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516B1 - 선재 사상압연기 - Google Patents

선재 사상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516B1
KR101091516B1 KR1020090050489A KR20090050489A KR101091516B1 KR 101091516 B1 KR101091516 B1 KR 101091516B1 KR 1020090050489 A KR1020090050489 A KR 1020090050489A KR 20090050489 A KR20090050489 A KR 20090050489A KR 101091516 B1 KR101091516 B1 KR 10109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iving
hous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749A (ko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5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51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점검작업 및 부품 교체작업시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이 개폐될 수 있고,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취외 및 설치할 수 있는 선재 사상압연기가 개시된다.
상기한 선재 사상압연기는 다수개의 부품이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토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우징 개폐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리프팅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개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 구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개폐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의 구동시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선재 사상압연기에 의하면, 하우징 개폐유닛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점검작업 및 부품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부품 교체유닛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취외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부품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선재 사상압연기, 하우징 개폐유닛, 리프팅 유닛

Description

선재 사상압연기{WIRE RODS ROLLING MILL}
본 발명은 선재 사상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검작업 및 부품 교체작업이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여 이루어지며 이송되는 열간소재를 공형롤을 통해 압연하는 선재 사상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 압연은 빌레트(billet) 소재를 열간 압연이 가능하도록 900~1100℃로 가열한 후, 조압연 수평 압연기 및 수직 압연기를 거쳐 타원, 라운드 형상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공형을 갖는 다수개의 공형롤들을 통과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압연시켜 소정의 라운드 선재를 최종적으로 생산한다.
한편, 상기한 압연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형롤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측면외함체와 상부외함체를 구비하며, 압연기의 점검작업 및 공형롤 교체작업은 상부외함체를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시켜 측면외함체의 상측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외함체는 크레인을 통해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때 상부외함체를 크레인에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상부외함체가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되어 측면외함체의 상부가 개방되면 작업자는 내부에 배치되는 공형롤 및 가이드류 등을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압연기의 점검작업 및 공형롤 교체작업시 매번 상부외함체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점검작업 및 공형롤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대되고, 교체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압연기의 공형롤 교체작업을 위해 상부외함체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공형롤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다시 크레인에 공형롤을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공형롤을 취외하여야 하며, 교체할 공형롤도 크레인을 통해 압연기에 설치하여야 한다.
즉, 공형롤의 교체작업시 먼저 크레인을 통해 상부외함체를 측면외함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이후 상부외함체와 크레인의 연결을 해제한 후 다시 크레인과 압연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형롤과 연결하여야 한다. 크레인과 공형롤의 연결이 완료되면 공형롤을 압연기의 내부로부터 취외하여야 한다.
이후, 압연기에 설치된 공형롤의 취외작업이 종료되면 다시 크레인과 취외된 공형롤의 연결을 해제하여야 하고, 새로운 공형롤을 크레인에 연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공형롤의 교체시 교체작업이 불편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압연기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류의 교체시에도 공형롤의 교체시와 동일한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선재 사상압연기의 점검작업 및 압연기 내부에 설치되는 공형롤 등의 교체작업시 매번 크레인을 이용하여 점검작업 및 교체작업을 실시해야 하므 로,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부외함체, 공형롤, 가이드류 등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점검작업 및 부품 교체작업시 보다 용이하게 하우징이 개폐될 수 있는 선재 사상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취외 및 설치할 수 있는 선재 사상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는 선재 사상압연기는 다수개의 부품이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토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우징 개폐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리프팅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개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 구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개폐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의 구동시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몸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는 타단측에 상기 제1 구동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홀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개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부품이 승강되도록 무동력으로 상기 부품을 파지하는 지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원과, 일단이 상기 제2 구동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그를 승강시키는 제2 구동부재, 및 상기 지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부재에 연결되는 제3 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제3 구동원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재를 안내하는 제1 