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303A - 스토브 - Google Patents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303A
KR20240003303A KR1020220080596A KR20220080596A KR20240003303A KR 20240003303 A KR20240003303 A KR 20240003303A KR 1020220080596 A KR1020220080596 A KR 1020220080596A KR 20220080596 A KR20220080596 A KR 20220080596A KR 20240003303 A KR20240003303 A KR 20240003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unit
food
cook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재 filed Critical 박영재
Priority to KR102022008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303A/ko
Publication of KR2024000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F24B5/08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around the baking o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렛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텐트의 막부재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하부 착화 및 연소 방식으로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된 필렛을 천천히 연소시킴으로써 필렛을 급진적으로 연소시키지 아니하여 균일한 발열량으로 보다 긴 시간동안 화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렛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키는 난방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화염이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음식이 사방에서 간접 열기를 고루 전달받아 익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븐, 화덕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되, 야외에서도 음식에 수분기를 부가하는 스팀오븐 조리 방식을 가능케 해 보다 다채로운 재료의 음식 조리를 가능케 해 활용성과 효용성을 극대화시킨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토브{Stove}
본 발명은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렛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텐트의 막부재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하부 착화 및 연소 방식으로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된 필렛을 천천히 연소시킴으로써 필렛을 급진적으로 연소시키지 아니하여 균일한 발열량으로 보다 긴 시간동안 화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렛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키는 난방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화염이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음식이 사방에서 간접 열기를 고루 전달받아 익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븐, 화덕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되, 야외에서도 음식에 수분기를 부가하는 스팀오븐 조리 방식을 가능케 해 보다 다채로운 재료의 음식 조리를 가능케 해 활용성과 효용성을 극대화시킨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로대는 일정 크기의 연소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통 또는 직육면체의 철제로 만들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소공간에서 장작이나 숯을 태우고 난 후에 재를 처리할 수 있도록 재받침 등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통상의 화로대(이하, 개방형 화로라 함)는 화염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지므로, 음식을 조리할 때 직화 요리를 할 수 있고, 직관적인 열기전달에 의한 난방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치솟는 화염과,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이하, 연소가스라 함)가 다량 방출되고, 또한 음식을 익힐 때 음식에서 유출된 유분이 땔감과 같은 고체연료 상에 낙하되면 고체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유해성분들, 예를 들어, 그을림, 밴저피랜 및 다이옥신 등의 발암물질이 연소가스에 포함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밀폐된 장소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음식을 조리할 때에도 불조절이 힘들어 음식이 쉽게 탄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화로에 별도의 냄비나 팬 등의 조리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경우에도, 열기를 조리도구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음식을 가열하기 때문에 단순히 익히거나 끓이는 정도의 기능밖에 할 수 없었고, 특히,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육류를 익히게 되면 열을 고루 전달받게 하기 위하여 육류를 자주 뒤집어야 함은 물론, 이 과정에서 수분기가 모두 증발되어 육류의 식감이나 맛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요리 방식도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사용구조상의 다양한 문제가 뒤따랐다.
등록특허 10-240914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필렛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텐트의 막부재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하부 착화 및 연소 방식으로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된 필렛을 천천히 연소시킴으로써 필렛을 급진적으로 연소시키지 아니하여 균일한 발열량으로 보다 긴 시간동안 화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렛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키는 난방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화염이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음식이 사방에서 간접 열기를 고루 전달받아 익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븐, 화덕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되, 야외에서도 음식에 수분기를 부가하는 스팀오븐 조리 방식을 가능케 해 보다 다채로운 재료의 음식 조리를 가능케 해 활용성과 효용성을 극대화시킨 스토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렛이 연소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의 일측에 인접하게 결합되어 연소부의 내부와 연통되며, 터널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에 조리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연소부에서 가해지는 열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되어지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상기 가열부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조리공간에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내부로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와 인접한 일측면에는 열기와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타공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가열하우징; 및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에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판이 형성되어 유로를 전후 방향의 복수의 단위 유로로 구획하되, 각각의 격판에는 열기와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공간의 전면은 도어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은 후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공간에는 조리공간 내의 열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렛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텐트의 막부재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하부 착화 및 연소 방식으로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된 필렛을 천천히 연소시킴으로써 필렛을 급진적으로 연소시키지 아니하여 균일한 발열량으로 보다 긴 시간동안 화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필렛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키는 난방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화염이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음식이 사방에서 간접 열기를 고루 전달받아 익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븐, 화덕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되, 야외에서도 음식에 수분기를 부가하는 스팀오븐 조리 방식을 가능케 해 보다 다채로운 재료의 음식 조리를 가능케 해 활용성과 효용성을 극대화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C-C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토출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토출팬이 적용된 스토브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는 쉽게 휴대하여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에 용이하게 사용되어질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집, 각종 산업현장의 내/외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황에 부합하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는 크게 연소부(10) 및 가열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연소부(10)는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연소부(10)에서 연소되는 연료로는, 스토브에 연료로 사용되는 통상의 고체연료, 예를 들어 목재, 숯, 번개탄, 필렛, 기타 바이오매스재료 등이 폭넓게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필렛이 사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연소부(10)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면은 외부에서 연소부(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투시창(1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상면에는 필렛을 연속공급하기 위한 호퍼(13)가 결합될 수 있다.
