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212B1 -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 Google Patents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212B1
KR101090212B1 KR1020080114814A KR20080114814A KR101090212B1 KR 101090212 B1 KR101090212 B1 KR 101090212B1 KR 1020080114814 A KR1020080114814 A KR 1020080114814A KR 20080114814 A KR20080114814 A KR 20080114814A KR 101090212 B1 KR101090212 B1 KR 10109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ire
positive
negative
i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700A (ko
Inventor
코이치 야스오카
요우헤이 미야타
노부히로 후지와라
사토시 스즈키
토시오 사토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이오나이저(ionizer)가, 원형 단면의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을 갖고, 이들 와이어 전극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당해 와이어 전극의 원주면에 의해 방전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에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高)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방전면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기게 하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을 방출한다.
와이어 전극, 코로나 방전, 이오나이저, 도전성 와이어, 오존 농도.

Description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WIRE ELECTRODE TYPE IONIZER}
본 발명은, 정전기로 대전(帶電,charge)된 각종 워크(work;가공물) 등의 제전(除電,static elimination))을 행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ionizer)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침전극(needle electrode)에 고(高)전압을 인가하여, 침전극 선단(先端)에 전계를 집중시켜 이온을 발생시키고 있지만, 침전극은 그 선단에 있어서의 전계의 집중이 현저하기 때문에, 당해 전극의 선단이 열화되기 쉬어, 장시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전극은 이온 생성 영역이 좁기 때문에, 이온 발생량이 적어, 이온 발생량을 늘리기 위해 전압을 높이면, 이온 발생량도 늘지만 침전극 선단의 전계가 너무 강해져,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오존의 발생을 조장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침전극의 문제점에 대처하여, 도전성의 와이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그 주면에서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한 이오나이저는, 특허 문헌 1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이오나이저는, 와이어를 전극으로서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지만, 1 개의 와이어에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이온을 교대로 발생시키는 AC 방식의 이오나이저이다. 그런데, 이 이오나이저와 같이 동일 전극을 이용하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경우, 마이너스 이온은, 플러스 이온보다도 낮은 전압에서 같은 농도의 이온이 발생하고, 그 때문에 1개의 와이어 전극에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같은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면,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이온의 생성량에 차이가 생겨, 생성하는 이온의 밸런스가 무너지게 된다. 이 이온의 생성량을 조정하여 이온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전압 발생 회로에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압을 조정하는 등의 조정 수단을 부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조정에 있어서 플러스 이온의 발생량을 늘리기 위해 플러스의 전압을 높였다고 하면, 플러스 이온의 발생량은 늘지만 그 전압으로 전극 주위의 전계가 너무 강해지는 것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89282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극 구조의 개선에 의해 이온의 발생량을 많게 하고, 게다가 전극에 대한 인가 전압을 높인 결과 오존의 발생을 조장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생기게 하는 일 없이,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전 전극에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생기게 하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DC 방식 또는 펄스 DC 방식의 이오나이저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이, 원형 단면의 와이어로 형성된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을 갖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의 원주면이 코로나 방전을 위한 방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을 상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보다 굵게 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을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의 대략 2배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내면,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50㎛,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전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 어떤 전극 지름에 대해서도, ±10㎛ 정도의 지 름의 변동은 거의 영향이 없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구성 형태로서는, 이오나이저의 하우징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극 카트리지가 부착됨과 아울러, 각 전극 카트리지에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전극 지지 부재가 부착되고, 당해 전극 지지 부재에,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이,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전극 지지 부재는 중공부(中空部)를 갖고 있고, 이 중공부를 횡단하도록 2개의 상기 와이어가 당해 전극 지지 부재에 부착되고, 이들의 와이어의 상기 중공부를 횡단하는 부분에 의해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전극 카트리지가 전면(前面)에 오목 형상의 전극 수용부를 가짐과 아울러, 당해 전극 수용부의 안쪽 바닥에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 도통하는 한쌍의 통전(通電) 금속 부재를 갖고 있고, 당해 전극 수용부 내에 상기 전극 지지 부재가,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을 당해 전극 수용부의 전면 개구측을 향한 상태로 수용되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한쌍의 통전 금속 부재를 통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인가하는 고전압을, 인가 전압을 높이면 급격하게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 임계적 인가 전압 이하에서 대전 시간이 짧은 범위 내로 설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오존에 의한 와이어 전극의 소모를 억제하여, 그 메인트넌스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대하여 펄스 DC 방식의 고전압, 즉, 플러스의 펄스 형상 고전압과 마이너스의 펄스 형상 고전압이 교대로 인가되고, 혹은, DC 방식의 고전압, 즉,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각각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이들 양(兩) 와이어 전극의 주위에 이온 생성 영역이 형성되어 이온이 발생, 방출된다. 이때, 양 와이어 전극의 지름이 동일하면, 마이너스 이온이 플러스 이온보다도 많이 발생하지만,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보다도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전극 지름을 굵게 해 두는 것 등에 의해, 이온의 생성량이 조정되어, 이온 밸런스가 개선된다.