안내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구동원은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내롤러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일단이 상기 제2 구동부재의 끝단에 구비되는 분기부에 연결되며, 접철되는 제1,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2 링크부재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에 부품이 안 착되는 경우 상기 부품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2 링크부재가 펼쳐져 상기 부품을 무동력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제2 구동부재가 절곡되는 부분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부재를 안내하는 제2 안내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공형롤 또는 소재 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개폐유닛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점검작업 및 부품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교체유닛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취외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부품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재 사상압연기(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20), 하우징 개폐유닛(140), 및 리프팅 유닛(16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하우징 몸체(122)와 개폐부재(1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은 선재 사상압연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압연소재(미도시)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20)은 다수개의 부품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공간에는 압연소재를 압연하는 공형롤(10), 압연소재 가이드(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몸체(122)는 하우징(120)의 측면벽체를 이루며, 하우징 몸체(122)의 상측에는 개구부(122a)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22a)를 통해 작업자는 하우징 몸체(122)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점검작업과 부품들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24)는 개구부(122a)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 몸체(122)에 연결된다. 즉, 하우징 몸체(122)의 일측면에는 개폐부재(124)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체결구(122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구(122b)의 하부측에는 하우징 개폐유닛(140)의 설치를 위한 설치대(122c)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 몸체(122)에는 압연소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에 구비되는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에 해당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개폐부재(124)는 리프팅 유닛(160)이 설치되는 경사부(124a)와, 연장부(12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도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 개폐유닛(140)은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을 개폐토록 개폐부재(124) 에 연결되며 개페부재(12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개폐유닛(140)은 일예로서, 제1 구동원(142), 제1 구동부재(144), 및 구동력 전달부재(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원(142)은 하우징 몸체(122)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킨다. 즉, 제1 구동원(142)은 하우징 몸체(122)의 후면에 구비되는 설치대(122c)에 장착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원(142)은 개폐부재(124)의 안정적인 회동을 위해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재(144)는 제1 구동원(142)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즉, 제1 구동부재(144)는 제1 구동원(142)인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설치되며, 제1 구동원(142)의 구동에 따라 승강된다.
한편, 구동력 전달부재(146)는 일단이 개폐부재(124)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1 구동부재(144)에 연결되어 제1 구동부재(144)의 구동시 개폐부재(124)를 회동시킨다.
즉, 구동력 전달부재(146)의 일단측은 개페부재(124)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구동력 전달부재(146)에는 타단측에 제1 구동부재(14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146a)을 구비하는데, 제1 구동부재(144)는 결합홀(146a)을 통해 구동력 전달부재(146)에 장착되고, 구동력 전달부재(146)의 양단부는 제1 구동원(142)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원(142)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부재(146)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구동력 전달부재(146)의 타단측에, 즉 결합홀(146a)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하우징 몸체(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축(110)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홀(146b)을 구비한다.
즉, 구동력 전달부재(146)는 하우징 몸체(122)에 회전축(11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구동력 전달부재(146)의 회전축홀(146b)과 하우징 몸체(122)의 체결구(122b)에 회전축(110)이 결합되고, 구동력 전달부재(146)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다시 살펴보면, 제1 구동원(142)에 의해 제1 구동부재(144)가 승강되는데, 제1 구동부재(144)의 승강에 따라 제1 구동부재(144)에 연결되는 구동력 전달부재(146)는 회전축홀(146b)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달부재(146)가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0)의 개폐부재(124)는 회전축홀(146)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리프팅 유닛(16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개방시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프팅 유닛(160)은 구동부(170)와 지그(18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개폐부재(124)에 설치되며, 개구부(122a)의 개방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70)는 제2 구동원(172), 권취롤(173), 제2 구동부재(174), 제3 구동원(175), 제1,2 안내롤러(176,17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원(172)은 개폐부재(124)의 경사부(124a)에 장착되어 부품을 승강시 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제2 구동원(172)은 구동모터일 수 있다.
권취롤(173)은 제2 구동원(17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구동부재(174)를 권취할 수 있다. 즉, 제2 구동원(172)에 의해 회전하여 제2 구동부재(174)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구동부재(174)는 일단이 제2 구동원(172)에 연결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일단이 권취롤(173)에 장착되어 제2 구동원(172)에 연결된다. 또한, 제2 구동부재(174)의 타단은 지그(180)에 결합되며 제2 구동원(172)에 의해 구동되어 지그(180)를 승강시킨다.
