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337B1 - 숯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337B1
KR101083337B1 KR1020110005571A KR20110005571A KR101083337B1 KR 101083337 B1 KR101083337 B1 KR 101083337B1 KR 1020110005571 A KR1020110005571 A KR 1020110005571A KR 20110005571 A KR20110005571 A KR 20110005571A KR 101083337 B1 KR101083337 B1 KR 10108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dule
septic tank
cover
main body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신
Original Assignee
박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신 filed Critical 박경신
Priority to KR102011000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337B1/ko
Priority to PCT/KR2012/000441 priority patent/WO2012099395A2/ko
Priority to CN2012800059521A priority patent/CN103328893A/zh
Priority to JP2013550398A priority patent/JP600155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00Mechanical igni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Air Supply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숯불의 착화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제거하여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숯 착화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숯이 수용되는 화덕이 안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통기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1 냉각 모듈과,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제1 냉각 모듈을 덮는 덮개와, 덮개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냉각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덮개의 외부와 통기되는 제2 통기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2 냉각 모듈과, 제2 냉각 모듈의 내측에 설치되며 화덕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숯 착화장치{charcoal ignition device}
본 발명은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숯불의 착화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제거하여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숯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가스기구 및 전열기구의 발달로 다양한 조리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를 불에 직접 구워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아직도 숯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숯불은 육류를 조리함에 있어서, 맛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숯의 특성상 점화와 관리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숯을 착화하기 위해서 숯가마에 숯불을 미리 피워놓고 필요할 때마다 숯불을 옮겨 담아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숯의 소비가 많고 별도의 숯가마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적, 장소적인 부담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숯가마는 안전상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관리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따라, 숯불이 필요할 때 비교적 용이하게 숯불을 착화시킬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숯불 착화장치는 사용이 불편하고, 장치 외부로 발열되는 발열량이 많아 안전상의 이유로 좁은 곳에서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버너에서 방사되는 화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에너지 효율이 지나치게 낮고 착화시간이 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숯 착화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화덕과 외부를 밀폐하여 버너의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화덕의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외부 발열량이 적어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숯불의 착화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제거하여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숯 착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숯이 수용되는 화덕이 안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통기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1 냉각 모듈과,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 모듈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냉각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외부와 통기되는 제2 통기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2 냉각 모듈과, 상기 제2 냉각 모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화덕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숯 착화장치는 본체와 덮개를 힌지구조로 결합하여, 숯불 화덕의 삽입과 배출이 용이하며, 덮개의 개폐 장치에 스위칭 구조를 결합하여 숯 착화장치의 점화 및 냉각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숯 착화장치의 발열 부분인 화덕이 안착되는 부분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냉각모듈을 형성하여, 숯 착화시에 공급되는 열 및 숯불의 열이 장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제한 요소가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점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숯 점화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숯 착화과정 및 냉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숯 점화장치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개폐 스위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점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점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숯 점화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는 숯(C)을 수용하는 화덕(B)이 안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를 덮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서, 화덕(B)이 안착되는 제1 냉각 모듈(110)과 연소가스의 먼지입자를 제거하는 제1 정화조(도 3의 130 참조) 및 제2 정화조(도 3의 14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화덕(B)을 통과한 연소가스는 제1 통기공(120)을 통하여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본체(100)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덮개(200)는 본체(100) 상부에 부착되며 내측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230)와 제2 냉각 모듈(210)을 포함하여, 본체(100) 상부에 덮개(200)를 덮으면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 사이에서 화염에 의해서 숯(C)이 착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체(100)와 덮개(200)는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 통기공(220)을 통해서만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본체(100)와 덮개(200)의 개폐 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완충기(2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기(280)는 덮개(200)의 개폐시에 덮개(200)의 개방 및 폐쇄 속도를 제어하거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체(100)와 덮개(200) 사이에는 개폐 스위치(250)가 설치되어, 덮개(20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숯 착화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기본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본체(100)와 덮개(200) 내부에서 숯(C)이 안전하게 착화되고, 연소가스는 안전하게 배기될 수 있어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숯 착화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숯(C)이 담겨있는 화덕(B)은 제1 냉각 모듈(110)의 내측에 안착된다. 제1 냉각 모듈(110)은 화덕(B)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넓게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각 모듈(110)의 중앙부는 화덕(B)과 통기될 수 있도록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구는 제1 통기공(120)을 통하여 제1 정화조(130)로 연결된다.
