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483B1 -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483B1
KR101091483B1 KR1020080102607A KR20080102607A KR101091483B1 KR 101091483 B1 KR101091483 B1 KR 101091483B1 KR 1020080102607 A KR1020080102607 A KR 1020080102607A KR 20080102607 A KR20080102607 A KR 20080102607A KR 101091483 B1 KR101091483 B1 KR 10109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tensioner
tensioner
oil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534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16H2007/0817Fluid pressure with means for venting unwanted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된 챔버가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타이밍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유압식 텐셔너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가 설치되기 위한 실린더 헤드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로 공기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어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시간 방치된 후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 발생하였던 이음(異音)이 발생되지 않아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AIR DISCHARGE STRUCTURE OF HYDRAULIC TENS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유로에 포함된 공기가 챔버 내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에서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캠 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해 타이밍 체인을 사용하는데, 타이밍 체인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인 장력 조절용 텐셔너가 설치된다.
상기 텐셔너 중 유압을 공급받아 텐셔너 몸체가 미는 힘으로 타이밍 체인의 장력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텐셔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압식 텐셔너는 실린더 헤드에 타이밍 체인을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유압식 텐셔너는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된 챔버가 마련되어 오일이 공급될 때 체인 가이드를 미는 텐셔너 몸체와, 텐셔너 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캡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유압식 텐셔너에 있어서는, 텐셔너 몸체의 챔버로 공급된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챔버의 고압실로 재유입되기 때문에 장시간 방치 후 엔진 시동시 심한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 내에 포함된 공기가 챔버 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방치 후 엔진 시동을 걸더라도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에 따라,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된 챔버가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타이밍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유압식 텐셔너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가 설치되기 위한 실린더 헤드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로 공기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공기 배출부는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식 텐셔너의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유압식 텐셔너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 때, 각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일직선으로 연통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어 챔버 내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시간 방치된 후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 발생하였던 이음(異音)이 발생되지 않아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내부에 오일 유로(21a, 22a, 22b)가 형성된 챔버(25)가 마련된 유압식 텐셔너(10)와, 유압식 텐셔너(10)가 설치되기 위한 실린더 헤드(50)와, 유압식 텐셔너(10) 및 실린더 헤드(50)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챔버(25) 내로 공기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40, 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 헤드(50)에는 오일 유로의 오일 유입부(21a)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 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후술할 유압식 텐셔너(10)의 공기 배출부(40)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부(60)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오일 유로는 오일이 실린더 헤드(50)의 오일 공급 유로로부터 공급되기 위한 오일 유입부(21a)와, 오일이 배출되기 위한 오일 배출부(24)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60)는 배출공(60a)과, 배출공(60a)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 오리피스(60b)로 구성된다. 이 때, 공기 배출부(60)의 직경을 2단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면서 동시에 유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함이다.
오리피스(60b)는 먼저 배출공(60a)을 엔드밀 가공 후 배출공(60a)의 끝단에 드릴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하였는데, 배출공(60a)을 엔드밀 가공후 내경을 배출공(60a)보다 작게 하여 배출공(60a)의 내부로 압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유압식 텐셔너(10)는 실린더 헤드(50)에 형성된 설치부(70)에 체인 가이드(5)와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챔버(25)로 오일이 공급되면 후술할 텐셔너 몸체(20)가 체인 가이드(5)를 밀게 됨으로써 타이밍 체인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유압식 텐셔너(10)는 크게 저압실(25a) 및 고압실(25b)로 구분된 챔버(25)가 형성되며 일단이 체인 가이드(5)와 직접 접촉되는 텐셔너 몸체(20)와, 텐셔너 몸체(20)의 타단에 씌워지며 설치부(70)에 나사 결합되는 캡(35)으로 구성된다.
텐셔너 몸체(20)는 저압실(25a)이 형성되고 일측에 오일 유입부(21a)가 형성된 인너 텐셔너 몸체(21)와, 고압실(25b)이 형성되고 내부에 인너 텐셔너 몸체(21)를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23)이 설치되며 오일 배출부(24)가 형성되도록 인너 텐셔너 몸체(21)의 외측에 끼워지는 아우터 텐셔너 몸체(22)로 구성된다.
이 때, 저압실(25a)과 고압실(25b) 사이에는 유압에 따라 저압실(25a)과 고압실(25b)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3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오일이 오일 유입부(21a)로 유입되어 저압실(25a)에 유압이 형성되어 체크 밸브(30)가 유압에 의해 개방되면, 오일이 고압실(25b)로 공급되어 아우터 텐 셔너 몸체(22)가 체인 가이드(5)를 밀게 됨으로써 타이밍 체인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오일 유입부(21a)는 실린더 헤드(50)에 형성된 오일 공급 라인에서 공급된 오일이 챔버(25)의 저압실(25a)로 유입되기 위한 곳으로서, 이 때 오일 유입부(21a)는 인너 텐셔너 몸체(21)의 상측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오일 배출부(24)는 인너 텐셔너 몸체(21) 및 아우터 텐셔너 몸체(22) 사이의 틈(22a)과 아우터 텐셔너 몸체(22) 및 캡(35) 사이의 틈(22b)으로 구성됨으로써, 저압실(25a)에서 고압실(25b)로 유입된 오일은 인너 텐셔너 몸체(21) 및 아우터 텐셔너 몸체(22) 사이의 틈(22a)을 통해 위로 올라간 후 꺾어져 아우터 텐셔너 몸체(22) 및 캡(35) 사이의 틈(22b)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래에는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오일 유입부(21a)를 통해 저압실(25a)로 재유입된 후 고압실(25b)로 유입되어 엔진 시동시 이음(異音)이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배출부(40, 60)를 통해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40, 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캡(35)은 텐셔너 몸체(20)의 타단에 끼워지며, 외주면에는 설치부(70)에 형성된 암나사산(미도시)과 대응하는 수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는 텐셔너 몸체(20)에 끼워진 캡(35)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압식 텐셔너(10)를 설치부(70)에 장착할 수 있고,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설치부(70)로부터 유압식 텐셔너(1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캡(35)에는 공기 배출부(40)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공기 배출 부(40)는 인너 텐셔너 몸체(21)의 상측에 형성된 오일 유입부(21a)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오일이 오일 배출부(24)를 통해 배출될 때 오일이 오일 유입부(21a)로 재유입되지 않고 유압식 텐셔너(10) 및 실린더 헤드(50)에 형성된 각 공기 배출부(40, 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오일에 포함된 공기 역시 공기 배출부(40, 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텐셔너(10) 및 실린더 헤드(50)에 형성된 각 공기 배출부(40, 60)는 일직선으로 연통되는 것이 좋다. 이에, 오일 배출부(24)를 통해 각 공기 배출부(40, 60)로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가 짧기 때문에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오일에 포함된 공기가 오일 배출부(24) 및 공기 배출부(40, 60)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어 챔버(25) 내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시간 방치된 후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 고압실(25b)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발생하였던 이음(異音)이 발생되지 않아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압식 텐셔너 20 : 텐셔너 몸체
21 : 인너 텐셔너 몸체 21a : 오일 유입부
22 : 아우터 텐셔너 몸체 24 : 오일 배출부
25 : 챔버 30 : 체크 밸브
35 : 캡 40, 60 : 공기 배출부
50 : 실린더 헤드

