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795B1 -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795B1
KR101080795B1 KR1020080123582A KR20080123582A KR101080795B1 KR 101080795 B1 KR101080795 B1 KR 101080795B1 KR 1020080123582 A KR1020080123582 A KR 1020080123582A KR 20080123582 A KR20080123582 A KR 20080123582A KR 101080795 B1 KR101080795 B1 KR 10108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input
opening angle
cvv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930A (ko
Inventor
유학모
윤마루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795B1/ko
Priority to US12/568,392 priority patent/US8473184B2/en
Publication of KR2010006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23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 F02D13/0226Variable control of the intake valves only changing valve lift or valve lift and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5Controlling intake air during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 F02D41/123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deceleration the fuel injection being cut-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2Controlling intake air by simultaneous control of throttle and variable valve ac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속 제어 방법은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방법또는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CVVL, 밸브 리프트, 감속 제어

Description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CONTROL METHOD FOR DECELERATION OF VEHICLE AND THE SYSTM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엔진제어시스템에는 연비향상을 위해 연료분사가 불필요 한 조건에서 연료분사중지(fuel cut-off) 기능을 구현하는 로직이 존재한다. 그 조건의 판정에는 여러 상황이 고려되나 일반적으로 내리막길 주행시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스로틀밸브가 닫히고 연료분사가 중지된다. 이 때 스로틀밸브가 닫힘으로 인해 흔히 '엔진브레이크'로 표현되는 엔진의 펌핑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차속이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급격한 차속의 감소는 운전감이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스로틀밸브를 전폐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일정량의 공기는 지속적으로 실린더 내로 유입된다. 연료분사중지 조건에서는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실린더로 유입된 공기가 그대로 삼원촉매로 유입된다. 이 경우 배기가스가 아닌 공기가 유입되어 삼원촉매장치의 촉매가 열화 되고 크랙이 발생하여 배기정화기 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스로틀밸브만을 이용해 공기량을 제어하는 기존 엔진은 공기량과 펌핑손실이라는 두 요소가 극명한 trade-off 관계에 있으므로 효율적인 제어에 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밸브리프트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 CVVL(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를 장착한 엔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면 펌핑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운전상황 별로 효과적인 공기량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CVVL 기구가 적용된 엔진의 제어에 있어서 운전상황에 따라 적절히 스로틀밸브와 밸브리프트를 조화제어 함으로써 엔진브레이크 효과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연료분사중지 조건에서 삼원촉매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은,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방법또는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는 가속 페달 해제가 확인된 이후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에서 연료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연료분사를 중지한 이후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신호를 읽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신호에 따라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에서 연료 차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신호를 읽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신호에 따라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은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쓰로틀 밸브 센서, 연료 분사부, 쓰로틀 개도각 제어부, CVVL 밸브 리프트 제어부 및 상기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및 쓰로틀 밸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들로부터 차량의 운전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연료 분사부, 쓰로틀 개도각 제어부 및 CVVL 밸브 리프트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CU는, 가속 페달 해제가 확인되면 연료 차단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방법또는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면, 연료 분사를 중지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면, 연료 분사를 중지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목표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상황에 따라 적절히 스로틀밸브와 밸브리프트를 조화제어 함으로써 엔진브레이크 효과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연료분사중지 조건에서 삼원촉매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은 가속 페달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및 스로틀 밸브(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페달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및 스로틀 밸브(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한 차량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 40)가 수신한다.
상기 ECU(40)는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 분사 제어장치(50), 쓰로틀 개도각 제어장치(60) 및 CVVL(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밸브 리프트 제어장치(70)를 제어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은, 먼저 가속 페달 해제를 확인(S10)한 후 연료 차단 조건 확인한다(S20).
여기서 가속 페달 해제를 확인하는 것은 운전자의 1차적인 감속의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고, 연료 차단 조건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건울 만족하는지 여부로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료 차단 조건이 만족되면 연료 분사를 중지하고(S30),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4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는 운전자의 2차 감속의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 한 것이다.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확인되면 브레이크 페달의 신호를 읽고(S50, 브레이크 입력 신호에 따라 목표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환산(S60)하여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한다(S70).
즉, 2차 감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브레이크페달의 입력 정도에 따라 이를 제동력 요구로 인식하여 목표 스로틀 개도로 환산하여 제어하며, 이 경우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제동 시스템의 참여도를 낮춤으로써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S40)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S80)한다.
즉, 이 경우는 스로틀 밸브를 닫는 대신 밸브리프트를 하향 조정하여 공기량을 제한함으로써 스로틀로 공기량을 제한하는 경우에 비해 펌핑손실을 저하시켜 차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연소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삼원촉매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은 유입 공기량과 펌핑 손실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로 도3에 도시된바와 같이 밸브리프트를 사용하여 공기량을 제한했을 경우 스로틀을 이용했을 경우에 비해 동일 펌핑손실 대비 유입공기량이 크게 줄어 삼원촉매장치로의 공기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S20)에서 연료 차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0).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S90)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2차 감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입력 정도(S50)에 따라 이를 제동력 요구로 인식하여 목표 스로틀 개도로 환산(S60)하여 쓰로틀 개도각을 제어하며(S70), 이 경우도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한 제동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제동 시스템의 참여도를 낮춤으로써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신호를 읽는 단계(S90)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설정하고(S100), 상기 설정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며(S70), 이와 더불어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한다(S110).
상기 목표 쓰로틀 개도각은 차량의 속도 등 운전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맵에 설정된 값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 설정된 값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 지식을 가진 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을 사용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가속 페달 센서 가속 페달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및 스로틀 밸브(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페달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및 스로틀 밸브(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한 차량 정보를 ECU(engine control unit; 40)가 수신한 다.
상기 ECU(40)는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 분사 제어장치(50), 쓰로틀 개도각 제어장치(60) 및 CVVL(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밸브 리프트 제어장치(70)를 제어한다.
상기 ECU(40)의 작동은 상술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을 시행하는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운전자의 감속의지가 없는 경우 불필요한 차속 감소를 방지함으로써 연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감속의지에 따라 스로틀 개도를 조절하여 안정적인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연료분사중지 중 삼원촉매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한하여 삼원촉매장치 보호하여 삼원촉매장치의 정화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3은 유입 공기량과 펌핑 손실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속 페달 센서 20: 브레이크 페달 센서
30: 쓰로틀 밸브 센서 40: ECU
50: 연료 분사부 60: 쓰로틀 개도각 제어부
70: CVVL 밸브 리프트 제어부

