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614A - 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614A
KR20080036614A KR1020087004244A KR20087004244A KR20080036614A KR 20080036614 A KR20080036614 A KR 20080036614A KR 1020087004244 A KR1020087004244 A KR 1020087004244A KR 20087004244 A KR20087004244 A KR 20087004244A KR 20080036614 A KR20080036614 A KR 20080036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ydraulic
tensioning
hydraulic flui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울라인
Original Assignee
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쉐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3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식 구동 장치(1)용 유압식 인장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인장 장치의 경우, 하우징(13) 내에서 안내되고 길이 방향으로 변위 될 수 있는 피스톤(12)이 유압액에 의해 힘을 인가받는다. 이를 위해, 유압액은 공급 보어부(19)를 통해 하우징(13)의 저장 챔버(20)에 도달한다. 그리고 하우징(3)의 분사 노즐(25a)을 통해서는 유압액의 부분 량이 인장 수단(3)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전향된다.
견인식 구동 장치, 유압식 인장 장치, 피스톤, 공급 보어부, 저장 챔버

Description

인장 장치{TENSIONING SYSTEM}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견인식 구동 장치(traction mechanism drive)의 인장 수단 중 특히 체인으로서 형성되는 인장 수단을 위한 유압식 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장 장치는 내연기관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되어 실린더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 내에서는, 스프링 수단 및 유압액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이 안내된다. 이와 관련하여, 피스톤은 인장 수단에서 안내되는 인장 레일과 직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유압액은 공급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도되며, 그리고 유압액의 부분 량은 견인식 구동 장치의 윤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장치는, 인장 수단의 충분한 예비 인장뿐 아니라 진동이 없는 구동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공지된 인장 장치는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고 그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이런 피스톤은 내연기관의 하우징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레버 또는 인장 레일과 상호 작용한다. 인장 장치는 인장 수단에 대한 인장 레버 또는 인장 레일의 마찰식 미끄럼 접촉을 야기한다. 구성은, 인장 수단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면에, 인장 레일의 인장 장치가 할당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레일은 인장 장치와 연결되어 이완측 영역의 인장 수단에 할당된다.
예컨대 DE 36 09 579 A1은 내연기관용 견인식 구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런 견인식 구동 장치의 경우, 제어 체인으로서 형성된 인장 수단은 인장 레일을 통해 예비 인장된다. 인장 레일의 베어링 위치의 영역에서 인장 레일은 상호 간에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보어부들을 포함하며, 이들 보어부들을 통해 작동 상태에서 윤활제가 목적에 부합하게 제어 체인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장 수단 윤활은, 모든 분사 보어부들이 동시에 윤활제를 제어 체인에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윤활제의 높은 흐름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DE 36 39 389 A1로부터는 내연기관용 체인 구동 장치가 공지되었다. 이런 체인 구동 장치의 경우, 체인은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인장 장치를 통해 예비 인장된다. 이와 같은 공지된 인장 장치의 구성은 유압액으로 충전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 하우징 내부에서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힘을 인가받는 피스톤이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조립 상태에서, 피스톤은 견인식 구동 장치의 이완측에 할당되는 인장 레일에서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인장 레일에 제공되는 피스톤의 지지 영역에서, 그 인장 레일은 보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 보어부의 치수는, 분사 오일 량이 인장 레일을 통해 인장 수단의 외부 윤곽상으로 직접 유도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런 조치를 통해, 목적에 부합하게 윤활함으로써 인장 수단과 인장 레일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그러나 그런 조치는 특별한 원통형 하우징의 형성뿐 아니라 그에 상응하게 부합하는 인장 레일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발생하는 단점들을 고려하면서, 경제적인 방식으로, 인장 수단의 예비 인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내압을 갖는 인장 장치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 및 제2항의 특징부에 따라, 작동 상태에서 유압액은 스로틀로서 형성된 공급 보어부를 통해 하우징의 저장 챔버 내에 도달하고, 그런 다음 그 저장 챔버로부터 분사 노즐을 통해 유압액의 부분 량이 견인식 구동 장치에, 특히 인장 수단에 공급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를 통해, 인장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다시 말해 인장 장치를 가압하기 위한 유압액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압력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 장치의 기능은 최대한 광범위하게는 내연기관의 가압 순환식 윤활의 압력 수준과 관계없이 달성된다. 또한, 스로틀로서 공급 보어부를 그에 상응하게 구성함으로써, 유압액의 압력을 의도적으로 강하시키는 점은, 하우징의 저장 챔버 및 압력 챔버 사이에 제공되고 단방향 밸브로서 지칭되는 유압 부재의 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공급 압력을 낮게 하더라도, 유압 부재의 기능과 그에 따른 피스톤의 가압이 보장된다. 그 외에도, 유압액의 감소된 압력, 그리고 이와 동시에 달성되는 인장 수단의 예비 인장과 그에 따른 마모의 감소는 소음 수준을 바람직하게 개선한다.
