびこの緩衝装置を備えた防護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099A (ja) * 1999-05-10 2000-11-24 Sho Bond Constr Co Ltd 落石等の監視装置
JP2001248675A (ja) * 2000-03-03 2001-09-14 Railway Technical Res Inst 緩衝装置およびこの緩衝装置を備えた防護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05B1 (ko) * 2015-04-28 2015-11-27 주식회사 성원안전 사면 낙석방지책
KR20190090188A (ko) 2018-01-24 2019-08-01 (주)창광이앤씨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US20220220679A1 (en) * 2021-01-11 2022-07-14 Southwest Jiaotong University Combined type flexible glass net system used for protection against full-particle falling rocks on plank roads in scenic sport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5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247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KR101470685B1 (ko) 충격 흡수 울타리
KR1008775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완충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AU2020101111A4 (en) Cantilever truss supported resilient flexible protective shed tunnel
KR101056065B1 (ko) 이중 방호벽
KR20110047618A (ko) 충격완화 기능이 구비된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929403B1 (ko) 팽창기능이 구비된 충격흡수형 다용도 차단망
JP2907214B1 (ja) 衝撃吸収柵
JP7027124B2 (ja) 防護施設、エネルギー吸収面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101683851B1 (ko) 단부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용 가드레일
JP2016166461A (ja) 衝撃吸収柵
JP5414555B2 (ja) 防護柵
CN2921095Y (zh) 隔离带护栏主体结构
TW201435181A (zh) 落石防護柵
KR200287832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로프 간격유지장치
JP4213839B2 (ja) 緩衝装置およびこの緩衝装置を備えた防護柵
KR101288063B1 (ko) 교량용 난간
KR200447352Y1 (ko) 낙석방지책
KR101676807B1 (ko)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KR10062077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KR20080001191U (ko) 가드레일용 동물 보호망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