제1 냉각 모듈(110)은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여 버너(230)와 숯(C)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 기능과 함께 화덕(B)의 안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숯(C)이 담겨있는 화덕(B)이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통기공이 형성된 받침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덮개(200)를 향하여 넓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화덕(B)이 제1 냉각 모듈(11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냉각 모듈(110)은 이중벽체 구조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중벽체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냉각 모듈(110)의 일측에는 제1 냉각수 유입관(111)과 제1 냉각수 유출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 냉각수 유입관(111)은 제1 냉각 모듈(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냉각수 유출관(112)은 제1 냉각 모듈(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제1 냉각 모듈(110)은 반드시 이중벽체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냉각관이 코일형태로 굴절되어 용기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냉각 모듈(110)은 화덕(B)이 안착되는 구조와 냉각수가 유통되는 구조가 결합된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든지 가능할 것이다.
제1 냉각 모듈(110)은 상부에 제2 냉각 모듈(210)이 결합되어, 내측에 화덕(B)과 버너(23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2 냉각 모듈(210)은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200)에 설치되어, 덮개(200)가 본체(100)에 결합되면 제2 냉각 모듈(210)은 제1 냉각 모듈(11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냉각 모듈(210)은 제1 냉각 모듈(110)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이중벽체 구조로 형성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냉각 모듈(110)의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 모듈(210)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통기공(220)이 형성되어 있어, 화덕(B)에 담겨진 숯(C)으로 신선한 외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2 냉각 모듈(210)은 제1 냉각 모듈(110)과 같이 일측에 제2 냉각수 유입관(211)과 제2 냉각수 유출관(212)이 부착되어 있어, 제2 냉각수 유입관(211)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2 냉각 모듈(210) 내부를 순환하여 제2 냉각수 유출관(212)을 통하여 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의 순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2 냉각수 유입관(211)은 제2 냉각 모듈(210)의 하부에 연결하고, 제2 냉각수 유출관(212)은 제2 냉각 모듈(210)의 상부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냉각 모듈(210)의 내측에는 숯(C)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230)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230)는 제2 통기공(2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2 통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신선한 외기에 의해 화염의 생성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 통기공(220)은 덮개(200)의 외측과 직접 연통될 수도 있으나, 덮개(200)의 외측에 형성된 슬릿홀(270)을 통하여 외측과 통기될 수 있다.
버너(230)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며, 버너(230)의 각 노즐에는 점화플러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230)의 각 노즐은 화덕(B)의 숯(C)에 화염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버너(230)는 덮개(200)의 상단에 설치된 제어반(260)에 의해 제어되며, 안전을 위하여 덮개(200)가 닫힌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도록 개폐 스위치(250)에 의하여 2중으로 제어된다. 개폐 스위치(250)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본체(100)와 덮개(200) 중 하나는 돌출구조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요홈이 형성되어, 본체(100)와 덮개(200)의 접촉면이 요철결합을 이루어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는 본체(100)와 접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면(205)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0)는 덮개(200)와 접하는 부분이 오목하에 만입된 오목면(10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200)의 돌출면(205)은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오목면(105)과 접하도록 되어 있어,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덮개(200)와 본체(100)는 요철결합을 함으로써, 내부의 공간을 밀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통기공(12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대부분 제2 통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되며, 덮개(200)와 본체(100) 사이의 틈으로 새어 들어오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열효율의 증가 효과를 발생시키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덮개(200)는 손잡이(240)를 이용하여 본체(100) 상단에 힌지 구조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서, 완충기(280)에 의해 덮개(200)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다. 완충기(280)는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기(shock absorber)의 일종으로 코일과 같은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기(280)는 덮개(200)의 개방 속도나 폐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 중에 덮개(200)가 갑자기 닫히거나, 내부에 숯이 들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개방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덮개(200)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힘을 추가하는 역할을 하여, 힘이 약한 여성들도 쉽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100)의 하부에는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는 가스와 숯(C)이 연소된 후의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화염에 의해 숯(C)이 착화되면서, 연소가스에는 재, 숯 입자 등의 미세 먼지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는 이러한 미세 먼지를 물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연소가스가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본체(100) 밖으로 배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정화조(130)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큰 먼지 입자를 1차적으로 제거하며, 제1 정화조(13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다시 제2 정화조(140)를 통과함으로써, 미세한 먼지 입자까지 제거할 수 있다.