유압액의 압력은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그로 인해, 특히 회전 속도 및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통상적인 인장 장치의 경우, 작동 상태에서 유압액의 압력 수준이 조정되는데, 그 압력 수준은 유압 부재의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압력보다 분명히 더욱 크다. 유압액의 높은 압력은 인장 장치의 예비 인장을 상승시키며, 이런 점은 인장 레일과 인장 수단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마모를 상승시키는 단점과도 결부된다. 그 외에도 높은 압력은 견인식 구동 장치의 소음 거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앞서 언급한 모든 부정적인 영향은 본 발명에 따라 인장 장치가 유압액의 일정한 낮은 압력을 공급받으면서 최대한 광범위하게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저장 챔버로 유도되는 유압액을 위한 공급 개구부는 스로틀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그 횡단면은, 요구되는 바람직한 압력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청구항 제1항에 따라, 인장 장치의 하우징의 벽부에는 분사 노즐로서 형성된 개구부가 직접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런 개구부를 통해서는 목적에 부합하게 유압액의 부분 량이 견인식 구동 장치의 가압을 위해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압액은 분사 노즐을 통해 체인으로서 형성된 인장 수단 상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목적에 부합하게 인장 수단의 윤활을 통해서, 예컨대 체인과 레일 사이에 최적의 마찰 값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로틀 및 분사 노즐을 구성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 부재는 요구되지 않는다. 기계적인 가공으로, 스로틀로서 형성되는 공급 개구부뿐 아니라, 분사 노즐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예컨대 하우징을 제조할 시에 경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결코 추가 구성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인장 장치의 조립 및 구조 공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본 발명은 하우징의 벽부에 직접적으로 구성되어 유압액이 저장 챔버에 도달하도록 하는 스로틀 이외에도, 분사 노즐로서 하우징의 벽부 내에 삽입되는 독립된 구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는 종속항 제3항 내지 제10항의 대상이다.
공급 개구부 및 분사 노즐의 경제적인 제조를 실현하기 위해, 보어부들이 하우징의 벽부 내에 직접적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예컨대 하우징으로부터 인장 수단의 방향으로 유압액이 최적화되어 배출되도록 보장하는 분사 노즐을 구현하기 위해 보어부들을 예컨대 경사지게 구성하는 점을 포함한다. 보어부들은 간단한 기계적 후가공에 의해 경제적으로 하우징의 벽부 내에 구성된다. 또한, 보어부를 구성하는 것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급 개구부 및 분사 노즐을 구현하기 위해 보어부와 상이한 기하 구조 형상을 포함한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독립된 분사 노즐로서, 바람직하게는 만곡되어 형성된 튜브 피스(tube piece)가 적합하다. 이 튜브 피스는 하우징의 벽부 내에 삽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조립 상황에 따라, 분사 노즐을 형성하는 튜브 피스는 목적에 부합하는 유압액 배출을 제공하기 위해 경사져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벽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튜브 피스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 노즐로서, 만곡되어 형성되는 튜브 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 튜브 피스는 그에 상응하게 배치되어, 조립 상태에서 목적에 부합하게 유압액을 인장 수단으로 편향시킨다.
튜브 피스로서 형성되는 분사 노즐의 추가의 구조 특징은 분사 노즐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유압액의 폭넓은 분사 패턴은, 튜브 피스의 보어부가 말단측에서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그런 분사 노즐로 달성된다. 이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튜브 피스의 길이 방향 보어부의 원추형 테이퍼부는 수렴 형태로 유압액 분사를 가능케 하며, 이런 유압액 분사는 더욱 긴 거리에 걸쳐 목적에 부합하게 인장 수단을 가압하게 된다.
