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807B1 -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 Google Patents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807B1
KR101676807B1 KR1020160038140A KR20160038140A KR101676807B1 KR 101676807 B1 KR101676807 B1 KR 101676807B1 KR 1020160038140 A KR1020160038140 A KR 1020160038140A KR 20160038140 A KR20160038140 A KR 20160038140A KR 101676807 B1 KR101676807 B1 KR 10167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pacer
main portion
safety spacer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신
Priority to KR102016003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3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incorporating resiliently-mounted members for attachment of the cable end

Abstract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30)에 연결되어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이동로드(50)에 압축스프링(60)이 끼워지고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덮는 평판 형태의 주부(71)와 압축스프링의 말단을 덮는 측부(72)를 포함하는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로드(50)에 결합부재(80)가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의 주위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임 결합됨으로써 압축스프링(10)은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의 길이만큼 압축되게 되어 각 와이어로프(30)는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고신뢰도의 완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와이어로프별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Falling stone prevention fence providing high reliable buffer function and safety diagnosis function}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이다.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낙석방지펜스가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고 있다. 상당한 무게의 낙석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어 낙석방지펜스에 충돌하게 되면 대부분의 낙석방지펜스는 전도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되게 된다. 낙석방지펜스의 부분적인 파손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러한 결함을 갖고 있는 낙석방지펜스에 낙석이 재충돌하여 낙석방지펜스가 무너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너진 낙석방지펜스로 인해 낙석방지펜스의 부재, 낙석 등이 도로에 유입되면 도로를 지나는 차량과의 충돌 사고로 이어져 그에 따른 인명 피해, 재산 피해가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낙석방지펜스의 안전 여부를 정기적으로 자주 진단하여야 하는데 낙석방지펜스는 주로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는 산간지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 진단이 실현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편,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낙석방지펜스에 충돌되는 낙석의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낙석방지펜스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3532호, 제10-0865163호 등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낙석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낙석방지펜스를 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같이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경우에 인장스프링의 강선 말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공이 주변 부재에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인장스프링은 이러한 걸림공에 걸려 그 주변 부재를 계속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걸림공 부위가 경년 변화되어 서서히 파손되거나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인장스프링의 걸림이 풀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96317호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낙석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낙석방지펜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압축스프링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해 나사산에 너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 나사산이 뭉개짐으로써 압축스프링이 과다하게 압축되거나 너트가 덜 진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압축스프링이 덜 압축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그것의 설계자에 의해 제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으로 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동되지 않아 여러 지역에 설치되는 모든 낙석방지펜스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로 하여금 낙석방지펜스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낙석방지펜스에 큰 충격이 가해졌는가를 직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갖는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며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제 1 최외측 지주에는 복수 개의 두께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 각각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의 각 관통공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의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동로드; 각각이 상기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각 이동로드의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각 이동로드의 돌출 부위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압축스프링: 각각이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외주면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덮는 평판 형태의 주부와 상기 주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말단을 덮는 측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 및 각각이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의 부위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각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 결합부재의 조임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압축스프링은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만큼 압축됨으로써 상기 각 와이어로프는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다.
