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321B1 -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 - Google Patents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321B1
KR101085321B1 KR1020097005095A KR20097005095A KR101085321B1 KR 101085321 B1 KR101085321 B1 KR 101085321B1 KR 1020097005095 A KR1020097005095 A KR 1020097005095A KR 20097005095 A KR20097005095 A KR 20097005095A KR 101085321 B1 KR101085321 B1 KR 10108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rfactant
coating
article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466A (ko
Inventor
다케유키 가네다
노부유키 이타쿠라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03C17/322Polyurethanes o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5Hydrophilic and oleophil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90/00Compositions for creating anti-fog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을 얻기 위한 예비 방담성 물품으로서, 이 예비 방담성 물품은 기재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가지며, 상기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 중에는,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방담성 물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Non-fogging preproduction, non-fogging articles and coating fluid for the articles}
본 발명은 장기적으로 방담성(防曇性)을 발휘시키는 방담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 중에 방담성이 저하되어도 용이하게 방담성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담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유리나 그 밖의 물품의 기재표면에 생기는 흐림은, 무수한 미소(微小) 물방울이 기재표면 상에 생기는 결로현상에 의해서 생긴다. 이 흐림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표면 상에 생긴 무수한 미소 물방울을 똑같은 수막으로 하는 친수성 피막, 물방울을 피막 중에 집어넣는 수(水)흡수성 피막 등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기재 상에 친수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도포하여 유리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3에서는 도포된 친수성 화학종의 보유·유지(保持)를 장기화할 수 있도록, 기재 상에 미세한 요철형상을 갖는 피막을 형성하여, 이 요철부에 계면활성제 등의 친수성이 우수한 화학종이 보유·유지된 친수성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고 소52-4792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0023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65163호 공보
발명의 개요
특허문헌 1 내지 3 등을 포함하여 종래부터, 친수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물품의 최표면에 보유·유지함으로써 물품의 방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학종의 표면에서의 보유·유지시간은 짧기 때문에, 표면으로부터 바로 용출되어, 방담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이 짧은 것이 문제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화학종의 보유·유지를 장기화하는 것에 효과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방담성을 발휘시키는 방담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피막 중에 장기간 보유·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피막의 구조 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보유·유지를 길게 하기 위한 하나의 수법으로서, 계면활성제와 이를 담지하는 피막의 화학구조를 비슷한 것으로 한다는 착상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는, 방담성 물품을 구성하는 기재 상의 피막을 우레탄 수지로 되는 것으로 하고, 이 우레탄 수지는 수흡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동종의 구조단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우레탄 수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친화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검토에 의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피막에 도입할 때에는, 다음의 사실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종을 피막 중에 담지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도포액을 피막에 도포한 경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의 수산기가 기재측을 향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초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 수지 내에 담지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피막으로부터 용출되기 어렵다는 지견(知見)을 활용하여, 피막의 친수성의 발현에 기여하는 계면활성제를 장기간에 걸쳐서 피막 중에 담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우레탄 수지와 친화성이 높은 계면활성제를 피막에 도입하는 착상,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산기 자체가 피막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기 쉬운 것으로 한다는 착상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들 착상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을 얻기 위한 예비 방담성 물품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내어진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예비 방담성 물품이란, 기재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가지며, 상기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 중에는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담지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예비 방담성 물품은, 양(兩)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담지시킨 경우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장기간 피막 중에 담지시키는 능력을 갖는 것이다. 이 능력에 대해서는, 본 발명 실시예 중의 평가항목 2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비 방담성 물품 표면의 친수성의 정도에 따라서는, 예비 방담성 물품 자체를 방담성 물품으로서 취급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추가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은, 상기 예비 방담성 물품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방담성 물품으로서, 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 중에 담지되어 있음으로써 친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분자 내에 양이온 사이트와 음이온 사이트의 양쪽을 가지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교하면 극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물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그것이 피막 중에 들어감으로써 피막의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피막 중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담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양이온 계면활성제만을 피막 중에 담지시킨 경우, 피막 상에 수막이 형성되었을 때, 계면활성제는 유실되기 쉬워진다.
