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983A -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983A
KR20110060983A KR1020090117478A KR20090117478A KR20110060983A KR 20110060983 A KR20110060983 A KR 20110060983A KR 1020090117478 A KR1020090117478 A KR 1020090117478A KR 20090117478 A KR20090117478 A KR 20090117478A KR 20110060983 A KR20110060983 A KR 2011006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negative pressure
control
brake
brake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0983A/ko
Publication of KR2011006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희박, CDA(실린더 deactivation), 2 step 가변밸브엔진, 터보차저/슈퍼차저를 구성하는 펌핑저감용 가변기구 또는 부스팅을 증가시키는 GDI, MPI 차량용 엔진에 있어 펌핑저감용 가변기구 검출 신호 또는 부스팅을 감지하는 흡압 센서와 기존 엔진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쓰로틀 엑츄에이터, 엑셀개도 ,브레이크 조작, 인젝터/공연비 검출신호) 및 엔진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을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므로써 별도의 부압 생성 펌프기구 없이 브레이크 성능을 만족하는 엔진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은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이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설정치를 만족하는가를 검출하는 부압 검출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를 금지하는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엔진, 브레이크 성능, 부압

Description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Engine pressure increase controlling method to improve brake performance and engine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엔진에 있어 기계식 및 전기식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브레이크 부스터의 엔진 부압을 증대시켜 브레이크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희박, CDA(실린더 deactivation), 2 스텝(step) 가변밸브엔진, 터보차저/슈퍼차저를 구성하는 GDI, MPI 차량용 엔진에 있어 펌핑저감용 가변기구 또는 부스팅을 증가시키는 운전 모드 시에는 흡입 저감으로 엔진 흡기관의 부압이 낮아지게 되는 데, 이로 인해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을 확보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차량의 제동 성능에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게 되며, 이를 해소코자 종래의 경우 엔진의 헤드 측 캠 샤프트에 기계식 진공펌프를 설치하거나 또는 전기식 진공펌프 를 설치하여 여기서 생성된 부압을 부레이크 부스터 내에 작용시켜 브레이크의 작동력을 확보토록 하여 왔다.
이러한 방식의 선행 특허로 일본 특허공개 2006-199078호에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실에의 부압 도입을 어시스트하는 부압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바, 이 선행 특허는 부압실 내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인 부스터 상대압에 근거하여서 부압펌프의 작동 판정을 행하는 것으로, 부압펌프가 과잉 작동할 우려가 없고 부압실에 필요한 부압을 축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발명은 부압펌프의 어시스트에 의해 부압실에 필요한 부압을 안정적으로 축압할 수 있지만 부압펌프의 구비로 비용이 증대하고, 또 엔진룸 내의 기기들의 레이아웃을 제약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흡기밸브의 리프트 특성의 가변 제어에 의해 흡입 공기량을 제어하는 기술이 일본 특허공개 2003-74318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러한 흡기밸브의 리프트 특성의 가변 제어에 의해 흡입 공기량을 제어하는 엔진에 있어서는 특히 부하의 작은 영역에 있어서 소위 스로틀레스 운전 또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충분히 크게 유지하는 운전을 실현할 수 있고 펌핑 손실의 대폭적인 저감을 꾀할 수 있으나, 스로틀 개도량이 크면 그에 따라 흡기관 압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실의 부압이 부족되고, 브레이크 조작 시 어시스트력이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감안하여 일본의 히다찌사는 일본공개특허 2009-85145호에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실 내의 압력을 센서로 검출하고 그 검출압이 소정 압력 보다 높을 때에 흡기 밸브의 개방 면적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가변밸브기구를 제어함과 동시에 스로틀 밸브를 밸브 닫힘 방향으로 제어하여 부압이 부족한 것으로 검출되면 스로틀 밸브를 닫힘 방향으로 제어하여 흡기관 부압을 발달시켜 부압실 내부가 소정 압력까지 저하하도록 함과 동시에 흡기밸브의 개도 면적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가변밸브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흡입 공기량의 저하를 막아 엔진 출력 토크를 확보토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히다찌사의 선 특허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내에 별도의 부압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부스터 내 부압이 목표 부압을 만족하는가의 여부 및 브레이크 검출 신호에 따라 밸브 리프트 증가 및 스로틀 밸브를 폐쇄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가변 밸브 리프트 엔진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일반적 범용 엔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일반 엔진, 예를 들면 초희박, CDA(실린더 deactivation), 2 step 가변밸브엔진, 터보차저/슈퍼차저를 구성하는 GDI, MPI 차량용 엔진에 있어 펌프 장치의 설치 없이 기존 엔진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신호 중 감속 판단 및 부압 검출 신호에 따라 스로틀, 가변밸브 타이밍, 펌핑 저감용 가변기구 등을 흡기 부압이 증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 성능을 만족하는 엔진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은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이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설정치를 만족하는가를 검출하는 