이상에 상술한 본 발명의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에 의하면, 와이어 전극을 이용한다는 전극 구조의 개선에 의해 이온의 발생량을 많게 하고, 게다가 전극에 대한 인가 전압을 높여 오존의 발생을 조장하거나 하는 일 없이,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존의 발생량을 억제하여, 와이어 전극의 메인트넌스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의 전체적 구성의 개요를 블록도에 의해 나타낸 것이며, 도2∼도4 는 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는, 직류식으로, 하우징(1) 내에, 제어 장치에 의해 전압이 제어되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 발생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A, 3B)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전극(3)을 구비하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3A, 3B)에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생기게 하고, 그에 따라 이들 양 와이어 전극(3A, 3B)으로부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오나이저는, 도2 및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로 가늘고 긴 중공(中空)의 하우징(1)을 갖고, 이 하우징(1)의 하면의 긴 방향을 따라, 상기 방전 전극(3)을 갖는 복수의 전극 카트리지(2)가 등(等)간격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당해 전극 카트리지(2)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3 및 도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그 전면(하면)에는,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오목 형상의 전극 수용부(2a)를 갖고, 당해 전극 수용부(2a) 내에, 한쌍의 상기 와이어 전극(3A, 3B)을 지지하는 전극 지지 부재(5)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전극 지지 부재(5)는, 절연재로 대략 타원형상을 한 가늘고 긴 컵형(形)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대략 타원형의 오목 형상을 한 중공부(5a)를 갖고 있다. 이 전극 지지 부재(5)의 외주에는, 그것을 짧은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2개의 도전성의 와이어(3a)가, 상호간에 필요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감겨져, 이들의 와이어(3a)의 상기 중공부(5a)를 횡단하는 부분에 의해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상기 와이어 전극(3A, 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극 지지 부재(5)가, 상 기 전극 카트리지(2)의 전극 수용부(2a)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 전극(3A, 3B)을 당해 전극 수용부(2a)의 전면 개구측을 향한 자세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전극(3A, 3B)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임과 함께, 전극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굵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전극 지지 부재(5)의 선단의 개구 부분에, 전극의 원주면이 방전면이 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 형상의 상기 방전면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기게 함으로써, 이 방전면으로부터 당해 와이어 전극(3A, 3B)의 주위에 이온을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부(5a)는, 그 주위를 측벽으로 완전하게 둘러싸여져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당해 중공부(5a)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 또는 양단(兩端)은 개방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한쌍의 와이어 전극(3A, 3B)은, 각각 전극 카트리지(2)의 안쪽 바닥에 형성한 한쌍의 통전 금속 부재(6)를 통하여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 발생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극용 와이어(3a)로서는, 표면에 금(金) 도금을 행한 텅스텐제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전극용 와이어(3a)를 상기 전극 지지 부재(5)에 감는 경우, 당해 전극 지지 부재(5)의 외주에 당해 와이어가 끼워 맞춰지는 폭 및 깊이의 홈(5b)을 형성해 두어, 이 홈(5b) 내에 이 와이어(3a)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감아도 좋다.
