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028B1 - 팰릿 이송 설비 - Google Patents

팰릿 이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028B1
KR101093028B1 KR1020107005790A KR20107005790A KR101093028B1 KR 101093028 B1 KR101093028 B1 KR 101093028B1 KR 1020107005790 A KR1020107005790 A KR 1020107005790A KR 20107005790 A KR20107005790 A KR 20107005790A KR 101093028 B1 KR101093028 B1 KR 10109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nveyance
conveying
divid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257A (ko
Inventor
이사오 키타
카즈토 이케다
타카유키 쿠사베
히로미츠 오오시마
히로아키 타케우치
타다오 나스
타쿠지 이즈타니
코우이치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3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10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39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10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39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6046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하쓰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팰릿 이송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함으로써 워크에 대한 작업 공간, 및 작업에 필요한 설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한다. 팰릿 이송 설비(1)는 워크로서의 차체(2)를 적재한 상태의 팰릿(3)을 반송하는 2개의 반송 라인(4)과, 반송 라인(4)의 종단으로부터 시단으로 공팰릿(3)을 리턴시키는 리턴 라인(5)을 구비하고 있다. 나란히 설치되는 각각의 반송 라인(4) 상에는 좌우로 분할된 팰릿(9, 10)이 배치된다. 리턴 라인(5)은 1쌍의 반송 라인(4, 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대응하는 반송 라인(4, 4) 상에서 각각 반송됨과 아울러 각각의 분할 팰릿(9, 10)이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리턴 라인(5) 상에서 리턴된다.

Description

팰릿 이송 설비{PALLET TRANSFER EQUIPMENT}
본 발명은 팰릿 이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워크 반송(搬送)용 팰릿의 이송 설비에 관해서는 다양한 것이 제안, 실시되고 있고, 예를 들면 차체 또는 차체 부품 등의 반송용 팰릿의 이송 설비에 대해 반송 효율이나 공간 절약화의 관점으로부터 이하와 같은 이송 설비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44810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리턴 라인(return line)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목적으로 워크로서의 자동차용 유리를 적재하여 반송하는 팰릿을 가로장착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반송 라인의 종단으로부터 시단을 향해 팰릿을 세로장착 상태로 지지하여 리턴시키는 리턴 라인을 갖는 팰릿 이송 라인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142643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종류가 다른 반송 라인 사이에서 복수의 차를 1차적으로 보관하는 차의 스토리지 설비에 있어서, 좌우의 차륜을 각각 적재하는 분할 팰릿을 이용하여 차를 반송함과 아울러 차를 적재 하지 않은 상태, 즉 공팰릿의 이송시 및 보관시에는 분할 팰릿끼리를 접근시켜 둠으로써 이송 공간 또는 보관 공간의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워크 반송용 팰릿의 이송 설비가 워크 제조 라인(조립, 보관, 검사 라인을 포함함)에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 워크 반송 라인의 좌우 양측에 어떠한 설비(가공 설비 등)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때문에, 반송 라인의 양측 또는 주위에는 최대한 이들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나 작업 공간을 비워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이송 라인이면 모두 리턴 라인과 반송 라인으로 순환되는 이송 라인이 구성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공 설비 등의 설치 공간이 리턴 라인과 반송 라인 사이로 한정된다. 이것에서는 설치 공간이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공 설비 등이 제한된다. 또한, 어떠한 특허문헌에 개시된 수단도 리턴 라인 분만큼 쓸데없이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같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위한 발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2006-448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42643호 공보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팰릿 이송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함으로써 워크에 대한 작업 공간 및 작업에 필요한 설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 팰릿 이송 설비는 워크를 적재한 상태의 팰릿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반송 라인의 종단으로부터 시단으로 공팰릿을 리턴시키는 리턴 라인을 구비한 팰릿 이송 설비에 있어서, 2개의 반송 라인이 나란히 설치되고, 각각의 반송 라인 상에는 좌우로 분할된 팰릿이 배치되며, 또한 리턴 라인은 1쌍의 반송 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쌍방의 분할 팰릿이 1쌍의 반송 라인 상에서 각각 반송됨과 아울러 각각의 분할 팰릿이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점에 있어서 특징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좌우는 반송 또는 리턴 방향을 전후로 한 경우에 이들 반송·리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할된 각각의 팰릿이 반송시보다 이송 설비의 중앙측을 통과하여 리턴되므로 리턴 라인용의 공간을 반송 라인용의 공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턴 라인만큼의 증가 공간을 실질적으로 0으로 하여 팰릿 이송 라인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라인의 측방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워크의 반송 라인을 따라 공간 상의 제한을 받는 일 없이 적당한 워크 작업 설비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할된 팰릿에 관해 이하의 이송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한쪽의 분할 팰릿이 구동하고, 다른쪽의 분할 팰릿은 워크를 통해 구동측의 분할 팰릿과 일체화됨과 아울러 리턴시 쌍방의 분할 팰릿은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시 워크의 적재에 의해 종동(從動)측의 분할 팰릿이 구동측의 분할 팰릿과 일체적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리턴시 구동측의 분할 팰릿만을 구동시킴으로써 종동측의 분할 팰릿이 리턴된다. 이로 인해, 더욱 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팰릿을 분할한 경우에도 팰릿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며, 구동 기구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물론, 분할 팰릿의 이송 형태는 상기 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나란한 반송 라인의 종단에 반송된 1쌍의 분할 팰릿이 1개의 리턴 라인 상에 교대로 이송되어 리턴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는, 리턴 라인을 2개로 하고, 이들 1쌍의 반송 라인 사이에 설치된 2개의 리턴 라인 상에서 각 분할 팰릿이 각각 리턴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워크를 차체로 할 경우면 반송 라인의 간격(분할 팰릿의 간격)이 차체 폭에 대략 준하는 크기가 되기 때문에 리턴 라인을 2개로 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라인 상에서 반송되는 분할 팰릿과,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분할 팰릿이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반송시와 리턴시를 막론하고 항상 분할 팰릿이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면 팰릿 수평 방향(차폭 방향)의 이송만으로 상기 팰릿을 반송 라인으로부터 리턴 라인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 설비가 간소한 것으로 된다. 또한, 최소 거리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반송 효율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팰릿의 이송시 팰릿의 연직 방향 위치는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이 팰릿 상에 적재되는 워크의 연직 방향 위치 결정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한 것으로 된다.
