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045B1 - 유압식 체인 텐셔너 - Google Patents

유압식 체인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045B1
KR101294045B1 KR1020070131667A KR20070131667A KR101294045B1 KR 101294045 B1 KR101294045 B1 KR 101294045B1 KR 1020070131667 A KR1020070131667 A KR 1020070131667A KR 20070131667 A KR20070131667 A KR 20070131667A KR 101294045 B1 KR101294045 B1 KR 10129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plunger body
high pressure
chain tensioner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102A (ko
Inventor
염철준
최의철
오정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0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 F16H2007/0885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the tension being a function of engine running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는, ⅰ)실린더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아웃터 바디와, ⅱ)상기 아웃터 바디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오일이 유입되는 저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인너 바디와, ⅲ)상기 실린더 헤드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아웃터 바디와 상기 인너 바디 사이에서 그 인너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저압실과 상호 연결되는 고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플런저 바디와, ⅳ)상기 저압실과 상기 고압실 사이의 연결 통로에 장착되어 상기 고압실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저압실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ⅴ)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기 고압실에 장착되어 상기 체크 밸브의 리테이너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장착면과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고압실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벤트라인을 구성한다.
타이밍, 체인, 유압식, 체인 텐셔너, 에어 벤트라인

Description

유압식 체인 텐셔너 {HYDRAULIC CHAIN TENSIONE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타이밍 체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밍 체인의 장력을 오일의 유압으로서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캠 샤프트로 전달하기 위해 타이밍 체인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러한 타이밍 체인 시스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엔진(510)의 실린더 블록(511)에 구성되는 크랭크 샤프트(513), 및 실린더 헤드(512)에 구성되는 캠 샤프트(515)에 체인 스프로켓(514, 516)이 각각 축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체인 스프로켓(514, 516)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타이밍 체인(52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V형 엔진의 경우, 상기 크랭크 샤프트(513)와 각 뱅크의 캠 샤프트(515)는 각각의 타이밍 체인(52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체인(5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실린더 헤드(512)에는 체인 가이드(522) 및 체인 텐셔너(523)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타이밍 체인 시스템에 있어, 체인 텐셔너(523)는 오일의 유압으로서 타이밍 체인(5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체인 텐셔너(520)는 V형 엔진을 기준할 때, 좌우 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각각 장착되고,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대해서는 오일 루트의 상부에 구성되며, 좌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대해서는 오일 루트의 하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체인 텐셔너(523)는 도 2에서와 같이, 좌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끼워져 고정되는 아웃터 바디(610)와, 저압실(631)을 가지면서 아웃터 바디(6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너 바디(630)와, 고압실(651)을 가지면서 실린더 헤드(512)에 장착된 상태로 인너 바디(63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 바디(650)와, 저압실(631)과 고압실(651)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670)와, 고압실(651)에 장착되는 리턴 스프링(69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아웃터 바디(610)와 플런저 바디(650)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인너 바디(630)의 저압실(631)과 플런저 바디(650)의 고압실(651)은 인너 바디(630)에 마련된 오일 홀(633)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체인 텐셔너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시, 인너 바디(630)의 저압실(631)로 공급된 오일은 플런저 바디(650)의 고압실(651)로 공급된다.
이로써, 상기 플런저 바디(650)는 그 오일의 압력에 의해 인너 바디(630)의 외주면 및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을 따라 타이밍 체인(520) 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타이밍 체인(520)으로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실(651) 내부의 오일 압력이 점차 제거되면, 플런저 바디(650)는 리턴 스프링(6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점차 이동하게 됨으로 상기 타이밍 체인(5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523)에 의하면, 좌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는 오일 루트의 하부에 구성되므로, 엔진 정지시 인너 바디(630)의 저압실(631)에 오일이 채워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523)는 오일 루트의 상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오일이 오일 루트를 통해 드레인 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의 경우, 엔진 시동시 오일이 플런저 바디(650)의 고압실(651)로 공급됨에 따라 그 플런저 바디(650)의 고압실(651)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는 인너 바디(630)와 플런저 바디(650) 사이를 통과하고, 아웃터 바디(610)와 플런저 바디(650) 사이의 유격을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는 플런저 바디(650)와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그 플런저 바디(650)의 외주면과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 사이이 갭을 형성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역류하여 결과적으로는 인너 바디(630)의 저압실(631)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523)는 상기한 에어가 인너 바디(630)의 저압실(631)로 재진입함에 따라, 에어에 의한 작동 방해 및 이음(aeration) 현상을 야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런저 바디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고압실에 잔류하는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저압실로 재진입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는, ⅰ)실린더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아웃터 바디와, ⅱ)상기 아웃터 바디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오일이 유입되는 저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인너 바디와, ⅲ)상기 실린더 헤드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아웃터 바디와 상기 인너 바디 사이에서 그 인너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저압실과 상호 연결되는 고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플런저 바디와, ⅳ)상기 저압실과 상기 고압실 사이의 연결 통로에 장착되어 상기 고압실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저압실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ⅴ)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기 고압실에 장착되어 상기 체크 밸브의 리테이너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장착면과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고압실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벤트라인을 구성한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대해 나선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면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바디는 상기 아웃터 바디의 내주면과 일정한 유격을 지니며 상기 실린더 헤드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엔진 시동시 플런저 바디의 고압실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가 에어 벤트라인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고압실의 잔류 에어에 의한 작동 방해 및 이음(aera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체인 텐셔너(100)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타이밍 체인을 통하여 캠 샤프트로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 체인 시스템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 텐셔너(100)는 V형 엔진을 기준할 때, 좌우 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각각 장착되고,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대해서는 오일 루트의 상부에 구성되고, 좌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대해서는 오일 루트의 하부에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100)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바디(10), 