이 방담성 물품에서는,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2종류가 피막 중에 담지되어 있다. 이 2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존재함으로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자 내의 음이온 사이트가 물과 친화되는 것에 의한 양호한 방담성의 발현, 이 계면활성제의 양이온 사이트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우레탄 수지를 형성하고 있는 옥시에틸렌 사슬의 쌍방과 담지되는 것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 방담성 물품에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온 사이트가 피막으로부터 용출되기 어려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담지되어 있기 때문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피막으로부터 용출되기 어려워져, 그 결과, 방담성 물품의 방담성의 지속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방담성 물품은, 상기한 예비 방담성 물품과 수산기 및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HLB값(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9~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지며, 이 HLB값이 9~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 중에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으로 해도 된다. HLB값이 9~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피막 중에 집어넣으면, 이 계면활성제 중의 수산기가 기재측을 향하지 않고 피막의 바깥쪽을 향하는 상태로, 이 계면활성제가 피막 중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에 있어서, 더 나아가서는 피막 중에 담지된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수산기를 가지며, 그 HLB값이 9~14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의 방담성 물품으로는, 상기한 예비 방담성 물품의 상태로 친수성을 나타내는 물품이 될 수 있다. 예비 방담성 물품의 상태로 친수성을 나타내는 경우, 이것을 방담성 물품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은, 기재 상에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피막 중에 도입하는 공정, 또는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동시 또는 순차 피막 중에 도입하는 공정을 갖는 제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제조효율을 고려하면, 전체 계면활성제종을 동시에 피막에 도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피막으로의 도입은, 계면활성제의 피막으로의 도포로 행할 수 있고,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이 도포액은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을 얻기 위해 바람직한 도포액은, 피막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수산기 및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HLB값이 9~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방담성 물품은 친수성이 양호한 것을 가리키고, 물품을 수평으로 하여, 피막 상에 2 ㎕의 물방울을 정치시켰을 때의 피막 상에서의 물방울의 접촉각이 (JIS R 3257,「기판 유리표면의 습윤성 시험방법」, 1999년)에 준거한 방법에 의한 측정으로, 15°이하, 바람직하게는 8°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상기 방담성 물품은, 피막 상에서의 물방울의 접촉각을 8°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것으로 하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방담성 물품이라고 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은, 물품에 친수성을 초래하는 계면활성제가 피막으로부터 용출되기 어려워, 방담성 물품의 장기 사용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물품에 친수성을 초래하는 계면활성제가 용출된 경우에도, 도포 등의 수단으로 피막에 계면활성제를 용이하게 공급시키기 때문에, 물품의 방담성 회복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은, 수흡수성을 가지며, 또한 친수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미스트 사우나의 탈의실 등 수증기량 변화가 매우 큰 사용환경에 있어서 신속하게 방담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담성 물품으로 사용되는 기재에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소다석회유리가 사용된다. 이 유리는 자동차용, 건축용, 산업용 유리 등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유리로, 플로트법, 듀플렉스법, 롤 아웃법 등으로 제작된다.
유리종으로서는, 클리어를 비롯하여 그린, 브론즈 등의 각종 착색유리나 UV, IR 컷 유리, 전자 차폐유리 등의 각종 기능성 유리, 망입유리, 저팽창 유리, 제로 팽창 유리 등 방화유리로 제공할 수 있는 유리, 강화유리나 이와 비슷한 유리, 합판유리 외에 복층유리 등, 은도금법 또는 진공 성막법으로 제작된 거울, 더 나아가서는 평판, 굽힘판 등 각종 유리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판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차량용으로서는 1.0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유리 뿐 아니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금속(특히 금속거울), 세라믹스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최표면에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를 갖는 화학종과 활성수소기를 갖는 폴리올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이하, 피막형성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80℃~140℃에서 10분~60분간 가열함으로써 피막의 경화를 행하여,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얻는다.
