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805B1 - 경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805B1
KR101086805B1 KR1020100069355A KR20100069355A KR101086805B1 KR 101086805 B1 KR101086805 B1 KR 101086805B1 KR 1020100069355 A KR1020100069355 A KR 1020100069355A KR 20100069355 A KR20100069355 A KR 20100069355A KR 101086805 B1 KR101086805 B1 KR 10108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curing
coin
disk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356A (ko
Inventor
마사토 아오키
테쓰야 야노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선별 유닛에 있어서의 경화 반송의 확실성을 향상시켜 경화의 선별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경화 처리장치가,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 하우징(2) 내부에 배치된 공급 회전 원반(3) 위에 투입된 경화 C를 1매마다 분리해서 공급하는 분리 게이트(8)를 갖는 공급 유닛(1)과, 수평으로 배치된 선별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 가장자리부에 칸막이설치부(17)로 구획된 복수의 경화 수용부(16)가 형성된 반송 디스크(13)와, 경화 수용부(16)에 반입되는 경화 C를 통과시키는 반입구(18)를 갖는 선별 유닛(11)과, 공급 유닛(1)의 분리 게이트(8)와, 선별 유닛(11)의 반입구(18)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경화 통로(26)와, 경화 통로(26)의, 반입구(18)의 경화의 반입 방향 A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반입되는 경화 C를 끼워 지지해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키는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27)을 구비하고, 반송 디스크(13)를 간헐 구동하고,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를 반입구(18)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켰을 때에, 반송 로울러 쌍(27)을 회전시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킨 경화 C를 경화 수용부(16)에 반입한다.

Description

경화 처리장치{COIN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원반 위에 투입된 경화를 1매마다 공급하는 공급 유닛과, 공급된 경화를 받아들여, 그 경화를 선별하는 선별 유닛을 경화 통로로 연결한 경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화 처리장치는, 경화를 1매마다 공급하는 방출구를 갖는 공급 유닛과,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화를, 경사시킨 회전 반송 원반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설치한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 복수의 선별 구멍과 배출 구멍을 설치한 고정 원반 사이에 끼워 지지해서 반송하는 선별 유닛과, 공급 유닛의 방출구와 선별 유닛의 도입구 사이를 접속하는 경사지게 한 경화 통로를 구비하고, 방출구으로부터 공급된 경화를 경화 통로의 경사를 이용해서 그것의 자중으로 선별 유닛의 도입구에 반송하고, 탄성부재와 고정 원반 사이에 끼워 지지한 경화를 고정 원반의 윗면을 접동시키면서 반송하고, 이미지 센서나 반사형의 자기 센서 등의 식별 센서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경화를 배출 구멍 또는 선별 구멍으로부터 낙하시켜 선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단순한 구멍으로 형성된 위조화 통과 구멍과, 개폐하는 덮개를 설치한 정상화 통과 구멍을 갖는 경사지게 한 하우징 내에, 외주에 복수의 U자 형상으로 절결된 경화 수용부를 설치한 금속제의 회전 원반을 배치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투입된 복수의 경화를 경화 수용부에서 1매마다 퍼올려 경화 판별수단으로 반송하고, 경화 판별수단에서 경화의 진위를 판별하여, 진성 경화는, 통상 열린 상태가 되어 있는 정상화 통과 구멍으로 반송해서 낙하시키고, 위조 경화는, 정상화 통과 구멍을 닫은 후에 덮개 위를 통과시켜 위조화 통과 구멍으로 반송하고, 위조화 통과 구멍으로부터 낙하시켜 선별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국제공개 제 2007/043113호 팜플렛(단락 0020-단락 0024, 0045, 0063-0064, 도 3, 도 6) 일본국 특개평 8-229513호 공보(단락 0006-단락 0007, 도 1)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의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선별 유닛에 있어서, 회전 반송 원반의 외주부에 설치한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 고정 원반과의 사이에 끼워 지지한 경화를 고정 원반의 윗면에 접동시켜 반송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와 고정 원반과의 접동에 의한 경화 가루가 탄성부재에 부착되어 탄성부재에 의한 마찰력을 저하시켜, 경화의 반송에 있어서의 확실성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경화의 처리 효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하부에 투입된 복수의 경화를 경화 수용부에서 1매마다 퍼올려서 반송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하는 경화 수용부의 모퉁이에 경화가 걸리면, 그 경화가 뛰어올라, 경화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고 빈 경화 수용부가 형성되어, 경화의 반송에 있어서의 확실성이 부족하고, 결과적으로 경화의 처리 효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별 유닛에 있어서의 경화 반송의 확실성을 향상시켜 경화의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화 처리장치가,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 하우징 내에 배치된 공급 회전 원반 위에 투입된 경화를 1매마다 분리해서 공급하는 분리 게이트를 갖는 공급 유닛과, 수평으로 배치된 선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주 가장자리부에 칸막이설치부(隔置部)로 구획된 복수의 경화 수용부가 형성된 반송 디스크와,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되는 경화를 통과시키는 반입구를 갖는 선별 유닛과, 상기 공급 유닛의 분리 게이트와, 상기 선별 유닛의 반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경화 통로와, 상기 경화 통로의, 상기 반입구의 경화의 반입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반입되는 경화를 끼워 지지해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키는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디스크를 간헐 구동하고, 상기 반송 디스크의 경화 수용부를 상기 반입구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을 회전시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킨 경화를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화를 경화 수용부에 확실하게 반입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의 반입 시간을 단축해서 간헐 구동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의 정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경화의 선별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실시예 1의 경화 처리장치의 옆쪽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경화 처리장치의 윗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경화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타임 차트.
도 6은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공급 경화 대기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반송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반입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의 경화 선별처리의 불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반송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2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실시예 2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타임 차트.
도 12는 실시예 3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실시예 3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를 나타낸 타임 차트.
도 14는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의 다른 태양의 반송 디스크 및 식별부의 윗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 16은 실시예의 경화 선별처리의 공급 반입 처리의 다른 태양의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반입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경화 처리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에 있어서, 1은 경화 처리장치의 공급 유닛이다.
