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006B1 -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 Google Patents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006B1
KR101887006B1 KR1020180010209A KR20180010209A KR101887006B1 KR 101887006 B1 KR101887006 B1 KR 101887006B1 KR 1020180010209 A KR1020180010209 A KR 1020180010209A KR 20180010209 A KR20180010209 A KR 20180010209A KR 101887006 B1 KR101887006 B1 KR 10188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epoxy resin
wall
str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석
Original Assignee
(주)대호철망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철망휀스 filed Critical (주)대호철망휀스
Priority to KR102018001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10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 C09D5/106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containing Z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는,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FENCE HAVING A H-POST, THE EPOXY POWDER COATING OF THE FENCE, AND THE METHOD COATING OF THE FENCE}
본 발명은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는,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공동주택단지, 공공시설지, 공장지, 공원 등에 그 내부 영역을 외부영역과 구분하거나 방범을 목적으로 부지의 경계부분에 설치되고 있다.
그 밖에도 휀스는 택지와 도로 사이, 인도와 차도 사이, 교량의 난간 등에 광범위하게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휀스는 통상적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03953호의 조립형 휀스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의 휀스는 지주에 외력(外力)이 가해지면 지주를 보호할 수 없고, 또한 지주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저항이 커서 지주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지주의 하측에서 지주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개비온(Gabion)을 포함하고 있는 휀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개비온이라 함은, 철사로 엮은 망태로서 돌을 채워 만든 구조물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돌을 채우지 않도록 구성하는 한편, 지주와 견고하게 결합시켜 지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바람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개비온의 여러 면 중에서 특히, 배면 방향으로는 수평력이나 상태 토압에 의한 억제력이 작용되어 수직하중에 의하여 개비온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추가 구조도 필요한 실정이다.
개비온(이하, 본 발명에서는 '휀스벽'으로 지칭함)을 포함하는 휀스 구조물에 대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467149호의 자연친화용 휀스(본 출원인의 권리)와, 등록특허공보 제10-1088719호의 사계절 녹화 도로분리대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213호의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과 구조적으로 상이하고, 이로 인해 발명이 보유하는 효과 역시 상이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3953호(2012.11.2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67149호(2014.12.0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088719호(2011.12.01.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213호(2017.07.28.)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는,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상기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접촉되되, 일측에 앵카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앵카볼트 삽입홀(11a)이 복수 개 형성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H'자 단면형태를 갖기 위하여 2개의 오목홈(12a)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기둥(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휀스벽(2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양단부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봉에 연결되어 구성된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상기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되는 세로 휀스프레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휀스프레임(22)의 상측은 고리형태로 만곡되어 복수 층의 가로 휀스프레임(21) 중 최상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휀스프레임(22)의 하측은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어 최하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 의하면, 개비온 형태로 구성된 휀스벽에 의해 지주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 사이로 불어오는 바람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지주가 바람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휀스벽 상측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지주 사이의 장식벽에 의해 휀스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주에 형성된 오목홈에 장식막대를 억지 끼움 함으로써, 장식막대를 통한 디자인의 심미성을 확보하고, 문구 등의 삽입으로 광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식막대를 형광으로 구성하는 경우 야간에 위치확인과 지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의 휀스벽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가로 휀스프레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세로 휀스프레임이 가로 휀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의 상측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세로 휀스프레임이 가로 휀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의 하측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서 지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서 장식벽이 구성되는 다양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는,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은, 지주(10), 휀스벽(20) 및 장식벽(30)으로 주요하게 구성된다.
지주(10)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서 지주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지주(10)는, 지면에 면접촉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기둥(12)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1)에는 베이스(11)와 지면을 고정하는 앵카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앵카볼트 삽입홀(11a)이 복수 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12)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H'자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일측면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구성된 2개의 오목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12a)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목홈(12a)과 동일한 크기 및 길이방향을 갖는 장식막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막대는, 문구나 어구 등이 새겨져 광고나 외관장식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무늬 또는 색감(형광색) 등을 주어 외관장식의 역할은 물론 야간에 길을 안내하고 휀스가 위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휀스벽(20)은 복수 개 배열된 지주(10) 사이 중 하측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세로 휀스프레임(22)이 결합되어 개비온(돌망태)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의 휀스벽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가로 휀스프레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세로 휀스프레임이 가로 휀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의 상측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세로 휀스프레임이 가로 휀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의 하측을 나타낸 것이다.