Claims (14)

  1.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방법또는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는 가속 페달 해제가 확인된 이후에 실시하고,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에서 연료 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연료분사를 중지한 이후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를 실시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신호를 읽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신호에 따라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연료 차단 조건 확인 단계에서 연료 차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브레이크 페달 신호를 읽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신호에 따라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환산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 입력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목표 쓰로틀 개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목표 쓰로틀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를 따라 감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9.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쓰로틀 밸브 센서,
    연료 분사부,
    쓰로틀 개도각 제어부,
    CVVL 밸브 리프트 제어부 및
    상기 가속 페달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및 쓰로틀 밸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들로부터 차량의 운전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연료 분사부, 쓰로틀 개도각 제어부 및 CVVL 밸브 리프트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ECU
    를 포함하되,
    상기 ECU는,
    가속 페달 해제가 확인되면 연료 차단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 확인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방법또는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면,
    연료 분사를 중지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면,
    연료 분사를 중지하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서,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
  14. 제9항에서,
    상기 ECU는,
    상기 연료 차단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페달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입력 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면 목표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쓰로틀 밸브 개도각에 따라 쓰로틀 밸브 개도각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CVVL의 밸브 리프트를 작게 제어하여 감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시스템.
KR1020080123582A 2008-12-05 2008-12-05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8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82A KR101080795B1 (ko) 2008-12-05 2008-12-05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12/568,392 US8473184B2 (en) 2008-12-05 2009-09-28 Control method for deceleration of vehicle including continuous valve lift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582A KR101080795B1 (ko) 2008-12-05 2008-12-05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30A KR20100064930A (ko) 2010-06-15
KR101080795B1 true KR101080795B1 (ko) 2011-11-07

Family

ID=4222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582A KR101080795B1 (ko) 2008-12-05 2008-12-05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73184B2 (ko)
KR (1) KR101080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1460A1 (fr) * 2010-06-17 2011-12-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mmande de freinage d'un vehicule, en particulie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US9428053B2 (en) * 2011-06-16 2016-08-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device
JP5871572B2 (ja) * 2011-11-14 2016-03-0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出力制御装置
KR101543103B1 (ko) 2013-12-04 2015-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젝터 드라이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68196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장치
DE102017011301B3 (de) 2017-12-07 2019-01-31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eines Kraftwagens
CN111516897B (zh) * 2020-04-29 2022-05-10 湖南双达机电有限责任公司 除冰车的行驶控制方法、控制系统以及除冰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7844A (ja) 2005-09-13 2007-03-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動弁制御装置
JP2008075569A (ja) * 2006-09-21 2008-04-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1478A (en) * 1965-05-21 1967-07-18 Trifiletti Joseph Electrical brake-controlled throttle cut-out system
JPS59190554A (ja) * 1983-04-11 1984-10-2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JPH1018879A (ja) 1996-07-03 1998-01-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DE10256993B4 (de) * 2001-12-06 2018-05-09 Denso Corporation Steuergerät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4075846B2 (ja) * 2004-04-26 2008-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4423136B2 (ja) * 2004-08-20 2010-03-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停止制御装置
US7461621B2 (en) * 2005-09-22 2008-12-09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of starting spark ignition engine without using starter motor
KR20100012268A (ko) 2008-07-28 2010-02-0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엔진 쓰로틀 연동 방식 차량의 연료 컷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7844A (ja) 2005-09-13 2007-03-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動弁制御装置
JP2008075569A (ja) * 2006-09-21 2008-04-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30A (ko) 2010-06-15
US8473184B2 (en) 2013-06-25
US20100139618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795B1 (ko)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8667953B2 (en) Cylinder deactivation to reduce fuel enrichment after fuel cutoff modes
US7159391B2 (en) Method for restricting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filter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82088B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63194A (ko) 브레이크 부스터 부압제어장치
US6962145B2 (en) Failure detec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157139A (ja) 過給機付内燃機関
JP5321729B2 (ja) 弁停止機構付き内燃機関を備える車両
JP2016102448A (ja) エンジンシステムの制御装置
US20200018251A1 (en) Deceleration cylinder cutoff system including smart phaser
JP2000248966A (ja) 燃料が直接噴射される燃焼室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5844216B2 (ja)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H08100685A (ja) 排気ブレーキ装置
EP2194258B1 (en) Device for limiting outpu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n the engine has abnormality
JP201904459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70646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107876B2 (ja) ターボ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7565895B2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swirl control valve
JP201105258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エアバイパスバルブ制御装置
JP2008215295A (ja) 可変動弁機構の制御システム
KR20110060983A (ko)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JP4507476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10116869A (ja) 車両用内燃機関
JP4687484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2014025455A (ja) 排気絞り弁の制御装置および排気絞り弁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