또한, 워크 반송용 팰릿에 착안한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팰릿 이송 설비의 더 나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거나, 또는 팰릿을 구동시키는 기구가 이송 설비에 차지하는 비율을 줄여 더 나은 작업 설비용 공간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는 1쌍의 분할 팰릿 중 한쪽의 분할 팰릿이 한쪽의 분할 팰릿과 별체로 설치된 구동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으로의 동력을 받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갖고, 다른쪽의 분할 팰릿은 워크를 적재한 상태에서는 워크를 통해 한쪽의 분할 팰릿과 일체적으로 반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송 설비에 있어서의 팰릿 적재부 주변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특히, 구동 기구는 한쪽의 팰릿측에만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구동 기구의 설치 공간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고, 팰릿 이송 설비의 더 나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설비 전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분할 팰릿 주위의 공간을 비울 수 있다. 그 때문에, 분할 팰릿 상에 적재된 워크로의 액세스도 양호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1쌍의 분할 팰릿의 구체적 형태로서, 예를 들면 함께 워크 적재면을 갖는 기부와, 기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는 분할 팰릿으로서, 측벽부 중 워크를 1쌍의 분할 팰릿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서로 대치하는 면에 측벽부끼리를 밀착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좌우로 분할된 팰릿을 일체화한 상태로 리턴시킬 수 있으므로 리턴시 팰릿 상에 워크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여도 종동측 팰릿과 일체화된 구동측 팰릿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시와 마찬가지로 구동측에 설치한 구동 기구만으로 쌍방의 분할 팰릿을 리턴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로 분할된 팰릿의 측벽부끼리를 접촉시켜 감합시킴으로써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일체화시에 필요시되는 팰릿의 이송 기구도 간단한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한쪽 분할 팰릿의 하단면 중 이 분할 팰릿이 적재되는 반송측 부재와의 접촉 영역은 반송 방향뿐만 아니라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반송측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할 팰릿의 수평 방향의 이동만으로 적어도 한쪽의 분할 팰릿을 반송용 부재로부터 슬라이딩 이탈시켜 분할 팰릿끼리를 밀착 감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일체화시에 필요시되는 팰릿의 이송 기구를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워크 반송용 팰릿의 구동 장치에 착안한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팰릿 이송 설비의 더 나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여 작업 설비용 공간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는 반송 라인, 및 리턴 라인을 갖는 팰릿 반송 라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팰릿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고, 팰릿 구동 장치는 서로 나란한 반송 라인과 리턴 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롤러를 갖고, 롤러의 일측부가 반송 라인 상의 팰릿의 측면과 접촉하며, 롤러의 타측부가 리턴 라인 상의 팰릿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렇게 팰릿 구동 장치를 설치할 경우 상기 구동 장치를 팰릿의 측면을 반송시와 리턴시에 서로 다른 롤러의 측면과 접촉시켜 팰릿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함으로써 팰릿을 반송하고 또한 리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나란한 반송 라인과 리턴 라인에서는 팰릿의 이송 방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롤러의 일측면에 반송 라인 상에 있는 팰릿의 측면을 접촉시켜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팰릿에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롤러의 타측면에 리턴 라인 상에 있는 팰릿의 측면을 접촉시켜 롤러를 반송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팰릿에 리턴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반송용의 구동 장치를 리턴용의 구동 장치와 겸용시켜 그만큼의 구동 장치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서 팰릿 이송 설비의 더 나은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턴용과 반송용으로 각각의 구동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롤러의 회전 방향도 항상 한 방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팰릿에 부여하는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시키기 위한 기구를 리턴 라인 상에 있는 팰릿과 롤러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반송용의 구동 장치(롤러)만으로 리턴시에 있어서도 팰릿에 리턴 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와 팰릿의 접촉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반송 라인 상의 팰릿과 접촉 가능한 위치와, 리턴 라인 상의 팰릿과 접촉 가능한 위치 사이에서 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이 생각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소형의 롤러를 채용할 수 있어서 반송 라인과 리턴 라인 사이에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반송 라인 상의 팰릿과의 접촉 상태, 및 리턴 라인 상의 팰릿과의 접촉 상태가 얻어지는 크기의 롤러를 설치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즉, 반송 라인과 리턴 라인의 간격을 고려하여 상기 크기의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롤러 이동 수단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팰릿의 반송·리턴에 요하는 구동력을 팰릿에 부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에 의하면 상기 이송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함으로써 워크에 대한 작업 공간, 및 작업에 필요한 설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팰릿 이송 설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구동용 팰릿을 반송할 때의 동력 전달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용 팰릿을 리턴시킬 때의 동력 전달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각 분할 팰릿의 이송 형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각 분할 팰릿과 워크의 연직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팰릿 구동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각 분할 팰릿의 다른 이송 형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다른 형태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의 주요부 평면도로서, 각 분할 팰릿을 리턴용 레일 상에 이송하기 전에 있어서의 상기 설비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9b는 다른 형태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의 주요부 평면도로서, 각 분할 팰릿을 리턴용 레일 상에 이송한 후에 있어서의 상기 설비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에 있어서의 팰릿 이송 설비의 주요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b에 있어서의 팰릿 이송 설비의 주요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11a는 다른 형태에 의한 종동측 팰릿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다른 형태에 의한 종동측 팰릿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c는 다른 형태에 의한 종동용 팰릿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의 일부를 평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이송 설비(1)는 워크로서의 차체(2)를 반송하는 라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차체(2)를 적재한 상태의 팰릿(3)(여기에서는 워크 반송용 팰릿)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4)과, 반송 라인(4)의 종단으로부터 공팰릿(3)을 리턴시키는 리턴 라인(5)을 갖는다.
