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309B1 -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309B1
KR101085309B1 KR1020110038159A KR20110038159A KR101085309B1 KR 101085309 B1 KR101085309 B1 KR 101085309B1 KR 1020110038159 A KR1020110038159 A KR 1020110038159A KR 20110038159 A KR20110038159 A KR 20110038159A KR 101085309 B1 KR101085309 B1 KR 10108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ain core
core panel
intermediate materi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Priority to KR102011003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는 양면에 요부와 철부를 갖는 요철형상으로 절곡된 메인 코어패널; 및 상기 메인 코어패널의 요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보강부를 복수의 연결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어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외판을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이 제작된다.

Description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CORE PARTS FOR PANEL AND SANDWICH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형상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금속재 코어패널을 이용하여 접합강도가 강하고 조립 및 제작이 간단하며 무게 대비 강성이 향상되는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건축, 차체, 선박, 항공, 전자제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고기능성 경량재료로 적용되는 패널소재이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중간재는 다양한 방법으로 파형 시트(Corrugated Sheet)를 만들고 각 파형 시트을 접합하면서 다른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작되는 파형 시트, 또는 얇은 시트를 접착제로 접합하여 적층한 후, 적층된 방향으로 다시 확장하여 하니콤 형상의 셀(cell)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허니콤 시트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샌드위치 패널의 경량화와 고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금속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중간재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소재의 중간재는 육각기둥 형상의 컵 모양으로 제작되는 허니콤 중간재나, 사각뿔 모양의 중간재가 그 일 예이며, 허니콤과 사각뿔 모양의 구조적 강성을 이용하여 경량화 및 고강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 허니콤 중간재가 샌드위치 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허니콤 모양의 구조적 강성에 의해 전체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무게 대비 강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용접 등에 의해 외판과의 접합 시, 중간재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절곡되는 별도의 접합용 플랜지를 형성하여야만 용접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접합방법으로 스폿용접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가 용접전극의 가압력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지 못하여 용접불량이 빈번하게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사각뿔 모양의 중간재는 성형 높이(또는 성형 깊이)에 따라 종이, 섬유, 프라스틱 등의 소재로는 제작이 용이하나, 알루미늄, 철 같은 금속소재의 경우에는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사각뿔 모양의 중간재가 금속소재로 제작되는 경우, 금속소재의 연신율에 따라 사각뿔의 성형 높이가 결정되는데, 해당 금속소재의 연신율 한계보다 높게 성형하면, 부분적으로 찢어지거나 크랙이 발생하여 사각뿔의 성형 높이가 매우 낮은 중간재만 제작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요철형상이 상호 교차된 상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코어패널을 이용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코어패널의 소재가 금속재인 경우에도 소재의 연신률과 상관없이 벤딩 성형을 통하여 성형 높이를 확보하면서도 제품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어패널 사이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여 용접 시의 가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접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국부 하중에 대한 국부 변형을 최소화하는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중간재를 이루는 복수의 코어패널을 조립하지 않은 단품으로 제공하고,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 시, 그 외판과 함께 접합되도록 하여 제작단가를 낮추는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양면에 요부와 철부를 갖는 요철형상으로 절곡된 메인 코어패널; 및 상기 메인 코어패널의 요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보강부를 복수의 연결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어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용 중간재를 제공하되, 상기 보강부는 상호 일정각 경사져 폭이 좁아지게 배치되어 양 측단이 상기 메인 코어패널의 요부의 양측 경사면에 끼워지며, 폭이 넓은 각 선단이 상기 연결판을 통하여 이웃한 다른 보강부와 각각 연결되는 양측 보강 경사면; 및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의 폭이 좁은 각 선단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은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상호 대칭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호 폭이 좁은 선단의 길이는 상기 메인 코어패널의 요부의 최소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호 폭이 넓은 선단의 길이는 상기 메인 코어 패널의 요부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과 보강 수평면은 각각의 양 측단에 상기 메인 코어패널의 요부의 양측 경사면에 접촉되는 지지단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요철형상의 복수의 코어패널을 상호 직각으로 교차된 상태로 끼워서 조립함으로 코어패널이 서로 박리되는 현상을 억제해주어 최소한의 접합으로도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갖는 갖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작이 간단하고,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패널용 중간재와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코어패널의 소재가 금속재인 경우에도 벤딩 성형을 통하여 소재의 연신률과 상관없이 성형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어패널의 교차 조립구조로 구조적 강성이 확보됨으로 스폿 용접 등의 가압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접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국부 하중에 대한 