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49Y1 - 가스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스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49Y1
KR200477049Y1 KR2020120004152U KR20120004152U KR200477049Y1 KR 200477049 Y1 KR200477049 Y1 KR 200477049Y1 KR 2020120004152 U KR2020120004152 U KR 2020120004152U KR 20120004152 U KR20120004152 U KR 20120004152U KR 200477049 Y1 KR200477049 Y1 KR 200477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cooking
cooking container
horizont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09U (ko
Inventor
정무성
Original Assignee
정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성 filed Critical 정무성
Priority to KR2020120004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4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고, 연소가스를 효율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 가스 조리기가 제공된다. 가스 조리기는, 내부에 조리용기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용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안착구가 형성되되, 상단부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안착구를 분할하는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수용부와 연통되고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수용부 내부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모듈; 및 수조와, 배기관과 연통되고 수조 내부를 관통하는 열교환관과, 수조의 일 측에 형성된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열회수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조리기 {Gas fired cooking apparatus}
본 고안은 가스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조리기에 사용되는 대용량의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고, 고온의 연소가스가 가진 열을 효율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 구조의 가스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조리기(Gas fired cooking apparatus)는 가스연료를 연소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 사용되는 조리용 기구이다. 가스 조리기는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는 버너헤드, 버너헤드로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 등을 포함하며, 가스연료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화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취급이 간편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가정용 가스 레인지로부터 업소용 대용량 가스 조리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중 특히, 업소용으로 제작되는 가스 조리기는 가스연료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버너헤드가 조리기의 내부에 깊숙이 위치하여, 조리기 내부에서 대량의 가스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켜 강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스 조리기의 일 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8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업소용 가스 조리기에는 예를 들어, 작게는 수십 리터에서부터 크게는 백 리터 이상의 용량을 갖는 대용량의 조리용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던 가스 조리기는 내부에 깊숙이 위치한 버너헤드 가까이 조리용기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용량의 조리용기가 가스 조리기에 용이하게 착탈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기 내부에서 대량의 가스연료가 연소됨으로써 이에 비례하는 대량의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바, 고온의 연소가스가 가진 열에너지를 재사용하게 되면 가스 조리기의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연소가스의 재활용이 가능한 가스 조리기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836호, (2010.10.20), 도면 2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리용기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존하여 연소가스가 가진 열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가스 조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조리기는, 내부에 조리용기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안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구를 분할하는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모듈; 및 수조와,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고 상기 수조 내부를 관통하는 열교환관과, 상기 수조의 일 측에 형성된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열회수부; 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구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는 상기 안착구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각각 호형의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면부를 따라 분할된 상기 제1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상면부를 따라 분할된 상기 제2 수평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적어도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면 상에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는 상기 조리용기와 접하여 상기 수용부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조리기는, 상기 안착구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안착구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안착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구 둘레에 중첩되는 탄성링, 및 일단부가 상기 탄성링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가변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가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배기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관은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상기 수조 내부를 수 회 이상 가로지르는 서펜타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관은 통기구가 형성된 차단판을 내부에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연소가스의 유출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조리기는 단차진 구조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조리시 가스 조리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보존하여 연소가스가 가진 열의 누출을 방지하고, 이를 물을 데우거나 가스 조리기에 장착된 조리용기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게 하는 효과를 아울러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 조리기를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의 안착구 및 그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와 조리용기를 함께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리용기를 가스 조리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와 조리용기의 변형례를 함께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조리용기를 가스 조리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스 조리기의 커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도 7의 가스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는 내부에 조리용기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수용부(140)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용부(140)와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안착구(13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하우징(100) 내부의 수용부(140)와 연통되어 수용부(140) 내측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420)과, 수용부(140) 하부에 위치하여 수용부(140)에 수용된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모듈(300), 및 물을 수용하는 수조(410), 수조(410) 내부를 관통하는 열교환관(430), 수조(410) 일 측에 형성된 배수밸브(412)를 포함하는 열회수부(400)를 포함한다.