상기 각 결합부재의 조임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압축스프링은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만큼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는 상기 각 압축스프링과 상기 각 결합부재 사이에 끼임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굽힘 응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양면 중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완충 기능이 정상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는 상기 문구가 표시된 반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의 전면의 연직방향으로 도로 측을 향하도록 상기 각 압축스프링과 상기 각 결합부재 사이에 끼임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주부의 문구 표시면은 상기 연직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은 상기 주부의 일모서리이거나 상기 주부의 일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주부의 타모서리로부터 상기 홈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게 연장된 립(rip)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가 압축스프링과 결합부재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가 낙하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이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는 상기 주부의 타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 이동로드의 직경보다는 크고 각 압축스프링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상기 각 압축스프링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의 직경보다 작은 폭의 "U"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의 홈에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의 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의 홈 외측부위가 상기 각 압축스프링과 상기 각 압축스프링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 사이에 끼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부가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말단을 덮게 될 수 있다.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는 상기 주부에 의해 일측이 덮인 압축스프링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부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폭이 좁거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굽힘 강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좁은 폭 부위 또는 얇은 두께 부위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 중에서 일부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는 상기 일부 안전스페이서보다 높게 설치된 다른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보다 상기 각 압축스프링의 길이방향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부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은 상기 다른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보다 더욱 압축될 수 있다.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최외측 지주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이동로드에 압축스프링이 끼워지고 압축스프링의 외주면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덮는 평판 형태의 주부와 압축스프링의 말단을 덮는 측부를 포함하는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로드에 결합부재가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의 관통공의 주위면에 밀착될 때까지 조임 결합됨으로써 압축스프링은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만큼 압축되게 되어 각 와이어로프는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이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만큼 압축됨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압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낙석방지펜스의 설계자에 의해 제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되어 여러 지역에 설치되는 모든 낙석방지펜스가 최적의 완충력으로 시공될 수 있는 고신뢰도의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압축스프링이 덜 압축됨에 따른 압축스프링의 과도한 탄성에 의한 주변부재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고 압축스프링이 과다하게 압축됨에 따른 압축스프링의 완충력 저하가 방지될 있기 때문에 주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최대의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 것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그 안전스페이서와 결합되어 있던 이동로드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된 와이어로프와 그것의 주변 부재를 중심으로 낙석방지펜스를 점검함으로써 낙석방지펜스를 정기적으로 자주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고 낙석방지펜스의 전체를 세세하게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어 낙석방지펜스의 유지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각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양면 중 각 압축스프링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각 와이어로프의 완충 기능이 정상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고, 각 안전스페이서의 측부는 문구가 표시된 면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의 전면의 연직방향으로 도로 측을 향하도록 각 압축스프링과 각 결합부재 사이에 끼임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그것의 측부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거나 굽힘 응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로부터 이탈되면 주부의 문구 표시면은 연직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가 차량을 타거나 보행하면서 안전스페이서에 표시된 문구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의 전면의 연직방향, 즉 낙석방지펜스의 전방을 향하는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만으로 낙석 충돌에 의한 낙석방지펜스의 안전 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되어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별 정밀 진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 중에서 일부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는 일부 안전스페이서보다 높게 설치된 다른 안전스페이서의 주부의 길이보다 각 압축스프링의 길이방향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낮은 위치의 압축스프링은 높은 위치의 압축스프링보다 더욱 압축되게 되어 각 지주의 상측에 작용하는 완충력을 하측에 작용하는 완충력보다 크게 할 수 있고 각 지주의 하측의 흔들림을 상측의 흔들림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주의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지주의 매립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동되지 않고 여러 지역에 설치되는 모든 낙석방지펜스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로 하여금 낙석방지펜스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낙석방지펜스에 큰 충격이 가해졌는가를 직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갖는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직관적인 안전진단기능을 갖는 낙석방지펜스를 간략하게 "낙석방지펜스"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복수 개의 지주(10), 복수 개의 보조지주(20),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복수 개의 스플라이서(40), 복수 개의 이동로드(50), 복수 개의 압축스프링(60),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및 복수 개의 결합부재(80), 및 방호망(9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좌우가 대칭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의 좌측과 우측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도 1-4에는 낙석방지펜스의 우측만 도시되어 있고 좌측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4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우측 부분의 구성으로부터 낙석방지펜스의 좌측 부분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주(10)는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 지역의 도로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한 후에 그 콘크리트 기초에 각 지주(10)의 하측 부위를 일정 깊이로 매립함으로써 각 지주(10)는 낙석 지역의 도로변에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지주(10) 각각에는 복수 개의 두께방향의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지주(10)에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각 관통공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와이어로프(30)가 통과되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공이다.