연소부(10)의 우측면은 개방 형성된 상태에서 후술 될 가열부(20)와 인접하게 결합되거나, 프레임으로 폐쇄되어 있되, 가열부(20)와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부(10)의 내측 하부에는 연소된 필렛의 재를 받치는 재받이통(12)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연소부(10) 내부에 장입된 필렛의 하부를 착화시키면, 필렛의 하부에만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상부로 적층된 필렛이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아래로 하향 이동하며 연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이때 발생하는 연소열(이하, 열기라 함)과 연기를 포함하는 연소가스는 연소부(10)의 개방된 전면으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후술 될 가열부(20)로 흡입처리가 이루어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가열부(2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연소부(10)에서 필렛 연소에 따라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방열시키는 난방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이 화염이나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음식이 사방에서 간접 열기를 고루 전달받아 익혀질 수 있도록 하여 오븐, 화덕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야외에서도 음식에 수분기를 부가하는 스팀오븐 조리 방식을 가능케 해 보다 다채로운 재료의 음식 조리를 가능케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가열부(20)는 연소부(10)의 일측에 인접하게 결합되어 연소부(10)의 내부와 연통되며, 터널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에 조리공간(1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터널 구조의 가열부(20) 중앙에 형성된 조리공간(110) 내로 음식을 배치하게 되면, 연소부(10)에서 가해지는 열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되어지는 가열부(20)에 의해 조리공간(110) 내에 배치된 음식의 사방으로 열기가 가해져 음식이 보다 균일하게 조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리공간(110)의 전면은 도어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은 후판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조리공간(110)은 적어도 좌우 측방, 상방, 전방이 막혀 있는 폐쇄공간을 구성하게 되며, 이 내부에 음식이 배치되어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 음식이 보다 균일하게 열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소부(10)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소가스는 가열부(2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조리공간(110)에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본 가열부(20)의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공간(110) 내의 음식에 화염은 물론이고, 연소가스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음식의 특정 부분이 과도하게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성분이 음식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개방형 스토브는 음식이 화염과 연소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나,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는 음식을 연소가스 및 화염에 직접적으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열량으로, 보다 다양한 방식의 음식 조리가 가능한 구조이다.
이를 위한 가열부(20)는 연소부(10) 측의 열기와 연소가스를 동시에 흡입함에 따라 뜨겁게 달궈지면서 조리공간(110)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키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부(20)는 크게 가열하우징(100) 및 흡입팬(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가열하우징(100)은 가열부(20)의 전체적인 골격을 구성하며,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상기 조리공간(110)을 형성하며, 내부로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소부(10)와 가열하우징(100)의 유로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유로로 흡입된 열기와 연소가스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열하우징(100)을 가열시키게 되며, 연소가스의 경우 상기 조리공간(110) 내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가열하우징(100)은 연소부(10)와 인접한 일측면에는 열기와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20)가 타공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13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유입구(120)는 상기 연소부(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배출구(130)에는 상기 흡입팬(200)이 설치되어 유로에 흡입력을 가함으로써 유로로 유입된 열기와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흡입시킬 수 있다.