또한, 상기 전극 카트리지(2)에는, 상기 전극 수용부(2a)의 안쪽 바닥벽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노즐 부착공(7)이 형성되고, 이 노즐 부착공(7)에, 하우징(1) 내의 도시하지 않은 에어 유로를 통하여 공기압원에 접속된 에어 노즐(8)이, 에어 취출구(吹出口;8a)를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3A)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B)과의 중간을 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3A)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B)은, 이 에어 취출구(8a)를 통하여 서로 대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노즐(8)은, 그 에어 취출구(8a)를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3A)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B)과의 중간을 향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위치 혹은 방향으로 개구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 아니며, 더욱 최적한 위치가 있으면 거기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A, 3B)은, 각각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 발생부에 접속되어, 펄스 DC 방식 또는 DC 방식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위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각각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이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펄스 DC 방식의 경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에 고전압 발생부로부터의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는, 마이너스의 전극측은 접지하고,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고전압 발생부로부터의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는, 플러스의 전극측은 접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방전 전극(3)에 있어서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와이어 전극(3A, 3B)으로서 동일 굵기의 것을 이용하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동 전압을 인가하면, 특허 문헌 1과의 관련에 있어서 전술한 바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 이온의 생성량이 플러스 이온의 그것보다도 많아지고, 그 때문에, 플러스 와 마이너스 이온의 생성량에 차이가 생겨 이온 밸런스가 무너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방전 전극(3)에 있어서는,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와이어 전극(3A)보다도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와이어 전극(3B)의 전극 지름을 굵게 하고 있다.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와이어 전극으로서 동일 굵기의 것을 이용하고, 그들에 같은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마이너스 이온의 생성량이 플러스 이온의 생성량보다도 많아지는 것은, 본 발명자들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험예에 의해 확인하고 있다.
도5 는,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지름이 100㎛의 와이어를 이용했을 때의 대전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대전 시간이란, 150mm×150mm의 차지 플레이트(charge plate)를, 0V 내지 1000V로 대전시키는데에 요하는 시간으로, 대전 시간이 짧은 것일수록 이온 생성량이 많다고 말할 수 있다. 동(同) 도에 의하면, 인가 전압이 8kV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는,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대전 시간이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한 경우보다도 짧아, 마이너스의 이온의 생성량이 많은 것이 분명하다.
또한, 도6 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지름이 100㎛의 와이어를 이용했을 때의 오존 농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5 로부터, 인가 전압이 8kV를 넘으면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이온 생성량이 동일해지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도6 으로부터, 동 인가 전압을 넘으면 발생하는 오존 농도가 급격하게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와이어 전극을 사용하는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오존 농도가 증가하는 임계적 인가 전압 이 하에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이온 생성량을 조정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7 및 도8 로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을 다르게 한 경우의 이온 생성량 및 오존 발생량에 주는 영향에 대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이들의 실험예에서는,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에 지름이 50㎛의 와이어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지름이 100㎛의 와이어를 사용했다.