부압 검출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를 금지하는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 스로틀 개도량을 축소하는 제어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 는 단계에 있어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을 축소하는 제어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 앞서 엔진이 감속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여, 감속 운전 조건이 아닐 때에는 상황을 종료하며, 감속 운전 조건일 때에는 스로틀 밸브를 닫도록 제어하고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을 축소 제어를 실행하는 일반 감속 조건 매핑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 조건에 관련한 신호 검출은 엑셀 개도 전폐와, 스로틀 밸브 닫힘과 브레이크 작동 및 인젝터나 연료 컷의 검출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 단계의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 금지는 초희박 엔진의 경우 초희박 운전 모드의 실행을 금지토록 제어하며, 터보차저 및 슈퍼차저 엔진의 경우 부스팅을 금지하며, 가변기통 엔진의 경우 CDA 금지를 실행하며, 2 스텝 가변 밸브 엔진의 경우 펌핑 증가 모드 전환 제어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은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이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설정치를 만족하는가를 검출하는 부압 검출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부압이 부족하여 설정치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스로틀 밸브의 개방을 금지하는 엔진 가 속 금지 모드 단계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엔진 제어장치에 의하면 흡기 밸브 리프트 특성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와, 흡기 밸브의 상류 측에 마련되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드로틀 밸브와, 상기 드로틀 밸브의 하류 측의 흡기관 부압이 브레이크 부스터의 배력원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에 있어서, 엑셀 개도량 검출 센서와 드로틀 개도량 센서와 브레이크 조작 검출 센서와 부스터 내 부압센서 및 공연비 센서의 연료 컷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ECU에서 인가 받아 차량의 감속 조건으로 판단되거나 차속센서와 기어위치 검출센서 및 클러치 센서로부터 차량이 아이들 구동 상태임이 검출되면 상기 ECU는 엔진 RPM에 따른 흡압센서의 목표 흡압 만족을 위해 드로틀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여 드로틀 개도를 폐쇄하고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소를 연산 제어 실행하며, 이 실행 결과에 따른 목표 흡압이 불만족스럽거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불만족 시 펌핑 저감용 가변기구를 제어하여 펌핑 증가 모드로 제어하고, 드로틀 밸브의 폐쇄 보정을 축소하며 또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소 보정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 부압을 확보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엔진의 캠 샤프트에 기계식 또는 전기식의 진공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진공펌프의 생략으로 원가가 절감되고 레이아웃성이 향상되며, 기계적 마찰의 감소와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작동성 향상과 전 기 부하 저감에 따른 토크와 출력 및 연비가 향상되고 차량 중량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에 있어 엔진이 작동되면 기존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로부터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 과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을 검출하게 되며(단계 가), 부스터 내의 부압 또는 흡기관 내의 부압이 설정치, 즉 브레이크의 작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압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단계 나),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므로 상황을 종료하고, 검출된 부압이 요구 조건을 만족하지 아니하면 다음 단계에서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행한다(단계 다).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는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 금지와 스로틀 밸브 개도량 축소 제어와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소 제어를 포함하고 있 으며, 상기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 금지는 초희박 엔진, 또는 연료 절감을 위해 초희박 운전 모드를 가진 엔진의 경우 초희박 운전 운전 모드를 금지토록 제어하며, 터보차져 및 슈퍼차져 엔진의 경우 부스팅을 금지토록 제어하며, 가변 기통의 엔진의 경우 CDA 운전을 금지하며, 2 스텝 가변 밸브 엔진의 경우 펌핑 증가 모드 전환 제어를 실행토록 제어하며, 상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소 제어는 흡기 타이밍을 지각 제어하고, 배기 타이밍은 진각 제어한다.
도 2의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거에서 센서를 통해 엔진 흡기관 내 및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을 측정하게 되며, 단계 너에서는 차량이 감속 중에 있는가를 각종 센서들을 통해 검출하게 되는 데, 엑셀 개도량이 전폐되었는가와 스로틀 밸브가 폐쇄 상태인가와 브레이크가 작동중인가 및 인젝터 도는 공연비의 연료컷 상태인가를 검출하게 되며, 다음 단계에서 현재 감속 중인가, 즉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있는 상황인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이러한 사전 정보가 입력되면 단계 더에서 현재 감속 조건 중인가를 판단하여 정상 주행 중에 있다면 상황을 종료하고, 감속 중에 있다면 단계 러에서 일반 감속 조건의 매핑 제어를 실행, 즉 스로틀 밸브를 폐쇄토록 제어함과 아울러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는 오버랩을 축소토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결과 다음 단계 머에서는 센서를 통해 검출한 부스터 내의 부압 또는 흡기관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의 충분한 작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압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브레이크 작동에 문제가 없는 것이므로 상황을 종료하며, 부압 조건이 만족하지 않다면 다음 단계 버를 진행한다.