2는 공급 유닛(1)의 공급 하우징이며, 대략 100매 이상의 경화 C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 부재이며, 그것의 바닥판(2a)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3은 공급 회전 원반이며, 공급 하우징(2)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공급 하우징(2)의 바닥판(2a)의 중심으로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 회전축(4)을 중심으로 공급 방향(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에 회전하는 원반으로서, 공급 하우징(2)의 측벽(2b)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취급하는 경화 C의 내부에 최소 두께의 경화 C가 끼이지 않는 틈을 형성하는 직경을 갖고 있고, 원반 구동원으로서의 공급 모터(5)로부터 기어 열(5a)을 거쳐 회전축(4)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7은 투입부이며, 공급 회전 원반(3)의 중앙부의 윗쪽에 배치된, 경화를 투입하기 위한 원추대 형상의 부재이며, 그것의 낙하구(7a)의 근방에는 투입된 경화 C를 검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투입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8은 분리 게이트이며, 공급 하우징(2)의 측벽(2b)에 형성된 개구로서, 공급 회전 원반(3)의 윗면과의 사이에, 취급하는 모든 경화 C를 1매만 통과시키는 간격으로 형성된 윗면을 갖고 있어, 그 개구의 밑면은 회전 원반(3)의 윗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분리 게이트(8)는, 공급 하우징(2)의 측벽(2b)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해서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공급 하우징(2)의 측벽(2b)은, 공급 회전 원반(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접촉한 경화 C를, 그것의 내주면을 따라 분리 게이트(8)의 방향으로 인도하는 공급 경화 가이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9는 가장자리로 밀어냄 가이드로서, 분리 게이트(8)의 개구의 한쪽의 측면과의 사이에,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대 직경의 경화 C를 1매만 통과시키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분리 게이트(8)에서 1매로 분리되어 공급 회전 원반(3)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반송되는 경화 C를, 분리 게이트(8)의 개구의, 가장자리로 밀어냄 가이드에 대향하는 한쪽의 측면의 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는 기능을 갖고 있다.
11은 경화 처리장치의 선별 유닛으로서,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 부재인 합성 수지로 형성된 선별 하우징(12)을 구비하고 있어, 그것의 바닥판(12a)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13은 반송 디스크로서, 선별 하우징(12)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선별 하우징(12)의 바닥판(12a)의 중심으로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반송 방향(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원반형 부재이며,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소 직경의 경화 C의 반경보다 좁은 틈을 형성하는 직경을 갖고 있고, 디스크 구동원으로서의 디스크 회전 모터(15)로부터 기어 열(15a)을 거쳐 회전축(14)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16은 경화 수용부로서, 반송 디스크(13)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대 직경의 경화 C를 1매만 수용가능한 U자 형상의 절결부이며, 인접하는 경화 수용부(16)와의 사이를 칸막이설치부(17)로 구획되어 소정의 동일한 간격의 피치 각도로 복수 형성되고, 그 U자 형상의 경화 수용부(16)의 입구의, 도 2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반입 방향의 직교 방향의 폭은, 취급하는 최대 직경의 경화 C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반입구 18로부터 반입된 경화 C를 수용한다.
또한,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은, 그것의 내주면에 의해,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되어 반송 디스크(1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접촉한 경화 C의 반송 방향으로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반송 가이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반입구(18)는,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에 형성된 개구로서,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대 두께의 경화 C을 통과시키는 높이와, 최대 직경의 경화 C를 통과시키는 폭을 갖고 있고, 그것의 밑면은 선별 하우징(12)의 저면, 즉 바닥판(12a)의 윗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고, 반입 방향 A의 하류측에는,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의 내주면과 칸막이설치부(17)의 외경과의 틈의 사이를 반입되는 경화 C의 외주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반입구(18)는,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과 별개의 부재로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21은 위치결정부재로서, 반송 디스크(13) 위에 동축으로 세워 설치된 원통 부재이며, 그것의 원통벽에는, 슬릿(21a)(도 2에 있어서, 검은 칠을 한 부위)이, 경화 수용부(16)와 소정의 위상이 어긋난 상태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22는 위치 검출 센서로서, 위치결정부재(21)의 원통벽을 사이에 끼워 발광부와 수광부를 대향 배치시킨 경화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식 센서이며, 발광부로부터의 빛을 원통벽이 차단한 것을 수광부에서 검출했을 때에 「ON」이 되고, 발광부로부터의 빛이 슬릿(21a)을 통과해서 수광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OFF」로 된다.
24는 반입 검출 센서로서, 선별 하우징(12)의 반송 디스크(13)의 어느 한 개의 경화 수용부(16)의 입구가 반입구(18)에 대향하는 위치(도 2에 나타낸 위치, 경화 반입 위치라고 한다)에 정지했을 때, 그 경화 수용부(16)에 반입된 경화 C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이며,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입구(18)의 반입 방향 A의 하류측에서,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된 경화 C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반입된 경화 C의 소정의 특성값을 취득해서 경화 C의 존재를 검출했을 때에 「ON」이 되고, 소정의 특성값을 취득할 수 없어 경화 C의 불존재를 검출했을 때에 「OFF」가 된다.
26은 경화 통로로서, 공급 유닛(1)의 분리 게이트(8)의 개구와 선별 유닛(11)의 반입구(18)의 개구를 연결하는 일본어 ⊃자 형상 단면 형상의 가이드 부재이며, 분리 게이트(8)의 밑면 및 반입구(18)의 밑면과 같은 면에 형성되고 수평으로 배치된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그것의 반입 방향 A을 따른 양측에 세워 설치된 사이드 가이드 판을 갖고 있다.
27은 반송 로울러 쌍으로서, 외주면에 마찰부재가 피복된 제1 반송 로울러(27a)와 제2 반송 로울러(27b)를 대향배치한 한 쌍의 반송 로울러이며, 반입구(18)의 반입 방향 A의 상류측에 근접해서 그것의 직전에 배치되고, 제1 반송 로울러(27a)는, 경화 통로(26)의 저면에 설치된 창문부로부터 외주면의 일부를 돌출해서 배치되고(도 1 참조), 제2 반송 로울러(27b)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부재에 의해 제1 반송 로울러(27a)의 방향으로 눌러져, 경화 C의 두께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반송 로울러 27a, 27b 사이에 경화 C를 끼워 지지해서 반송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반송 로울러 27a, 27b는, 제2 반송 로울러(27b)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도시하지 않은 아암식 등의 연동기구에 의해, 반송 모터(29)로부터 기어 열(29a)을 거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각각 동기해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반송 로울러 쌍 27에 의한 경화 C의 반입 방향 A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송 디스크(13)의 회전 중심보다 반송 방향의 전방측으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31은 대기 검출 센서로서, 경화 통로(26)의 바닥판 및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된 경화 C를 사이에 끼워 발광부와 수광부를 대향배치시킨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된 경화 C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식 센서이며,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소 직경의 경화 C가, 그것의 중심을 반송 로울러 쌍(27)의 축 코어와 일치시켰을 때에, 반송 로울러 쌍(27)의 끼워지지부의 반입 방향 A의 하류측을 덮는 영역 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투과 구멍을 통해 조사된 발광부로부터 빛을,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된 경화 C가 차단한 것을 수광부에서 검출했을 때에 「ON」이 되고, 발광부로부터의 빛이, 투과 구멍 31a를 통과해서 수광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했을 때에 「OFF」가 된다.