도7 및 도8 로부터, 인가 전압이 6.5kV∼7kV의 사이에, 이온의 생성이 많고, 그리고 오존의 발생이 적은 영역이 있고, 이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전극을 사용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을 다르게 한 경우에도, 인가 전압을 높이면 급격하게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임계적 인가 전압이 있고, 한편, 그 전압 이하에서 대전 시간이 짧고, 이온 생성량이 많은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범위가 이오나이저의 사용에 적절한 인가 전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예에 있어서는,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와이어의 지름을 50㎛로 하고,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와이어의 지름을 100㎛로 하여, 오존 발생량을 억제하면서 이온 생성량의 증가를 도모하고, 게다가, 발생하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을 시도했지만, 그 실험 결과에 의하면,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지름을 모두 100㎛로 한 경우에 비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대전 시간의 차이가 작아지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전극 지름의 차이는, 이 온 밸런스의 개선을 위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상기 전극 지름의 차이는, 인가 전압과의 관계에서 최적한 지름 차이에 변동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이오나이저의 설계에 있어서는 각종 설계, 가동 조건을 감안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에 대하여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을 2배 정도, 구체적으로는 1.5∼3배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와이어의 지름 차이를 어느 정도 적절한 범위로 설정한 후에, 미소 범위 내에서,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인가 전압을 조정하고, 혹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압의 인가 시간에 차이를 갖게 하는 등의 조정 수단을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에 있어서는,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A, 3B)에 대하여, 플러스의 펄스 형상 고전압과 마이너스의 펄스 형상 고전압이 교대로 인가되고, 혹은,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A, 3B)에 각각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이들 양 와이어 전극의 주위에 이온 생성 영역이 형성되어 이온이 발생, 방출된다. 이때, 양 와이어 전극(3A, 3B)의 지름이 동일하면, 마이너스 이온이 플러스 이온보다도 많이 발생하지만, 플러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보다도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전극 지름을 굵게 해 두는 것 등에 의해, 이온의 생성량이 조정되어, 상기 실험예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밸런스가 개선된다.
또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3A, 3B)에 인가하는 고전압을, 인가 전압을 높이면 급격하게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 임계적 인가 전압 이하에서 대전 시간이 짧은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오존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 에, 오존에 의한 와이어 전극의 소모를 억제하여, 그 메인트넌스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의 전체적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3 은 동(同)부분 저면(底面)도이다.
도4 는 상기 이오나이저에 있어서의 전극 카트리지의 와이어 전극 부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5 는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같은 지름의 와이어를 이용했을 때의 인가 전압과 대전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 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같은 지름의 와이어를 이용했을 때의 인가 전압과 발생한 오존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 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있어서의 와이어를 바꾼 경우의 인가 전압과 대전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 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있어서의 와이어를 바꾼 경우의 인가 전극과 발생한 오존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8)

  1. 방전 전극에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고(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생기게 하여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DC 방식 또는 펄스 DC 방식의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ionizer)로서,
    상기 방전 전극이, 원형 단면의 와이어로 형성된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과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을 갖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의 원주면이 코로나 방전을 위한 방전면이며, 상기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상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보다 굵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상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50㎛이며, 상기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의 전극 지름이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나이저의 하우징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극 카트리지가 부착됨과 아울러, 각 전극 카트리지에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전극 지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전극 지지 