보어부로서 형성된 분사 노즐은 하우징 벽부의 거의 모든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하우징의 고정 나사용 수납 돔부(receiving dome)가 적합하다. 이런 수납 돔부에는 보어부가 구성되고, 그 보어부를 통해 유압액의 부분 량이 목적에 부합하게 인장 수단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인장 장치의 최적의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분사 노즐의 횡단면은 공급 보어부의 횡단면보다 더욱 크게 설계된다. 이와 같은 개구부 비율로 인해, 하우징의 저장 챔버 내에 존재하는 유압액의 압력은 감소하지만, 인장 장치의 기능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도로 유지된다. 감소된 매체 압력은 인장 장치의 예비 인장을 감소시키며, 이런 점은 인장 레일의 마모에 특히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수많은 차량 생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정도로 감소된 소음 수준이 설정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조립 위치에서, 분사 노즐이 항상 공급 개구부에 비해 더욱 높은 정적 위치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인장 장치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인장 장치의 저장 챔버 및 통로로부터 유압액이 완전하게 배출되는 점은 방지된다. 그에 따라, 단방향 밸브로서 형성된 유압 부재는 지속적으로 유압액에 의해 가압되고, 그에 따라 인장 장치의 기능도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인장 장치와 함께 견인식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하우징 벽부에 직접적으로 통합된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수납 돔부의 영역에 통합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한 도2에 따른 인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분사 노즐이 독립된 구성 부재로서 튜브 피스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인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말단측이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 길이 방향 보어부를 갖는 만곡형 튜브 피스를 포함하여 형성된 분사 노즐이 제공되어 있는 인장 장치의 추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은 내연기관(2)의 견인식 구동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으로서 형성된 인장 수단(3)은 내연기관(2)의 크랭크축과 비틀리지 않게 결합되는 종동 휠(4)을 구동 휠(5)과 연동시킨다. 구동 휠(5)을 통해서는 내연기관(2)의 미도시한 캠축이 구동된다.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인장 수단(3)은 긴장측 영역의 가이드 레일(6)에서 안내된다. 또한, 인장 수단(3)은 이완측에서 선회축(8)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레일(7)과 상호 작용한다. 선회축(8)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단부에서, 인장 레일(7)에는 유압식으로 작 용하는 인장 장치(10)가 할당된다. 그 인장 장치는 고정 부재들(9, 11), 특히 나사 커플링을 통해 내연기관(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인장 장치(10)는 작동 상태에서 유압액에 의해, 특히 내연기관(2)의 가압식 순환 윤활을 위한 윤활제에 의해 가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장치(10)의 하우징(13) 내에 통합되어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12)이 인장 레일(7)에 직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인장 수단(3)의 충분한 예비 인장을 달성하기 위해, 인장 장치(10)는 작동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인장 레일(7)에 인가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 레일은 시계 방향으로 다시 말해 인장 수단(3)을 예비 인장하는 위치의 방향으로 선회된다.
도2에 따른 단면도는 인장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 인장 장치의 하우징(13) 내에는 피스톤(12)이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를 위해 피스톤(12)은, 핀 피팅부(15)로 하우징(13)의 수납부(16) 내에 회전 고정되고 위치 결정되어 압입되어 있는 실린더(14) 내에 삽입된다. 내연기관(2)의 작동 상태와 무관하게 인장 레일(7)에 대한 피스톤(12)의 마찰 결합식 접촉은 실린더(14)의 바닥부(17)와 피스톤(12)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 수단(18)으로 달성된다. 유압액을 이용하여 피스톤(12)을 가압하기 위해, 하우징(13)은 공급 개구부(19)를 구비하며, 그 공급 개구부를 통해 유압액은 내연기관(2)으로부터 저장 챔버(20) 내에 도달하게 된다. 유압액은 저장 챔버로부터 제어 보어부(21)를 통해 단방향 밸브로서 형성된 유압 부재(22)로 공급된다. 그런 후에 유압액은 압력 챔버(23)에 도달한다. 이 압력 챔버는 양측에서 실린더(14)의 바닥부(17)와 피스톤(12)에 의 해 각각 범위 한정된다. 또한, 하우징(13)의 벽부(24) 내에는, 경사져서 배치되는 개구부, 특히 보어부가 구성되는데, 이런 보어부는 분사 노즐(25a)을 형성한다.