Claims (4)

  1.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된 챔버가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타이밍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유압식 텐셔너(10)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가 설치되기 위한 실린더 헤드(50)와;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로 공기가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40, 60)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식 텐셔너의 상기 공기 배출부(40)는 상기 유압식 텐셔너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공기 배출부(60)는 배출공(60a)과, 상기 배출공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 오리피스(60b)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의 각 상기 공기 배출부(40, 60)는 상기 유압식 텐셔너 및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일직선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02607A 2008-10-20 2008-10-20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KR101091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607A KR101091483B1 (ko) 2008-10-20 2008-10-20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607A KR101091483B1 (ko) 2008-10-20 2008-10-20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534A KR20100043534A (ko) 2010-04-29
KR101091483B1 true KR101091483B1 (ko) 2011-12-07

Family

ID=4221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607A KR101091483B1 (ko) 2008-10-20 2008-10-20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820A1 (en) * 2021-03-02 2022-09-09 Borgwarner Inc. Tensioner venting through radial holes in high pressure bo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528B1 (ko) * 2002-03-28 2005-11-2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압식 텐셔너 리프터
JP2006144958A (ja) 2004-11-22 2006-06-08 Tsubakimoto Chain Co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JP2008051212A (ja) 2006-08-24 2008-03-0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528B1 (ko) * 2002-03-28 2005-11-2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압식 텐셔너 리프터
JP2006144958A (ja) 2004-11-22 2006-06-08 Tsubakimoto Chain Co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JP2008051212A (ja) 2006-08-24 2008-03-06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534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65664B (en) Hydraulic tensioner lifter
US8197369B2 (en) Hydraulic tensioner
JP4327704B2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US10514085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saddle riding vehicle
KR101091483B1 (ko) 차량용 유압식 텐셔너의 공기 배출구조
JP5122876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の製造方法
JP2004116510A (ja) V型エンジン用タイミングチェーンの潤滑装置
US8042509B2 (en) Cam cap
KR101258759B1 (ko) 엔진 가변 공기밸브 리프트 기구와 오일 조정밸브의 장착 구조물
JP2007218371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202326953U (zh) 正时链涨紧器及正时链涨紧机构
JP2006144999A (ja) エンジンおよび自動二輪車
JP3141740B2 (ja) 内燃機関の油圧テンショナ
JP4005934B2 (ja) 内燃機関用油圧ラッシュアジャスタ
JP2003287092A (ja) 油圧式テンショナリフタ
JP2000266145A (ja) 油圧テンショナ
KR100785144B1 (ko) 실린더 디액티베이션 엔진용 오일회로
WO2023204168A1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1294045B1 (ko) 유압식 체인 텐셔너
JP497625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332888B2 (ja) エンジンのチェーンカバー構造
JPH06146838A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00993997B1 (ko) 독립된 오일 공급구조를 갖는 체인텐셔너
JP2004232551A (ja) 燃料供給装置
JP5638979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