단계 버에서는 보정 매핑 제어를 실행하게 되는 데, 상기 단계 러에서 충분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러의 조치를 다시 반복하여 실행하며, 기타 엔진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를 금지토록 제어하는 데, 그 구체적 내용은 가변 기통의 경우 CDA를 금지하며, 2 스텝 가변 밸브 엔진의 펌핑 증가 모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계 머로 돌아가 다시 부압 조건이 만족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만족되었으면 종료하며, 만일 아니라면 단계 버의 실행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도 3은 아이들 운전 시의 플로어 차트를 나타낸 것으로 단계 고에서 차량이 현재 아이들 운전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이 아이들 운전 상태는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차속, 기어 위치, 냉각수온, 엔진 RPM, 클러치 해제 상태 등의 신호로서 판단하며, 다음 단계 노에서 냉간 시동 상태이거나, 엔진 웜업 상태 시(또는 그 전후 상태) 일반 제어를 행하게 되는 데, 이 때는 스로틀 밸브의 제어와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압을 정상 범위에 있도록 사전 제어한다.
다음에는 단계 도에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부스터 내의 부압 또는 흡기관 내의 부압이 정상치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상황을 종료하고, 아니라면 단계 로 내지 단계 소를 통해 스로틀 밸브를 폐쇄하는 보정 제어와,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을 축소 보정하는 제어와,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를 금지하는 제어와, 엔진의 RPM 을 증가시키는 보정 제어를 하며, 그결과 부압 조건이 만족되면 상황을 종료하고 아니면 다시 단계 도로 돌아가 단계 로 이하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도 4에서는 단계 구에서 센서들을 통해 부스터 또는 흡기관 내의 부압을 검출하며, 단계 누에서 검출된 부압이 정상에 못 미치는가를 판단하여 부족하다면 엔진의 가속 금지 모드를 실행한다. 이처럼 엔진의 가속을 금지토록 제어하는 이유는 브레이크의 작동력이 확보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가속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으로서, 구체적 제어 방법으로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증대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되게 제어하며, 위험 상황임을 운전자에게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가속 동작을 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제어는 엔진에 기존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장치(ECU)의 제어에 따라 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엔진 제어장치를 도 5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블럭도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은 공지 구조의 것들로서 그에 대해 구체적 상세가 필요한 경우 선행 기술로 기재된 특허 문헌들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엔진은 흡기 밸브 리프트 특성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와, 흡기 밸브의 상류 측에 마련되어 액츄에이터(2)에 의해 개폐되는 드로틀 밸브(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드로틀 밸브(3)의 하류 측의 흡기관 부압이 브레이크 부스터(4)의 배력원으로 이용하게 되는 데, 엑셀 개도량 검출 센서(5)와 드로틀 개도량 센서(6)와 브레이크 조작 검출 센서(7)와 부스터 내 부압센서 및 공연비 센서(9)의 연료 컷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ECU(10,전자제어장치)에서 인가 받아 차량의 감속 조건으로 판단되거나 차속센서(11)와 기어위치 검출센서(12) 및 클러치 센서(13)로부터 차량이 아이들 구동 상태임이 검출되면 상기 ECU(10)는 엔진 RPM에 따른 흡기 매니폴드 측 흡압센서(14)의 목표 흡압 만족을 위해 드로틀 액츄에이터(2)를 구동 제어하여 드로틀 밸브(3) 개도를 폐쇄하고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1)의 오버랩 축소를 연산 제어 실행하며, 이 실행 결과에 따른 목표 흡압이 불만족스럽거나 브레이크 부스터(4) 내의 부압이 불만족 시 펌핑 저감용 가변기구(15)를 제어하여 펌핑 증가 모드로 제어하고, 드로틀 밸브(3)의 폐쇄 보정을 축소하며 또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의 오버랩 축소(흡기 타이밍을 지각 제어하고, 배기 타이밍은 진각 제어함) 보정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 부압을 확보토록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의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 2:드로틀 엑츄에이터
3:드로틀 밸브 4:브레이크 부스터
5:엑셀 개도량 검출센서 6:드로틀 개도량 센서
7:브레이크 조작 검출센서 8:부스터 내 부압센서
9:공연비 센서 10:ECU
11:차속센서 12:기어위치 검출센서
13:클러치 센서 14:흡기 매니폴드 측 흡압센서
15:펌핑 저감용 흡압센서

Claims (8)

  1.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이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설정치를 만족하는가를 검출하는 부압 검출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를 금지하는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 스로틀 개도량을 축소하는 제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을 축소하는 제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 앞서 엔진이 감속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여, 감속 운전 조건이 아닐 때에는 상황을 종료하며, 감속 운전 조건일 때에는 스로틀 밸브를 닫도록 제어하고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을 축소 제어를 실행하는 일반 감속 조건 매핑 제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운전 조건에 관련한 신호 검출은 엑셀 개도 전폐와, 스로틀 밸브 닫힘과 브레이크 작동 및 인젝터나 공연비 연료 컷의 검출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부압 증대 보정 제어 단계의 펌핑 감소용 가변 제어 금지는 초희박 엔진의 경우 초희박 운전 모드의 실행을 금지토록 제어하며, 터보차저 및 슈퍼차저 엔진의 경우 부스팅을 금지하며, 가변기통 엔진의 경우 CDA 금지를 실행하며, 2 스텝 가변 밸브 엔진의 경우 펌핑 증가 모드 전환 제어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7.