이 때, 안착구(130)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에 의해 분할된다. 즉, 안착구(130)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에 의해 단순한 원형이 아닌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을 갖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분할되고, 이에 따라 대용량의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안착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부분의 테두리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전술한 수평부분은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를 따라 분할된 호형(弧型)의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를 말하고, 수직부분은 제1 수평부(131)와 제2 수평부(132)를 서로 연결하는 도면상의 수직부(133)를 말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가스 조리기(1)는 열회수부(400)를 포함한다. 열회수부(400)는 수용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이 열을 이용해 수조(410) 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조(410)에 담긴 물을 연소가스가 가진 열을 이용해 데울 수 있으며, 가스 조리기(1)의 사용자는 음식물 조리시 배수밸브(412)를 열어 온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영업장 전체의 연료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때, 안착구(130) 둘레에는 커버부(200)가 결합되어 가스 조리기(1)가 설치된 조리실 내부로 연소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열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가스 조리기를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의 안착구 및 그 변형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방형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되, 일부가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연장된 부분 내부에 수조(410)와 열교환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조(410)와 열교환관(430)을 포함하는 열회수부(4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수용부(140)는 하우징(100) 내부에 만입되어 형성되되, 하우징(100)의 상단부로 개방되어 안착구(130)와 연결된다. 즉, 안착구(130)는 수용부(140)의 개방된 부분이며, 가스 조리기(1)에 장착되는 조리용기는 안착구(130) 사이로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수용부(14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안착구(130)는 수용부(140)와 연결되며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 때 상단부라 함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하우징(100)의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를 함께 지칭하는 것이며, 안착구(130)는 상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테두리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안착구(130)는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조리용기의 형상에 따라 이를 테면, 사각형이나 그 밖에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안착구(130)는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단차를 가진다. 따라서, 제1 상면부(110) 및 제2 상면부(120)를 따라 분할되는 안착구(130) 역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로 나누어지게 되며, 제1 상면부(110) 및 제1 수평부(131)의 높이는 제2 상면부(120) 및 제2 수평부(13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반대로 제2 상면부(120) 및 제2 수평부(132)의 높이는 제1 상면부(110) 및 제1 수평부(1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는 높이가 낮은 제1 수평부(131)를 통해 안착구(130)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반대로 분리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에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2 수평부(132)에 의해 지지되어 가스 조리기(1)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1 수평부(131)와 제2 수평부(132)는 각각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부(133)에 의해 연결된다. 수직부(133)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상면부(110)와 제2 상면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면(150) 상에 형성되며, 제1 상면부(110)와 제2 상면부(120)의 높이 차이만큼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부(131), 제2 수평부(132) 및 수직부(133)에 의해 안착구(130)는 2차원적인 평면 형태가 아닌 입체적인 형태로 개방되며, 조리용기가 안착구(130)에 삽입되면 제1 수평부(131), 제2 수평부(132) 및 수직부(133)는 조리용기 둘레에 접하여 안착구(13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140)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안착구(130)를 형성하는 각각의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는 각각의 길이가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도면은 가스 조리기(1)의 평면도이며, 안착구(130)의 형태를 좀 더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연장된 부분은 제외된 형태로 도시되었다.
각각의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구(13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 각각은 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호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높이가 낮은 제1 수평부(131)는 도 3a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2 수평부(132)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거나, 도 3b와 같이 제2 수평부(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가 낮은 제1 수평부(131)는 조절레버(330)가 위치한 가스 조리기(1)의 전방(도 3a의 화살표 참조)으로 넓게 개방되며, 조리용기는 제1 수평부(131)를 지나 안착구(130)에 손쉽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제1 수평부(131)의 길이가 제2 수평부(13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조리용기는 가스 조리기(1)의 전방(조절레버가 위치한 방향을 말한다-화살표 참조)을 통해 착탈이 가능하며, 도 3b와 같이 제1 수평부(131)의 길이가 제2 수평부(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 조리용기는 가스 조리기(1)의 전방에 한정되는 않고, 우측방 또는 좌측방(화살표 참조)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스 조리기(1)의 나머지 구성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수용부(1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만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안착구(130)를 통해 삽입되면, 조리용기의 일단부는 수용부(140) 내에 수용된다. 수용부(140)의 내측에는 하우징(100)의 내벽이 굴절되어 형성된 가스유지홈(141)이 형성되어 수용부(140)에 수용된 조리용기의 둘레에 연소가스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수용부(140)의 하부는 단차진 형태로 개방되어 수용부(140)의 하방에 위치한 버너모듈(300)과 연통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제1 수평부(131), 제2 수평부(132) 및 수직부(133)로 이루어진 안착구(130)가 조리용기 표면에 직접 밀착되어 밀폐될 수도 있으나, 조리용기가 삽입되는 때 조리용기와 안착구(130)의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부(20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0)는 안착구(130)의 둘레에 결합되고, 조리용기과 안착구(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중첩되어 수용부(140)를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안착구(130)에 결합되기 위해 안착구(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구(130) 둘레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안착구(13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너모듈(300)은 수용부(140)의 하방에 위치하며, 가스연료를 연소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헤드(310), 버너헤드(310)로 가스연료를 주입하는 가스 공급관(320) 가스 공급관(320)의 일 측에 연결되고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레버(330)를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간략하게 도시되었지만, 가스 공급관(320)은 버너헤드(310)로 가스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펌프(미도시)등과도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가스 조리기(1)의 주변에 마련된 가스 연료의 공급라인과도 연결될 수 있다.