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는 내측에 격벽(161, 16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격벽 구조는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 내부에서 연소가스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키는 역할과 함께 물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연소가스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격벽(161, 162)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61, 162)은 미로 형태로 형성되거나, 연기의 차단막 역할을 하는 다수의 독립된 벽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의 내부에는 격벽(161, 162)이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물이 채워져 있다. 따라서, 격벽(161, 162)을 따라 이동하는 연소가스는 하부에 항상 물과 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격벽(161, 162)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체(100)의 크기나 연소가스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는 제1 정화조(130) 내부의 격벽(161)은 미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차지하는 제2 정화조(140) 내부의 격벽(162) 하나 또는 두 개의 차단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 사이에는 환풍장치(150)가 설치되어, 제1 정화조(130) 내부의 연소가스가 제2 정화조(140)를 거쳐 배기구(153)를 통해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환풍장치(150)는 외기가 제2 통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되어 버너(230)와 화덕(B)을 거쳐 제1 통기공(120),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를 거쳐 배치되는 일련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1 정화조(130)의 일측에는 배출관(170)이 형성되어 있어, 제1 정화조(130) 내부의 먼지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숯(C)의 착화과정 및 연소가스의 배기 과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숯 착화과정 및 냉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숯 점화장치를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제1 냉각 모듈(110) 내측에 숯(C)이 담겨있는 화덕(B)이 수용되고, 제2 냉각 모듈(210)이 제1 냉각 모듈(110)의 상부에 밀착되면, 화염이 방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순환이 시작되며, 환풍장치(150)가 동작하여 외기가 제2 통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통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화덕(B)을 통과하여 제1 통기공(120)을 향하여 배출된다.
이어서, 제2 통기공(220)에 설치된 버너(230)는 화염을 방사하게 되며, 화염은 숯(C)을 가열하여 숯(C)을 착화시킨다. 숯(C)이 착화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화덕(B)을 통과하여 제1 통기공(120)으로 흡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밀폐 구조를 형성하여,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 내부의 공기의 흐름은 제2 통기공(220)으로부터 제1 통기공(120)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며, 화염을 숯(C)이 담긴 화덕으로 가속화하게 된다.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제2 통기공(22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통기공(120)을 통해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디퓨져와 노즐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냉각 모듈(210)은 제1 냉각 모듈(110)을 향하여 단면적이 커지는 디퓨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냉각 모듈(110)은 제1 통기공(120)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퓨져와 노즐의 결합 형태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화염의 연소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화염에 의해 발생된 열은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외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체(100)와 덮개(200)의 표면까지 열이 전달되지 않아, 좁은 공간이나 인화성 물질이 주위에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기공(1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제1 정화조(130)로 이동한다. 제1 정화조(130)의 내부에는 격벽(161)이 미로와 같이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경로를 가이드하게 된다. 연소가스는 제1 통기공(120)을 통하여 제1 정화조(13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정화조(130) 내부에서 격벽(16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소가스에 포함된 큰 먼지 입자는 대부분 물에 흡착된다. 이와 같이 제1 정화조(130)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배관(151. 152)을 통해 제2 정화조(140)로 이동한다.
제2 정화조(140)는 제1 정화조(130)와 마찬가지로 격벽(162) 형태의 미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정화조(140)는 제1 정화조(130)를 통하여 제거되지 않은 연소가스 속의 나머지 먼지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먼지 입자가 제거된 연소가스는 배기관(153)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제2 정화조(140)는 제1 정화조(130)와 완전히 분리되어 별도의 정화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정화조(130)와 제2 정화조(140)를 서로 연통하여 물을 순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정화조(130) 및 제2 정화조(1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플로팅 스위치(180)가 형성되어, 제1 정화조(130) 또는 제2 정화조(140) 내의 정화수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플로팅 스위치(180)란 스위치의 조작부가 물어 떠 있으며, 물의 높이가 낮아지면 동작으로 하고, 물의 높이가 높아지면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수위조절 장치를 말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숯 점화장치의 개폐 스위치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숯 점화장치의 개폐 스위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숯 착화장치(1)는 덮개(200)의 여닫는 동작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 스위치(250)를 포함한다. 