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도로 측을 향하여 떨어지는 낙석을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지주(10)는 그 상단부가 도로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주(10) 중 두 개의 최외측 지주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빔(beam)으로 시공되고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나머지 지주들(12)은 H형 빔으로 시공된다. 두 개의 최외측 지주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지주들(10)과는 달리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그것에 이웃하는 지주가 존재하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에 낙석이 충돌된 경우에 다른 지주들보다 강한 충격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최외측 지주는 H형 빔보다 강한 강성을 갖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빔으로 시공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모든 지주(10)가 사각파이프 형상의 빔보다 저렴한 H형 빔으로 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조지주(20) 각각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장력에 대항하기 위해 각 최외측 지주와 각 최외측 지주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주 사이에 각 지주(10)의 직립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각 최외측 지주의 측면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 보조지주(20)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최좌측 지주를 우측으로 당기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장력에 의해 최좌측 지주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좌측 지주와 최좌측 지주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주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각 최좌측 지주의 우측면에 결합된다. 우측 보조지주(20)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최우측 지주를 좌측으로 당기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장력에 의해 최우측 지주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우측 지주와 최우측 지주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지주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이 각 최우측 지주의 좌측면에 결합된다.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는 각 지주(1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복수 개의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와이어로프(30)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외의 나머지 지주들(12) 각각의 각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함으로써 복수 개의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외의 나머지 지주들(12) 각각의 동일 높이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함으로써 그 관통공들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와이어로프(30)는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외의 나머지 지주들(12) 각각의 각 관통공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플라이서(40) 각각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각각과 복수 개의 이동로드(50) 각각을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스플라이서(40)는 각 와이어로프(30)와 각 이동로드(50) 사이에 삽입되어 그 일측이 각 와이어로프(30)의 말단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각 이동로드(50)의 말단에 결합됨으로써 각 와이어로프(30)와 각 이동로드(50)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스플라이서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30)와 복수 개의 이동로드(50) 중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 사이에 삽입되어 그 일측이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30)의 말단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50)의 말단에 결합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30)와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50)를 연결한다. 각 스플라이서(40)의 일측과 각 와이어로프(30)의 말단간 구체적인 결합방식과 각 스플라이서(40)의 타측과 각 이동로드(50)의 말단간의 구체적인 결합방식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사항이므로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복수 개의 이동로드(50) 각각은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어느 하나의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의 로드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각각에 연결되며 타단이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다.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각 이동로드(50)의 부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50)이 낙석방지펜스의 우측에 설치된다면 그 이동로드(50)의 좌측 말단은 스플라이서(40)에 의해 와이어로프(30)의 우측 말단에 연결되며 우측 말단은 최우측 지주(11)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다. 어느 하나의 이동로드(50)가 낙석방지펜스의 좌측에 설치된다면 그 이동로드(50)의 우측 말단은 스플라이서(40)에 의해 와이어로프(30)의 좌측 말단에 연결되며 좌측 말단은 최좌측 지주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다.
복수 개의 압축스프링(60) 각각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어느 하나의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각 이동로드(50)의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각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진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압축스프링(60)은 그 일단이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에 접촉되도록 각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진다. 압축스프링(60)의 강성이 강할수록 낙석의 충격에 의해 파괴되기 어려워지나 탄성계수가 증가되어 완충력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압축스프링(60)의 강성이 약할수록 낙석의 충격에 의해 파괴되기 쉬우나 탄성계수가 감소되어 완충력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동일한 강성의 조건 하에서 압축스프링(6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완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압축스프링(6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 그에 비례하여 이동로드(50)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압축스프링(6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 경우에 이동로드(50)가 낙석의 충격에 의해 쉽게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가 낙석의 충격에 강인하면서도 우수한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압축스프링(60)의 소재와 길이의 적절한 설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각각은 횡단면 "L"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덮는 평판 형태의 주부(71)와 주부(7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을 덮는 측부(72)로 구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가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의 일측을 덮은 상태에서 측부(72)가 일단이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의 주위면에 접촉되어 있는 압축스프링(6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로드(50)의 부위에 끼워짐으로써 각 압축스프링(60)의 타단을 덮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다.