피막형성 도포액의 도포방법은 롤 코트법, 딥 코트법, 브러싱법, 스프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커튼 코트법, 손칠 등의 주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도포한 후, 80℃~140℃에서 10분~60분간 가열함으로써 도포액 중의 용매를 건조시켜 피막을 형성시킨다.
피막형성 도포액에는 NCO기를 갖는 화학종, 및 폴리올의 방담성 우레탄 성분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경화촉매인 유기주석 화합물, 필러 성분, 희석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이 계면활성제로서, NCO기와 반응할 수 있는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NCO기를 갖는 화학종과, 폴리올의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도포액을 조제한다.
NCO기를 갖는 화학종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원료로 한 뷰렛 및/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3관능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당해 물질은, 내후성, 내약품성, 내열성이 있고, 특히 내후성에 대해 유효하다. 또한, 당해 물질 이외에도, 디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메틸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에는, 피막에 수흡수성에 의한 방담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올리고머의 수흡수성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수흡수성 폴리올이란,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성상을 갖는 것으로서, 분자 내의 수산기가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발생시켜, 우레탄 수지에 수흡수성의 성상을 도입할 수 있다. 이 수흡수성 폴리올은 수용성의 성상을 가져도 된다.
피막에 수흡수성에 의한 방담성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피막의 수흡수 포화시의 수흡수율이 15 중량% 이상이 되도록, 수흡수성 폴리올의 사용량을 조정하여, 피막 중의 수흡수성 폴리올 유래의 수흡수성분을 적당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흡수성 성분은, 옥시알킬렌계 폴리올 유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옥시에틸렌 사슬, 옥시프로필렌 사슬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흡수성이 우수한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흡수율은 지나치게 높으면 피막의 내수성, 경도, 내마모성 등이 낮아지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피막의 수흡수율이 30 중량%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폴리올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5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400 미만인 경우는 물을 결합수로서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지고, 평균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피막의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수흡수성이나 막강도 등을 감안하여, 이 평균 분자량은 400~45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폴리올에는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는, 수흡수성과 얻어지는 피막의 강도를 고려하여, 수평균 분자량을 400~2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에는 상기 수흡수성 폴리올에 더하여, 소수성 폴리올, 수평균 분자량이 60~200인 단쇄 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폴리올은 가요성과 내찰상성 양쪽을 겸비하여, 피막의 수흡수성 기능, 및 친수성 기능을 저하시키기 어렵고, 그 결과, 피막의 내수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균 분자량 500~2000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평균 분자량 2000~4000의 아크릴 폴리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경우, 수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는 피막이 지나치게 치밀해져 내마모성이 저하된다. 한편,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제의 성막성이 악화되어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얻어지는 막의 치밀성을 고려하면, 이 폴리올의 수산기 수는 2 또는 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그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의 경우,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미만인 경우는 피막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4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제의 도포성이 나빠져, 피막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얻어지는 피막의 치밀성, 경도를 고려하면, 이 폴리올의 수산기 수는 3 또는 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소수성 폴리올 유래의 소수성분은, 피막의 수흡수율, 및 물방울 접촉각이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도입하고, 바람직하게는 「JIS K 5400」에 준거하여 얻어지는 피막의 연필경도가 피막의 수흡수 포화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HB 내지 F가 되도록 도입한다.