인너 바디(30), 플런저 바디(50), 체크 밸브(70), 및 리턴 스프링(90)을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바디(10)는 도 4를 기준할 때,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아웃터 바디(10)의 상부 측에는 그 아웃터 바디(10)를 실린더 헤드(512)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1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인너 바디(30)는 실질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아웃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측 단부가 아웃터 바디(10)의 폐쇄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너 바디(30)의 내부에는 오일 루트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압실(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바디(30)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저압실(31)로 공급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 홀(3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 바디(50)는 오일의 압력으로서 인너 바디(30)에 대해 직선 왕복 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타이밍 체인(520: 이하 도 1참조)의 장력을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런저 바디(5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원통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플런저 바디(50)는 인너 바디(30)를 감싸면서 아웃터 바디(10)와 인너 바디(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플런저 바디(50)는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인너 바디(3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플런저 바디(50)는 아웃터 바디(10)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 및 그 아웃터 바디(10)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지닌다.
즉, 상기 플런저 바디(50)는 아웃터 바디(10)의 내주면과 일정한 유격을 형성하면서 실린더 헤드(5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런저 바디(50)의 내부에는 인너 바디(30)의 오일 홀(33)을 통해 저압실(31)과 상호 연결되는 고압실(51)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로 유입되는 오일은 상기 오일 홀(33)을 통해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체크 밸브(70)는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과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즉, 오일 홀(33)의 고압실(51) 개방단 측에 구성된다.
여기서, 체크 밸브(70)는 상기 개방단 측에 설치되는 체크볼(71)과, 그 체크볼(71)을 수용하는 리테이너(73)로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구조의 체크 밸브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70)는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에서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로 공급된 오일이 저압실(31)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90)은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에 배치되며, 이의 일측 단부는 체크 밸브(70)의 리테이너(73)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플런저 바디(5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90)은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에서 체크 밸브(70)의 리테이너(73)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실시예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100)는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과 플런저 바디(5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그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 벤트라인(60)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60)은 V형 엔진의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실린더 헤드(512)에서 오일의 루트 상부에 구성되는 체인 텐셔너(100)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각각 장착되는 체인 텐셔너(100)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60)은 플런저 바디(5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61)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 벤트라인(60)은 플런저 바디(50)의 외주면이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에 슬라이딩 접촉됨으로, 상기한 그루브(61)를 통해 고압실(51)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에어 통로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61)는 플런저 바디(50)의 외주면에 단일의 개수로서 형성되며, 사각형의 요홈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100)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과 플런저 바디(50)의 외주면 사이에 에어 벤트라인(60)을 형성함에 따라,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를 상기 에어 벤트라인(6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엔진 정지시, 좌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100)는 오일 루트의 하부에 구성되므로,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에 오일이 채워진 상태에 있다.
그리고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100)는 오일 루트의 상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오일이 오일 루트를 통해 드레인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 시동시, 오일은 오일 루트를 통해 인너 바디(30) 의 저압실(31)로 공급되며, 그 오일의 유압으로서 체크 밸브(70)를 통해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로 공급된 오일은 리턴 스프링(90)을 밀면서 오일 홀(33)을 통해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고압실(51)로 공급된 오일은 체크 밸브(70)에 의해 저압실(31)로 다시 역류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우측의 실린더 헤드(512)에 배치되는 체인 텐셔너(100)의 경우,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는 인너 바디(30)의 저압실(31)로 유입되지 않고, 인너 바디(30)와 플런저 바디(50) 사이를 통과하고, 아웃터 바디(10)와 플런저 바디(50) 사이의 유격을 통과하여 에어 벤트라인(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 시동시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가 상기 에어 벤트라인(6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됨에 따라, 에어에 의한 작동 방해 및 이음(aera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오일이 플런저 바디(50)의 고압실(51)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바디(50)는 그 오일의 압력에 의해 인너 바디(30)의 외주면 및 실린더 헤드(512)의 장착면을 따라 타이밍 체인(520) 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타이밍 체인(520)으로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실(51) 내부의 오일 압력이 점차 제거되면, 플런저 바디(50)는 리턴 스프링(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점차 이동하게 됨 으로 상기 타이밍 체인(5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체인 텐셔너(200)는 전기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플런저 바디(1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그루브(161)로서 이루어지는 에어 벤트라인(16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61)는 단일의 개수로서 구비되며, 플런저 바디(150)의 아웃터 바디(110) 측 단부로부터 다른 일측 단부를 향하여 나선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 벤트라인(160)은 실린더 헤드(512: 도 4)의 장착면과 플런저 바디(150)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됨으로, 고압실(미도시) 내부의 에어가 상기한 그루브(161)를 통해 나선형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그루브(161)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런저 바디(150)의 가공성을 고려한 것으로, 센터리스(centerless) 그라인더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 경우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300)는 전기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나선형의 그루브(261)가 플런저 바디(250)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에어 벤트라인(26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들(261)은 플런저 바디(250)의 아웃터 바디(210) 측의 단부로부터 다른 일측 단부를 향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체인 텐셔너(400)는 전기 제1 실시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플런저 바디(35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면(361)으로서 이루어지는 에어 벤트라인(36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면(361)는 플런저 바디(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의 외주면에 소정 폭을 지닌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헤드(512: 도 4)의 장착면과 플런저 바디(350)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됨으로 상기한 모따기면(361)을 통해 고압실(미도시)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압식 체인 텐셔너(400)의 나 머지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이밍 체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체인 텐셔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7)