분사 노즐(25a)의 기능은, 저장 챔버(20) 내로 유입된 유압액의 일부를 전향시키고, 그에 따라 인장 수단(3)에 작용하는 것에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 수단(3)과 인장 레일(7) 사이의 마찰은 감소될 수 있다. 이때, 벽부(24) 내에 분사 노즐(25a)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분사물 형태로 분사 노즐(25a)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액이 도1에 도시된 인장 수단(3)을 향해 목적에 부합하게 배향된다. 도2에 따라, 분사 노즐(25a)은 공급 개구부(19)와 비교하여 더욱 높은 위치에 위치 결정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저장 챔버(20)가 항상 유압액으로 충전되는 상태가 보장된다. 또한, 본원의 인장 장치(10)의 경우, 분사 노즐(25a)과 공급 개구부(19)의 횡단면들("d1" 및 "d2")이 상호 간에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개구부(19)의 횡단면("d2")과 분사 노즐(25a)의 횡단면("d1") 간의 비율이 1 미만으로 설정되는 방식(비율 < 1)으로 상기 구성 부재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이 의도적으로 더욱 크게 형성되어 있는 횡단면 비율은, 저장 챔버(20)의 내부에 있는 유압액의 압력 수준이 원하는 정도의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도3 내지 도5는 도2에 따른 인장 장치(10)와 각각 결부되어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현된 분사 노즐들(25b 내지 25d)을 도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음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도2와 비교하여 상이한 구조 특징에만 국한된다.
도3은 하우징(13)의 수납 돔부(26a)에 구성된 분사 노즐(25b)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3)은 고정 부재들(9, 11), 특히 나사 커플링을 위한 2개의 수납 돔부(26a, 26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들은 각각 유격이 존재하는 상태로 수납 돔부(26)의 보어부들(27) 내로 삽입된다. 인장 장치(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유압액은 저장 챔버(20)로부터 관통 보어부(28)를 통해 수납 돔부(26)의 보어부(27) 내에 도달한다. 고정 부재(9)와 수납 보어부(27)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갭(29)을 통해 분사 노즐(25b)이 가압된다.
도4는 하우징(13)의 벽부(24) 내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튜브 피스로서 형성되는 분사 노즐(25c)을 도시하고 있다. 튜브 피스를 통해서는, 인장 수단(3)용으로 결정된 유압액이, 목적에 부합하게 인장 수단(3)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출되기 전에 더욱 긴 거리에 걸쳐 안내된다.
도5에 따른 분사 노즐(25d)은, 예컨대 분사 노즐(25d)로부터 유압액이 목적에 부합하게 배출되는 점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말단측이 만곡된다. 예컨대 분사 노즐(25d)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액의 배출구와 인장 수단(3) 사이의 더욱 긴 거리를 중개하기 위한 조치로서, 분사 노즐(25d)은 원추형 테이퍼부(30)를 구비하며, 그럼으로써 수렴 형태의 유압액 배출이 설정된다. 원추형 테이퍼부(30)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분사 노즐로서 마찬가지로 원추형 확대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런 확대부로 유압액의 폭넓은 배출이 달성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견인식 구동 장치(traction mechanism drive)
2: 내연기관
3: 인장 수단
4: 종동 휠
5: 구동 휠
6: 가이드 레일
7: 인장 레일
8: 선회축
9: 고정 부재
10: 인장 장치
11: 고정 부재
12: 피스톤
13: 하우징
14: 실린더
15: 핀 피팅부(pinned fitting)
16: 수납부
17: 바닥부
18: 스프링 수단
19: 공급 개구부
20: 저장 챔버
21: 제어 보어부
22: 유압 부재
23: 압력 챔버
24: 벽부
25a: 분사 노즐
25b: 분사 노즐
25c: 분사 노즐
25d: 분사 노즐
26: 수납 돔부
27: 보어부
28: 관통 보어부(piercing bore)
29: 환상 갭
30: 테이퍼부
d1: 횡단면
d2: 횡단면

Claims (10)

  1. 내연기관의 견인식 구동 장치의 인장 수단 중 특히 체인으로 형성되는 인장 수단을 위한 유압식 인장 장치이며, 상기 인장 장치는 내연기관에 위치 고정되게 장착되고 실린더(14)를 형성하는 하우징(13)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 내에서는 스프링 수단(18)과 유압액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피스톤(12)이 안내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인장 수단(3)에서 안내되는 인장 레일(7)과 직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상기 유압액은 공급 개구부(19)를 통해 상기 하우징(13) 내로 유입되며, 그런 다음 상기 유압액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3)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인장 수단(3)에 공급되는 상기 유압식 인장 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유압액은 스로틀로서 형성된 공급 개구부(19)에 의해 상기 하우징(13)의 저장 챔버(20) 내에 도달하며, 상기 유압액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3)의 벽부(24)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분사 노즐(25a, 25b)을 통해 상기 견인식 구동 장치(1)에, 또는 상기 인장 수단(3)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인장 장치.