또한, 단쇄 폴리올 유래의 성분은, 도포제의 경화성을 높이고, 피막의 막강도를 높이는 역할, 피막표면의 정적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단쇄 폴리올의 수산기 수는 2 또는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가 1인 경우는 이 단쇄 폴리올이 막의 골격성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막이 물러지고, 3을 초과하는 경우는 반응성이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도포제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단쇄 폴리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2-부텐-1,4-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2-에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1,2,6-헥산트리올, 2,2'-티오디에탄올 등의 알킬 폴리올,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을 들 수 있고, 그들을 단독, 또는 혼합물, 또는 그들의 평균 분자량이 200을 초과하지 않는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쇄 폴리올 유래의 성분은, 피막의 수흡수율, 및 물방울 접촉각이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도입할 수 있고, 도입하는 경우, 단쇄 폴리올을 수흡수성 우레탄 성분의 총량에 대해 2.5 중량%~1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흡수막은 수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에서는 방담성이 낮기 때문에 미량의 수증기를 쐬는 것(숨을 내쉬는 것)만으로 흐려져 버린다. 반대로 40 중량% 이상인 경우, 실용상 강도가 부족해지는 측면에서 10~40 중량%의 범위로 하였다. 또한 막두께가 얇으면 수흡수량이 근소하기 때문에, 수흡수율이 10 중량% 이하인 것과 마찬가지로, 미량의 수증기를 쐬는 것(숨을 내쉬는 것)만으로 흐려져 버린다. 막두께가 크면 균일한 막두께로 하기 어려워 광학적인 변형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막두께는 1~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막에 계면활성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은, 용매,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용매는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녹이고, 또한 계면활성제가 녹은 상태로 상기 피막에 흡액되어, 증발과정에서 계면활성제와 분리되어 상기 피막 바깥으로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 알코올류, 케톤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다가 알코올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서는 정제수, 이온 교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류로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케톤류로서는 아세톤, 아세톤알코올, 아세토인, 디아세톤알코올, 벤조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테르류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류로서는 초산이소부틸, 초산부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올레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미리스트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설포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설포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야자유 알킬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비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중량비로 0.2배~5배량, 바람직하게는 0.3배~3배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배~2배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의 피막으로의 도포방법은 롤 코트법, 딥 코트법, 브러싱법, 스트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다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커튼 코트법, 손칠 등의 통상의 방법에 따른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기재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24시간 정도 자연건조시키거나, 80℃~140℃에서 10분~60분간 가열함으로써 도포액 중의 용매를 건조시켜 피막을 형성시킨다.
실시예 1
1. 수흡수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의 제작
기재의 최표면에 피막 형성 도포액을 다음의 순서로 제작하였다. 평균 분자량 1250의 폴리카프로락톤디올(상품명 「프락셀 L212AL」 다이셀 화학공업제) 0.95 g 양(量)과, 에틸렌글리콜(1급 그레이드 기시다 화학주식회사제) 0.47 g 양과, 수지에 수흡수성을 초래하는 평균 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3.32 g 양을 혼합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혼합물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타입 폴리이소시아네이트(스미토모 바이엘 우레탄제, 상품명 「N3200」)를 4.26 g 양 첨가 혼합하고, 상기 전체 성분이 30 중량%가 되도록 디아세톤알코올로 희석하여, 피막 형성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도포액을, 소다석회유리판을 은도금하여 얻어진 거울 기재(100 ㎜×100 ㎜×5 ㎜(두께) 사이즈)의 반사층측과 반대측 전체 표면에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하였다. 그 후 150℃에서 60분간 가열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기재 상에 형성하였다. 이 피막의 수흡수율은 20%였다.
이 수흡수율은 다음의 순서로 측정된 것이다. 도포 전의 유리의 중량(A), 유리에 도포하여 가열한 후, 즉시 정밀천칭으로 측정한 시료의 중량(B), 40℃의 수증기를 피막에 쐬고, 흐림이 발생하여 시계의 변형이 생겼을 때의 시료의 중량(C)으로부터 하기의 계산식으로 도출하였다.
수흡수율=(C-B)/(B-A)×100 [%]
또한, 반사층측과 반대측의 유리기재 상에는, 물품의 내알칼리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라이머층은 다음의 순서로 얻어진 것이다.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LS-3150, 신에쯔 실리콘제)을, 90 중량%의 에탄올과 10 중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로 되는 변성 알코올(에키넨 F-1, 일본 알코올 판매제)로 1 중량%가 되도록 조제하고, 여기에 가수분해성 지르코늄 화합물인 옥시염화지르코늄 8 수화물을, 상기 규소 화합물의 규소량에 대해, 상 기 지르코늄 화합물의 지르코늄량이 중량비로 0.0008배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pH가 1.5인 프라이머층을 얻기 위한 액체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액체를 흡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로 되는 와이퍼(상품명 「벤코트」, 형식 M-1, 50 ㎜×50 ㎜, 오즈 산업제)로 유리기재 표면을 불식함으로써 이 액체를 도포하고, 실온상태에서 건조한 후, 수돗물을 사용하여 와이퍼로 피도포면을 수세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이 얻어진다.