국부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중간재를 이루는 복수의 코어패널을 조립하지 않은 단품 상태로,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시에 그 외판과 함께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어패널의 수를 조정하거나 내부에 폼재를 적용하여 단열성, 보온성, 방음성 등 다양한 성능을 갖는 중간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다양한 접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에 폼재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에 요부(P)와 철부(CP)를 갖도록 절곡된 요철형상의 판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부(P)와 철부(CP)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요부(P)를 반대측에서 보면, 철부(CP)라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철부(CP)를 반대측에서 보면, 요부(P)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형상이라 함은 수직 중심선(SL)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양측 경사선(L1)을 긋고, 상기 양측 경사선(L1)의 폭(W)이 좁은 각 선단을 수평선(L2)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의 연속적인 패턴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은 상기 수직 중심선(SL)에 대하여 대칭으로 일정각 경사진 양측 경사면(11)을 갖고, 상기 양측 경사면(11)의 폭(W)이 좁은 각 선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면(13)을 가지며, 이러한 양측 경사면(11)과 이에 연결되는 수평면(13)이 일정 길이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코어패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 끼워져 조립되는 보강부(21)를 연결면(27)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21)는 양측 보강 경사면(23)과 이를 연결하는 보강 수평면(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은 상호 일정각 경사져 폭(W)이 좁아지게 배치되어 양 측단이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의 양측 경사면(11)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연결판(27)은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 외측에서 메인 코어패널(10)의 수평면(13) 상에 포개져 접촉된다.
즉,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은 폭(W)이 넓은 각 선단이 상기 연결판(27)을 통하여 이웃한 다른 보강부(21)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의 폭(W)이 좁은 각 선단은 상기 보강 수평면(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양측 보강 경사면(23)은 등변 사다리꼴과 같이, 수직 중심선(SL)에 대하여 상호 대칭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호 폭(W)이 좁은 선단의 길이(l1) 즉, 보강 수평면(25)의 길이(l1)는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의 최소 폭(W1)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은 상호 폭(W)이 넓은 선단의 길이(l2)가 상기 메인 코어 패널(10)의 요부(P)의 최대 폭(W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보강부(21)는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21)은 양측 보강 경사면(23)과 보강 수평면(25)의 각 양 측단에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서, 양측 경사면(11)에 접촉되는 지지단(29)을 갖는다.
이때, 상기 지지단(29)은 양측 보강 경사면(23)과 보강 수평면(25)에 대하여 직각(90°)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양측 경사면(11)에 대한 충분한 접촉력을 고려하여 절곡 각도를 90°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폭을 더 넓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단(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의 국부 강성을 향상시키고, 메인 코어패널(10)과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면 접촉을 이루어 이상 접촉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은 박판의 금속 판재를 벤딩(절곡)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되는 산업분야나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 성형하거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메인 코어패널(10)의 상부에 보조 코어패널(20)을 조립한 상태로 그 상측과 하측에 외판(30)을 각각 접합하여 샌드위치 패널(3)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외판(30)은 박판의 금속 판재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되는 산업분야의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의 판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판재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샌드위치 패널(3)은 상기 중간재(1)의 상측과 하측에 외판(30)을 접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또는 하측 중에, 한쪽에만 외판(30)을 접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다양한 접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샌드위치 판재(3)를 제작하기 위한 상기 중간재(1)와 외판(30)의 접합방법으로는 스폿용접, 레이저 용접, 리벳이음에 의한 접합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즉, 도 5의 T1에 도시된 스폿용접은 상기 중간재(1)의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 및 상기 외판(30)이 상호 조립되어 포개진 상태로, 상기 외판(30)에 대하여 용접전극(40)을 편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기저항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T2에 도시된 레이저 용접은 상기 중간재(1)의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 및 상기 외판(30)이 상호 조립되어 포개진 상태로, 상기 외판(30)에 대하여 초점구간의 레이저빔(LB)을 조사하여 키홀용접을 통해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T3에 도시된 리벳이음은 상기 중간재(1)의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 및 상기 외판(30)이 상호 조립되어 포개진 상태로, 리벳홀을 가공하여 리벳(50)에 의한 기계적 이음법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T4에 도시된 접착제에 의한 접착은 상기 중간재(1)의 메인 코어패널(10)과 보조 코어패널(20) 사이, 보조 코어패널(20)과 외판(30) 사이에 구조용 접착제(60) 등을 도포하여 오븐에서 경화과정을 거쳐 접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셀프 피어싱 등, 운용 가능한 다양한 접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에 폼재가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샌드위치 패널(3)이 단열성, 보온성, 방음성 등을 갖도록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는 상기 보강부(21) 내부 및 각 보강부(21) 사이에 폼재(70)가 충진될 수 있다.