여기에서, 임계 크기는 각 안전스페이서(70)에 가해진 외력에 저항하여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외력의 크기와 각 안전스페이서(7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외력의 크기 중 최소값이 될 수 있다. 각 안전스페이서(70)에 이러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그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될 수 있도록 안전스페이서(70)의 소재와 형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안전스페이서(70)는 잘 부러지는 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이러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 것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그 안전스페이서와 결합되어 있던 이동로드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된 와이어로프(30)와 그것의 주변 부재를 중심으로 낙석방지펜스를 점검함으로써 낙석방지펜스를 정기적으로 자주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고 낙석방지펜스의 전체를 세세하게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어 낙석방지펜스의 유지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재(80) 각각은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50)의 부위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각 압축스프링(60)의 신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과 이격되어 있는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그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에 밀착될 때까지 각 압축스프링(60)을 압축시킨다. 결합부재(80)의 대표적인 예로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80)를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너트(8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로드(50)의 나사산 부위에 하나의 너트(80)가 조임 결합된 후에 그 위에 다시 하나의 너트(80)가 더 조임 결합된다. 이동로드(50)와 너트(80)의 결합 부위는 용접 처리될 수도 있고 풀림방지형 너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는 압축스프링(60)이 신장된 상태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의 주위면에 접촉되도록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진 압축스프링(60)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러한 압축스프링(60)에 의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어느 하나의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게 된다. 너트(80)가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로드(50)의 부위에 서서히 조임 결합되면 너트(80)에 접촉되어 있는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너트(80)에 의해 밀려 안전스페이서(70)는 최외측 지주(1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의 주위면에 도달하여 밀착되게 되고 너트(80)는 더 이상 조여지지 않게 된다. 이로서 너트(80)의 조임 결합이 완료되며 압축스프링(60)이 압축된 길이만큼 이동로드(50)가 최외측 지주(11)의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와이어로프(30)는 팽팽해지게 된다.
방호망(90)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팽팽해진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후면 상에 설치된다. 방호망(90)은 폴리염화비닐로 코팅된 격자 구조의 철망이 주로 사용되며 그 전체가 펼쳐져서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후면 상에 설치되어 지주(10)와 지주(10) 사이의 공간 전체를 덮게 된다. 이러한 방호망(90)에 의해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나 인도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클립,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방호망(90)을 군데군데 묶음으로써 방호망(90)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80)의 조임 결합이 완료되면 압축스프링(60)은 최외측 지주(11)의 관통공의 주위면과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너트(80)의 조임 결합에 의해 압축스프링(60)은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압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결합부재(80)의 조임 결합에 의해 각 압축스프링(60)은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압축됨으로써 각 와이어로프(30)는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완충력을 제공한다.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가 길수록 압축스프링이 적게 압축되므로 완충력은 향상되고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가 짧을수록 압축스프링이 많이 압축되므로 완충력은 저하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3532호, 제10-0865163호 등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 낙석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낙석방지펜스를 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같이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경우에 인장스프링의 강선 말단이 걸릴 수 있는 걸림공이 주변 부재에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인장스프링은 걸림공에 걸려 그 주변 부재를 계속적으로 당기게 되므로 걸림공 부위가 경년 변화되어 서서히 파손되거나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인장스프링의 걸림이 풀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96317호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낙석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낙석방지펜스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압축스프링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기 위해 나사산에 너트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 나사산이 뭉개짐으로써 압축스프링이 과다하게 압축되거나 너트가 덜 진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압축스프링이 덜 압축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그것의 설계자에 의해 제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으로 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압축스프링이 많이 압축될수록 압축스프링은 딱딱해지기 때문에 완충력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압축스프링이 덜 압축될수록 완충력은 향상되나 압축스프링의 신축 범위가 증가됨에 따라 압축스프링의 주변부재가 크게 흔들리게 되어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은 완충력과 주변부재의 파손 방지를 교량하여 적절하게 압축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압축스프링(60)은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일정하게 압축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압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낙석방지펜스의 설계자에 의해 제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최적의 완충력이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되어 여러 지역에 설치되는 모든 낙석방지펜스가 최적의 완충력으로 시공될 수 있는 고신뢰도의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압축스프링(60)이 덜 압축됨에 따른 압축스프링(60)의 과도한 탄성에 의한 주변부재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고 압축스프링(60)이 과다하게 압축됨에 따른 압축스프링(60)의 완충력 저하가 방지될 있기 때문에 주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최대의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결합부재(80)의 조임 결합에 의해 각 