여기에서, 반송 라인(4)은 서로 평행하게 2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반송 라인(4)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가 되는 프레임(6) 상에 설치된 반송용 레일(7)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턴 라인(5)은 나란한 2개의 반송 라인(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 라인(4)과 마찬가지로 기초가 되는 프레임(6) 상에 설치된 리턴용 레일(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워크 반송용의 팰릿(3)은 병렬 배치된 2개의 반송 라인(4) 상에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쌍방의 분할 팰릿(9, 10)은 워크가 되는 차체(2)를 그 양측부에서 부분적으로 적재 및 지지한다(도 1을 참조).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된 팰릿의 한쪽이 구동측의 팰릿(9)이고, 다른쪽이 종동측의 팰릿(10)이다.
구동측 팰릿(9)은 주로 팰릿 본체(11)와, 팰릿 본체(11)에 고정되어 반송 방향 또는 리턴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받기 위한 동력 전달부(12)와, 팰릿 본체(11)에 워크가 되는 차체(2)의 일측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3)를 갖는다. 여기에서, 팰릿 본체(11)는 이른바 단면 L자 형상을 이루고, 차체(2)가 적재되는 판 형상의 기부(14)와, 기부(14)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용 레일(7)과 리턴용 레일(8) 사이에 측벽부(15)가 위치하도록 구동측 팰릿(9)이 반송용 레일(7) 또는 리턴용 레일(8)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기부(14)의 상단면에는 돌출 핀(16)을 갖는 부착부(13)가 복수 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측벽부(15)의 외측면[반송용 레일(7)과 대치하는 측의 면]에는 판 형상의 동력 전달부(1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동력 전달부(12)는 후술하는 구동 롤러(24)와의 접촉 형태를 고려하여 팰릿 본체(11)보다 이송 방향(반송 및 리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 또는 도 2를 참조).
종동측 팰릿(10)은 주로 팰릿 본체(17)와, 팰릿 본체(17)에 차체(2)의 타측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8)를 갖는다. 여기에서, 팰릿 본체(17)는 구동측 팰릿(9)의 팰릿 본체(11)와 마찬가지로 단면 L자 형상을 이루고, 차체(2)가 적재되는 판 형상의 기부(19)와, 기부(19)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용 레일(7)과 리턴용 레일(8) 사이에 측벽부(20)가 위치하도록 종동측 팰릿(10)이 반송용 레일(7) 또는 리턴용 레일(8)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기부(19)의 상단면에는 돌출 핀(21)을 갖는 부착부(18)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핀(16)을 차체(2)의 일측부 하방에 맞물리게 하여 차체(2)를 구동측 팰릿(9)의 부착부(13)에 부착함과 아울러 돌출 핀(21)을 차체(2)의 타측부 하방에 맞물리게 하여 차체(2)를 종동측 팰릿(10)의 부착부(18)에 부착함으로써 차체(2)의 반송시 차체(2)를 통해 종동측 팰릿(10)이 구동측 팰릿(9)과 일체적으로 동기하여 이송된다(도 1 또는 도 6을 참조).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측 팰릿(9)의 측벽부(15)와 종동측 팰릿(10)의 측벽부(20) 중 서로 차폭 방향에 대치하는 면에 측벽부(15, 20)끼리를 밀착 감합시키기 위한 1쌍의 감합부(22, 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구동측 팰릿(9)의 측벽부(15)의 대치면에 형성된 한쪽의 볼록 형상의 감합부(22)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동 도면에는 종동측 팰릿(10)의 측벽부(20)의 대치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감합부(22)(동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위)가 나타내어져 있다.
구동측 팰릿(9)이 반송되는 측의 반송 라인(4)과 리턴 라인(5) 사이에는 구동원(23)과 연결된 구동 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 롤러(24)는 구동 롤러(24)와 차폭 방향(수평 방향)에 대치하는 가이드 롤러(25, 26)와 함께 팰릿 구동 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구동 롤러(24) 모두가 구동측 팰릿(9)이 반송되는 측의 반송 라인(4)과 리턴 라인(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구동 롤러(2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짐과 아울러 반송용 레일(7) 상에 적재되는 구동측 팰릿(9)의 동력 전달부(12)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원(23)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구동 롤러(24)가 회전을 개시하면 이 구동 롤러(24)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동력 전달부(12)는 구동 롤러(24)와의 마찰 저항을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력으로 변환시키고, 고정되는 팰릿 본체(11)에 그 이동력을 전달한다. 이로 인해, 구동측 팰릿(9)은 동력을 받는 구동 롤러(24)를 순차 바꾸면서 반송 방향을 향해 반송용 레일(7) 상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차체(2)를 통해 구동측 팰릿(9)과 일체화된 상태의 종동측 팰릿(10)도 그 반송 방향을 향해 반송용 레일(7) 상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구동 롤러(24)는 리턴 라인(5)의 리턴용 레일(8) 상에 적재되는 구동측 팰릿(9)의 동력 전달부(12)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시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 롤러(24)가 회전을 개시하면 이 구동 롤러(24)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동력 전달부(12)는 구동 롤러(24)와의 마찰 저항을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력으로 변환시키고, 고정되는 팰릿 본체(11)에 그 이동력을 전달한다. 이로 인해, 구동측 팰릿(9)은 동력을 받는 구동 롤러(24)를 순차 바꾸면서 리턴 방향을 향해 리턴용 레일(8)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종동측 팰릿(10)은 구동측 팰릿(9)과 일체화된 상태로 리턴 방향을 향해 리턴용 레일(8) 상을 슬라이딩한다.