이에, 유로와 연통된 연소부(10)의 내부는 흡입력에 의해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로로 빨려 들어가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므로, 연소부(10)에서는 필렛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연소부(10)의 개방된 상부와 전방으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가열부(20) 내부로 흡입되어 배출구(130)를 통해서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배출구(130)는 벽난로의 연통과 같이 길게 형성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출구(130) 상에 연통(131)이 결합되도록 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를 텐트 내부에서 사용할 때, 배출구(130)를 텐트 외측으로 연장되게끔 구성하여 연소가스의 실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꽃이 텐트의 막부재에 튀어 텐트가 훼손되거나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이때, 흡입팬(200)은 연통(13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열기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 역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가열부(20)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바, 이러한 열기와 연소가스를 가열하우징(100)의 유로 상에서 장시간 체류시킴으로써 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유로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판(140,150)이 형성되어 유로를 전후 방향의 복수의 단위 유로(1R,2R,3R)로 구획하고, 열기와 연소가스가 각각의 단위 유로(1R,2R,3R)를 한 방향으로 통과하게끔 하여, 열기와 연소가스가 미치지 아니한 사각지대 없이 가열하우징(100) 내부를 보다 균일하게 통과하여 가열부(20)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격판(제1 격판(140) 및 제2 격판(150))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조에 따라, 제1 격판(140)의 후방에 제1 단위 유로(1R)가, 제1 격판(140)과 제2 격판(150) 사이에 제2 단위 유로(2R)가, 제2 격판(150)의 전방에 제3 단위 유로(3R)가 각각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격판(140)과 제2 격판(150)에는 열기와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통과공(141,151)이 관통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 유로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격판(140)에 형성된 통과공을 제1 통과공(141)으로, 제2 격판(150)에 형성된 통과공을 제2 통과공(151)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격판의 개수는 가열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격판에 의해, 세 부분으로 구획된 단위 유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시, 각각의 단위 유로(1R,2R,3R)는 정면에서 봤을 때 전술한 가열하우징(100)의 형상인 ''를 따르며, 예컨대, 상하 직선으로 연장된 좌측의 제1 수직구간(1R-1,2R-1,3R-1), 상하 직선으로 연장된 우측의 제2 수직구간(1R-3,2R-3,3R-3) 및 상기 제1 수직구간(1R-1,2R-1,3R-1)과 제2 수직구간(1R-3,2R-3,3R-3)을 연결하며 좌우 직선으로 연장된 상부의 수평구간(1R-2,2R-2,3R-2)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하나의 단위 유로로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입되면 제1 수직구간, 수평구간, 제2 수직구간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인접한 단위 유로로 유입된 뒤, 다시 상기한 경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입구(120)의 경우 가열하우징(100)의 좌측면 후방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위 유로(1R)의 대응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130)는 가열하우징(100)의 우측면 전방에 치우치게 형성되어 제3 단위 유로(3R)의 대응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통과공(141)은 제1 격판(140)의 우측 하부에, 제2 통과공(151)은 제2 격판(150)의 좌측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배출구(130) 지점에서 흡입팬(200)에 의한 흡입력이 가해지면 연소부(10)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소가스는 먼저 유입구(120)를 통해 제1 단위 유로(1R)로 흡입되어진 후 제1 단위 유로(1R)의 제1 수직구간(1R-1) -> 수평구간(1R-2) -> 제2 수직구간(1R-3)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뒤 제1 격판(140)의 제1 통과공(141)을 통해 제2 단위 유로(2R)로 유입된다.
이어서, 제2 단위 유로(2R)로 유입된 열기와 연소가스는 제2 단위 유로(2R)의 제2 수직구간(2R-3) -> 수평구간(2R-2) -> 제1 수직구간(2R-1)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뒤 제2 격판(150)의 제2 통과공(151)을 통해 제3 단위 유로(3R)로 유입된다.
마지막으로, 제3 단위 유로(3R)로 유입된 열기와 연소가스는 제3 단위 유로(3R)의 제1 수직구간(3R-1) -> 수평구간(3R-2) -> 제2 수직구간(3R-3)을 순차적으로 이동한 뒤 배출구(130)를 통해 유로에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각의 단위 유로의 제1 수직구간(1R-1,2R-1,3R-1)은 모두 연소부(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바, 열기와 연소가스가 각각의 제1 수직구간(1R-1,2R-1,3R-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시 재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로를 통과하는 와중에 열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특정 구간에서는 다시 재가열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인해, 유로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도 열손실이 적어, 항시 고온을 유지한 채 가열부(20)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열기와 연소가스가 가열하우징(100)의 전후, 좌우를 고루 통과하여, 열기가 미치지 아니하는 사각지대 없이 조리공간(110)을 보다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1점쇄선은 각각의 단위 유로를 통과하는 열기와 연소가스의 이동 방향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부분이다.