  1. 실린더 헤드에 끼워져 고정되는 아웃터 바디;
    상기 아웃터 바디의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오일이 유입되는 저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인너 바디;
    상기 실린더 헤드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아웃터 바디와 상기 인너 바디 사이에서 그 인너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저압실과 상호 연결되는 고압실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플런저 바디;
    상기 저압실과 상기 고압실 사이의 연결 통로에 장착되어 상기 고압실로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저압실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 및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기 고압실에 장착되어 상기 체크 밸브의 리테이너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의 장착면과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고압실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 벤트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는 상기 아웃터 바디의 내주면과 일정한 유격을 지니며 상기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로서 이루어지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대해 나선형으로서 형성되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한 쌍으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벤트라인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따기 면으로서 이루어지는 유압식 체인 텐셔너.
  7. 삭제
KR1020070131667A 2007-12-14 2007-12-14 유압식 체인 텐셔너 KR10129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667A KR101294045B1 (ko) 2007-12-14 2007-12-14 유압식 체인 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667A KR101294045B1 (ko) 2007-12-14 2007-12-14 유압식 체인 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102A KR20090064102A (ko) 2009-06-18
KR101294045B1 true KR101294045B1 (ko) 2013-08-07

Family

ID=4099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667A KR101294045B1 (ko) 2007-12-14 2007-12-14 유압식 체인 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2098A (zh) * 2017-03-29 2018-10-1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液压张紧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958A (ja) * 2004-11-22 2006-06-08 Tsubakimoto Chain Co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JP2006189070A (ja) * 2005-01-04 2006-07-20 Honda Motor Co Ltd 油圧式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958A (ja) * 2004-11-22 2006-06-08 Tsubakimoto Chain Co 脱気型油圧テンショナ
JP2006189070A (ja) * 2005-01-04 2006-07-20 Honda Motor Co Ltd 油圧式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102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484B2 (en) Controlled leakage valve for piston cooling nozzle
JP6408975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378661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7927242B2 (en) Downward angle settable hydraulic tensioner
US5597367A (en) Apparatus for tensioning of a cam shaft drive
US20090111628A1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US7694657B2 (en) Engine for motorcycle
JP6959515B2 (ja) テンショナ及びリリーフバルブユニット
KR20080036614A (ko) 인장 장치
US7331891B2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US20130109518A1 (en) Hydraulic tensioner
KR101294045B1 (ko) 유압식 체인 텐셔너
US9611920B2 (en) Chain tensioner force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529388B2 (en) Mechanical tensioner with damping feature
JP5364127B2 (ja) タイミングトレーン機構の潤滑構造
US9945455B2 (en)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n oil wet toothed belt
KR20120041893A (ko) 체인 텐셔너 암
KR100993997B1 (ko) 독립된 오일 공급구조를 갖는 체인텐셔너
JP4451314B2 (ja) 油圧式テンショナ
KR102647240B1 (ko) 체인 텐셔너
KR102670594B1 (ko) 텐셔너
KR100412618B1 (ko) 체인가이드의 댐핑장치
JP2016125370A (ja) カムシャフト支持構造
JP2019124157A (ja) エンジン
RU2290554C1 (ru) Гидро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цеп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