또한, 구동 롤러(24)와 차폭 방향 외측에 대치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5)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 롤러(25)는 구동 롤러(24)와 협지하는 형태로 반송용 레일(7) 상에 적재되는 구동측 팰릿(9)의 동력 전달부(12)와 접촉하고, 구동 롤러(24)의 회전에 따라 동력 전달부(12)에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전달되면 동력 전달부(12)의 이동 방향, 나아가서는 구동측 팰릿(9)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구동 롤러(24)와 차폭 방향 내측(중앙측)에 대치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6)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 롤러(26)는 구동 롤러(24)와 협지하는 형태로 리턴용 레일(8) 상에 적재되는 구동측 팰릿(9)의 동력 전달부(12)와 접촉하고, 구동 롤러(24)의 회전에 따라 동력 전달부(12)에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전달되면 동력 전달부(12)의 이동 방향, 나아가서는 구동측 팰릿(9)의 리턴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 롤러(25, 26)는 반드시 구동 롤러(24)와 차폭 방향에 대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구동측 팰릿(9)의 동력 전달부(12)와 접촉 가능한 한 그 설치 위치는 임의이다. 또한, 구동측 팰릿(9)의 이송 안내가 가능한 한 그 배치 간격이나 수도 임의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동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라인(4) 및 리턴 라인(5)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 롤러(24)의 배치 간격은 구동측 팰릿(9)에 설치한 동력 전달부(12)의 장변 치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즉, 동력 전달부(12)가 항상 구동 롤러(24)와 접촉하도록 구동 롤러(24)의 최대 배치 간격이 정해진다.
상기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구동측 팰릿(9)은 한쪽의 반송용 레일(7)(도 1이나 도 2의 상측) 상에 적재된다. 또한, 이들 구동측 팰릿(9)과 같은 수의 종동측 팰릿(10)이 다른쪽의 반송용 레일(7)(도 1이나 도 2에서는 각 도면 중 하측) 상에 적재된다. 이들 복수의 구동측 팰릿(9) 및 종동측 팰릿(10)은 각 반송용 레일(7) 상을 반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은 모두 리턴 라인(5)을 구성하는 리턴용 레일(8) 상에 이송되고, 이 리턴용 레일(8)을 따라 또한 리턴 방향(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턴 라인(5)의 리턴 방향 시단부에 있어서 리턴용 레일(8)이 부분적으로 결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반송 라인(4, 4)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는 반송용 레일(7, 7)의 일부가 각각 적당한 이송 기구에 의해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리턴용 레일(8)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측 팰릿(9)의 반송용 레일(7)의 슬라이드부(27)를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드부(27)를 리턴용 레일(8)과 연결함으로써 이 슬라이드부(27) 상에 적재된 구동측 팰릿(9)이 리턴용 레일(8) 상에 이송된다. 또한, 종동측 팰릿(10)의 반송용 레일(7)의 슬라이드부(28)를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드부(28)를 리턴용 레일(8)과 연결함으로써 이 슬라이드부(28) 상에 적재된 종동측 팰릿(10)이 리턴용 레일(8) 상에 이송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라인(4) 위와 리턴 라인(5) 위에 상관없이 구동측 팰릿(9) 및 종동측 팰릿(10)은 항상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분할 팰릿(9, 10)의 측벽부(15, 20)에 서로 밀착 감합되는 1쌍의 감합부(22, 22)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한쪽의 슬라이드부(27) 상에 적재된 구동측 팰릿(9)을 리턴용 레일(8) 상에 이송함과 아울러 종동측 팰릿(10)이 적재된 다른쪽의 슬라이드부(28)를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향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감합부(22, 22)를 통해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이 일체화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구동측 팰릿(9)에 적당한 구동 수단[구동 롤러(24)여도 상관 없음]에 의해 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이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리턴용 레일(8) 상에서 리턴된다.
여기에서, 종동측 팰릿(10)의 기부(19)에 있어서의 반송용 레일(7)과의 접촉면은 전역에 걸쳐 평활하고, 반송 방향은 물론 차폭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측 팰릿(10)이 슬라이드부(28)로부터 슬라이딩 이탈하여 구동측 팰릿(9)과 원활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이 도시예에서는 구동측 팰릿(9)의 기부(14)의 하단면, 및 이 하단면과 전체 면에 걸쳐 접촉되는 반송용 레일(7)의 상단면은 모두 평면이다. 또한, 종동측 팰릿(10)의 기부(19)의 하단면, 및 이 하단면과 전체 면에 걸쳐 접촉되는 반송용 레일(7)의 상단면은 모두 평면이다. 물론, 이들 분할 팰릿(9, 10)과 접촉하는 리턴용 레일(8)의 상단면은 그 전체 면에 걸쳐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팰릿 이송 설비(1)에 있어서의 1쌍의 분할 팰릿(9, 10)의 이송 형태에 대해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차체 용접 라인에 장착된 팰릿 이송 설비(1)에 있어서의 워크 반송용 팰릿의 이송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우선 워크 가적재 스테이션(S1) 상에서 워크 반송용 팰릿[분할 팰릿(9, 10)] 상에 워크로서의 차체(2)가 가적재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플로어 패널이 1쌍의 분할 팰릿(9, 10) 상에 적재되고, 이 플로어 패널 상에 좌우의 사이드 멤버가 가고정된 상태로 장착되며, 또한 이들 사이드 멤버의 상방에 걸쳐지는 형태로 루프 패널이 적재된다.