도 2에 있어서, 33은 식별부로서, 선별 유닛(11)의 반입구(18)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된 자기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3개의 식별 센서(34a, 34b, 34c)를 갖고 있고,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되어 반송되는 경화 C의 후술하는 반송 궤적 위에 배치되어, 해당 경화 C의 각종의 특성값을 취득하여 진위, 돈의 종류 등을 식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각 식별 센서(34)는, 반송 디스크(13)가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경화 수용부(16) 사이의 칸막이설치부(17)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각 식별 센서(34)는, 합성 수지제의 반송 디스크(13)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켜 행하는 경화의 반입 동작시에, 그 출력으로부터 반송 디스크(13) 등에 의한 자기적 영향을 제외할 수 있어, 반송 디스크(13)의 회전에 의한 경화 C의 반송중에 경화 C의 특성값을 확실하게 취득해서 정확한 식별을 행할 수 있다.
36은 배출구로서의 리젝트 출구로서, 식별부 3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가 존재하는 위치의 선별 하우징(12)의 바닥판(12a)에 형성된, 식별부 33으로 위조 경화이나 외국 경화 등으로 식별된 리젝트 경화를 낙하시켜 배출하는 구멍이며, 리젝트 경화가 반송되었을 때에 개방 작동하는 슬라이드식 등의 리젝트 출구 개폐 셔터(36a)가 설치되어 있다.
38은 배출구로서의 정상 경화 배출구로서, 식별부(33)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서,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 반송 디스크(13)의, 반입구(18)에 대향하는 경화 수용부(16)에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서 인접하는 경화 수용부(16)가 존재하는 위치의 선별 하우징(12)의 바닥판(12a)에 형성된 단순한 구멍이며, 식별부(33)에서 진성 경화로 식별된 각 돈의 종류의 정상 경화를 낙하시켜 배출한다.
이때, 정상 경화 배출구(38)는, 리젝트 출구(36)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이면 상기한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상 경화 배출구(38)와 리젝트 출구(36)의 위치를 교체시키는 경우에는, 정상 경화 배출구(38)에 그것의 개폐 셔터를 설치하도록 하고, 리젝트 출구(36)는 단순한 구멍으로 하면 된다.
도 3에 있어서, 41은 경화 처리장치의 제어부로서, 경화 처리장치 내의 각 부를 제어해서 경화 선별처리 등을 실행하는 기능 등을 갖고 있다.
42는 기억부로서, 제어부(4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그것에 사용하는 각종의 데이터 및 제어부(41)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이 격납된다.
이 기억부(42)에는, 선별 유닛(11)의 반송 디스크(13)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공급 유닛(1)으로부터 1매마다 공급된 경화 C을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해 끼워 지지해서 대기시키고, 그 경화 C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킨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에 반입하고, 식별부(33)의 식별 결과를 기초로, 리젝트 경화를 리젝트 출구(36)에, 정상 경화를 정상 경화 배출구(38)에 낙하시켜 선별하는 경화 선별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경화 선별처리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진 업무처리 실행 프로그램이 미리 격납되어 있고, 제어부(41)가 실행하는 업무처리 실행 프로그램의 스텝에 의해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의 각 기능 수단이 형성된다.
또한, 기억부(42)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화 선별처리를 실행할 때의 소정의 구동시간 T1, 정지시간 T2,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반입 시작 판정시간 T4,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후술) 및 경화 처리장치의 경화 선별처리의 종료를 판정하기 위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공전 시간인 종료 판정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어 격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종료 판정시간은, 공급 회전 원반(3)이 1회전 이상(예를 들면, 1.5회전) 회전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흐름도 및 타임 차트를 사용하여, 도 4에 SA, SB로 나타낸 스텝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의한 경화 선별처리의 경화의 공급 반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스텝 이름은 공급 반입 동작을 SA로, 반송 동작을 SB로 표시한다.
SA1, 경화 처리장치의 제어부(41)는, 경화 선별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투입부 7의 도시하지 않은 투입 검지 센서가, 투입된 경화 C을 검출하는 것을 대기하는 경화 투입 대기 상태에서 대기하고, 투입 검지 센서가 경화 C의 투입을 검지했을 때에, 스텝 SA2로 이행한다. 투입 검지 센서가 경화 C의 투입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SA2, 투입 검지 센서가 경화 C의 투입을 검지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투입부(7)로부터 일괄해서 투입된 복수의 경화 C가 공급 회전 원반(3) 위에 낙하하면, 공급 모터(5)에 의한 공급 회전 원반(3)의 구동을 개시한다.
SA3, 이것과 동시에,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개시한다.
공급 모터(5)에 의해 공급 회전 원반(3)이 공급 방향으로 회전하면, 공급 회전 원반(3) 위에 받아들여진 경화 C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공급 하우징(2)의 측벽(2b)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측벽(2b)의 내주면을 가이드면으로 하여 분리 게이트(8)의 방향으로 운반되고, 분리 게이트(8)에 의해 1매로 분리되어 경화 통로(26)로 공급되고, 공급된 최초의 경화 C는 후속하는 경화 C에 의해 밀리면서 경화 통로(26)를 반송 로울러 쌍(27)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화 C의 분리시에, 본 실시예의 분리 게이트(8)의 개구의 밑면은, 공급 회전 원반(3)의 윗면보다 약간 낮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리 공급시에 경화 C에 걸림이 생기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공급된다.
SA4,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해 반송 로울러 쌍(27)을 회전 구동하면서, 대기 검출 센서(31)가 제1 반송 로울러(27a)와 제2 반송 로울러(27b)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 경화 C를 검출하는 것을 기다려서 대기하고,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현 단계에서는 최초(1매째)의 경화 C)를 검출했을 때에(ON) 스텝 SA6로 이행한다.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OFF) 스텝 SA5로 이행한다.
SA5, 제어부(41)는, 상기한 각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그것의 시계 기능에 의해,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을 때부터의,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종료 판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종료 판정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경화 선별처리를 종료시키고, 스텝 SA1에 되돌아가, 새로운 경화의 투입을 대기하는 경화 투입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경과 시간이 종료 판정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 SA4로 되돌아가, 스텝 SA4, SA5에 의한 대기를 계속한다.
SA6,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을 검출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도 5의 1매째 참조), 반송 로울러 쌍(27)에 경화 C을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규정의 대기 위치에서 대기시키고(도 6 참조), 대기 위치에 있는 경화 C(대기 경화이라고 한다)를 끼워 지지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한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SB1, 한편, 제어부(41)는, 상기 스텝 SA2, SA3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개시와 동시에,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하고, 그후에,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크 회전 모터(15)를 소정의 구동시간 T1(경화 수용부(16)의 1피치 분의 회전 시간) 구동한 후에 소정의 정지시간 T2 정지시키고, 반송 디스크(13)를 일정 주기로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간헐 구동을 처리 종료까지 계속해서 실행한다.
이 소정의 정지시간 T2는, 경화 C의 직경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화 C의 반입 동작을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설정된 고정 시간으로서, 간헐 구동에 있어서의 정지중의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의 개시를 판정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이다.