버너헤드(310)에는 다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어 노즐로부터 빠르게 토출되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키고, 상방에 위치한 수용부(140) 내부를 향하는 화염을 생성할 수 있다. 화염의 크기는 가스 공급관(320)에 연결된 조절레버(33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부(140) 내에 강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너헤드(310)가 생성하는 화염의 크기가 크고, 수용부(140) 내에 제공되는 화력이 증가할수록 고온의 연소가스가 과량 생성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열교환관(430)과 연결된다. 열교환관(430)은 수용부(14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40)를 향해 넓게 개방되는 연결부(431)를 통해서 수용부(1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140) 안의 연소가스가 열교환관(430)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유입되며, 열교환관(430) 및 수조(410) 그리고 배수밸브(412)를 포함하는 열회수부(400)가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열교환관(430)은 수조(410) 내부를 수회 이상 가로지르도록 굴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를 테면, 서펜타인 형상(Serpentine shape: 구불구불한 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관(430)은 수조(410) 내부의 물과 접촉하는 유효 표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관(430)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가진 열을 수조(410) 내부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관(430)은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구리와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관(430) 내부에는 연소가스의 유동량을 제한하는 차단판(432)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판(432)에는 통기구들이 수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연소가스를 일정량만 통과시키고, 열교환관(430) 내부에 적절히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소가스는 수조(410) 내부의 물과 열평형 상태에 이를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동안 열교환관(430)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차단판(432)의 개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차단판(432)의 배치상태 및 개수, 또는 차단판(432)에 형성된 통기구의 개수나 형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연소가스의 유동 속도 및 배출 속도를 늦추거나 또는 빠르게 할 수 있다.
열교환관(430)은 하우징(100)의 일단부에 결합된 배기관(420)과 다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관(430)을 통과하여 열에너지를 소모한 연소가스는 배기된다.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기관(420)은 옥외나 가스 조리기(1)가 설치된 조리실의 외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끝단부에 덕트나 송풍팬 등을 설치하여 연소가스가 능동적으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관(430) 내부에 차단판(432)이 다수 형성된 경우, 이러한 구성은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수조(4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410)의 일 측에는 급수밸브(411) 및 배수밸브(412)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용이하게 물을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급수밸브(411)는 수조(410)의 상부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밸브(412)는 수조(4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용이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열회수부(400)는 수조(410)와, 열교환관(430) 및 배수밸브(412)를 포함하며, 급수밸브(4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열회수부(400)의 열회수 작용은 수조(410)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관(430)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수조(410)의 크기와 열교환관(430)의 두께 및 길이 등의 변화에 의해 연소가스로부터 회수되는 회수열을 크기는 변동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의 각 구성부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가스 조리기(1)의 작동과정과 조리용기의 착탈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와 조리용기를 함께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리용기를 가스 조리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6a는 도 1의 가스 조리기와 조리용기의 변형례를 함께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조리용기를 가스 조리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조리용기(A)가 장착된 가스 조리기(1)의 작동 및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조리용기(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태로 개방된 안착구(130)를 통해 삽입되어 가스 조리기(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수용부(140) 내측에 수용된다. 이 때 안착구(130) 둘레에 결합된 커버부(200)는 조리용기(A)와 안착구(130) 사이에 개재되어 수용부(140)를 완전히 밀폐하게 된다. 조리용기(A)는 수십 리터 내지 백 리터 이상의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A)를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140) 내측에는 받침대(142)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용기(A)의 크기 및, 무게 등에 따라 받침대(142)는 제거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리용기(A)가 장착되면, 조절레버(330)를 열어 버너모듈(300)을 작동시킨다. 버너모듈(300)이 작동되면, 버너헤드(310)에 가스연료가 주입되고, 버너헤드(310)는 주입된 가스연료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수용부(140) 내에 강한 화력이 제공되며, 동시에 과량의 연소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연소가스는 수용부(140) 내부에서 유동하여 조리용기(A)와 접촉한다. 이 때, 연소가스는 조리용기(A)의 하부 및 측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으며(화살표 참조), 특히 수용부(140) 내에 형성된 가스유지홈(141) 내부에서 조리용기(A)의 측부와 더욱 오랜시간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A)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가스연료의 소비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안착구(130)의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제2 수평부(132)는 조리용기(A)의 측부를 넓게 감싸도록 수용부(140)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내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1 수평부(131)에 의해 조리용기(A)와 접촉하는 연소가스의 수용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조리용기(A) 둘레를 순환한 연소가스는 결국 연결부(431) 내측으로 모두 유입되며, 연결부(431)를 따라 흐름을 형성하여 열교환관(430) 내부로 진입된다. 열교환관(430)의 배치상태에 의해 연소가스의 유동속도는 일부 저하될 수 있으며, 유입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관(430)을 따라 천천히 이동하면서 열교환관(430)을 통해 가진 열을 수조(410) 내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차단판(432)은 연소가스의 유동속도를 제한하여 연소가스가 열교환관(430) 내부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물 수 있도록 한다.