이어서, 가적재된 차체(2)를 적재한 상태에서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반송 방향으로 이송되고, 가용접 스테이션(S2)에서 가용접이 행해짐과 아울러 또한 반송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보강 용접 스테이션(S3)에서 보강이 행해져 차체(2)의 어셈블리가 완료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가적재 스테이션(S1)에서 사이드 멤버 및 루프 패널의 가적재를 실시한 후, 계속되는 가용접 스테이션(S2)에서 플로어 패널과 사이드 멤버, 및 사이드 멤버와 루프 패널을 함께 태킹(tacking)할 경우를 예시했지만, 사이드 멤버를 일단 플로어 패널에 태킹해서 고정한 후, 루프 패널을 가적재하고 태킹하는 공정순을 취하는 등, 다른 용접 순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렇게 하여 어셈블리가 행해진 차체(2)를 1쌍의 분할 팰릿(9, 10) 상으로부터 이탈시켜 비어진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반송 라인(4, 4)의 종단[슬라이드부(27, 28)]에까지 이송되면, 예를 들면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리턴 라인(5) 상에서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체화된 상태의 분할 팰릿(9, 10)이 리턴 라인(5) 상에서 반송된다.
그리고, 일체화된 분할 팰릿(9, 10)이 리턴 라인(5)의 종단에까지 이송되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리턴 라인(5) 상의 분할 팰릿(9, 10)을 각각 좌우의 반송 라인(4, 4)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 기구에 의해 각 분할 팰릿(9, 10)이 각 반송 라인(4, 4) 상에 이송된다. 그리고, 각 반송 라인(4, 4) 상에 이송된 분할 팰릿(9, 10)은 반송 방향 전방에 있는 가적재 스테이션(S1)을 향해 이송된다. 이렇게 하여, 각 분할 팰릿(9, 10)의 이송 사이클이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구성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1)이면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모두 반송시보다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통과하여 리턴되므로 리턴 라인(5)의 설치 공간을 병설되는 반송 라인(4, 4) 사이의 공간 내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턴 라인(5)의 설치 공간의 증가분을 실질적으로 0으로 하여 팰릿(3)의 이송 설비(1), 나아가서는 이것이 장착되는 워크 반송 라인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각 반송 라인(4, 4)의 외측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워크의 반송 라인을 따라 공간 상의 제한을 받는 일 없이 적당한 워크 작업 설비, 여기에서는 용접 로봇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팰릿(9, 10) 중 한쪽을 구동측 팰릿(9)으로 하고, 다른쪽은 워크가 되는 차체(2)를 통해 구동측 팰릿(9)과 일체화되는 종동측 팰릿(10)으로 함과 아울러 리턴시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리턴 라인(5) 상에서 리턴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시 차체(2)를 적재한 상태에서는 종동측 팰릿(10)이 구동측 팰릿(9)과 일체적으로 반송됨과 아울러 리턴시 구동 롤러(24)에서 구동측 팰릿(9)에만 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종동측 팰릿(10)도 함께 리턴된다. 이로 인해, 팰릿 이송 설비(1)의 더 나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팰릿을 분할한 경우에도 팰릿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구동 기구[구동 롤러(24)나 그 구동원(23)]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측 팰릿(9)에 이 팰릿(9)과 별체로 설치한 구동 롤러(24)로부터 반송 방향으로의 동력을 받기 위한 동력 전달부(12)를 설치함과 아울러 워크가 되는 차체(2)를 적재한 상태에서는 차체(2)를 통해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이 일체적으로 반송되도록 했다. 그 때문에, 구동 롤러(24)를 구동측 팰릿(9)의 반송용 레일(7)측에만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구동 롤러(24) 및 이 구동 롤러(2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23)의 설치 공간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팰릿(9, 10) 주위의 공간이 비기 때문에 분할 팰릿(9, 10) 상에 적재된 차체(2)로의 액세스도 양호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측과 종동측 쌍방의 분할 팰릿(9, 10)에 워크가 되는 차체(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3, 18)를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각 작업 스테이션(S1~S3)에 있어서 차체(2)를 반송하는 1쌍의 분할 팰릿(9, 10)이 정지한 경우에도 분할 팰릿(9, 10)에 대한 차체(2)의 상대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각 작업 스테이션(S1~S3) 내에 있어서의 워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1쌍의 분할 팰릿(9, 10)을 모두 차체(2)가 적재되는 기부(14, 19)와, 기부(14, 19)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5, 20)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쌍방의 측벽부(15, 20)가 서로 대치하는 면에 측벽부(15, 20)끼리를 밀착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부(22, 22)를 각각 형성하도록 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할 팰릿(9, 10)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일체화되고, 이 상태에서 리턴 라인(5) 상에서 리턴된다. 그 때문에, 분할 팰릿(9, 10) 상에 차체(2)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여도 종동측 팰릿(10)과 일체화된 구동측 팰릿(9)을 구동시킴으로써 반송시와 마찬가지로 구동측에 설치한 구동원(23) 및 구동 롤러(24)만으로 쌍방의 분할 팰릿(9, 10)을 리턴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27, 28)의 수평 이동만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체화시에 필요시되는 분할 팰릿(9, 10)의 이송 기구도 간단한 것으로 된다.