SB2,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해 반송 디스크(13)의 일정 주기에서의 간헐 구동을 개시한 제어부(41)는, 위치 검출 센서(22)가, 반송 디스크(13)와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결정부재(21)의 슬릿(21a)을 검출하는 것을 기다려서 대기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OFF)했을 때에, 스텝 SB3으로 이행한다.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SB3,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그것의 시계 기능에 의해,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OFF)했을 때부터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SB4,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했을 때부터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 제어부(41)는,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이상이 되었을 때에 스텝 SB5로 이행한다. 경과 시간이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이 소정의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은, 위치결정부재(21)의 슬릿(21a)과 경화 수용부(16)의 위상 어긋남의 보정시간과, 반송 디스크(13)의 관성에 의한 회전의 하강 시간의 합에 의해 결정되고, 간헐 구동에 있어서의 구동중인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의 정지를 판정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이다.
SB5,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를 인식한 제어부(41)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한다 (도 5 참조). 이에 따라, 반송 디스크(13)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했을 때에,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검출된 슬릿(21a)에 대응하는 경화 수용부(16)의 입구를 반입구(18)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다.
SB6,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한 제어부(41)는, 그것의 시계 기능에 의해,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부터의,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정지시간 T2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정지시간 T2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접속자 B를 거쳐 스텝 SB1으로 이행하여,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한다. 경과 시간이 정지시간 T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반송 디스크(13)의 일정 주기에서의 간헐 구동이 행해진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반송 디스크(13)는, 원칙적으로 구동시간 T1, 정지시간 T2의 일정 주기의 간헐 구동에 의해 일정 주기의 간헐회전을 반복하지만, 실제로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 정지는, 위치 검출 센서(22)에 의한 슬릿(21a)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행해진다. 이에 따라, 누적적인 오차의 발생을 방지하여, 경화 수용부(16)를 항상 경화 반입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SA7, 한편,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한 대기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제어부(41)는, 상기 반송 디스크(13)의 일정 주기에서의 간헐 구동과의 병행 처리에 의해, 상기 스텝 SB3에서 개시한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했을 때부터의,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 이상이 되었을 때에 스텝 SB8로 이행한다. 경과 시간이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이 소정의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은,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이상(T4≥T3)의 시간으로서,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경화 C의 반입 개시를 판정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이다.
SA8,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의 경과를 인식한 제어부(41)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 정지, 및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한 대기 경화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대기 경화를 경화 수용부(16)에 반입하기 위해,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개시한다.
SA9,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개시한 제어부(41)는,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해서 규정의 대기 위치에 대기시킨 대기 경화를 반입구(18)로부터 경화 수용부(16)로 반입하면서,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된 경화 C을 검출하는 것을 기다려서 대기하고, 반입 검출 센서(24)가 경화 C을 검출했을 때에(ON) 스텝 SA10로 이행한다. 반입 검출 센서(24)가 경화 C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OFF)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이 경화 C의 반입시에, 본 실시예의 선별 하우징(12)의 저면은, 경화 통로(26)의 저면보다 약간 낮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반입시에 경화 C에 걸림이 생기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입된다.
SA10, 반입 검출 센서(24)가 경화 C을 검출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그것의 시계 기능에 의해,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된 경화 C를 검출(ON)했을 때부터의,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이상이 되었을 때에 스텝 SA11로 이행한다. 경과 시간이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이 소정의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는, 경화 C의 반입이 검출된 후에 경화 C의 반입 방향 A의 선단이 확실하게 경화 수용부(16)의 반송 디스크(13)의 반경 방향 내측의 면(경화 수용부(16)의 홈 바닥이라고 한다)에 반입된 것을 판정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으로서, 경화 통로(26)에 경화 C가 연속해서 늘어서 있는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후속 경화가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이기도 한다.
SA11,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를 인식한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A12로 이행한다.
SA12,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한 제어부(41)는,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대기 경화의 존재 및 부재를 확인하여,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하고 있을 때에는(도 5의 2매째, 3매째에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접속자 Y1을 거쳐 스텝 SA6로 이행하여,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한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을 때에는(도 5의 4매째, 5매째에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스텝 SA13으로 이행한다.
SA13,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재개하고, 접속자 Z1을 거쳐 스텝 SA4로 이행하여, 스텝 SA4에 의한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한 대기 경화의 검출(ON), 또는 스텝 SA5에 의한 종료 판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 반입 처리는, 선별 유닛(11)의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키면서 일정 주기로 구동,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구동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의 불존재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 즉 대기 위치에 경화 C이 존재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반송 로울러 쌍(27)을,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경화 C를 대기 검출 센서(31)가 검출할 때까지 구동하여, 반송 로울러 쌍(27)에 대기 경화를 끼워 지지시키는 공급 경화 대기 동작을 행하게 하고, 반송 디스크(13)가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를 검출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반송 로울러 쌍(27)을 구동해서 대기 경화를 경화 수용부(16)에 반입하고, 경화 수용부(16)에 반입된 경화 C를 반입 검출 센서(24)가 검출한 후의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경과후에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는 반입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스텝 SB6의 정지시간 T2 경과후에, 스텝 SB1에서, 제어부(41)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속 경화를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시킨 상태에서,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의 1피치 분의 구동을 개시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다음의 슬릿(21a)이 검출한 때로부터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경과후에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해서 상기한 경화 C의 공급 반입 동작을 반복한다.
이 공급 반입 동작시에, 공급 유닛(1)으로부터 연속 상태에서 경화 C가 공급되어 오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 SA10에서,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경과전에, 후속 경화가 도 8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에, 대기 검출 센서(31)는 일단 불존재를 검출(OFF)하지만, 그후에 후속 경화가 끼워 지지되었을 때에 그것의 존재가 검출(ON)되고, 스텝 SA6에서, 후속 경화는, 상기한 최초의 경화 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규정의 대기 위치에 대기한다(도 5의 2매째 등 참조).
이 경우에, 도 5에 나타낸 3매째의 경화 C와 같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를 끼워 지지할 때, 가벼운 정도의 미끄러짐이 생겨 후속 경화의 검출에 시간을 필요하였다고 하더라도,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전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를 검출(ON)하고 있을 때에는, 그대로 상기한 각 동작이 계속된다.
또한, 공급 유닛(1) 내의 경화 C의 잔량이 적어진 경우나 공급 불량 기미로 인해,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경화 C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불연속 상태의 경우나, 연속 상태에 있어서 반송 로울러 쌍 19에 의한 경화 C를 끼워 지지할 때에 비교적 중한 정도의 미끄러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5에 그물 무늬로 붙여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41)는,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되는 경화 C의 존재를 검출(ON)한 후의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시에, 스텝 SA11에서 반송 모터(29)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A12에서,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대기 경화의 존재를 확인했을 때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A13에서 반송 모터(29)의 구동을 재개시키고, 스텝 SA4에서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했을 때에, 스텝 SA6에서 반송 모터(29)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도 5의 4매째의 경화 C와 같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의 끼워 지지하는 것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종료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회전중의 위치결정부재(21)의 다음의 슬릿(21a)을 검출(OFF)하기 전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한 경우에는,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의 구동 정지후에, 최초에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ON)했을 때부터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경과후에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반입 동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후속 경화가 선행 경화에 연속해서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된다.