개폐 스위치(250)는 덮개(200)가 본체(100)에 닫히게 되면 동작을 하고, 덮개(200)가 본체(100)로부터 개방되면 동작을 멈추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개폐 스위치(250)는 압력의 입력 여부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부(252)와, 덮개(2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스위치부(252)에 압력을 인가하거나 해제하는 누름부(251)와, 스위치부(252)를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53)를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개방되고, 누름부(251)가 스위치부(252)로부터 이탈되면, 개폐 스위치(250)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버너(230)로 유입되는 가스 밸브가 차단되고, 제1 냉각 모듈(110) 및 제2 냉각 모듈(210)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즉, 개폐 스위치(250)가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게 되면, 숯 착화장치(1)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 따라서, 덮개(2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숯 착화장치(1)가 점화되지 않아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덮개(200)가 닫히고 누름부(251)가 스위치부(25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개폐 스위치(250)는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버너(230)로 유입되는 가스 배관이 열리고,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로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숯 착화장치(1)가 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덮개(200) 상부의 제어반(260)을 통하여 버너(2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에도 갑작스럽게 덮개(200)가 열리면 가스를 자동차단하여 숯 착화장치(1)를 멈추게 할 수 있다. 다만,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잔류 열기의 냉각을 위해 계속 순환모드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숯 착화장치(1)는 제1 냉각 모듈(110') 및 제2 냉각 모듈(21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숯(C)이 담기는 화덕(B)은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숯 착화장치(1)는 사각형 화덕(B)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을 포함한다.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디퓨져 형상과 노즐 형상의 결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냉각 모듈(110')과 제2 냉각 모듈(210')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과 사각형인 것은 서로 교체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숯 착화장치 100: 본체
110: 제1 냉각 모듈 111: 제1 냉각수 유입관
112: 제1 냉각수 유출관 120: 제1 통기공
130: 제1 정화조 131: 세척구
140: 제2 정화조 150: 환풍장치
161, 162: 격벽 170: 배출관
180: 플로팅 스위치 190: 바퀴
200: 덮개 210: 제2 냉각 모듈
211: 제2 냉각수 유입관 212: 제2 냉각수 유출관
220: 제2 통기공 230: 버너
240: 손잡이 250: 개폐 스위치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에 숯이 수용되는 화덕이 안착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1 냉각 모듈;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통기공;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냉각 모듈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냉각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유통되는 제2 냉각 모듈;
    상기 제2 냉각 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를 상기 화덕에 공급하는 제2 통기공; 및
    상기 제2 냉각 모듈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화덕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모듈은 상기 제1 냉각 모듈을 향하여 단면적이 커지는 디퓨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냉각 모듈은 상기 제1 통기공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형상으로 형성된 숯 착화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모듈과 상기 제2 냉각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통기공과 상기 제2 통기공을 제외한 공간이 밀폐되어, 상기 제2 통기공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와 상기 화덕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통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숯 착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중 하나는 돌출구조이고 나머지 하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는 접촉면이 요철결합을 하여 밀폐구조를 형성하는 숯 착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개폐시 개방 및 폐쇄 속도를 제어하거나 충격을 완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버너의 동작과, 상기 제1 냉각모듈 및 상기 제2 냉각 모듈의 냉각수 순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되,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닫히면 동작하고 개방되면 동작을 멈추게 하는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통기공과 연통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물이 채워지며, 상기 제1 통기공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제거하는 정화조를 더 포함하는 숯 착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통기공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키는 숯 착화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제1 정화조와 제2 정화조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정화조와 상기 제2 정화조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소가스를 가이드하는 격벽; 및
    상기 제1 정화조와 상기 제2 정화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를 배기시키는 환풍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정화조는 상기 제1 통기공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2 정화조는 상기 환풍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정화조와 연결되어,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제1 정화조, 상기 환풍장치 및 상기 제2 정화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숯 착화장치.