즉, 상기 폼재(70)는 중간재(1) 상태의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서 상기 보강부(21) 내부 및 각 보강부(21) 사이에 첨가재를 이용하여 발포재를 발포시켜 충진된 상태로 제공되거나, 발포 폼 자체를 제단하여 삽입하는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폼재(70)는 발포성 수지재를 이용한 발포 폼을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발포성 수지재는 샌드위치 패널(3)의 용도나 기능에 따라 폴리스티렌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리섬유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한 일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메인 코어패널(10)과 2개의 보조 코어패널(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메인 코어패널(10)과 형상, 재질, 기능, 및 구조적 특징이 동일하여 세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2개의 보조 코어패널(20) 역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보조 코어패널(20)과 형상, 재질, 기능, 및 구조적 특징이 동일하여 세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상면과 하면의 각 요부(P)에 2개의 보조 코어패널(20)이 각 보강부(21)를 통하여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메인 코어패널(10)의 상면과 하면에 보조 코어패널(20)을 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에 비하여 더 큰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1)는 메인 코어패널(10)의 상면과 하면의 각 요부(P)에 보조 코어패널(20)을 각각 조립한 상태로 그 상측과 하측에 외판(30)을 각각 접합하여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3)로 제작된다.
즉,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재(1) 또는 이를 이용하여 샌드위치 패널(3)로 제작하는 경우, 차량에서와 같이 우수한 충돌흡수성능이 요구되는 범퍼빔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충돌흡수성능이 요구되거나 고강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부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재(1)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3)의 내부에 용도에 따른 다양한 폼재(70)를 충진하여 제작하는 경우, 다양한 산업분야의 맞춤형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충격흡수성과 함께 강성이 요구되는 범퍼빔의 경량화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강성과 방음성, 방열성이 요구되는 플로워 패널의 경량화 소재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재(1)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3)의 접합방법도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재(1)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3)의 접합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용 중간재는 요철형상의 메인 코어패널과 보조 코어패널을 상호 교차된 상태로 끼워 조립함으로 제작이 간단하며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코어패널과 보조 코어패널의 소재가 금속재인 경우에도 소재의 연신률과 상관없이 벤딩 성형을 통하여 성형 높이를 확보하면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중간재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은 중간재의 구조적 강성으로 용접 시의 가압력에 대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접합법의 적용이 가능하고, 국부 하중에 대한 국부 변형도 최소화한다.