한편, 가열하우징(100)의 조리공간(110)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배출구(130)와 동일선상에 개폐가능한 흡입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공간(110)에는 밀폐분위기에 의해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유증기 등이 쉽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바, 경우에 따라 상기 흡입구(160)를 개방하게 되면 조리공간(110)과 제3 단위 유로(3R)가 서로 연통되는 한편, 흡입구(160)와 동일선상의 흡입팬(200)이 흡입력을 가하게 되는바, 제3 단위 유로(3R) 상에 가해지는 흡입력에 의한 부압 발생으로, 제3 단위 유로(3R)를 통과 중인 연소가스가 조리공간(110)으로 역류하지 아니하는 선에서 조리공간(110) 내의 각종 기체상 물질이 배출구(130)를 향해 흡입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흡입구(160)는, 가열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타공된 배기구멍(161)과 상기 배기구멍(161)을 개폐하되, 배기구멍(161)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16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정 높이의 지지대를 조리공간(110) 내에 배치하고, 그 위에 음식을 올리고, 음식의 직하방에 물이 담긴 수조(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조리를 하게 되면 음식이 간접 열기에 의해 가열되어짐과 동시에, 수조(30)에 채워진 물이 증발하여 조리공간(110) 내에 포화되면서 음식에 침투하여 음식이 보다 수분기 있게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의 조리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난방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조리공간(110)에는 조리공간(110) 내의 열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가열하우징(100)에서 방열된 열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열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된 도어와 가열하우징(100)의 후방에 형성된 후판은 모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팬(300)을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조리공간(110)의 전후를 모두 개방시킨 후 조리공간(110) 내의 가열 공기를 토출팬(300)을 통해 전방으로 블로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연소부
20: 가열부
100: 가열하우징
200: 흡입팬

Claims (5)

  1. 필렛이 연소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의 일측에 인접하게 결합되어 연소부의 내부와 연통되며, 터널 구조로 이루어져 중앙에 조리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연소부에서 가해지는 열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되어지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상기 가열부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조리공간에 유출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부로 열기와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와 인접한 일측면에는 열기와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타공되고, 타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가열하우징; 및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에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격판이 형성되어 유로를 전후 방향의 복수의 단위 유로로 구획하되, 각각의 격판에는 열기와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 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의 전면은 도어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은 후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에는 조리공간 내의 열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토출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
KR1020220080596A 2022-06-30 2022-06-30 스토브 KR20240003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596A KR20240003303A (ko) 2022-06-30 2022-06-30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596A KR20240003303A (ko) 2022-06-30 2022-06-30 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303A true KR20240003303A (ko) 2024-01-08

Family

ID=8953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596A KR20240003303A (ko) 2022-06-30 2022-06-30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3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49B1 (ko) 2021-04-20 2022-06-14 임익규 조립식 화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49B1 (ko) 2021-04-20 2022-06-14 임익규 조립식 화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028B1 (en) Infrared emitting apparatus
RU2589440C2 (ru) Печь для жарения пищи
US3386432A (en) Barbeque grill
US7895942B2 (en) Barbecue firebox and method of operation
US3067811A (en) Gas burner
AU2013334488A1 (en) Wood fuelled heating stove
KR20240003303A (ko) 스토브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JP3175791U (ja) 加熱装置
CN217090409U (zh) 烧烤炉
JP4312756B2 (ja) 無煙焼き物器
JPS6370004A (ja) 粒状炭素質燃料用デポー、及びこれを炙り焼き等用の高い効率の火を提供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JP3717892B2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RU271353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ечь "охота"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US20080295824A1 (en) Woodburner Insert
TWM574014U (zh) 無煙燒烤爐
JP3242406U (ja) ストーブ
GB2541452B (en) An oven
KR102413149B1 (ko) 완전연소가 유도되는 화목난로
JP6152505B2 (ja) ペレット状燃料の燃焼装置
KR102502330B1 (ko) 화목난로
GB2591441A (en) A heating and cooking apparatus
KR102356371B1 (ko) 보일러 겸용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