2.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의 제작 및 방담성 물품의 제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12.9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TH-8」,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2
HLB의 값이 12.9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TH8」,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9.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흡수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3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9.7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L-4」,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4
HLB의 값이 9.7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L-4」,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9.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흡수성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5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15.4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O20」,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 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6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8.6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S-4D」,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7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5.2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아오키 유지제, 제품명 「브라우논 CH-302L」,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8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소프타민 L」, 계면활성제 농도 30%) 3.0 g 양, HLB의 값이 3.2인 폴리에틸렌글리콜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아오키 유지제, 제품명 「브라우논 BR-404」, 계면활성제 농도 100%) 1.0 g 양, 및 정제수 6.0 g 양을 혼합하여,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상기 1에서 얻어진 피막을 불식함으로써 피막에 이 도포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수흡수성을 갖는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방담성 물품의 특성평가]
다음의 항목을 평가함으로써, 방담성 물품의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가항목 1; 피막에 숨을 내쉬었을 때의 거울에 비치는 상의 육안평가.
평가항목 2; 수온 43℃로 설정한 항온조의 수면으로부터 3 ㎝의 위치에 시료를 수증기가 방담성 피막에 닿도록 3분간 정치한 후 약 25℃의 실온으로 신속하게 이동시켰을 때의 거울에 비치는 상을 육안평가한다. 이것을 1 사이클로 하고, 반복평가를 행하여, 시계의 변형이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사이클수를 센다. 이 사이클수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물품을 양품(良品)으로서 판단하였다.
또한, 예비 방담성 물품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장기간 담지시키는 능력에 대해서는, 본 평가의 결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을 담지하고 있는 물품에 대해 실시되는 본 평가에서, 상기 사이클 수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 되면, 각 실시예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양호하게 담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항목 3; 수평으로 놓여진 시료에 2 ㎕의 물방울을 정치했을 때의 시료와 물방울의 접촉각(JIS R 3257, 「기판유리 표면의 습윤성 시험방법」, 1999년).
Figure 112009014910705-pct00001
비교예 1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을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거울기재를 불식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방담성 물품을 얻어, 실시예와 동일한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 중의 계면활성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아르스코프 NS-230」, 계면활성제 농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 중의 계면활성제를, 양(陽)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카치날 AOC」, 계면활성제 농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도포액의 성분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아르스코프 NS-230」, 계면활성제 농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도포액의 성분인 양(兩)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양(陽)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카치날 AOC」, 계면활성제 농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4의 도포액의 성분인 HLB의 값이 9.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HLB의 값이 15.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O20」, 계면활성제 농도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순서로 예비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2에 「예비 9」로서 나타낸다. 그리고, 이 예비 방담성 물품의 피막을, 비교예 3에서 사용한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 즉 계면활성제종으로서 양이온성만을 갖는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불식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그리고, 방담성 물품의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4910705-pct00002
실시예 9
실시예 4의 도포액의 성분인 HLB의 값이 9.7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HLB의 값이 8.6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도호 화학공업제, 제품명 「페그놀 S-4D」, 계면활성제 농도 1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순서로 예비 방담성 물품을 얻어,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2에 「예비 10」으로서 나타낸다. 그리고, 이 예비 방담성 물품의 피막을, 비교예 3에서 사용한 피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포액, 즉 계면활성제종으로서 양이온성만을 갖는 도포액이 스며든 면직물로 불식한 후, 24시간 정치함으로써 방담성 물품을 얻었다. 그리고, 방담성 물품의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물품의 특성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Claims (6)

  1. 삭제
  2. 예비 방담성 물품과 양(兩)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방담성 물품으로서, 이 예비 방담성 물품은 기재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가지며,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 중에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피막 중에 담지된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수산기를 가지며, 그의 HLB값이 9~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
  5. 기재 상에 수흡수율이 10~40 중량%인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우레탄 수지로 되는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동시 또는 순차 피막 중에 도입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 또는 제4항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의 제법.