연소가스로부터 전달된 열은 수조(4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수조(410) 전체는 보일러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연소가스에 의해 데워진 온수는 조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조리자에게 제공되어, 조리자는 별도의 온수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가스 조리기(1)에서 직접 온수를 공급받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교환 과정을 거쳐 열을 소모한 연소가스는 배기관(420)을 통해 배출된다. 배기관(4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나 송풍팬 등의 능동적인 배출기구와 연동하여 연소가스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가스 조리기(1)를 이용한 조리과정이 종료하면 조리용기(A)를 수용부(140)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게 된다. 이 때 조리용기(A)는 상방으로만 유동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한 높이에서 가스 조리기(1)의 전방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화살표 참조). 즉, 종래의 가스 조리기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 조리기(1)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로 분할되어 입체적으로 개방된 안착구(1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조리용기(A)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꺼내야만 하였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부(131)가 제2 수평부(132)보다 낮게 형성되어, 조리용기(A)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손쉽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면 조리용기(A)를 가스 조리기(1)에 역시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량이 큰 대용량의 업소용 조리용기(A)의 경우에도 가스 조리기(1)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가스 조리기(1)에 장착되는 조리용기(B)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조리용기(B)는 측부에 손잡이(b)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B)는 받침대(도 4의 142 참조)에 의해 지지되기 어려우며, 손잡이(b)를 안착구(130) 일 측에 걸쳐 지지할 수 있다. 즉, 편의상 손잡이(b)로 기재하였으나, 손잡이(b)는 단순한 손잡이(b)의 역할 외에도 안착구(130)에 걸려 조리용기(B)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 더욱 안정적으로 조리용기(B)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구(130)에 커버부(200)가 결합된 경우, 손잡이(b)는 커버부(200)에 밀착되고, 커버부(200)는 수용부(140)를 밀폐함과 동시에 안착구(130)와 조리용기(B)사이에 개재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조리용기(B)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조리용기(B)가 장착된 경우 수용부(140) 내부의 연소가스 유동공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연소가스에 의한 열보존 효과가 더욱 상승될 수 있으며, 연소가스는 조리용기(B)의 하부 및 측부를 순환하고, 가스유지홈(141) 내에 유지되면서 지속적으로 조리용기(B)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31)를 통해 열교환관(430)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열회수 과정을 거쳐 열을 소모하고 배기관(42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b를 참조하면, 손잡이(b)가 달린 조리용기(B)의 경우에도 조리과정이 끝난후 수직 수평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순차적 이동시켜 가스 조리기(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를 역으로 진행하여 다시 가스 조리기(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b)는 안착구(130)의 제2 수평부(132)와 수직부(133)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리자는 손잡이(b)를 파지하여 조리용기(B)를 손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b)에 걸려 지지되는 조리용기(B)의 경우 수용부(140)에 수용된 하단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 분리시에 수직방향의 이동거리가 감소하고 이로서 적은 힘으로 더욱 손쉽게 조리용기(B)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에 다양한 형상의, 중량이 큰 업소용 조리용기가 용이하게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스 조리기의 커버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a 및 도 9b 는 도 7의 가스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1-1)는 커버부(200-1)가 조리용기와 안착구(130)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어 수용부(140)를 밀폐하되, 조리용기와 안착구(13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크게 또는 작게 가변될 수 있다. 즉, 커버부(200-1)가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조리용기의 표면에 가변적으로 밀착되고, 이로 인해 가스 조리기(1-1)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변형의 커버부(200-1)는 안착구(130) 둘레에 고정되는 탄성링(210), 및 일단부가 탄성링(210)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링(21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동편(220)을 포함한다. 가동편(2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힌지부(221)에 의해 탄성링(2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탄성링(210)은 안착구(130) 둘레에 마련되고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240) 사이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고정되며, 탄성링(210)을 따라 배열된 각각의 가동편(220)은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의 일부분이 가변적으로 서로 중첩된다.