KR1020110005571A 2011-01-19 2011-01-19 숯 착화장치 KR10108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571A KR101083337B1 (ko) 2011-01-19 2011-01-19 숯 착화장치
PCT/KR2012/000441 WO2012099395A2 (ko) 2011-01-19 2012-01-18 숯 착화장치
CN2012800059521A CN103328893A (zh) 2011-01-19 2012-01-18 木炭点火装置
JP2013550398A JP6001559B2 (ja) 2011-01-19 2012-01-18 炭の着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571A KR101083337B1 (ko) 2011-01-19 2011-01-19 숯 착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09A Division KR20120084247A (ko) 2011-08-03 2011-08-03 숯 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337B1 true KR101083337B1 (ko) 2011-11-15

Family

ID=4539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571A KR101083337B1 (ko) 2011-01-19 2011-01-19 숯 착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01559B2 (ko)
KR (1) KR101083337B1 (ko)
CN (1) CN103328893A (ko)
WO (1) WO20120993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31A (ko) 2014-07-18 2016-01-27 (주)파이어큐브 가연성 숯 착화 용기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9418A (zh) * 2014-06-03 2014-08-20 常州市科宏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金属烧烤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59Y1 (ko) 2001-04-17 2001-10-11 심상창 숯불 착화장치
KR200435994Y1 (ko) 2006-12-13 2007-04-05 노상완 고기 구이기
KR100945716B1 (ko) 2009-10-19 2010-03-05 임재규 숯 점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840A (en) * 1992-03-23 1997-04-08 Convenience Technologies, Inc. Cooking grill
TW347853U (en) * 1997-11-24 1998-12-11 Meng-Yu Li Improvement for smokeless roast apparatus
JP2891694B1 (ja) * 1998-03-24 1999-05-17 山岡金属工業株式会社 調理器
JP2000116534A (ja) * 1998-10-12 2000-04-25 Kin Meikitsu ロースター装置及びロースター装置用燃焼内面保護具
JP2000193245A (ja) * 1998-12-24 2000-07-14 Noda Happy:Kk 焼き肉用炭の炭おこし炉
JP4053171B2 (ja) * 1999-03-05 2008-02-27 雅博 三浦 木炭の着火装置
KR19990022714U (ko) * 1999-04-03 1999-07-05 유복만 난방용온수를가열하는숯불점화기
JP2002034797A (ja) * 2000-07-27 2002-02-05 Hideo Nishina ロス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ロースター
KR200220744Y1 (ko) * 2000-11-13 2001-04-16 동명기전주식회사 온수보일러겸용 숯불점화장치
KR20020041391A (ko) * 2002-05-16 2002-06-01 김성환 숯불 점화 장치
CN2574560Y (zh) * 2002-10-11 2003-09-24 许庭荣 一种电烤箱
KR200309608Y1 (ko) * 2003-01-17 2003-04-08 이승규 숯불 점화장치
JP2005147524A (ja) * 2003-11-14 2005-06-09 Fumitaka Fujiwara 卓上コンロ
CN2889112Y (zh) * 2006-01-13 2007-04-18 周辉权 一种带断电保护开关的烤鱼器
KR100858443B1 (ko) * 2007-10-11 2008-09-12 노부영 숯불 발화기용 분진 집진장치
CN201387236Y (zh) * 2009-02-27 2010-01-20 重庆吉恩埃热能科技有限公司 圆形熔铝炉的倾翻炉盖
KR20100102261A (ko) * 2009-03-11 2010-09-24 권혁진 숯 점화 및 처리장치
CN201701061U (zh) * 2010-04-12 2011-01-12 宏柏实业股份有限公司 烘烤炉加热装置的开关安全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59Y1 (ko) 2001-04-17 2001-10-11 심상창 숯불 착화장치
KR200435994Y1 (ko) 2006-12-13 2007-04-05 노상완 고기 구이기
KR100945716B1 (ko) 2009-10-19 2010-03-05 임재규 숯 점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31A (ko) 2014-07-18 2016-01-27 (주)파이어큐브 가연성 숯 착화 용기
KR101760427B1 (ko) * 2016-09-12 2017-07-21 박종태 숯 착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8893A (zh) 2013-09-25
JP6001559B2 (ja) 2016-10-05
JP2014506665A (ja) 2014-03-17
WO2012099395A2 (ko) 2012-07-26
WO2012099395A3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337B1 (ko) 숯 착화장치
KR20120084247A (ko) 숯 착화장치
KR100945716B1 (ko) 숯 점화장치
KR100682239B1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JP2007229193A (ja) 炭火ロースター
KR200467037Y1 (ko) 로스터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20130081783A (ko) 화목 난로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101480122B1 (ko)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2283046B1 (ko) 파라핀을 이용한 연탄 난방기
KR101591365B1 (ko) 선순환식 연소장치
KR10143112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0477049Y1 (ko) 가스 조리기
KR200427243Y1 (ko) 연탄보일러
CN219438806U (zh) 净化模块以及具有净化功能的烹饪设备
KR20130133958A (ko) 괴탄을 연료로 하는 구이기
KR101287828B1 (ko) 멸치 삶는 장치
KR20110082653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170142940A (ko) 친환경 무연 구이기
KR100892052B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장치
CN104235883A (zh) 一种用于燃烧块状燃料的复合燃烧节能炉
KR20190023542A (ko)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는 하이브리드형 벽난로
CN104235881A (zh) 一种用于燃烧块状燃料的复合燃烧炉
KR20240003303A (ko) 스토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