  6. 제2항 또는 제4항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방담성 물품을 얻기 위한 도포액으로서, 이 도포액은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수산기 및 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HLB값이 9~14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액.
KR1020097005095A 2006-08-23 2007-07-25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 KR101085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7004 2006-08-23
JPJP-P-2006-227004 2006-08-23
JP2007113873A JP5211540B2 (ja) 2006-08-23 2007-04-24 プレ防曇性物品及び防曇性物品並びに防曇性物品のための塗布液
JPJP-P-2007-113873 2007-04-24
PCT/JP2007/064537 WO2008023526A1 (fr) 2006-08-23 2007-07-25 Préproduction dépourvue de condensation, articles dépourvus de condensation et fluide de revêtement pour les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466A KR20090040466A (ko) 2009-04-24
KR101085321B1 true KR101085321B1 (ko) 2011-11-23

Family

ID=3910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95A KR101085321B1 (ko) 2006-08-23 2007-07-25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09198A1 (ko)
EP (1) EP2062861B1 (ko)
JP (1) JP5211540B2 (ko)
KR (1) KR101085321B1 (ko)
CN (1) CN101489948B (ko)
WO (1) WO2008023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0190A1 (en) * 2010-01-13 2011-07-14 Simunic Michael V Fog Resistant Mirror
DE102010032780A1 (de) 2010-07-26 2012-01-26 Helfried Haufe Hydrophile Schicht und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der Schich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WO2013005710A1 (ja) * 2011-07-06 2013-01-10 東海光学株式会社 防曇性光学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053731B (zh) 2011-12-15 2016-10-26 3M创新有限公司 包含含水聚合物分散体、交联剂和表面活性剂的防雾涂料
JP5855277B2 (ja) * 2011-12-15 2016-02-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水性ポリマー分散液、架橋剤、及びポリアルキレンオキシドの酸又は塩を含む防曇性コーティング
WO2015008672A1 (ja) * 2013-07-17 2015-01-22 旭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
JP6258150B2 (ja) * 2014-08-12 2018-01-10 株式会社枚方技研 サイドウォールの保護方法及びサイドウォールを保護したタイヤの製造方法
US9409380B2 (en) 2014-10-31 2016-08-09 Mcs Industries, Inc. Anti-fog mirror apparatus having a multi-layer film
CN107325665B (zh) * 2017-08-22 2020-03-13 中山市优贝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后视镜防雨剂及其制备方法
JP2021107198A (ja) * 2019-12-27 2021-07-2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飛行体
US20230057817A1 (en) * 2019-12-27 2023-02-23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Transparent laminate
KR102501167B1 (ko) * 2020-12-23 2023-02-21 주식회사 엘엠에스 필름 및 스마트 윈도우
CN113061391B (zh) * 2021-03-29 2022-03-18 光易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辐射固化的防雾涂层组合物和薄膜及其制备方法
JP7079952B1 (ja) 2022-02-15 2022-06-03 有限会社オーディオデザイン 多段アッテネ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276A (ja) * 2003-12-26 2005-07-14 Central Glass Co Ltd 防曇ガラス
JP2005200617A (ja) * 2004-01-19 2005-07-28 Central Glass Co Ltd 防曇性物品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716A (en) 1974-10-08 1976-04-08 Taiho Kogyo Co Ltd Garasuno hyomenshorizai
FR2549482B1 (fr) * 1983-07-22 1986-09-26 Saint Gobain Vitrage Couche transparente en matiere plastique resistant a l'embu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H0436376A (ja) * 1990-05-31 1992-02-06 Daiichi Shoko Kk 防曇性樹脂組成物
US5877254A (en) * 1996-07-22 1999-03-02 Film Specialties, Inc. Scratch-resistant anti-fog coating composition incorporating isocyanate-reactive surfactants