탄성링(210)은 안착구(13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안착구(130)의 둘레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링(210)은 일정한 곡률을 갖게 된다. 잠시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링(210)은 안착구(130)의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를 따라 역시 호형으로 형성된 부분과, 수직부(133)를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호형 부분과 선형 부분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133)를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 탄성링(210)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판형으로 형성된 가동편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가동편(220)에 형성된 힌지부(221)는 탄성링(210)의 곡률과 일치되는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탄성링(210)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즉, 원통형이되 탄성링(210) 외곽을 따라 만곡된 힌지부(221)는 탄성링(210)의 굽은 방향과 동일한 상태로 배열되어 비틀림 저항을 최소화하려 하게 된다. 하지만, 가동편(220)의 회전상태에 따라 힌지부(221)와 탄성링(210)의 정렬상태는 깨질 수 있으며, 탄성링(210)은 힌지부(221) 내측에서 비틀려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링(210)의 비틀린 부분이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힌지부(221)는 스스로 다시 정렬되고, 이에 따라 가동편(220) 역시 곧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힌지부(221)의 정렬작용에 의해 가동편(220)은 지속적으로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가동편(220)이 조리용기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힌지부(221)가 정렬되는 시점에 가동편(220)은 안착구(130)의 내측 방향으로 오므려진 상태가 된다.
한편, 힌지부(221) 둘레에는 가동편(220)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보조스프링(23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보조스프링(230)은 힌지부(221) 둘레에 가동편(220)을 관통하는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양 측으로 벌어진 부분을 가져 가동편(220)과 안착구(130)사이를 직접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보조스프링(230)은 수직부(도 7의 133 참조)에 배치되는 판형의 가동편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의 커버부(200-1)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조리용기(A0, A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효과적으로 수용부(14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9a와 같이 크기가 큰 조리용기(A0)가 수용된 경우, 커버부(200-1)가 안착구(130)의 상방으로 펼쳐지면서 상대적으로 좁아진 조리용기(A0)와 안착구(130)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한다. 이 때 각각의 가동편들은 오므려진 상태로 복원되면서 조리용기(A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9b와 같이 크기가 작은 조리용기(A1)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커버부(200-1)는 안착구(130)의 내측을 향해 오므려지면서 상대적으로 넓어진 조리용기(A1)와 안착구(13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한다. 이 때에도 역시 각각의 가동편(220)들은 조리용기(A1)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즉, 커버부(200-1)는 조리용기(A0, A1)와 안착구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되, 조리용기(A0, A1)의 크기에 따라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며, 이 때 커버부(200-1)를 이루는 각각의 가동편(도 8의 220 참조) 역시 상호간의 중첩량이 변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가스 조리기(1-1)는 서로 다른 용적을 갖는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들에 용이하게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연소가스를 보존하여 전술한 열회수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가스 조리기 100: 하우징
110: 제1 상면부 120: 제2 상면부
130: 안착구 131: 제1 수평부
132: 제2 수평부 133: 수직부
140: 수용부 141: 가스유지홈
142: 받침대 150: 수직면
200, 200-1: 커버부 210: 탄성링
220: 가동편 221: 힌지부
230: 보조스프링 240: 고정부
300: 버너모듈 310: 버너헤드
320: 가스 공급관 330: 조절레버
400: 열회수부 410: 수조
411: 급수밸브 412: 배수밸브
420: 배기관 430: 열교환관
431: 연결부 432: 차단판
조리용기: A, B, A0, A1 손잡이: b

Claims (9)

  1. 내부에 조리용기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된 원형의 안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제1 상면부와 제2 상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가 상기 안착구를 호형의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로 분할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버너모듈; 및
    수조와, 상기 배기관과 연통되고 상기 수조 내부를 관통하는 열교환관과, 상기 수조의 일 측에 형성된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열회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면부는 상기 제2 상면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면부를 따라 분할된 상기 제1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상면부를 따라 분할된 상기 제2 수평부의 길이보다 길거나 적어도 같게 형성되는 가스 조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면부와 상기 제2 상면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면 상에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는 상기 조리용기와 접하여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가스 조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안착구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리용기와 상기 안착구 사이의 간격에 따라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가 가변되는 가스 조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구 둘레에 고정되는 탄성링 및
    일단부가 상기 탄성링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가변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가동편을 포함하는 가스 조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배기관을 서로 연결하는 가스 조리기.