한편, 제2 구동부재(174)는 권취롤(173)에 권취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재(174)의 타단, 즉 지그(180)와 연결되는 끝단에는 지그(180)와의 결합을 위한 분기부(174a,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구동원(175)은 개폐부재(124)의 연장부(124b)에 설치되며, 지그(18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2 구동부재(174)에 연결된다. 한편, 제3 구동원(176)은 제2 구동부재(174)의 수평 이동시키는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구동원(175)의 끝단부에는 제2 구동부재(174)를 안내하는 제1 안내롤러(176)가 설치되는데, 제2 구동부재(174)는 제1 안내롤러(176)에 의해 구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제2 안내롤러(177)는 개폐부재(124)의 연장부(124b)에 구비되는 브라켓(124c)에 장착되어 제2 구동부재(174)의 구동경로를 안내한다.
즉, 제2 구동부재(174)는 제1,2 안내롤러(176,177)을 통해 구동경로가 안내 되어 제2 구동부재(174)에 설치되는 지그(180)를 승강시킨다.
한편, 리프팅 유닛(160)의 작동을 간략히 살펴보면,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제2 구동원(172)이 구동되어 권취롤(173)이 회전되며, 권취롤(173)에 권취된 제2 구동부재(174), 즉 와이어가 권취롤(173)로부터 풀어지거나 감기게 된다.
이때 제2 구동부재(174)는 제1,2 안내롤러(176,177)를 따라 구동되며, 만약 지그(18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야 하는 경우 제3 구동원(176)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지그(18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그(180)는 구동부(170)에 연결되며, 구동부(170)의 구동시 부품이 승강되도록 무동력으로 부품을 파지한다. 즉,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지그(180)를 통해 부품을 집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그(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제1 링크부재(182), 제2 링크부재(184), 및 연장부재(18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2 링크부재(182,184)는 일단이 제2 구동부재(174)의 끝단에 구비되는 분기부(174a)에 장착되며 타단이 연장부재(186)에 장착된다. 또한, 제1,2 링크부재(182,184)는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다.
한편, 제1,2 링크부재(182,184)에 연결되는 연장부재(186)는 끝단에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188)를 구비하며, 안착부(188)는 부품의 안착시 부품이 안착부(18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그(180)는 리프팅 유닛(160)의 구동부(170)를 통해 하우징(120) 내외부에 배치되는 부품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지그(180)의 안착부(188)에 부품을 안착시킨다.
부품이 지그(180)의 안착부(188)에 안착되면 구동부(170)를 통해 지그(180)를 상승시키면 지그(180)가 상승하게 되고 지그(180)의 제1,2 링크부재(182,184)는 부품의 자중에 의해 부품을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지그(180)를 통해 이동되는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은 공형롤 또는 소재 가이드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재 사상압연기(100)의 내부에 점검작업이 필요한 경우, 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개폐유닛(140)을 통해 하우징(120)의 개폐부재(124)를 회동시켜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하우징 개폐유닛(140)과 개폐부재(124)에 설치되는 리프팅 유닛(160)을 통해 부품을 하우징(1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선재 사상압연기(100)의 하우징 개폐유닛(140)의 작동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 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개폐유닛(140)의 제1 구동원(142)이 구동된다. 제1 구동원(142)가 구동되면, 제1 구동원(142)에 연결된 제1 구동부재(144)가 하강된다.
제1 구동부재(144)의 하강에 따라 제1 구동부재(144)에 연결된 구동력 전달부재(146)는 회전축홀(146b)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전달부재(146)가 고정 설치되는 개폐부재(124)가 구동력 전달부재(146)와 함께 회동되어 하우징(120)의 개구부(122a)가 개방된다.
하우징(120)의 개구부(122a)가 개방되면 작업자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점검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점검작업이 완료되면, 제1 구동원(142)을 통해 제1 구동부재(144)를 상승시켜 개폐부재(124)를 하우징 몸체(122)에 안착시켜 개구부(122a)를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선재 사상압연기(100)의 리프팅 유닛(160)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개폐유닛(140)을 통해 개폐부재(124)의 회동이 완료되면,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리프팅 유닛(160)이 작동된다.
먼저, 리프팅 유닛(160)의 구동부(170)가 작동되는데, 구동부(170)의 제2 구동부(172)와 제3 구동원(175)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재(174)가 권취롤(172)로부터 풀리게 되며, 제2 구동부재(174)에 연결되는 지그(18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지그(180)가 이동될 부품의 상부에 위치하면, 제3 구동부(175)는 정지한다. 이때 제2 구동부(172)는 계속해서 구동되어 제2 구동부재(174)가 권취롤(172)로부터 계속해서 풀리도록 한다.
지그(180)가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작업자는 지그(180)의 안착부(188)에 부품이 안착되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제1,2 링크부재(182,184)를 펼쳐지도록 하여, 제1,2 링크부재(182,184)에 연결된 연장부재(186)를 서로 이격시킨다. 이후 연장부재(186)의 안착부(188)가 이동될 부품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후, 제2 구동원(172)는 구동되어 제2 구동부재(174)를 권취롤(172)에 권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재(174)는 상승하고, 지그(180)의 제1,2 링크부재(182,184)는 안착부(188)에 안착된 부품의 자중에 의해 접혀진다.
이에 따라 지그(180)는 무동력으로 부품을 파지하여 부품을 승강되도록 한다.
제2 구동부재(174)에 의해 부품이 일정 위치로 이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우징 개폐유닛(140)을 구동시킨다. 즉, 개폐부재(124)가 제1 구동원(142)에 의해 회동되어 교체될 부품이 하우징(120)의 외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리프팅 유닛(160)의 제2 구동원(172)과 제3 구동원(175)이 구동되어 부품이 안착될 위치로 지그(18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부품을 지그(180)에 파지시켜 하우 징 개폐유닛(140)과 리프팅 유닛(160)을 구동시켜 부품을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재 사상압연기(100)의 내부에 점검작업이 필요한 경우, 하우징(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개폐유닛(140)을 통해 하우징(120)의 개폐부재(124)를 회동시켜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하우징 개폐유닛(140)과 개폐부재(124)에 설치되는 리프팅 유닛(160)을 통해 부품을 하우징(1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 사상압연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재 사상압연기
120 : 하우징
140 : 하우징 개폐유닛
160 : 리프팅 유닛
170 : 구동부
180 : 지그