이렇게, 동일 평면 상에서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을 일체화하여 리턴할 경우 워크 적재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부착부(13, 18)[이 실시 형태이면 돌출 핀(16, 21)]와 워크의 간섭이 문제가 된다. 여기에서, 그 리턴 라인(5)의 차폭 위치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가 되는 차체(2)의 플로어 패널 중앙부에 형성되는 터널부(29)의 차폭 방향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하면 부착부(13, 18)나 돌출 핀(16, 21)과 차체(2)의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 모두 각각의 팰릿 본체(11, 17)를 구성하는 기부(14, 19)를 반송용 레일(7)과 차체(2)에 의해 협지하고, 또한 측벽부(15, 20)를 각각 구동 롤러(24)와 가이드 롤러(25, 26)에 의해 협지하여 반송하고 있으므로 차체 제조 라인과 같이 이송·정지를 반복하면서 반송되는 형태여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측 팰릿(9)의 구동 장치를 구동원(23)과, 구동원(23)에 연결되는 구동 롤러(24)로 구성하고, 또한 구동 롤러(24)의 일측면이 반송용 레일(7)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며, 구동 롤러(24)의 타측면이 리턴용 레일(8)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의 구동 롤러(24)를 배치하도록 했다. 이렇게, 반송시와 리턴시에 동력 전달부(12)의 다른 측면에 구동 롤러(24)의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여 구동측 팰릿(9)을 반송하고, 또한 리턴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송용의 구동 장치만으로 리턴시에 있어서도 구동측 팰릿(9)에 반대 방향의 구동력(리턴 방향의 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리턴용의 구동 장치를 새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비 비용의 저감 및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 롤러(24)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작용이 얻어지므로 반송용 레일(7) 상의 구동측 팰릿(9)과, 리턴용 레일(8) 상의 구동측 팰릿(9)에 대하여 동시에 이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과 리턴의 타이밍에 상관없이 다수의 구동측 팰릿(9)을 동시에 반송 및 리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 롤러(24)는 그 일측면이 반송용 레일(7)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고, 구동 롤러(24)의 타측면이 리턴용 레일(8)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구동 롤러(24)의 측방을 반송용 레일(7) 상의 구동측 팰릿(9)이 통과하는 타이밍이, 동일한 구동 롤러(24)의 측방을 리턴용 레일(8) 상의 구동측 팰릿(9)이 통과하는 타이밍과 다른 경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레일(7)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는 위치와 리턴용 레일(8) 상의 구동측 팰릿(9)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구동 롤러(24)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도시 생략)을 설치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롤러(24)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구동 롤러(24)의 롤러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송 라인(4, 4)의 간격은 워크가 차체(2)이기 때문에 불변이므로 각 팰릿(9, 10) 주위의 작업 공간을 넓힐 수 있고, 작업시 워크가 되는 차체(2)로의 액세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을 서로 일체화한 상태로 리턴시키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물론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1)는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란한 반송 라인(4, 4) 상에서 각각 반송된 구동측 팰릿(9)과 종동측 팰릿(10)이 모두 1개의 리턴 라인(5) 상에 교대로 이송되어 리턴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때, 반송 라인(4) 종단으로부터 리턴 라인(5) 시단으로의 각 분할 팰릿(9, 10)의 이송은, 도 8 중의 원숫자 1로 나타내는 화살표로부터 원숫자 2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순서로 행해진다. 이에 따라, 리턴 라인(5) 종단으로부터 각 반송 라인(4, 4)으로의 각 분할 팰릿(9, 10)의 이송은 도 8중의 원숫자 1로 나타내는 화살표로부터 원숫자 2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순서로 행해진다.
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나란한 2개의 반송 라인(4, 4) 사이에 마찬가지로 2개의 리턴 라인(5, 5)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들 1쌍의 반송 라인(4, 4) 상 및 대응하는 1쌍의 리턴 라인(5, 5) 상에서 각 분할 팰릿(9, 10)이 각각 이송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리턴 라인(5)이 그 개수에 상관없이 나란히 배치된 반송 라인(4, 4)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 그 배치 형태 또는 리턴 형태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로 배치된 반송용 레일(7, 7) 사이에 서로 근접하는 2개의 리턴용 레일(8, 8)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반송 라인(4, 4)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 있어서의 반송용 레일(7, 7)의 일부를 각각 슬라이드부(30, 31)로 하여 팰릿 이송 설비(1)의 중앙측을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각 분할 팰릿(9, 10)을 반송용 레일(7, 7)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일 없이 분할 팰릿(9, 10)을 일체화해서 리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2개의 이송 레일(32, 32)이 설치되고, 이들 이송 레일(32, 32) 상에 기대(33)가 이송 레일(32, 32)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대(33)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팰릿(9)측의 반송용 레일(7)의 슬라이드부(30)가 동력 전달부(12)와 접촉하는 구동 롤러(24) 및 구동원(23)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적당한 구동 수단에 의해 기대(33)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33) 상에 고정된 슬라이드부(30), 및 슬라이드부(30) 상에 적재된 구동측 팰릿(9)이 이송 설비(1)의 중앙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종동측 팰릿(10)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송 레일 상에 기대를 배치하고, 이 기대 상에 슬라이드부(31)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적당한 구동 수단에 의해 기대를 반송 직교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기대 상에 고정된 슬라이드부(31), 및 슬라이드부(31) 상에 적재된 종동측 팰릿이 이송 설비(1)의 중앙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부(30, 31)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방의 분할 팰릿(9, 10)이 서로 접촉하여 일체화된다. 또한, 슬라이드부(30, 31)가 각각 대응하는 리턴용 레일(8, 8)에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쌍방의 분할 팰릿(9, 10)이 대응하는 리턴용 레일(8, 8) 상에 각각 이송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구동 롤러(24)를 소정 방향(반송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동력 전달부(12)를 통해 구동측 팰릿(9)이 리턴 방향으로의 동력을 받은 구동측 팰릿(9)이 종동측 팰릿(10)과 일체적으로 리턴된다. 따라서, 기대(33)에 고정된 구동 롤러(24)는 다른 구동 롤러(24)와 달리 반송시와 리턴시에 그 회전 방향을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분할 팰릿(9, 10)을 반송용 레일(7, 7)에 대하여 반송 직교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일 없이 리턴용 레일(8, 8) 상에 이송시킬 경우, 예를 들면 도 11a~도 11c에 나타내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1a,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팰릿[여기에서는 종동측 팰릿(10)]의 하부이고 또한 반송용 레일(7)의 양측에 2개의 가이드 롤러(34, 34)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반송용 레일(7)을 2개의 가이드 롤러(34, 34)에 의해 협지하는 형태로 종동측 팰릿(10)이 반송용 레일(7) 상에서 반송된다. 그 때문에, 종동측 팰릿(10)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차체(2)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측 팰릿(10)의 기부(19)의 내부에서 반송용 레일(7)의 상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롤러(3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슬라이딩 롤러(35)는 반송용 레일(7)의 이동에 따라 반송용 레일(7)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동측 팰릿(10)과 반송용 레일(7)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하여 원활한 반송 형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이상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구동측 팰릿(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용 레일(8) 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성립된다.