WO1998025761A1 (fr) * 1996-12-09 1998-06-18 Nippon Sheet Glass Co., Ltd. Article anti-bue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H11100234A (ja) 1996-12-09 1999-04-13 Nippon Sheet Glass Co Ltd 防曇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5163A (ja) 1999-03-18 2000-09-26 Toto Ltd 徐放性親水性部材
WO2001092234A1 (en) * 2000-06-01 2001-12-06 Merck & Co., Inc. Pyrazinone thrombin inhibitors
JP2002155159A (ja) * 2000-08-31 2002-05-28 Dainippon Ink & Chem Inc 防曇性樹脂シート、防曇剤および成形品
JP4551048B2 (ja) * 2001-08-08 2010-09-22 サンディック株式会社 防曇性樹脂シートならびに防曇性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43207B2 (ja) * 2001-09-04 2008-02-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4091757B2 (ja) * 2001-09-04 2008-05-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基材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4381742B2 (ja) * 2002-08-01 2009-12-0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防曇性膜形成用塗布剤
JP4391250B2 (ja) * 2004-01-19 2009-12-2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の製法
JP4036376B2 (ja) * 2004-04-09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89866B2 (ja) * 2004-09-10 2012-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平版印刷方法
JP2006104005A (ja) * 2004-10-04 2006-04-20 Soft99 Corporation ガラス用防汚防曇処理剤
JP4887622B2 (ja) * 2004-12-17 2012-02-2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防曇性被膜形成用塗布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276A (ja) * 2003-12-26 2005-07-14 Central Glass Co Ltd 防曇ガラス
JP2005200617A (ja) * 2004-01-19 2005-07-28 Central Glass Co Ltd 防曇性物品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466A (ko) 2009-04-24
EP2062861B1 (en) 2013-09-11
US20100009198A1 (en) 2010-01-14
WO2008023526A1 (fr) 2008-02-28
CN101489948A (zh) 2009-07-22
CN101489948B (zh) 2012-09-19
JP5211540B2 (ja) 2013-06-12
EP2062861A1 (en) 2009-05-27
EP2062861A4 (en) 2009-10-21
JP2008074694A (ja)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321B1 (ko) 예비 방담성 물품, 방담성 물품 및 방담성 물품을 위한 도포액
KR100850829B1 (ko) 방담성 물품, 그의 제조법 및 방담성 피막형성용 도포제
JP4381742B2 (ja) 防曇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防曇性膜形成用塗布剤
JP2559396B2 (ja) 柔軟な弾性ポリウレタンのコーティング層を備えた透明窓ガラス
US6780516B2 (en) Anti-fog coating composition, process, and article
US20040137155A1 (en) Fog-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831930B2 (ja) 車両用窓ガラスの視界を確保する方法
JP2008111050A (ja) 防曇性被膜形成用塗布剤及び防曇性被膜の形成方法
JP4401731B2 (ja) 防曇鏡
JP2004244612A (ja) 防曇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防曇性膜形成用塗布剤
JP2009167355A (ja) 浴室用防曇性物品及び製法
JP5151062B2 (ja) 被膜に親水性を付与するための塗布液及び防曇性被膜の製造方法
JP2008134477A (ja) 保護ガラス板を有する表示装置
JP4574178B2 (ja) 防曇性物品の製法
EP1325947A2 (en) Anti-fog coating composition, process, and article
JP2004076000A (ja) 防曇性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防曇性膜形成用塗布剤
JP2023106722A (ja) 防曇性被膜形成用塗布剤、防曇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防曇性物品
CN113045975B (zh) 防雾剂组合物及防雾产品
JP2023025853A (ja) 防曇性被膜形成用塗布剤、防曇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防曇性物品
JP2023118214A (ja) 防曇性被膜形成用塗布剤、防曇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防曇性物品
JP2009091243A (ja) 防曇窓ガラス
JP2010184821A (ja) 防曇性合せガラスの製法
JP2003010775A (ja) 防曇性膜の作製方法及び該方法で処理した防曇性物品
JP2009256124A (ja) 防曇性物品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