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59Y1 - 숯불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59Y1
KR200238659Y1 KR2020010010779U KR20010010779U KR200238659Y1 KR 200238659 Y1 KR200238659 Y1 KR 200238659Y1 KR 2020010010779 U KR2020010010779 U KR 2020010010779U KR 20010010779 U KR20010010779 U KR 20010010779U KR 200238659 Y1 KR200238659 Y1 KR 200238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hamber
charcoal
water chamber
i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창
손혜경
Original Assignee
심상창
손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창, 손혜경 filed Critical 심상창
Priority to KR2020010010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5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숯의 착화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함유된 연기나 그을름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건물이나 물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이고 사용이 편한 착화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착화장치(30)는 내통(31)과 외통(32)으로 구성되어 하단면을 막은 케이스(33)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31)의 내부에는 착화를 위한 숯(36)을 안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스톨(34); 상기 로스톨(34)로 구획되어 하방에 형성되는 연소실(35)과 상방에 형성되는 착화실(37); 상기 연소실(35)에는 외통(32)외부까지 연장된 버너장착구(38)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실(37)의 상방에 형성되는 뚜껑안치홈(39)에 치합되는 뚜껑(40)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31)과 외통(32) 상간에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각할 수 있도록 인렛포트(46)와 아웃렛포트(47)를 가지는 수실(45)을 형성하고; 상기 착화실(37)과 수실(45)상간에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수실(45)로 유입시켜 정화할 수 있도록 유도관(50)을 연결하고; 상기 수실(45)의 일측방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 착화장치{A charcoal to light a fire apparatus}
본 고안은 숯불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에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에 불을 붙이는 개량된 착화장치를 제공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와 함께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숯불 착화장치는 주로 음식점과 같은 영업장소에서 육류를 구울 화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실외에서 별도로 숯(또는 탄)을 착화시킨 후 실내에 배치된 식탁에 구비되는 화로에 안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숯을 실외에서 착화시키는 것은 실내에서 착화시킬 경우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그을름이나 연기등으로 인하여 내방객들의 불편을 다소나마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숯을 착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착화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일측에 송풍을 겸하는 버너(2)와 연결하기 위한 버너장착구(3)를 가지고 상방이 개방된 착화로(4)가 구비된다.
상기 착화로(4)의 개방된 상면에는 착화시킬 숯을 안치하고 화력이 올라올 수 있도록 망체와 같은 로스톨(5)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숯을 착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착화로에 숯을 안치시킨 후 버너를 작동시킴으로서 버너의 열원이 숯에 전달되어 착화가 되고, 착화과정에서발생하는 화염이나 연기 및 그을름은 착화로의 상부로 비산되도록 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착화장치는 영업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하루의 착화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작업자는 연속적인 착화작업에 전념하여야 함으로서 착화과정에서 올라오는 화염등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상당히 높다.
특히,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름이 작업자의 신체나 옷등은 물론 주변의 물품이나 벽면에 흡착됨으로서 오염도가 심하게 되고 위생상태가 좋지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착화시 발생하는 화염이나 연기 및 그을음이 영업장소 주변으로 비산되어 주변의 주택이나 상가등의 벽면은 물론, 빨래줄에 늘어놓은 빨래의 오염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연기와 그을름의 경우에는 대기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숯의 착화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함유된 연기나 그을름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건물이나 물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가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착화장치
33; 케이스
35; 연소실
37; 착화실
45; 수실
50; 유도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시가 적용된 숯불 착화장치의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음식점과 같은 영업장소에서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에 불을 붙이는 착화장치를 개선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와 함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착화장치(3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내통(31)과 외통(32)으로 하단면이 막혀있는 케이스(33)를 구비한다.
상기 내통(31)의 내부 중상부 위치에는 착화를 위하여 공급되는 숯은 낙하하지 않고 버너의 열기는 숯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멍을 가지거나 망체로 이루어진로스톨(34)을 구비한다.
상기 로스톨(34)을 중심으로 하방에는 연소실(35)을 형성하고 상방에 숯(36)이 공급되는 착화실(37)을 형성한다.
상기 연소실(35)의 일측방에는 외통(32) 외부까지 연장된 송풍기나 버너를 장착할 수 있는 버너장착구(이하 버너장착구라 한다;38)를 가지도록 하고, 착화실(37)의 상방에는 뚜껑안치홈(39)에 치합되는 뚜껑(40)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40)과 뚜껑안치홈(39)에는 연소로 발생하는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열전도성이 낮을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링(4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사용중 야기될 수 있는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통(31)과 외통(32) 상간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수실(45)을 형성하여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수실(45)의 상부에는 인렛포트(46)를, 하방 일측에는 아웃렛포트(47)를 구비하여 물을 교환하고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렛포트(46)는 별도로 구비되는 보충수탱크와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수실(45)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착화실(37)과 수실(45)상간에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 및 배기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물에 수거되고 순수 배기가스만을 배출할 수 있는 유도관(50)을 연결한다.