즉, 휀스벽(20)은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세로 휀스프레임(22)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가로 휀스프레임(21)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양단부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봉(도면부호 미도시)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
세로 휀스프레임(22)은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세로 휀스프레임(22)의 상측은 고리형태로 만곡되어 복수 층의 가로 휀스프레임(21) 중 최상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세로 휀스프레임(22)의 하측은 90°의 각도로 만곡되어 최하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휀스벽(2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개비온(돌망태)의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 휀스벽(20) 내측에는 빈 공간이 되도록 함으로써, 휀스벽(20)이 지주(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벽 형태의 구조물에 비해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지주(10)의 바람저항력을 감소시켜 지주(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된 구조를 갖는 휀스벽(20)에 대하여,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세로 휀스프레임(22) 중 배부름 형상이 우려되는 영역에 배부름 방지선을 상기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세로 휀스프레임(22) 중 어느 하나의 것들에 고정(용접)시킴으로써, 개비온 구조의 휀스벽(20)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지주(10) 사이공간 중 상측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장식벽(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식벽(30)은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지주(10)의 일벽면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물로서, 지주(10) 사이를 장식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장식의 의미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프레임이 개비온처럼 엮여서 망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장식벽(30)에 의한 장식 구조물의 형태를 한정짓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장식벽(30)에 의한 지주(10) 사이의 장식은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에서 장식벽이 구성되는 다양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봉으로 지주 사이를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6과 같이 다양한 장식을 통해 수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H형 지주를 갖는 휀스는 설계 조건에 따라서, 도 4와 같은 기둥(12)의 'H'자 단면형태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이 되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오목홈(12a)에 삽입되는 장식막대의 삽입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는 고정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목홈(12a)에는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홀(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이때 홀이 갖는 소정의 크기는 후술되는 고정수단의 고정단부의 크기에 대응되어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2개의 고정단부와, 고정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고정단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흡착식 에어패드로 구성되어 누르면 공기배출에 의해 진공배출되어 흡착되고, 내부로 공기를 약간만 유입시키면 흡착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형을 유리창에 고정하는 에어패드가 그 것이다.
이러한 고정단부의 일측으로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고정단부의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해 2개의 고정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탄력성이 있는 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연결부는 탄력성이 있는 끈으로 구성되되, 권취 축이 형성된 감음모듈이 끈 사이마다 복수 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즉, 끈이 감음모듈의 권취 축에 감기는 형태로 복수 개의 감음모듈이 구성되어 1개의 고정단부는 오목홈(12a)에 형성된 홀을 통해 장식막대에 흡착되어 고정되고, 다른 1개의 고정단부는 기둥(12)의 중공 내측벽 중 어느 일측에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2개의 고정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끈이 연결되는 고리에 제2 권취 축을 삽입하여 고정하되, 이 제2 권취 축에는 끈의 단부가 권취되고, 제2 권취 축의 일측에는 끈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단속돌기가 돌출되어, 끈의 끝단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고정단부를 고정막대와 기둥(12)의 내측벽에 흡착시켜 고정한 경우, 제2 권취 축의 단속돌기에 의해 끈이 당겨짐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감음모듈의 권취 축에 각각 권취된 끈의 당겨짐이 유지됨에 따라, 장식막대에 흡착된 고정단부의 당겨짐이 발생되어 장식막대가 오목홈(12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힘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한편, 또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앵카볼트 삽입홀(11a)의 하측으로는 지면에 미리 당김연결부재가 내설되도록 한다.
이러한 당김연결부재는 총 3개의 관절로 구성되는데, 제1 관절은 앵카볼트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관절은 제1 관절의 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3 관절은 제2 관절의 다른 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되, 그 형태가 '
Figure 112018009516543-pat00001
'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쪽의 하측단부가 제2 관절과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2회 절곡되어 형성된 고리영역이 가로 휀스프레임(21)의 일측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관절은 이의 폭 방향으로 축이 관통되며, 상기 축은 양단부에 볼트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지면에 내설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관절에 앵카볼트가 삽입되는 경우, 나사산의 맞물림에 의해 제1 관절은 소정의 높이(앵카볼트의 삽입시 발생되는 회전력에 대응되는 높이) 만큼 상승되며, 제2 관절이 지면에 축과 볼트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1 관절에 연결된 단부는 상승하게 됨에 따라 제3 관절에 연결된 단부는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3 관절도 함께 하강하게 되어, 이로 인해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걸린 제3 관절이 하강하면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주(10)와 휀스벽(20)의 가로 휀스프레임(21)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지주(1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본 발명에 따른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는, 하도도료, 상도도료로 구분된다.
비아연계 재료를 포함한 에폭시 열경화성 하도도료는 주로 내식성을 제공하고, 그 위에 코팅되는 에폭시-폴리에스테르 열경화성 상도도료는 주로 내충격성을 제공한다.
하도도료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로는 80~125℃의 연화점과 450~1,40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2,2-비스-(4-히드록시페놀)-프로판을 사용한다.