압축스프링(60)은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압축됨과 동시에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각 압축스프링(60)과 각 결합부재(80) 사이에 끼임 결합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그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거나 안전스페이서의 굽힘 응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그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임계 크기는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과 각 안전스페이서(70)의 굽힘 응력 중 최소값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는 안전스페이서(70)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는 안전스페이서(70)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시공 과정에서 압축스프링(60)을 압축시키고자 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이러한 직사각판 형태의 주부(71)의 단측 일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각 이동로드(50)의 직경보다 크고 각 압축스프링(60)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각 압축스프링(60)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8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의 "U"자형 홈을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의 홈에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50)의 부위가 삽입됨으로써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각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가 각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진 상태에서 측부(72)의 홈 외측부위가 각 압축스프링(60)과 각 압축스프링(60)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80) 사이에 끼임 결합됨으로써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을 덮게 된다.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은 직사각판 형태의 주부(71)의 단측 타모서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직사각판의 모서리로 설계될 경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과 최외측 지주(11)의 표면간의 접촉면이 너무 작아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은 주부(71)의 단측 타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주부(71)의 단측 일모서리로부터 측부(72)의 홈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게 연장된 립(rip)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과 최외측 지주(11)의 표면간의 접촉면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의 연장 길이에 비례하여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의 설계자가 설정한 크기의 충격에 의해서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 경우에 매우 큰 충격을 받지 않고서는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의 길이는 주부(71)의 단측 일모서리로부터 측부(72)의 홈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는 안전스페이서(70)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안전스페이서(70)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그것에 의해 일측이 덮인 압축스프링(6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부(7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폭이 좁거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그 길이방향의 양모서리, 즉 장측 양모서리의 중간에 주부(7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패여져 있어 그 중간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니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그 길이방향의 양면, 즉 장측 양면 중간에 주부(71)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횡단하는 일자형 형태로 오목하게 패여져 있어 그 중간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로프에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석이 떨어져 충돌됨으로 인해 그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로드(50) 상에 위치한 안전스페이서(70)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그 안전스페이서(70)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양면 중 각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각 와이어로프(30)의 완충 기능이 정상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구의 예로는 "안전"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현재 낙석방지펜스의 상태가 낙석 충돌로부터 안전함을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이와 같이 문구가 표시된 주부(71)의 반대면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의 연직방향으로 도로 측을 향하도록 각 압축스프링(60)과 각 결합부재(80) 사이에 끼임 결합된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은 방호망(90)의 전면이나 낙석방지펜스의 전면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7의 (a)에는 도 5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에 그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안전스페이서(70)의 위치가 변화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은 그 주부(71)의 일모서리이거나 주부(71)의 일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주부(71)의 타모서리로부터 그 측부(72)의 홈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게 연장된 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은 이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에 낙석이 충돌됨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그것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측부(72)가 압축스프링(60)과 결합부재(80)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안전스페이서가 낙하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면 주부(71)의 문구 표시면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의 연직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7의 (b)에는 도 6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에 그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의 굽힘 응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안전스페이서(70)의 형태가 변화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그 주부(7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폭이 좁거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이러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낙석방지펜스에 낙석이 충돌됨으로 인해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그것의 굽힘 강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좁은 폭 부위 또는 얇은 두께 부위가 절단되게 되고, 그에 따라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면 주부(71)의 문구 표시면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의 연직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된다.