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에 있어서, 엔진 흡기관 내의 부압이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브레이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설정치를 만족하는가를 검출하는 부압 검출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설정치를 만족하면 브레이크 성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부압 검출 단계에서 부압이 부족하여 설정치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스로틀 밸브의 개방을 금지하는 엔진 가속 금지 모드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8. 흡기 밸브 리프트 특성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와, 흡기 밸브의 상류 측에 마련되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드로틀 밸브와, 상기 드로틀 밸브의 하류 측의 흡기관 부압이 브레이크 부스터의 배력원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엔진 제어장치에 있어서, 엑셀 개도량 검출 센서와 드로틀 개도량 센서와 브레이크 조작 검출 센서와 부스터 내 부압센서 및 공연비 센서의 연료 컷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ECU에서 인가 받아 차량의 감속 조건으로 판단되거나 차속센서와 기어위치 검출센서 및 클러치 센서로부터 차량이 아이들 구동 상태임이 검출되면 상기 ECU는 엔진 RPM에 따른 흡압센서의 목표 흡압 만족을 위해 드로틀 액츄에이터를 구동 제어하여 드로틀 개도를 폐쇄하고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 소를 연산 제어 실행하며, 이 실행 결과에 따른 목표 흡압이 불만족스럽거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의 부압이 불만족 시 펌핑 저감용 가변기구를 제어하여 펌핑 증가 모드로 제어하고, 드로틀 밸브의 폐쇄 보정을 축소하며 또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오버랩 축소 보정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 부압을 확보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장치.
KR1020090117478A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KR20110060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78A KR20110060983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478A KR20110060983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983A true KR20110060983A (ko) 2011-06-09

Family

ID=4439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478A KR20110060983A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9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2440A1 (en) * 2016-04-11 2017-10-12 Hyundai Motor Company Boosting control method of engine for cda
KR20200065353A (ko) * 2018-11-30 202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동용 부압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92440A1 (en) * 2016-04-11 2017-10-12 Hyundai Motor Company Boosting control method of engine for cda
US10196968B2 (en) 2016-04-11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Boosting control method of engine for CDA
KR20200065353A (ko) * 2018-11-30 202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동용 부압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724B2 (ja) 内燃機関システム
US87317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US6491022B2 (en) Fail-saf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20116656A1 (en) Vacuum Boost For Vehicle Braking
US10352258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supercharger
EP3406880B1 (en) Waste gate valv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KR20150134431A (ko) 터보차저를 갖는 엔진의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엔진의 제어 방법
WO2013031920A1 (ja) 内燃機関の過給制御装置
KR20100064930A (ko) Cvvl이 구비된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0248966A (ja) 燃料が直接噴射される燃焼室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その制御装置
KR102358852B1 (ko) Cvvd 엔진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 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4169647A (ja) 内燃機関の過給機制御装置
JP3114787B2 (ja) 排気ブレーキ装置
KR20110060983A (ko) 차량의 브레이크 성능 향상을 위한 엔진 부압 확대 제어방법 및 엔진 제어장치
JP2014240206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507123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1702044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912422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664120B2 (en) Induction control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variable valve mechanism
US8229654B2 (en) Device for limiting outpu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n the engine has abnormality
JP200733291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103359B2 (ja) 内燃機関の過給機制御装置
JP580815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472488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制御方法
US20130220272A1 (en) Engine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