  2.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내연기관의 견인식 구동 장치의 인장 수단 중 특히 체인으로 형성되는 인장 수단을 위한 유압식 인장 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에서, 유압액은 스로틀로서 형성된 공급 개구부(19)에 의해 상기 하우징(13)의 저장 챔버(20) 내에 도달하며, 상기 유압액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3)에 별도로 삽입된 구성 부재로서 형성되는 분사 노즐(25c, 25d)을 통해 상기 견인식 구동 장치(1)에, 또는 인장 수단(3)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인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부(19) 및 상기 분사 노즐(25a, 25b)을 형성하기 위해, 보어부들이 상기 하우징(13)의 벽부(24) 내에 직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압식 인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25c, 25d)로서 상기 하우징(13) 내에 삽입되는 튜브 피스가 구비되는 유압식 인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만곡형 튜브 피스가 구비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분사 노즐(25d)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액이 목적에 부합하게 상기 인장 수단(3)을 가압하는 유압식 인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피스(25d)의 길이방향 보어부는 말단측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유압식 인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25d)이 말단측에 원추형 테이퍼부(30)를 갖는 길이방향 보어부를 포함하는 유압식 인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을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고정 부재(9a)를 위한 나사 수납 돔부(26)의 영역에 분사 노즐(25d)이 배치되는 유압식 인장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25a 내지 25d)의 횡단면("d1")이 공급 개구부(19)의 횡단면("d2")을 초과하는 유압식 인장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25a 내지 25d)이 공급 개구부(19)와 비교하여 정적으로 더욱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조립 위치가 제공된 유압식 인장 장치.
KR1020087004244A 2005-08-23 2006-07-27 인장 장치 KR20080036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9740A DE102005039740A1 (de) 2005-08-23 2005-08-23 Spannsystem
DE102005039740.9 2005-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614A true KR20080036614A (ko) 2008-04-28

Family

ID=3710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244A KR20080036614A (ko) 2005-08-23 2006-07-27 인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48906A1 (ko)
EP (1) EP1920170A1 (ko)
KR (1) KR20080036614A (ko)
CN (1) CN101248295A (ko)
DE (1) DE102005039740A1 (ko)
WO (1) WO2007022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5259B1 (de) 2010-06-11 2012-11-07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Rastspange
DE102010049900A1 (de) * 2010-10-28 2012-05-0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einrichtung mit zylindrischem Rastsystem
DE102011008749A1 (de) 2011-01-17 2012-07-19 Daimler Ag Spannvorrichtung für ein Zugmittel eines Zugmittelbetrieb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1002761B4 (de) 2011-01-17 2020-0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ugmittelspannvorrichtung mit Sicherungselement sowie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einer solchen Zugmittelspannvorrichtung
DE102011104420A1 (de) * 2011-06-16 2012-12-20 Daimler Ag Kettenspannvorrichtung zur An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JP6448983B2 (ja) * 2014-10-29 2019-01-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KR20170102890A (ko) * 2014-12-29 2017-09-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캔틸레버 시핑 스프링을 구비한 유압 텐셔너
US10557529B2 (en) * 2015-09-15 2020-02-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ction mechanism tensioning unit for a traction mechanism
CN108431455B (zh) * 2015-10-06 2021-10-1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链传动装置的液压的张紧设备