부재에,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이,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지지 부재가 중공부(中空部)를 갖고 있고, 이 중공부를 횡단하도록 2개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전극 지지 부재에 부착되고, 이들의 와이어의 상기 중공부를 횡단하는 부분에 의해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카트리지가 전면(前面)에 오목 형상의 전극 수용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전극 수용부의 안쪽 바닥에 고전압 발생부로 도통하는 한쌍의 통전(通電) 금속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전극 수용부 내에 상기 전극 지지 부재가,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을 상기 전극 수용부의 전면 개구측을 향한 상태로 수용되고, 이들의 와이어 전극이 상기 한쌍의 통전 금속 부재를 통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스 및 마이너스의 와이어 전극에 인가하는 고전압이, 인가 전압을 높이면 급격하게 오존 발생량이 많아지는 임계적 인가 전압 이하에서 대전(charge) 시간이 짧은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KR1020080114814A 2007-11-22 2008-11-18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KR101090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2843 2007-11-22
JP2007302843A JP5097514B2 (ja) 2007-11-22 2007-11-22 ワイヤ電極式イオナイ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00A KR20090053700A (ko) 2009-05-27
KR101090212B1 true KR101090212B1 (ko) 2011-12-06

Family

ID=4058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814A KR101090212B1 (ko) 2007-11-22 2008-11-18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4814B2 (ko)
JP (1) JP5097514B2 (ko)
KR (1) KR101090212B1 (ko)
CN (1) CN101442870B (ko)
DE (1) DE102008057422B4 (ko)
TW (1) TWI386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608B2 (ja) * 2005-12-05 2011-04-27 Smc株式会社 電極脱落防止装置付きイオナイザ
US8773837B2 (en) 2007-03-17 2014-07-08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 pulse linear ionizer
US8885317B2 (en) 2011-02-08 2014-11-11 Illinois Tool Works Inc. Micropulse bipolar corona ionizer and method
US20090316325A1 (en) * 2008-06-18 2009-12-24 Mks Instruments Silicon emitters for ionizers with high frequency waveforms
US9380689B2 (en) 2008-06-18 2016-06-28 Illinois Tool Works Inc. Silicon based charge neutralization systems
DE102009021631B3 (de) * 2009-05-16 2010-12-02 Gip Messinstrumen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bipolaren Ionenatmosphäre mittels elektrischer Sperrschichtentladung
CN101969736A (zh) * 2010-11-03 2011-02-09 北京聚星创源科技有限公司 离子发生系统及控制离子平衡度的方法
CN102026465B (zh) * 2010-12-22 2013-06-19 苏州天华超净科技股份有限公司 离子风机发射针架
US8492733B1 (en) 2012-01-06 2013-07-23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sectional linear ionizing bar and ionization cell
US9918374B2 (en) 2012-02-06 2018-03-13 Illinois Tool Works Inc. Control system of a balanced micro-pulsed ionizer blower
USD743017S1 (en) 2012-02-06 2015-11-10 Illinois Tool Works Inc. Linear ionizing bar
US9125284B2 (en) 2012-02-06 2015-09-01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ally balanced micro-pulsed ionizing blower
US10165662B2 (en) 2013-11-20 2018-12-25 Koganei Corporation Ion generator
US9167676B2 (en) 2014-02-28 2015-10-20 Illinois Toolworks Inc. Linear ionizing bar with configurable nozzles
US9661725B2 (en) 2014-05-20 2017-05-23 Illinois Tool Works Inc. Wire electrode cleaning in ionizing blowers
KR20180044346A (ko) 2015-08-21 2018-05-02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눈꺼풀 형상 추정
KR20230150397A (ko) 2015-08-21 2023-10-3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눈 포즈 측정을 사용한 눈꺼풀 형상 추정
CN108369653B (zh) 2015-10-16 2021-12-14 奇跃公司 使用眼睛特征的眼睛姿态识别
US9859090B2 (en) 2015-12-10 2018-01-02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eaning linear ionizing bar and methods therefor
CN105655228B (zh) * 2015-12-31 2017-07-28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晕放电组件、离子迁移谱仪和电晕放电方法
CN106654867B (zh) * 2016-10-26 2018-0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离子净化器的离子发生极及离子净化器
KR102382561B1 (ko) * 2020-02-21 2022-04-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온 발생기의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722A1 (en) * 2004-06-03 2005-12-08 Gorczyca John 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uniformity and charge decay time performance of an air ionizer blow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547A (en) 1969-01-27 1971-04-06 Augion Unipolar Corp Method of aerodynamically ejecting ions