또한, 도 5의 5매째의 경화 C와 같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의 끼워 지지하는 것에 비교적 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다음의 슬릿(21a)을 검출한 후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 한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화 C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화 수용부(16)가 존재하는 빈 이송이 생기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제어부(41)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반송 모터(29)의 구동 정지후에, 최초로 슬릿(21a)을 검출(OFF)했을 때부터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경과후에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고 반입 동작을 행한다.
이때, 상기한 빈 이송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선별 하우징(12) 및 반송 디스크(13)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별부(33)의 각 식별 센서(34)에 의한 오식별이 생기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경화 C이 불연속으로 공급된 경우나 후속 경화를 끼워 지지할 때 비교적 중한 정도의 미끄러짐이 발생한 경우에도, 경화 처리장치의 제어부(41)가 그 상태를 자동적으로 복구시키면서 경화 선별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1개의 경화 수용부(16)에 1매의 경화 C를 수용(빈 이송을 제외한다)한 반송 디스크(13)가 간헐적으로 반송 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이때, 경화 반입 위치에서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된 경화 C는, 반송 디스크(13)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선별 하우징(12)의 측벽(12b)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반송 방향 하류측의 칸막이설치부(17)에 밀리면서 측벽(12b)의 내주면을 따라 선별 하우징(12)의 바닥판(12a) 위를 반송되어 간다(이 측벽(12b)의 내주면을 따라 반송되는 경화 C의 원형의 이동 궤적을, 경화 C의 반송 궤적이라고 한다).
그리고, 경화 수용부(16)에 수용된 경화 C가 식별부(33)의 각 식별 센서(34)를 간헐반송에 의해 통과했을 때에, 제어부(41)는, 해당 경화의 각종의 특성값을 간헐반송 1회에 대해 1개의 식별 센서(34)에 의해 취득하고, 3개의 식별 센서(34)의 취득값을 사용해서 해당 경화의 진위나 돈의 종류 등을 식별하고, 그 경화 C의 식별 결과가, 리젝트 경화인 경우에는, 해당 경화를 수용한 경화 수용부(16)가 리젝트 출구(36) 위에 정지했을 때에, 리젝트 출구 개폐 셔터(36a)를 개방 작동시켜, 리젝트 경화를 자중에 의해 리젝트 출구(36)로 낙하시켜 배출하고, 낙하의 확인후에 리젝트 출구 개폐 셔터(36a)를 폐쇄 작동시켜 리젝트 출구(36)를 폐쇄한다.
또한, 식별부(33)에 의한 식별 결과가, 진성 경화로 식별된 정상 경화인 경우에는, 돈의 종류에 상관없이 리젝트 출구 개폐 셔터(36a) 위를 통과시켜 정상 경화 배출구(38)로 반송하고, 정상 경화를 수용한 경화 수용부(16)가 정상 경화 배출구(38) 위에 정지했을 때에, 경화 C의 자중에 의해 정상 경화 배출구(38)로 낙하시켜 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경화 C의 경화 선별처리가 실행되어, 경화 수용부(16)의 피치마다 1매의 경화 C의 선별이 행해진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는, 반송 디스크(13)의 간헐 구동과는 독립적으로,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경화 C를 경화 통로(26)의 반입구(18)의 직전에 설치된 반송 로울러 쌍(27)으로 끼워 지지해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키고, 이 존재를 대기 검출 센서(31)가 검출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위치 검출 센서(22)에 의한 슬릿(21a)의 검출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반입 위치에의 정지와,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대기 경화의 반입 동작을 연계시켜,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킨 경화 수용부(16)에 경화 C를 반입하도록 했으므로, 경화 C을 경화 수용부(16)에 확실하게 반입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 C의 반입 시간을 단축해서 반송 디스크(13)의 정지시간 T2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송 로울러 쌍(27)을 설치하지 않고 경화 통로(26)를 슈터로 구성하여,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반송 디스크(13)의 경화 수용부(16)에 경화 C을 1매씩 수납하려고 하면, 공급된 경화 C가 슈터를 미끌어 떨어져서 반입구(18)에 도달했을 때에, 경화 수용부(16)가 그 위치에 존재하는 것에 확실성이 없고, 가령 칸막이설치부(17)가 그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슈터의 경사각이 급할 때에는, 미끌어 떨어져 온 경화 C가 칸막이설치부(17)의 외주면에 충돌해서 튀어 올라, 다시 반입구(18)로 되돌아왔을 때에, 경화 수용부(16)가 그 위치에 존재하는 것에 확실성은 없고, 가령 그 위치에 경화 수용부(16)가 존재했다고 하더라도, 경화 수용부(16)에 미끌어 떨어짐에 의한 관성력으로 진입한 경화 C가 경화 수용부(16)의 저부에 충돌해서 반송 디스크(13) 위로 뛰어오르거나, 슈터 내에 튀어올라 버리는 경우가 있어, 보수 시간의 증가와 빈 이송의 경화 수용부(16)의 증가에 의해,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는 결과가 된다.
또한, 슈터의 경사각이 완만하여(수평을 포함한다), 공급된 경화가 공급되는 후속 경화에 의해 밀리면서 반입구(18)에 도달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가령 칸막이설치부(17)가 그 위치에 존재할 때에는, 경화 수용부(16)가 회전해 왔을 때에, 해당 경화가 반입구(18)로부터 경화 수용부(16)에 진입하게 되지만, 진입 속도가 느리면 반입구(18)와 경화 수용부(16)의 입구와의 사이에 해당 경화가 끼여 반송 디스크(13)를 정지시키거나, 그 경화 수납부(16)에 완전히 진입할 수 없고 밀려 되돌려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보수 시간의 증가와 빈 이송의 경화 수용부(16)의 증가에 의해,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는 결과가 된다.