하도도료에서 에폭시수지의 양은 첨가제 및 충전제의 양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60~95중량부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첨가제는 경화제로서, 하도도료에 대하여 적정량의 폴리하이드록실 페놀 경화제 및 2-메틸이미다졸을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실 페놀 경화제와 디시안디아민 경화제가 포함된다.
더불어, 상기 충전제는 적정량의 부식 억제 충전제이다.
이때,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 복합알루미노규산염(백운모), 메타규산칼슘(규회석), 미립자화 규산마그네슘(활석), 산화아연분말, 아연말, 석영분말,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및 산화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을 사용한다.
상도도료는 에폭시수지,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 카르복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수지, 1,4- cyclohexanedimethylene, cyclohexylene, 첨가제, 내오염방지제 및 전도성고분자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에폭시수지는, 520~93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에폭시수지로서, 80~125℃의 연화점을 가진 2,2-비스-(4-히드록시페놀)-프로판을 기반으로 한 것을 사용한다.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는, 1,000~1,60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적정량의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를 이용한다.
카르복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C6~C10 사이클로 알킬렌 족(cycloalkylene group)이거나 C2~C9 사이클로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 또는 두 가지의 혼합물이다.
첨가제는 PMMA로서, 표면 개질된 LDPE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UHMW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로 표면을 개질한다.
내오염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및 비이온계 대전방지제를 사용한다.
전도성고분자는 Preceramicpolymer(Polysiloxane)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상도도료에는 내마모성 기능성 코팅액과 내오염 기능성 코팅액을 더 첨가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내마모성 기능성 코팅액은, 내마모제 Al2O3(alumi-num oxide), Al(OH)3(aluminum hydroxide) 및 SiO2(silicon dioxide)을 에폭시수지의 양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10~30중량부의 함량을 첨가하여 사용하고,
내오염 기능성 코팅액은, UJ-PUA에 수용성 대전방지제, UV경화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를 에폭시수지의 양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5~2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에서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상술된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지주
11 : 베이스
11a : 앵카볼트 삽입홀
12 : 기둥
12a : 오목홈
20 : 휀스벽
21 : 가로 휀스프레임
22 : 세로 휀스프레임
30 : 장식벽

Claims (10)

  1. 지주와, 상기 지주 하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휀스벽과 상기 지주 상측에서 복수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장식벽으로 구성된 휀스에 있어서,
    상기 휀스벽은 복수 개의 휀스프레임을 엮어 조립되어 구성됨으로써, 방어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통풍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여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지주는 'H'자 단면형태를 갖되,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접촉되되, 일측에 앵카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앵카볼트 삽입홀(11a)이 복수 개 형성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H'자 단면형태를 갖기 위하여 장식막대가 삽입되는 2개의 오목홈(12a)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기둥(12)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홈(12a)에는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2개의 고정단부와, 상기 고정단부를 연결하는 탄력성 있는 끈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권취 축이 형성된 감음모듈의 상기 권취 축에 일정 간격마다 권취되고,
    상기 연결부의 어느 일단에는 상기 권취 축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 권취 축에 권취되되, 상기 제2 권취 축에 형성된 단속돌기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권취 축에 하나의 고정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2개의 고정단부 중, 제2 권취 축에 연결된 고정단부는 기둥(12)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고정단부가 장식막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휀스벽(2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양단부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봉에 연결되어 구성된 가로 휀스프레임(21)과,
    상기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되는 세로 휀스프레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 휀스프레임(22)의 상측은 고리형태로 만곡되어 복수 층의 가로 휀스프레임(21) 중 최상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로 휀스프레임(22)의 하측은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어 최하층에 위치한 가로 휀스프레임(2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5. 청구항 1 내지 4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휀스에 도장되는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분체도료는,
    하도도료 및 상도도료로 구분되어 이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도도료는,
    에폭시수지, 첨가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되,
    상기 에폭시수지는 80~125℃의 연화점과 450~1,40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2,2-비스-(4-히드록시페놀)-프로판이고,
    상기 첨가제는 경화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실 페놀 경화제 및 2-메틸이미다졸을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실 페놀 경화제와 디시안디아민 경화제이며,
    상기 충전제는 부식 억제 충전제로서, 실리카, 복합알루미노규산염(백운모), 메타규산칼슘(규회석), 미립자화 규산마그네슘(활석), 산화아연분말, 아연말, 석영분말,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및 산화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도도료는,