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가 차량을 타거나 보행하면서 안전스페이서(70)에 표시된 문구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의 연직방향, 즉 낙석방지펜스의 전방을 향하는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만으로 낙석 충돌에 의한 낙석방지펜스의 안전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가 낙석방지펜스로부터 어떤 안전스페이서(70)가 사라지거나 안전스페이서(70)에 표시된 문구의 문자들 중 일부가 사라진 것을 발견하면 그 안전스페이서(70)와 결합되어 있던 이동로드(5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30)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가 차량을 타거나 보행하면서 안전스페이서에 표시된 문구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것만으로 낙석 충돌에 의한 낙석방지펜스의 안전 여부를 진단할 수 있게 되어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별 정밀 진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58212호, 제10-1011374호 등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낙석방지펜스에 낙석 충돌로 인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전자적인 감지 수단을 사용하여 낙석방지펜스의 안전을 진단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낙지방지펜스의 제작에 매우 많은 비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전자적인 감지 수단의 구동을 위해 전원이 항시 공급되어야 한다. 낙석방지펜스는 일반적으로 계통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과 같은 대체에너지원을 이용하더라도 날씨나 지역 특성에 따라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보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고가의 전자적인 감지 수단과 전원 공급이 없이도 낙석방지펜스의 일측에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에 일 대 일로 나란하게 표시되는 문구의 존재 내지 훼손 여부만을 관찰함으로써 낙석방지펜스의 안전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무전원 방식의 안전진단기능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에서 일부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는 이것보다 높게 설치된 다른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보다 각 압축스프링(60)의 길이방향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낮은 위치의 일부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은 높은 위치의 다른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보다 더욱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낮은 위치의 5 개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는 높은 위치의 5 개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총 10 개의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작은 위치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가 높은 위치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가 길수록 압축스프링이 적게 압축되므로 완충력은 향상되나 주변 부재의 흔들림은 커지게 된다. 반면,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가 짧을수록 압축스프링이 많이 압축되므로 완충력은 저하되나 주변 부재의 흔들림은 작아지게 된다. 각 지주(10)의 상측은 하측에 비해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각 지주(10)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지주(10)의 상측에 작용하는 완충력을 하측에 작용하는 완충력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지주(10)의 하측의 흔들림은 각 지주(10)가 매립된 콘크리트 부위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주(10)의 매립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지주(10)의 하측의 흔들림을 상측의 흔들림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낮은 위치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가 높은 위치의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각 지주(10)의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지주(10)의 매립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두 개의 최외측 지주 각각에는 복수 개의 두께방향의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지주들(12) 각각에는 이러한 관통공 대신에 그 후면에 횡단면 "U" 형상의 복수 개의 클립(100)이 그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 지주(10)의 후면과 각 클립(10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와이어로프(30)가 통과되어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와이어로프(30)는 각 지주(10)의 후면과 각 클립(100) 사이의 통로를 차례대로 통과함으로써 복수 개의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와이어로프(30)가 여러 개의 지주(10)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지주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모든 지주(10)로부터 모든 와이어로프(30)를 빼내야 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와이어로프(30)는 여러 개의 지주(10)의 후면과 각 클립(100) 사이의 통로를 차례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교체하고자 하는 지주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클립(100)을 그 지주의 후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그 지주를 분리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낙석방지펜스의 수리가 매우 용이하나 매우 많은 개수의 클립이 필요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1, 12 ... 지주
20 ... 보조지주
30 ... 와이어로프
40 ... 스플라이서
50 ... 이동로드
60 ... 압축스프링
70 ... 안전스페이서
71 ... 주부 72 ... 측부
80 ... 결합부재
90 ... 방호망
100 ... 클립

Claims (7)

  1.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며 두 개의 최외측 지주 중 제 1 최외측 지주(11)에는 복수 개의 두께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지주(10);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
    각각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일단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이동로드(50);
    각각이 상기 각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각 이동로드(50)의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각 이동로드(50)의 돌출 부위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압축스프링(60):
    각각이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덮는 평판 형태의 주부(71)와 상기 주부(71)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을 덮는 측부(72)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및
    각각이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50)의 부위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의 각 관통공의 주위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을 압축시키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80)를 포함하고,
    상기 각 결합부재(80)의 조임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은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압축됨으로써 상기 각 와이어로프(30)는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완충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고,