또한, 중간재를 이루는 메인 코어패널과 보조 코어패널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로,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시에 그 외판과 함께 접합함으로써 제작단가를 낮추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중간재 3: 샌드위치 패널
10: 메인 코어패널 20: 보조 코어패널
P: 요부 CP: 철부
11: 경사면 13: 수평면
21: 보강부 23: 보강 경사면
25: 보강 수평면 27: 연결판
29: 지지단 30: 외판
70: 폼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양면에 요부(P)와 철부(CP)를 갖는 요철형상으로 절곡된 메인 코어패널(10);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에 끼워져 조립되는 복수의 보강부(21)를 복수의 연결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보조 코어패널(20)을 포함하는 패널용 중간재(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1)는 상호 일정각 경사져 폭이 좁아지게 배치되어 양 측단이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의 양측 경사면(11)에 끼워지며, 폭이 넓은 각 선단이 연결판(27)을 통하여 이웃한 다른 보강부(21)와 각각 연결되는 양측 보강 경사면(23);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의 폭이 좁은 각 선단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수평면(25)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중간재(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은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상호 대칭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호 폭이 좁은 선단의 길이는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의 최소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호 폭이 넓은 선단의 길이는 상기 메인 코어 패널(10)의 요부(P)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중간재(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보강 경사면(23)과 보강 수평면(25)은 각각의 양 측단에 상기 메인 코어패널(10)의 요부(P)의 양측 경사면(11)에 접촉되는 지지단(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중간재(1).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패널용 중간재(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외판(30)을 접합하여 제작되는 샌드위치 패널(3).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38159A 2011-04-25 2011-04-25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108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59A KR101085309B1 (ko) 2011-04-25 2011-04-25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59A KR101085309B1 (ko) 2011-04-25 2011-04-25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309B1 true KR101085309B1 (ko) 2011-11-22

Family

ID=4539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159A KR101085309B1 (ko) 2011-04-25 2011-04-25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37B1 (ko) 2012-08-03 2013-10-21 한국과학기술원 마그네슘 샌드위치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999A (ja) 2005-04-27 2006-11-09 Hideo Yugaw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2007055143A (ja) 2005-08-25 2007-03-08 Kyoto Univ パネルおよびパネル片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US20100227116A1 (en) * 2007-10-17 2010-09-09 Onera Three-dimensional sheet structure, method for making same, and sandwich-type structural material comprising such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999A (ja) 2005-04-27 2006-11-09 Hideo Yugaw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2007055143A (ja) 2005-08-25 2007-03-08 Kyoto Univ パネルおよびパネル片
KR100756629B1 (ko) * 2007-02-27 2007-09-07 문광선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US20100227116A1 (en) * 2007-10-17 2010-09-09 Onera Three-dimensional sheet structure, method for making same, and sandwich-type structural material comprising such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37B1 (ko) 2012-08-03 2013-10-21 한국과학기술원 마그네슘 샌드위치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29B1 (ko) 하니콤 코아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US8714631B2 (en) Raised and recessed sheet material, and vehicle panel and laminated structure using the same
US20170305469A1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JP5752749B2 (ja) パネル部材、プレス型、及びパネル部材の製造方法
JPWO2006059724A1 (ja) 車体パネル構造体
JP6660482B2 (ja) 自動車用フロアパネルおよび自動車用フロア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50049290A (ko) 차량용 튜블러 백빔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39326B (zh) 减振材料
JP5695556B2 (ja) 自動車のキャビン構造
KR101207472B1 (ko) 피라미드형 트러스 구조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작 방법
WO2012081269A1 (ja) 凹凸部を有する板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パネル及び積層構造体
KR101085309B1 (ko) 패널용 중간재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KR100851780B1 (ko) 차량용 범퍼빔
JP7095821B2 (ja) 車体の側面部材構造
JP6024786B2 (ja) 積層構造体
JP5700767B2 (ja) 凹凸部を有する板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パネル及び積層構造体
JP2012051004A (ja) 凹凸部を有する板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パネルおよび積層構造体
JP6819437B2 (ja) ルーフ構造
CN113653758A (zh) 蜂窝结构
JP6842666B2 (ja) ルーフ構造
JP4776121B2 (ja) 防音部材
JP3905298B2 (ja) 波形芯材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設計方法
JP5484231B2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20230149999A1 (en) Spacer structure, sandwich construction with a spacer structure of this kind and method for producing a spacer structure of this kind
JP4960726B2 (ja) 自動車のサイド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