DE2849222A1 (de) 1978-11-13 1980-05-22 Hoechst Ag Verfahren zum elektrostatischen aufladen einer dielektrischen schicht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253852A (en) * 1979-11-08 1981-03-03 Tau Systems Air purifier and ionizer
DE3501356A1 (de) 1984-02-13 1985-08-14 Biomed-Electronic GmbH & Co Medizinischer Gerätebau KG, 2150 Buxtehude Ionisationskammer fuer die ionisation von gasfoermigem sauerstoff
US5008594A (en) * 1989-02-16 1991-04-16 Chapman Corporation Self-balancing circuit for convection air ionizers
JP3002581B2 (ja) 1991-10-22 2000-01-24 シシド静電気株式会社 除電装置
CN1083745A (zh) * 1993-05-26 1994-03-16 肖茂如 电极位移式脉冲电晕发生器
US5613172A (en) 1995-08-25 1997-03-18 Xerox Corporation Hybrid DC recharge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 recharge imaging
JPH10189282A (ja) 1996-12-26 1998-07-21 Himu Electro Kk 除電器
JPH10255954A (ja) * 1997-03-11 1998-09-25 Aibitsuku Kogyo Kk 直流型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塗膜形成法
US5930105A (en) * 1997-11-10 1999-07-27 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ionization
KR100262892B1 (ko) 1998-06-08 2000-08-01 윤영석 핀부착 방전극과 전극봉이 장착된 플라즈마 탈황탈질 반응기
JP2001203093A (ja) * 2000-01-17 2001-07-27 Haiden Kenkyusho:Kk 除電方法及び除電装置
US6635106B2 (en) * 2000-03-03 2003-10-21 Matsushita Seiko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0489557B1 (ko) 2002-05-14 2005-05-12 노승우 대전물체의 제전방법 및 그의 제전장치
TWI313054B (en) * 2003-07-22 2009-08-01 Trinc Or Static eliminator
US7724492B2 (en) * 2003-09-05 2010-05-25 Tessera, Inc. Emitter electrode having a strip shape
JP3750817B2 (ja) * 2004-05-26 2006-03-01 ヒューグル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除電装置
US7333317B2 (en) * 2005-08-25 2008-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ionizer
TWI335776B (en) * 2005-10-13 2011-01-01 Mks Instr Inc Air assist for ac ionizers
US20070103842A1 (en) 2005-11-03 2007-05-10 Mks Instruments, Inc. AC Ionizer with Enhanced Ion Balance
JP4910207B2 (ja) * 2005-11-25 2012-04-04 Smc株式会社 イオン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の除電方法
JP4677609B2 (ja) 2005-12-05 2011-04-27 Smc株式会社 部品増設装置付きイオナイザ
US7697259B2 (en) * 2005-12-05 2010-04-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with electrostatic charge elimina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0722A1 (en) * 2004-06-03 2005-12-08 Gorczyca John 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uniformity and charge decay time performance of an air ionizer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2870B (zh) 2013-06-19
TW200934306A (en) 2009-08-01
DE102008057422B4 (de) 2018-09-06
KR20090053700A (ko) 2009-05-27
DE102008057422A1 (de) 2009-06-04
US8174814B2 (en) 2012-05-08
TWI386110B (zh) 2013-02-11
JP5097514B2 (ja) 2012-12-12
CN101442870A (zh) 2009-05-27
JP2009129672A (ja) 2009-06-11
US20090135537A1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12B1 (ko) 와이어 전극식 이오나이저
US7031133B2 (en) Aerosol charge altering device
Pongrác et al. Influence of water conductivity on particular electrospray modes with dc corona discharge—optical visualization approach
KR101104101B1 (ko) 교류식 이오나이저용 방전 유닛
TWM513445U (zh) 無源複合強電離放電等離子拒雷裝置
KR20080033474A (ko) 정전분리방법 및 정전분리장치
EP2809468A1 (en) Spark ablation device
KR100701400B1 (ko) 오일 미스트 제거를 위한 저온플라즈마 예비 하전 장치
KR20090107548A (ko) 정전기 가스 펌프용 윤곽을 갖는 전극
JP2016049466A (ja) 湿式電気集塵装置
KR102046247B1 (ko) 트리거 스파크 갭을 적용한 전자기력 가속장치
KR20160134008A (ko)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장치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CN214544891U (zh) 一种低温等离子体电极结构及灭菌装置和空气净化装置
CN111952824B (zh) 一种强电晕预电离装置
KR20140032650A (ko) 바형 이오나이저 및 그 제전 방법
KR20160133160A (ko) 에어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방전 전극 소켓
Chua et al. A unipolar corona discharge microfabricated ionizer structure for gases at atmospheric pressure and composition
JP3507897B2 (ja) 大気圧グロー放電発生器及び除電器
KR102549253B1 (ko) 실리콘 기반 전하 중화 시스템
JPH09262498A (ja) 空気清浄機における放電極構造
KR101021497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표면 개질장치
JP2997835B2 (ja) 気体噴出機構を備えたイオン化除電装置
KR101399457B1 (ko)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CN205308583U (zh) 一种带自动清洁功能的荷电装置
JP5650768B2 (ja) イオン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14

Effective date: 201106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