또한, 반송시와 리턴시에 각 분할 팰릿(9, 10)이 반드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필요는 없다. 워크의 종류에 따라서는 약간 반송 라인(4)보다 리턴 라인(5)을 낮추는[구체적으로는, 반송용 레일(7)의 팰릿 적재면보다 리턴용 레일(8)의 팰릿 적재면을 연직 하방에 배치함] 편이 좋다. 리턴시 워크와 각 분할 팰릿(9, 1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단, 너무 대폭적으로 리턴 라인(5)을 낮추면 결과적으로 팰릿 이송 설비(1)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고려하여, 특히 차체 상부의 작업성이나 그 작업에 요하는 설비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연직 위치에 두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1)에 관하여 구동측 팰릿(9)을 구성하는 팰릿 본체(11)의 측벽부(15)에 동력 전달부(12)를 부착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구동 롤러(24)와의 접촉 상태가 반송 라인(4)의 전체 길이에 걸쳐 확보 가능한 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측벽부(15)를 동력 전달부(12)를 일체적으로 한 구성, 즉 구동측 팰릿(9)의 측벽부(15)의 연직 방향 치수를 구동 롤러(24)나 가이드 롤러(25)와 동일 평면 위치까지 늘릴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측벽부(15)가 동력 전달부(12)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때, 종동측 팰릿(10)의 측벽부(20)의 크기는 도 6에 예시한 것처럼 해두면 일체화시에도 지장은 없다. 물론, 상기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한 팰릿 구동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워크 반송 팰릿에 관해 말하자면 구동측 팰릿(9)을 구성하는 팰릿 본체(11)가 판 형상의 기부(14)와, 기부(14)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5)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의 팰릿 본체(11)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부(15)를 기부(14)의 측가장자리 중 팰릿 이송 설비(1)의 외방측의 측가장자리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는, 기부(14)의 양측가장자리에 측벽부(15)를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1개의 구동 롤러(24)에 의해 구동측 팰릿(9)에 반송용 동력과 리턴용 동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특별히 이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설치 공간이 문제가 되지 않으면 구동측 팰릿(9)의 반송용과 리턴용으로 각각 별도의 구동 롤러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분할 팰릿 쌍방에 각각 구동력을 부여하는 형태를 취해도 상관없다. 또는, 구동력 부여 수단을 각 분할 팰릿(9, 10)에 설치하여 이른바 자주식(自走式)의 분할 팰릿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송 라인(4)으로부터 리턴 라인(5)으로의 이송 수단에 관해 반송용 레일(7)의 일부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아니라 반송 라인(4) 종단에 위치하는 각 분할 팰릿(9, 10)만을 적당한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시키거나, 또는 픽업하여 이웃하는 리턴 라인(5) 상에 이송하는 수단을 채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이송 설비는 이상 예시의 설명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팰릿 이송 설비 2 : 차체
3 : 팰릿 4 : 반송 라인
5 : 리턴 라인 6 : 프레임
7 : 반송용 레일 8 : 리턴용 레일
9 : 구동측 팰릿(분할 팰릿) 10 : 종동측 팰릿(분할 팰릿)
11, 17 : 팰릿 본체 12 : 동력 전달부
13, 18 : 부착부 14, 19 : 기부
15, 20 : 측벽부 16, 21 : 돌출 핀
22, 22 : 감합부 23 : 구동원
24 : 구동 롤러 25, 26, 34 : 가이드 롤러
27, 28, 30, 31 : 슬라이드부 29 : 터널부
S1 : 워크 가적재 스테이션 S2 : 가용접 스테이션
S3 : 보강 용접 스테이션

Claims (9)

  1. 워크를 적재한 상태의 팰릿을 반송하는 반송 라인과, 상기 반송 라인의 종단으로부터 시단으로 빈 상기 팰릿을 리턴시키는 리턴 라인을 구비한 팰릿 이송 설비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반송 라인이 나란히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반송 라인 상에는 좌우로 분할된 상기 팰릿이 배치되며, 또한
    상기 리턴 라인은 상기 1쌍의 반송 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쌍방의 분할 팰릿이 상기 1쌍의 반송 라인 상에서 각각 반송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분할 팰릿이 상기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분할 팰릿이 구동하고, 상기 다른쪽의 분할 팰릿은 상기 워크를 통해 상기 구동측의 분할 팰릿과 일체화됨과 아울러 리턴시 상기 쌍방의 분할 팰릿은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라인 상에서 반송되는 상기 분할 팰릿과, 상기 리턴 라인 상에서 리턴되는 상기 분할 팰릿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분할 팰릿 중 한쪽의 분할 팰릿은 상기 한쪽의 분할 팰릿과 별체로 설치된 구동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으로의 동력을 받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갖고,