    상기 각 결합부재(80)의 조임 결합에 의해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은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길이만큼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상기 각 압축스프링(60)과 상기 각 결합부재(80) 사이에 끼임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굽힘 응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양면 중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각 와이어로프(30)의 완충 기능이 정상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상기 문구가 표시된 반대면이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30)의 전면의 연직방향으로 도로 측을 향하도록 상기 각 압축스프링(60)과 상기 각 결합부재(80) 사이에 끼임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주부(71)의 문구 표시면은 상기 연직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일측은 상기 주부(71)의 일모서리이거나 상기 주부(71)의 일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주부(71)의 타모서리로부터 상기 측부(72)의 홈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짧게 연장된 립(rip)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의 끼임 결합력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측부(72)가 압축스프링(60)과 결합부재(80) 사이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70)가 낙하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80)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이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는 상기 주부(71)의 타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각 이동로드(50)의 직경보다는 크고 각 압축스프링(60)의 직경보다 작으면서 상기 각 압축스프링(60)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8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의 "U"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측부(72)의 홈에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각 이동로드(50)의 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부(72)의 홈 외측부위가 상기 각 압축스프링(60)과 상기 각 압축스프링(60) 측에 근접해 있는 너트(80) 사이에 끼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부(72)가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말단을 덮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는 상기 주부(71)에 의해 일측이 덮인 압축스프링(6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부(7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폭이 좁거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굽힘 강도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70)의 주부(71)의 좁은 폭 부위 또는 얇은 두께 부위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스페이서의 일측이 상기 제 1 최외측 지주(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전스페이서(70) 중에서 일부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는 상기 일부 안전스페이서보다 높게 설치된 다른 안전스페이서의 주부(71)의 길이보다 상기 각 압축스프링(60)의 길이방향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일부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은 상기 다른 안전스페이서에 의해 일측이 덮여진 압축스프링보다 더욱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KR1020160038140A 2016-03-30 2016-03-30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KR10167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40A KR101676807B1 (ko) 2016-03-30 2016-03-30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40A KR101676807B1 (ko) 2016-03-30 2016-03-30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807B1 true KR101676807B1 (ko) 2016-11-16

Family

ID=5754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40A KR101676807B1 (ko) 2016-03-30 2016-03-30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7678A (zh) * 2021-05-19 2021-09-2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市藁城区供电分公司 一种带有防护功能的高压电力工程电力箱
CN114062164A (zh) * 2021-11-09 2022-02-18 长安大学 一种用于评价裸露动结构件表面涂层的抗落石击打性能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878Y1 (ko) * 2002-01-08 2002-04-20 조영덕 차량용 미끄럼 방지레일
KR100396317B1 (ko) * 2000-01-29 2003-08-27 (주)한맥기술 완충형 낙석 방지책
KR101232638B1 (ko) * 2010-10-14 2013-0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낙석 검지 장치
KR101438557B1 (ko) * 2014-04-07 2014-09-12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17B1 (ko) * 2000-01-29 2003-08-27 (주)한맥기술 완충형 낙석 방지책
KR200272878Y1 (ko) * 2002-01-08 2002-04-20 조영덕 차량용 미끄럼 방지레일
KR101232638B1 (ko) * 2010-10-14 2013-0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낙석 검지 장치
KR101438557B1 (ko) * 2014-04-07 2014-09-12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7678A (zh) * 2021-05-19 2021-09-2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市藁城区供电分公司 一种带有防护功能的高压电力工程电力箱
CN113437678B (zh) * 2021-05-19 2022-07-15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市藁城区供电分公司 一种带有防护功能的高压电力工程电力箱
CN114062164A (zh) * 2021-11-09 2022-02-18 长安大学 一种用于评价裸露动结构件表面涂层的抗落石击打性能设备及方法
CN114062164B (zh) * 2021-11-09 2023-10-27 长安大学 一种用于评价裸露动结构件表面涂层的抗落石击打性能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6639713B2 (ja) 膜状部材の支持方法及び膜状部材の支持構造
JP3811180B1 (ja) 落石誘導ユニットを有する落石防護網とその落石誘導ユニット
CA2543253C (en) A protective wire net, a protective structure constructed with the net, and the use of the protective wire net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structure
JP6038592B2 (ja) 衝撃吸収機構、および衝撃吸収機構を有する落下物防護装置
KR101326292B1 (ko) 와이어로프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 시설
US7455155B2 (en) Impact absorbent assembly in slope protection systems
KR101094247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KR101676807B1 (ko)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JP2907214B1 (ja) 衝撃吸収柵
KR101174619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TW201435181A (zh) 落石防護柵
JP7027124B2 (ja) 防護施設、エネルギー吸収面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5415641B1 (ja) 落石等の防護装置
KR101207714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20120100008A (ko) 교차점 고정과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JP5960023B2 (ja) 落下物防護柵の支柱構造および落下物防護柵
JP4213839B2 (ja) 緩衝装置およびこの緩衝装置を備えた防護柵
JP2011153491A (ja) 防護柵
KR20150031259A (ko) 파이프형 에너지 소산 장치가 부설된 낙석방지 울타리
JP2019027077A (ja) 落石防護柵
KR101211954B1 (ko) 방호울타리
JP2002348817A (ja) 衝撃吸収防護柵
JP3844970B2 (ja) 落石,土砂,流木,雪崩等の防止施設およびそ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