Claims (10)

  1. 다수개의 부품이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토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하우징 개폐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리프팅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개폐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 구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개폐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의 구동시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력 전달부재;
    를 구비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몸체를 더 구비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는 타단측에 상기 제1 구동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재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홀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선재 사상압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개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방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부품이 승강되도록 무동력으로 상기 부품을 파지하는 지그를 더 구비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부품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구동원;
    일단이 상기 제2 구동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그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그를 승강시키는 제2 구동부재; 및
    상기 지그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구동부재에 연결되는 제3 구동원;
    을 구비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원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제3 구동원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재를 안내하는 제1 안내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부재는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구동원은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내롤러는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일단이 상기 제2 구동부재의 끝단에 구비되는 분기부에 연결되며, 접철되는 제1,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2 링크부재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에 부품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부품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2 링크부재가 펼쳐져 상기 부품을 무동력으로 파지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2 구동부재가 절곡되는 부분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부재를 안내하는 제2 안내롤러를 더 구비하는 선재 사상압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공형롤 또는 소재 가이드인 선재 사상압연기.
KR1020090050489A 2009-06-08 2009-06-08 선재 사상압연기 KR10109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89A KR101091516B1 (ko) 2009-06-08 2009-06-08 선재 사상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89A KR101091516B1 (ko) 2009-06-08 2009-06-08 선재 사상압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49A KR20100131749A (ko) 2010-12-16
KR101091516B1 true KR101091516B1 (ko) 2011-12-08

Family

ID=4350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489A KR101091516B1 (ko) 2009-06-08 2009-06-08 선재 사상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216B1 (ko) * 2011-11-16 2014-08-06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차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312A (en) * 1978-10-20 1980-04-2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changing of head open type rolling mill
JPS5921409A (ja) 1982-07-28 1984-02-03 Kawasaki Heavy Ind Ltd 圧延機
JPS59113915A (ja) 1982-12-21 1984-06-30 Kobe Steel Ltd 圧延設備加熱炉圧延材料排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312A (en) * 1978-10-20 1980-04-2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changing of head open type rolling mill
JPS5921409A (ja) 1982-07-28 1984-02-03 Kawasaki Heavy Ind Ltd 圧延機
JPS59113915A (ja) 1982-12-21 1984-06-30 Kobe Steel Ltd 圧延設備加熱炉圧延材料排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49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932A (ko) 건설기계의 엔진 후드 개폐장치
JP4353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JP4102363B2 (ja) 車体組立て方法
KR101091516B1 (ko) 선재 사상압연기
CN205305234U (zh) 一种柔性电路板预翻转装载设备
CN218908063U (zh) 一种轧辊放置装置
KR102061273B1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JP5201898B2 (ja) 台車傾転装置
KR100423050B1 (ko) 차량조립을 위한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JPH08188365A (ja) マンホールの蓋開閉装置
JP4122794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4564197B2 (ja) カテナリー型連続熱処理炉用ロール取替え装置
JP2011088729A (ja) サイドガイド装置
JP4145137B2 (ja) ブーム支持装置
JP4029962B2 (ja) 昇降装置
JPH1149431A (ja) 撚線機のボビン交換装置
KR101268933B1 (ko) 냉연강판 권취장치
CN213568249U (zh) 一种自动装卸料机构
KR100988798B1 (ko) 반도체장비의 상판 이송 및 회전장치
JP3692350B2 (ja) インセルクレーンの救援装置および救援方法
JPH11211362A (ja) 溶解炉の炉蓋昇降装置
CN212769619U (zh) 一种机电设备维护用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