  8.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은 반복적으로 굴절되어 상기 수조 내부를 수 회 이상 가로지르는 서펜타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스 조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은 통기구가 형성된 차단판을 내부에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상기 차단판이 상기 연소가스의 유출을 제한하는 가스 조리기.
KR2020120004152U 2012-05-18 2012-05-18 가스 조리기 KR200477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52U KR200477049Y1 (ko) 2012-05-18 2012-05-18 가스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152U KR200477049Y1 (ko) 2012-05-18 2012-05-18 가스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09U KR20130006809U (ko) 2013-11-27
KR200477049Y1 true KR200477049Y1 (ko) 2015-05-04

Family

ID=5243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152U KR200477049Y1 (ko) 2012-05-18 2012-05-18 가스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6457A (zh) * 2015-04-29 2015-07-15 尚志市龙达金属设备厂 应用于燃气灶具上的集热装置
CN108019789B (zh) * 2017-12-07 2019-09-20 湖北中瑞天恒节能科技发展有限公司 带保护功能的节能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030A (ja) * 1995-05-29 1996-12-10 Nakai:Kk ガス直火型かまど
KR20020016257A (ko) * 2000-08-25 2002-03-04 박용희 온수가열장치가 구비된 조리대 시스템
KR200286791Y1 (ko) * 2002-04-01 2002-08-23 정승호 튜브 히터
KR100936389B1 (ko) * 2009-02-13 2010-01-14 주식회사3차버너 회전국솥의 배기가스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030A (ja) * 1995-05-29 1996-12-10 Nakai:Kk ガス直火型かまど
KR20020016257A (ko) * 2000-08-25 2002-03-04 박용희 온수가열장치가 구비된 조리대 시스템
KR200286791Y1 (ko) * 2002-04-01 2002-08-23 정승호 튜브 히터
KR100936389B1 (ko) * 2009-02-13 2010-01-14 주식회사3차버너 회전국솥의 배기가스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09U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6134C (zh) 可互换式多用途烹调装置
EP32447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harcoal combustion for cooking
KR200477049Y1 (ko) 가스 조리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CN105078270A (zh) 一种燃气烧烤炉
KR101480122B1 (ko) 폐열 회수구조를 갖는 화덕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336885B1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1685840B1 (ko)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561874B1 (ko) 조리효율 향상 구조형 화덕
JP6001559B2 (ja) 炭の着火装置
KR101770039B1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200472047Y1 (ko) 가스 조리기
US5090369A (en) Heat-absorbing/heating device with high efficiency and a supporting device therefor
KR20160109316A (ko) 폐열 회수형 가스 조리 기구를 이용한 난방 및 급탕 시스템
KR101405636B1 (ko) 가스 숯불 점화기
KR100494883B1 (ko) 이중버너를 적용한 조리장치
CN202947164U (zh) 一种提供热水的省煤灶
CN204026800U (zh) 防风燃气灶
KR100719772B1 (ko)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CN112261894A (zh) 具有呈堆叠布置的热源的烹饪设备
KR10176386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KR200305095Y1 (ko) 이중버너를 적용한 조리장치
KR101687355B1 (ko) 폐열 회수기능을 구비한 가열용기 받침부재
KR20120085594A (ko)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28

Effective date: 201412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