이 점에서, 본 실시예의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해 반입구(18)의 직전에서 대기시킨 대기 경화를, 위치 검출 센서(22)에 의한 슬릿(21a)의 검출을 기준으로 하여, 간헐 구동에 의해 반송 디스크(13)가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 타이밍에서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해 경화 수용부(16)에 반입하므로, 경화 C를 적절한 속도로 경화 수용부(16)에 확실하게 반입할 수 있고,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 C가 불연속으로 공급된 경우와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를 끼워 지지할 때 비교적 중한 정도의 미끄러짐이 발생한 경우에도, 경화 처리장치의 제어부(41)가 그 상태를 자동적으로 복구시키면서 경화 선별처리를 실행하므로, 보수 작업의 발생을 억제해서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의 경화 C의 반입 방향 A는, 반송 디스크(13)의 회전 중심보다 반송 방향의 전방측으로 치우져 설정되어 있으므로, 반입하는 경화 C를 경화 수용부(16)에 대해 비스듬히 진입시킬 수 있고, 반입하는 경화 C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여, 반입구(18)와 경화 수용부(16)의 입구 사이에 해당 경화가 끼이는 것 등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정지를 방지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3개의 식별 센서(34)는, 3개의 칸막이설치부(17)에 분할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경화 수용부(16)의 피치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송 디스크(13)의 1회전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경화 C의 처리수를 증가시켜,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 회전 원반 위에 투입된 경화를 1매마다 분리해서 공급하는 공급 유닛의 분리 게이트와,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경화 수용부에 수용된 경화를, 일정 주기로 간헐회전하면서 수평으로 반송하는 반송 디스크를 갖는 선별 유닛의 경화의 반입구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경화 통로로 연결하고, 경화 통로의, 반입구의 직전에 반입되는 경화를 끼워 지지해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키는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을 설치하고, 반송 디스크의 경화 수용부가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반송 로울러 쌍을 회전시켜, 대기 위치에 대기시킨 대기 경화를 경화 수용부에 반입하도록 한 것에 의해, 경화 C를 경화 수용부에 확실하게 반입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 C의 반입 시간을 단축해서 일정 주기의 간헐 구동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의 정지시간 T2를 짧게 설정할 수 있어,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사용해서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화 선별처리의 작동은, 원칙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실시예 1의 도 5에 나타낸 5매째의 경화 C와 같이, 제어부(41)가,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된 경화 C를 검출(ON)했을 때부터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후에, 일단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 그후의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한 대기 경화의 존재 및 부재의 확인시에 불존재를 검출(OFF)해서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재개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다음의 슬릿(21a)을 검출한 후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를 검출(ON)한 경우에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고, 다음의 1피치 분의 구동을 연속해서 행하는 비통상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다르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 및 타임 차트를 사용하여, 도 10에 SC, SD로 나타낸 스텝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의한 경화 선별처리의 경화의 공급 반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스텝 이름은 공급 반입 동작을 SC로, 반송 동작을 SD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스텝 SC1∼SC13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A1∼SA13의 작동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텝 SD1∼SD4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B1∼SB4의 작동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에,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최초의 경화 C가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될 때까지의 사이는, 도 11에 나타낸 1매째(최초)의 경화 C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비통상시 제어에 의해, 반송 디스크(13)는 정지하지 않고 연속 구동되어, 최초의 경화 C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되고, 대기 경화가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검출(ON)되었을 때부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급 반입 동작이 행해진다.
SD5,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를 인식한 제어부(41)는, 그것의 경과시에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대기 경화의 존재 및 부재를 확인하여,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하고 있을 때에는(도 11의 2매째, 3매째, 6매째에 드문드문한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스텝 SD6으로 이행한다.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을 때에는(도 11의 1매째, 4매째, 5매째에 드문드문한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접속자 D를 거쳐 스텝 SD1로 이행하여,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계속하고,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했을 때에, 통상시의 제어로 복귀한다.
SD6,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를 인식하여,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고(도 11의 2매째의 경화 등 참조), 반송 디스크(13)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했을 때에, 검출된 슬릿(21a)에 대응하는 경화 수용부(16)를 반입구(18)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킨다(도 6 참조).
그후의 스텝 SD7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B6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반송 디스크(13)의 일정 주기에서의 간헐 구동에 있어서의 비통상시 제어가 행해진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 반입 처리에 있어서는, 도 11의 1∼3매째에 나타낸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공급 반입 동작, 도 11의 4매째에 나타낸 불연속 상태 등에 있어서의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를 끼워 지지하는 것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종료한 경우의 공급 반입 동작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지만, 도 11의 5매째의 경화 C과 같이, 반송 로울러 쌍(27)에 의한 후속 경화를 끼워 지지하는 것에 비교적 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다음의 슬릿(21a)을 검출한 후의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시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고 그 구동을 계속하는 비통상시 제어를 행하므로, 경화 C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화 수용부(16)가 존재하는 빈 이송이 생기게 되지만, 먼저 경화 수용부(16)에 수납된 선행 경화는, 그것의 식별 등의 처리를 조기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빈 이송으로 된 후속 경화는 정지시간 T2를 생략하고 다음의 경화 수용부(16)에 조기이면서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의 투입시나 공급 유닛(1) 내의 경화 C의 잔량이 적어진 경화 선별처리의 종료전 등의 경화의 불연속 상태 등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13)의 정지시간 T2를 없애,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시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정지하지 않고 그 구동을 계속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후에, 일단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정지하고, 그 정지시에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대기 경화의 존재 및 부재를 검출하여,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재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경화의 불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13)의 정지시간 T2를 최단으로 하여,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한 작동은, 상기 스텝 SD5와 SD6을 교체함으로써, 그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 이외에, 경화 C의 반입 동작시에, 반입 검출 센서가 반입된 경화를 검출한 후에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 대기 검출 센서가 대기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재개하고, 그 재개후에, 일정 주기로 반송 디스크를 정지시킬 때에,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송 디스크의 구동을 계속하도록 한 것에 의해, 먼저 경화 수용부에 수납된 선행 경화는, 그 처리를 조기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빈 이송이 된 후속 경화는 정지시간 T2를 생략해서 다음의 경화 수용부에 조기이면서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불연속 상태 등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의 정지시간 T2를 없애,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을 사용해서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화 선별처리의 작동은,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의 정지시간이 변화하는 것이, 실시예 1과 다르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간헐 구동은, 일정 주기의 간헐 구동이 아니고, 대기 경화를 끼워 지지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 정지시에, 정지중의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하는 주기성이 없는 간헐 구동이 된다. 이때, 경화 수용부(16)의 1피치 분의 구동시간, 즉 위치 검출 센서(22)에 의한 슬릿(21a)의 검출후에 있어서의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후의 정지에 의한 구동시간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 및 타임 차트를 사용하여, 도 12에 SE, SF로 표시한 스텝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화 처리장치에 의한 경화 선별처리의 경화의 공급 반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스텝 이름은 공급 반입 동작을 SE로, 반송 동작을 SF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스텝 SE1∼SE5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A1∼SA15의 작동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에, 공급 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최초의 경화 C가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될 때까지의 사이에는, 도 13에 나타낸 1매째(최초)의 경화 C와 같이, 반송 디스크(13)는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SE6, 대기 검출 센서(31)가 경화 C를 검출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것과 동시에, 스텝 SF1에서,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한다(도 13의 1매째 참조).