    에폭시수지,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 카르복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수지, 1,4- cyclohexanedimethylene, cyclohexylene, 첨가제, 내오염방지제 및 전도성고분자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에폭시수지는, 520~93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에폭시수지로서, 80~125℃의 연화점을 가진 2,2-비스-(4-히드록시페놀)-프로판이고,
    상기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는, 1,000~1,600의 에폭시 당량을 가진 탄성체 개질 에폭시수지이며,
    상기 카르복시 기능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C6~C10 사이클로 알킬렌 족(cycloalkylene group)이거나 C2~C9 사이클로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 또는 두 가지의 혼합물이고,
    상기 첨가제는 PMMA로서,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UHMW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로 표면을 개질된 것이며,
    상기 내오염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및 비이온계 대전방지제이고,
    상기 전도성고분자는 Preceramicpolymer(Poly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도도료에는 내마모성 기능성 코팅액과 내오염 기능성 코팅액을 더 첨가하여 사용하되,
    상기 내마모성 기능성 코팅액은, 내마모제 Al2O3(alumi-num oxide), Al(OH)3(aluminum hydroxide) 또는 SiO2(silicon dioxide)을 에폭시수지의 양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10~30중량부의 함량을 첨가하여 사용하고,
    상기 내오염 기능성 코팅액은, UJ-PUA에 수용성 대전방지제, UV경화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또는 폴리우레탄용 대전방지제를 에폭시수지의 양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5~2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10. 삭제
KR1020180010209A 2018-01-26 2018-01-26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KR10188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09A KR101887006B1 (ko) 2018-01-26 2018-01-26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09A KR101887006B1 (ko) 2018-01-26 2018-01-26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006B1 true KR101887006B1 (ko) 2018-08-09

Family

ID=6325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09A KR101887006B1 (ko) 2018-01-26 2018-01-26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278B1 (ko) * 2019-10-15 2020-04-08 주식회사 대호토탈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2244003B1 (ko) 2020-12-11 2021-04-22 허준 도로 구조물의 분체 도장 조성물
CN115340809A (zh) * 2022-08-30 2022-11-15 深圳新红进科技有限公司 一种防静电环氧基地坪涂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550A (ko) * 2008-12-08 2010-06-17 (주)엠케이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1088719B1 (ko) 2010-01-11 2011-12-01 이선희 사계절 녹화 도로분리대
KR101203953B1 (ko) 2012-02-17 2012-11-22 (주)알씨에스 조립형 휀스
KR101368451B1 (ko) * 2012-11-02 2014-03-03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울타리 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149B1 (ko) 2014-06-03 2014-12-01 (주)대호철망휀스 자연친화용 휀스
KR20170087213A (ko)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국제철망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550A (ko) * 2008-12-08 2010-06-17 (주)엠케이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1088719B1 (ko) 2010-01-11 2011-12-01 이선희 사계절 녹화 도로분리대
KR101203953B1 (ko) 2012-02-17 2012-11-22 (주)알씨에스 조립형 휀스
KR101368451B1 (ko) * 2012-11-02 2014-03-03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울타리 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149B1 (ko) 2014-06-03 2014-12-01 (주)대호철망휀스 자연친화용 휀스
KR20170087213A (ko)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국제철망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278B1 (ko) * 2019-10-15 2020-04-08 주식회사 대호토탈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2244003B1 (ko) 2020-12-11 2021-04-22 허준 도로 구조물의 분체 도장 조성물
CN115340809A (zh) * 2022-08-30 2022-11-15 深圳新红进科技有限公司 一种防静电环氧基地坪涂料及其制备方法
CN115340809B (zh) * 2022-08-30 2023-08-15 宁波恒翔涂料有限公司 一种防静电环氧基地坪涂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006B1 (ko)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CN103225256A (zh) 扩宽栏杆宽幅并改善桥的美观性的水边木栈道
ITRM20080638A1 (it) "struttura galleggiante modulare per impianto fotovoltaico"
US20020056251A1 (en) Stanchion cover
US7314212B2 (en) Sound attenuating fencing assembly
CN207958991U (zh) 一种装配式护栏
CN102587301B (zh) 双层柔性防风网
KR102104814B1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EP0439587A1 (en) CONSTRUCTION ELEMENT.
CN208309412U (zh) 声屏障及其安装结构
CN203878452U (zh) 一种新型廊桥
KR102297365B1 (ko) 유희시설을 구비한 사장교의 시공방법
KR101233868B1 (ko) 쿠션 수지층을 갖는 기둥 구조물
JP2764376B2 (ja) 土木建築用付属構造物
KR102600546B1 (ko)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KR20070105950A (ko) 아파트 단지 내 인공 대지 조성 방법
CN202543814U (zh) 一种双层柔性防风网
JP2007138503A (ja) 装飾用ルーバー
US20050076586A1 (en) Post cover sleeve with upper vessel
JP2932139B2 (ja) 吊橋の高欄構造
CN105905401B (zh) 带标记的饮料瓶身
CN220192283U (zh) 用于美化井盖的仿生植物景观
KR200197319Y1 (ko) 깃대 설치용 난간 포스트
CN212224884U (zh) 一种水利工程堤坝栏杆
CN2628578Y (zh) 玻璃钢桥梁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