JP7041349B2 (ja) * 2018-05-28 2022-03-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EP4162174A4 (en) * 2020-06-09 2024-04-03 Antony Ashlyn DEVICE FOR ELIMINATING PLAY AND VIBRATIONS IN THE CHAIN OF A CHAIN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8472A1 (de) * 1970-02-24 1971-09-09 Daimler Benz Ag Hydraulischer Kettenspanner
DE2525352C3 (de) * 1975-06-06 1978-05-11 Joh. Winklhofer & Soehne, 8000 Muenchen Hydraulischer Kettenspanner
DE3145115C2 (de) * 1981-11-13 1983-12-08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Hydraulischer Kettenspanner"
DE3217632A1 (de) * 1982-05-11 1983-11-17 Porsche Ag Hydraulischer kettenspanner
DE3609579A1 (de) 1986-03-21 1987-10-01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schmierung einer steuerkette an einer brennkraftmaschine
DE3639389A1 (de) * 1986-11-18 1988-05-19 Winkelhofer & Soehne Joh Kettenspann- und -schmiervorrichtung
US4826470A (en) * 1988-07-01 1989-05-02 Eaton Corporation Fluid operated chain or belt tensioning device
JP2512690Y2 (ja) * 1991-10-23 1996-10-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ザ―バ内蔵のオイル作動式テンショナ
JP3074884B2 (ja) * 1991-12-18 2000-08-07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H06146839A (ja) * 1992-11-04 1994-05-27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潤滑装置
EP0756108A3 (en) * 1995-07-24 1998-08-26 Ford Motor Company Limited Hydraulic chain tensioner for automotive engine
JP2895786B2 (ja) * 1995-11-10 1999-05-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チェーンのテンショナ装置
US5647811A (en) * 1996-01-18 1997-07-15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 tensioner with integral arm
DE10021220A1 (de) * 2000-04-29 2001-10-31 Porsche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Kettentrieb
DE102004043727A1 (de) * 2004-09-10 2006-03-16 Ina-Schaeffler Kg Hydraulischer Kettenspanner mit verringertem Kolbend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8295A (zh) 2008-08-20
EP1920170A1 (de) 2008-05-14
DE102005039740A1 (de) 2007-03-01
WO2007022846A1 (de) 2007-03-01
US20080248906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6614A (ko) 인장 장치
TW565664B (en) Hydraulic tensioner lifter
US7350484B2 (en) Controlled leakage valve for piston cooling nozzle
KR101118346B1 (ko) 엔진의 연료 분사 장치용 고압 펌프
US20080064546A1 (en)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Reduced Piston Pressure
US5370584A (en) Piston design for removing air from a hydraulic tensioner
US6086497A (en) Hydraulic tensioner having a plunger with a self-contained reservoir and high pressure chamber for buffering
US7186195B2 (en) Chain-tensioner with mechanical locking
US20080173275A1 (en) Engine
KR20160147812A (ko) 오일 제트 아암 및 오일 제트 아암을 이용한 체인 스팬 윤활 방법, 체인 장력 조정 장치 및 체인 장력 조정 장치를 이용한 체인 스팬 윤활 방법
KR101300337B1 (ko) 견인식 구동장치용 가이드 유닛
KR101208877B1 (ko) 통합된 분무 노즐을 갖는 인장 시스템의 하우징
EP0343136B1 (en) Tensioning arrangement for a power-transmitting element incorporated in a transmission
CN113374841A (zh) 链条导件
US20050059517A1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EP2107271B1 (en) Chain tensioner
JP4786364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8021254B2 (en) Variable leakdown chain drive tensioner
CN100404805C (zh) 中央润滑装置
WO2008071706A1 (de) Spritzdüse für einen kettentrieb
JP2004137999A (ja) 動弁機構の潤滑装置
JP2018503029A (ja) 外流型チャンネル
JP5189533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537629B2 (ja) 内燃機関の潤滑油通路構造
JP4976252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