그리고, 제어부(41)는, 반송 로울러 쌍(27)에 끼워 지지된 경화 C를 규정의 대기 위치에서 대기시키고(도 6 참조), 대기 경화를 끼워 지지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한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
SF2,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한 제어부(41)는,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B2과 마찬가지로, 위치 검출 센서(22)가 위치결정부재(21)의 슬릿(21a)을 위치 검출 센서(22)가 검출하는 것을 기다려서 대기하고,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OFF)했을 때에, 스텝 SF3으로 이행한다. 위치 검출 센서(22)가 슬릿(21a)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그 의 스텝 SF3, SF4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B3, SB4의 작동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F5,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를 인식한 제어부(41)는, 디스크 회전 모터(15)의 구동을 정지하고, 반송 디스크(13)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어부(41)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 개시(접속자 F를 거쳐 접속하는 스텝 SF1)를 기다려서 대기한다.
그후의 스텝 SE7∼SE9의 작동은, 상기 실시예 1의 스텝 SA7∼SA9의 작동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SE10, 반입 검출 센서(24)가 경화 C를 검출한 것을 인식한 제어부(41)는, 그것의 시계 기능에 의해,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된 경화 C를 검출(ON)했을 때부터의, 기억부(42)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경과 시간이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대기를 계속한다.
경과 시간이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 이상이 되었을 때는, 반송 로울러 쌍(27)을 구동상태로 한 채, 접속자 Z3을 거쳐 스텝 SE4로 이행하여,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해 대기 경화의 존재 및 부재를 확인하여,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하고 있을 때에는(도 13의 2매째, 4매째에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스텝 SE6로 이행해서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 대기 경화를 끼워 지지한 반송 로울러 쌍(27)을 대기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또한, 스텝 SE4로 이행했을 때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불존재를 검출(OFF)하고 있을 때에는(도 13의 3매째에 파선으로 나타낸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 참조), 스텝 SE4에 의한 대기 검출 센서(31)에 의한 대기 경화의 검출(ON), 또는 스텝 SE5에 의한 종료 판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대기하고,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했을 때에(도 13의 3매째에 파선으로 나타낸 위를 향하는 화살표 참조), 스텝 SE6로 이행해서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고, 대기 경화를 끼워 지지한 반송 로울러 쌍(27)을 대기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이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의 정지와 동시에, 제어부(41)는, 스텝 SF1에서,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한다(도 13의 2∼4매째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반송 디스크(13)의 구동 정지시간을 가변하도록 한 간헐 구동에 따른 본 실시예의 공급 반입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 반입 처리에 있어서는, 도 13의 2매째, 4매째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속 상태에 있어서의 공급 반입 동작에 있어서는, 반입 검출 센서(24)가 반입된 경화 C를 검출했을 때(ON)부터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후에,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할 때에,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하고, 도 13의 3매째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불연속 상태 등에 있어서의 공급 반입 동작에 있어서는, 반입 종료 판정시간 T5의 경과후에,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OFF),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계속하고, 대기 검출 센서(31)가 대기 경화의 존재를 검출(ON)했을 때에,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개시하므로, 경화 수용부(16)의 빈 이송을 발생시키지 않고, 경화 C를 경화 수용부(16)에 1매씩 확실하게 반입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 디스크(13)의 구동 정지시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여,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 이외에, 경화 C의 반입 동작시에, 반입 검출 센서가 반입된 경화를 검출한 후에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반송 디스크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한 것에 의해, 경화 C를 경화 수용부에 1매씩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 디스크의 구동 정지시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하여,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실시예가 있어서는, 식별부는 3개의 식별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식별 센서의 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1 이상이면, 1 또는 2 또는 4이상이어도 된다.
이때,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식별부(33)의 3개의 식별 센서(34)는,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한 반송 디스크(13)의 칸막이설치부(17)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2 참조)으로서 설명했지만,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식별 센서(34)를 1개의 칸막이설치부(17)에 대향시켜, 일괄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식별 센서 사이의 피치를 좁게 할 수 있어, 경화 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화 C의 배출구는, 리젝트 출구와 정상 경화 배출구의 2개소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정상 경화 배출구를 경화 C의 돈의 종류마다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송 방향의 최하류의 배출 구멍을 단순한 구멍으로 하고, 다른 배출 구멍에는 개폐 셔터를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경화 C의 반입 동작에 있어서의 반송 모터(29)에 의한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개시는, 위치 검출 센서(22)가 위치결정부재(21)의 슬릿(21a)을 검출하고나서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의 경과시이며, 그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은, 디스크 회전 모터(15)에 의한 반송 디스크(13)의 구동을 정지하는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 이상의 시간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입 개시 판정시간 T4를,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보다 ΔT시간 짧은 T4a 시간으로 하여, 디스크 구동 정지 판정시간 T3의 경과의 직전에 반송 로울러 쌍(27)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은,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U자 형상의 경화 수용부(16)의 입구의 폭은, 취급하는 경화 C 중에서 최대 직경의 경화 C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경화 C가 원형이기 때문에, 그것의 반입 동작의 초기에 있어서는, 도 16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경화 C의 외주면과 경화 수용부(16)의 입구의 사이에 반송 방향의 여유가 있으므로, 반송 디스크(13)가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하기 직전에, 대기 경화의 반입 방향 A로의 반입을 개시해도, 경화 C의 외주면과 경화 수용부(16)의 입구가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반송 디스크(13)의 정지시간 T2, 및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구동 정지시간을 더욱 단축하여, 경화 선별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 공급 유닛
2 공급 하우징
2a, 12a 바닥판
2b, 12b 측벽
3 공급 회전 원반
4, 14 회전축
5 공급 모터
5a, 15a, 29a 기어 열
7 투입부
7a 낙하구
8 분리 게이트
9 가장자리로 밀어냄 가이드
11 선별 유닛
12 선별 하우징
13 반송 디스크
15 디스크 회전 모터
16 경화 수용부
17 칸막이설치부
18 반입구
19 가이드부
21 위치결정부재
21a 슬릿
22 위치 검출 센서
24 반입 검출 센서
26 경화 통로
27 반송 로울러 쌍
27a 제1 반송 로울러
27b 제2 반송 로울러
29 반송 모터
31 대기 검출 센서
33 식별부
34a, 34b, 34c 식별 센서
36 리젝트 출구
36a 리젝트 출구 개폐 셔터
38 정상 경화
배출구
41 제어부
42 기억부

Claims (17)

  1.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 하우징 내에 배치된 공급 회전 원반 위에 투입된 경화를 1매마다 분리해서 공급하는 분리 게이트를 갖는 공급 유닛과,
    수평으로 배치된 선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주 가장자리부에 칸막이설치부로 구획된 복수의 경화 수용부가 형성된 반송 디스크와,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되는 경화를 통과시키는 반입구를 갖는 선별 유닛과,
    상기 공급 유닛의 분리 게이트와, 상기 선별 유닛의 반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경화 통로와,
    상기 경화 통로의, 상기 반입구의 경화의 반입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반입되는 경화를 끼워 지지해서 대기시키는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디스크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반송 디스크의 경화 수용부를 상기 반입구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을 회전시켜, 대기시킨 경화를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2.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 하우징 내에 배치된 공급 회전 원반 위에 투입된 경화를 1매마다 분리해서 공급하는 분리 게이트를 갖는 공급 유닛과,