    다른쪽의 분할 팰릿은 상기 워크를 적재한 상태에서는 상기 워크를 통해 상기 한쪽의 분할 팰릿과 일체적으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분할 팰릿은 모두 워크 적재면을 갖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측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 중 상기 워크를 상기 1쌍의 분할 팰릿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서로 대치하는 면에 상기 측벽부끼리를 밀착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쪽의 분할 팰릿의 하단면 중 상기 한쪽의 분할 팰릿이 적재되는 반송측 부재와의 접촉 영역은 반송 방향뿐만 아니라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상기 반송측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라인, 및 상기 리턴 라인을 갖는 팰릿 반송 라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팰릿 구동 장치를 더 구비하고,
    팰릿 구동 장치는 서로 나란한 상기 반송 라인과 상기 리턴 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의 일측부가 상기 반송 라인 상의 상기 팰릿의 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롤러의 타측부가 상기 리턴 라인 상의 상기 팰릿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라인 상의 상기 팰릿과 접촉 가능한 위치와, 상기 리턴 라인 상의 상기 팰릿과 접촉 가능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라인 상의 상기 팰릿과의 접촉 상태, 및 상기 리턴 라인 상의 상기 팰릿과의 접촉 상태가 얻어지는 크기의 상기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이송 설비.
KR1020107005790A 2007-10-31 2008-04-14 팰릿 이송 설비 KR101093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3958A JP5441086B2 (ja) 2007-10-31 2007-10-31 パレット駆動装置
JP2007283946A JP5441085B2 (ja) 2007-10-31 2007-10-31 パレット移送設備
JPJP-P-2007-283951 2007-10-31
JPJP-P-2007-283958 2007-10-31
JPJP-P-2007-283946 2007-10-31
JP2007283951A JP5106046B2 (ja) 2007-10-31 2007-10-31 ワーク搬送用パレット
PCT/JP2008/057235 WO2009057336A1 (ja) 2007-10-31 2008-04-14 パレット移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257A KR20100046257A (ko) 2010-05-06
KR101093028B1 true KR101093028B1 (ko) 2011-12-13

Family

ID=4059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790A KR101093028B1 (ko) 2007-10-31 2008-04-14 팰릿 이송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93028B1 (ko)
CN (1) CN101815658B (ko)
MY (1) MY152793A (ko)
WO (1) WO2009057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5269A (zh) * 2014-12-19 2015-04-08 苏州互强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流水线
EP3772477A1 (en) * 2019-08-08 2021-02-10 Renishaw PLC Pallet loader for a positioning apparatus
CN114952287A (zh) * 2022-07-12 2022-08-30 广州全速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变速箱装配输送系统的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810A (ja) 2004-07-30 2006-02-16 Daihatsu Motor Co Ltd パレット移送ラ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406U (ja) * 1984-08-27 1986-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ラ・コンベア−のパレツト回収機構
JP2518698B2 (ja) * 1989-09-12 1996-07-24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搬送装置
JP3298386B2 (ja) * 1995-11-24 2002-07-02 株式会社ダイフク 車のストレージ設備
KR100290152B1 (ko) * 1997-11-14 2001-10-24 윤종용 제품생산시스템
JP4569478B2 (ja) * 2006-01-17 2010-10-27 村田機械株式会社 トレイ搬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810A (ja) 2004-07-30 2006-02-16 Daihatsu Motor Co Ltd パレット移送ラ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257A (ko) 2010-05-06
CN101815658B (zh) 2012-07-25
CN101815658A (zh) 2010-08-25
WO2009057336A1 (ja) 2009-05-07
MY152793A (en)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448A (ko) 차량용 대차 이송 시스템
CN108639646B (zh) 旋转升降式agv小车
KR20120059456A (ko) 워크 반송 설비
CN102649508A (zh) 一种输送设备
KR101093028B1 (ko) 팰릿 이송 설비
KR20070053257A (ko) 파킹 장치
JP2000281209A (ja) 搬送装置
US5297483A (en) Work conveyor
CN113071843B (zh) 一种和机器人相结合的仓储装置以及使用方法
JP5106046B2 (ja) ワーク搬送用パレット
JP2011168245A (ja) 搬送台車、搬送ライン及び搬送方法
JP5441085B2 (ja) パレット移送設備
CN113120513B (zh) 返板机构及具有其的运输系统
JP5441086B2 (ja) パレット駆動装置
CN211308680U (zh) 推车和运输装置
CN210972598U (zh) 低温转运桶对接模组
CN115215024A (zh) 一种机器人装置
KR20170025282A (ko) 윙바디 차량용 일괄 하역 장치
KR20100048147A (ko) 차량 부품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CN213036691U (zh) 链条牵引过渡输送装置
CN218025275U (zh) Agv小车及agv物流系统
CN216612604U (zh) 一种用于物流装卸车的立体库系统
CN213806449U (zh) 瓷砖取放装置及瓷砖铺贴系统
CN218808535U (zh) 测试流水线
CN117088057B (zh) 一种柔性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