상기 수실(45)의 일측방에는 수실을 경유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착화장치(30)의 사용은, 케이스(33)의 상방에 구비되는 뚜껑(40)을 개방한 후 착화할 숯(36)을 착화실(37)에 삽입하고 뚜껑(40)을 닫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너장착구(38)에 장착된 버너(55)를 작동시켜 버너(55)의 열원이 연소실(35)을 거쳐 숯(36)을 안치하고 있는 로스톨(34)을 통과하여 숯(36)에 전달됨으로서 착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숯(36)을 착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배기가스 및 그을음은 뚜껑(40)으로 착화실(37)이 밀폐되어 있음으로서 착화실(37)의 상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착화실(37)과 수실(45)상간을 연결하고 있는 유도관(50)을 따라 수실(45)을 경유한 상태에서 수실(45)의 일측방에 구비되는 배출구(51)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관(50)을 따라 착화실(37)에서 수실(45)로 경유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그을음은 수실(45)에 충진된 물에 낙하하게 되고 순수한 배기가스만이 배출구(51)를 통하야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특히, 연소실(35)과 착화실(37) 외측에 구비되는 수실(45)에 충진된 물에 의하여 연소 및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감으로서 착화장치(30) 전체가 고온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통(32)에 까지 그 열이 전도되지 않아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화상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실에 충진된 물은 인렛포트(46)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충진하거나 아웃렛포트(47)를 통하여 배출하여 주면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예시로서는, 착화장치(30)에 구비되는 수실(45)은 연소실(35)과 착화실(37)의 직접열을 전도받아 고온으로 됨으로서 구이판을 세정하는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소 및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나 그을음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제거수실(60)을 수실(45)의 외측에 별도로 더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착화장치(30)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착화장치(30)의 외부에 까지 전도되지 않아 화상의 위험이 없으며, 연소 및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수실에서 정화한 상태에서 배출함으로서 주위의 오염이나 대기오염을 유발하지 않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숯의 착화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함유된 연기나 그을름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건물이나 물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하고 환경 친화적인 착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음식점과 같은 영업장소에서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불에 불을 붙이는 착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착화장치(30)는 내통(31)과 외통(32)으로 구성되어 하단면을 막은 케이스(33)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31)의 내부에는 착화를 위한 숯(36)을 안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스톨(34);
    상기 로스톨(34)로 구획되어 하방에 형성되는 연소실(35)과 상방에 형성되는 착화실(37);
    상기 연소실(35)에는 외통(32)외부까지 연장된 버너장착구(38)를 포함하고;
    상기 착화실(37)의 상방에 형성되는 뚜껑안치홈(39)에 치합되는 뚜껑(40)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31)과 외통(32) 상간에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냉각할 수 있도록 인렛포트(46)와 아웃렛포트(47)를 가지는 수실(45)을 형성하고;
    상기 착화실(37)과 수실(45)상간에는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수실(45)로 유입시켜 정화할 수 있도록 유도관(50)을 연결하고;
    상기 수실(45)의 일측방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출구(51)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과 뚜껑안치홈(39)에는 연소로 발생하는 열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링(41)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5)과 착화실(37)의 직접열을 전도받는 수실(45)은 구이판을 세정하는 온수로 사용하고;
    연소 및 착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제거를 위한 이물제거수실(60)을 수실(45)의 외측에 별도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착화장치.
KR2020010010779U 2001-04-17 2001-04-17 숯불 착화장치 KR200238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79U KR200238659Y1 (ko) 2001-04-17 2001-04-17 숯불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79U KR200238659Y1 (ko) 2001-04-17 2001-04-17 숯불 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59Y1 true KR200238659Y1 (ko) 2001-10-11

Family

ID=7309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79U KR200238659Y1 (ko) 2001-04-17 2001-04-17 숯불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337B1 (ko) 2011-01-19 2011-11-15 박경신 숯 착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337B1 (ko) 2011-01-19 2011-11-15 박경신 숯 착화장치
WO2012099395A2 (ko) * 2011-01-19 2012-07-26 Park Kyung-Shin 숯 착화장치
WO2012099395A3 (ko) * 2011-01-19 2012-10-04 Park Kyung-Shin 숯 착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3395A (ja) 上部に開閉式ドアが取り付けられたロースター
KR100945716B1 (ko) 숯 점화장치
KR101509970B1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KR200238659Y1 (ko) 숯불 착화장치
CN214468777U (zh) 一种新型一体式的点碳养碳炉
JP2009275936A (ja) 炊飯可能のストーブ
KR20040094981A (ko) 숯불 착화장치
CN209893424U (zh) 一种直燃式废气焚烧炉
KR100267042B1 (ko) 고체연료 및 기름과 가스를 연료로 하는 다목적 보일러
KR950003922Y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CN219803596U (zh) 一种祭品焚纸炉
CN218409952U (zh) 一种耐火材料制品生产用加热焚烧装置
JP2000257834A (ja) 回転燃焼廃油焼却ストーブ
KR960005705Y1 (ko) 휴대용 고기구이 버너
CN214172238U (zh) 一种基于节能环保技术的垃圾焚烧炉
CN211781240U (zh) 新型环保回风炉具
CN213599426U (zh) 一种二次燃烧壁炉
CN216953147U (zh) 一种燃气炉灶节能器
KR200207260Y1 (ko) 무연 숯불 구이기의 공기 유입구조
KR20100102261A (ko) 숯 점화 및 처리장치
JPS6050303A (ja) 油水混合物焼却炉
CN205245130U (zh) 一种锅炉
KR200382612Y1 (ko)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JP3079312U (ja) 炭焼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