    수평으로 배치된 선별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외주 가장자리부에 칸막이설치부로 구획된 복수의 경화 수용부가 형성된 반송 디스크와,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되는 경화를 통과시키는 반입구를 갖는 선별 유닛과,
    상기 공급 유닛의 분리 게이트와, 상기 선별 유닛의 반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경화 통로와,
    상기 경화 통로의, 상기 반입구의 경화의 반입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반입되는 경화를 끼워 지지해서 대기시키는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과,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끼움 지지부의 상기 반입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대기시킨 경화를 검출하는 대기 검출 센서와,
    상기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경화 수용부에 반입된 경화를 검출하는 반입 검출 센서와,
    상기 선별 유닛의 반송 디스크와,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화 수용부를 상기 반입구에 대향시킨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키면서, 상기 반송 디스크를 구동하는 수단과,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 디스크를 구동하면서,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을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할 때까지 구동하는 수단과,
    상기 반송 디스크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을 구동해서 대기시킨 경화를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하는 수단과,
    상기 경화 수용부에 반입된 경화를 상기 반입 검출 센서가 검출한 후에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정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입 검출 센서가 반입된 경화를 검출한 후에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상기 반송 디스크의 구동을 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디스크의 구동은 일정 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입 검출 센서가 반입된 경화를 검출한 후에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정지했을 때에,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재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 상기 일정 주기로 반송 디스크를 정지시킬 때에,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 디스크의 구동을 계속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 상기 일정 주기로 반송 디스크를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대기 검출 센서가 경화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반송 디스크의 구동을 재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 디스크를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시키기 직전에, 경화를 반입하기 위한 상기 반송 로울러 쌍의 구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용부는, U자 형상의 절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로울러 쌍의 각각을, 동기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로울러 쌍에 의한 경화의 반입 방향은, 상기 반송 디스크의 회전 중심보다 회전 방향의 전방측을 치우친 상태에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유닛의 선별 하우징의 저면은, 상기 경화 통로의 저면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용부에 수용된 경화의 반송 궤적 위에, 반송되는 경화를 식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식별 센서를 갖는 식별부를 설치하고,
    상기 식별 센서를, 상기 경화 반입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반송 디스크의 상기 칸막이설치부에 대향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센서가 2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각 식별 센서를, 상기 칸막이설치부에 각각 대향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하우징과 상기 반송 디스크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하우징의 바닥판에, 상기 식별부에 의한 식별 결과를 기초로, 반송된 경화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2 이상의 배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2개인 경우에, 그것의 한쪽을 모든 정상 경화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처리장치.
KR1020100069355A 2009-11-19 2010-07-19 경화 처리장치 KR101086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4102 2009-11-19
JP2009264102A JP5493759B2 (ja) 2009-11-19 2009-11-19 硬貨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356A KR20110055356A (ko) 2011-05-25
KR101086805B1 true KR101086805B1 (ko) 2011-11-25

Family

ID=4403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355A KR101086805B1 (ko) 2009-11-19 2010-07-19 경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93759B2 (ko)
KR (1) KR101086805B1 (ko)
CN (1) CN102074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2878B2 (ja) * 2011-09-22 2015-05-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692100B2 (ja) * 2012-01-16 2015-04-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N102592355A (zh) * 2012-03-12 2012-07-18 吴时欣 等间距、匀速输送硬币装置
CN103310524B (zh) * 2013-04-17 2017-12-26 洛阳理工学院 硬币分拣包装投币机
JP6456675B2 (ja) * 2014-12-17 2019-01-23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一括投入装置
CN105184966B (zh) * 2015-09-06 2017-08-04 安徽科技学院 一种适用于硬币分离机的硬币整理装置
CN110220886A (zh) * 2019-07-17 2019-09-10 南京信息工程大学 基于激光诱导击穿光谱技术的硬币甄别系统及使用方法
CN111754673A (zh) * 2020-06-23 2020-10-09 广州畅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硬币循环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390B1 (ko) 1996-09-20 2000-11-01 아베 히로시 디스크 방출장치
KR100780053B1 (ko) 2007-04-27 2007-11-30 주식회사 에이텍 주화 선별기용 주화 공급장치
JP2009217807A (ja) 2008-02-14 2009-09-24 Asahi Seiko Co Ltd コイン選別装置及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0085A (en) * 1979-05-10 1980-11-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in selector
JPS55174671U (ko) * 1979-05-29 1980-12-15
JPH01213779A (ja) * 1987-06-18 1989-08-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硬貨処理装置
JP2002298184A (ja) * 2001-01-25 2002-10-11 Glory Ltd 硬貨繰出装置
US6772870B2 (en) * 2001-07-26 2004-08-10 Sugai General Industries Ltd. Token counting and sorting apparatus
JP4139107B2 (ja) * 2001-12-27 2008-08-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EP1953708A4 (en) * 2005-09-30 2010-09-29 Glory Kogyo Kk PARTITION SORT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390B1 (ko) 1996-09-20 2000-11-01 아베 히로시 디스크 방출장치
KR100780053B1 (ko) 2007-04-27 2007-11-30 주식회사 에이텍 주화 선별기용 주화 공급장치
JP2009217807A (ja) 2008-02-14 2009-09-24 Asahi Seiko Co Ltd コイン選別装置及びコイン選別計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4065A (zh) 2011-05-25
JP5493759B2 (ja) 2014-05-14
JP2011108100A (ja) 2011-06-02
KR20110055356A (ko) 2011-05-25
CN102074065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805B1 (ko) 경화 처리장치
KR0138238B1 (ko) 경화처리기의 수입불능 경화제거장치
EP3252721B1 (en) Coin feeding apparatus
US10347067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150118492A (ko) 이송 제어 구조 방식의 자동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5692100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6042333A (ja) 硬貨処理機
JP5010217B2 (ja) 硬貨処理機
US10087034B2 (en) Recording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5510240B2 (ja) 硬貨処理装置
JP5513322B2 (ja) 硬貨処理装置
JP5601245B2 (ja) 硬貨処理装置
US20190318564A1 (en) Coin validation apparatus
JP6793093B2 (ja) 硬貨処理装置
JP6147550B2 (ja) 硬貨繰出装置、硬貨処理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JPS6332678A (ja) 硬貨計数処理機
JPS6143267B2 (ko)
JP6065775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搬送方法
JP6002553B2 (ja) 硬貨処理装置
JP7244881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3534449B2 (ja) 供給方法及び整合装置
JP2012108735A (ja) 硬貨処理装置
JP2006052059A (ja) カード集積装置及びカード集積方法
JP5985715B2 (ja) 硬貨繰出装置、硬貨入出金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CN112850099A (zh) 电子元件搬送方法及电子元件搬送装置与搬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