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46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46B1
KR101080146B1 KR1020070128786A KR20070128786A KR101080146B1 KR 101080146 B1 KR101080146 B1 KR 101080146B1 KR 1020070128786 A KR1020070128786 A KR 1020070128786A KR 20070128786 A KR20070128786 A KR 20070128786A KR 101080146 B1 KR101080146 B1 KR 10108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roll
drive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468A (ko
Inventor
신이치로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means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from the magnetic brush, e.g. magnetic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 간이(簡易)한 구성으로, 한쪽 현상기로부터 다른 쪽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한다. 비구동 현상기의 구동부가 현상 롤(roll)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픽오프극(pickoff pole)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고, 하우징과 현상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間隙)을 현상제로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현상기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겨도,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어려워,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된다.
Figure R1020070128786
현상기, 하우징, 현상 롤러, 구동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2003-15420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2003-15420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기의 2성분 현상제를 자동 교환하는 2성분 현상제 교환 수단과, 현상기 내의 내압을 낮추기 위한 개구부와 그 개구부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외부로 배기(排氣)하기 위한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기 덕트는 2성분 현상제 교환 수단에서의 사용이 끝난 현상제를 폐기하는 폐기 현상제 용기를 통과하고, 폐기 현상제 용기에는 토너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현상기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폐기 현상제 용기에 설치된 토너 필터에서 여과되어, 배기 덕트를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2003-15420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배기 덕트 또는 폐기 현상제 용기를 통하여 복수의 현상기가 연결되어 있고, 현상기가 구동되면, 구동됨으로써 발생하는 열이나 현상 롤(roll)의 회전 등에 의해 현상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압력이 낮은 부분에 현상기 내의 토너를 포함한 공기가 유출되려 한다. 따라서, 구동되고 있는 현상기와, 그렇지 않은 현상기가 혼재된 경우, 그 압력차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현상기로부터 공기가 폐기 현상제 용기나 배기 덕트를 통하여 구동되고 있지 않은 현상기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토너 필터로부터 배출되어야 하는 토너를 포함한 공기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현상기에 유입되어, 혼색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 간이한 구성으로, 한쪽 현상기로부터 다른 쪽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로 잠상(潛像)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 내를 연결하는 연결로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비구동 현상기에 형성된 간극(間隙)을 상기 현상제로 막아 상기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氣 密性)을 강화하는 기밀성 강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현상기가 현상제로 잠상을 현상한다. 이 복수의 현상기의 구동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현상기가 구동되면, 구동됨으로써 발생하는 열이나, 현상 롤(roll)을 갖는 구성에서는 그 현상 롤의 회전 등에 의해, 현상기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복수의 현상기에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하면,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현상기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기고, 복수의 현상기 내를 연결하는 연결로를 통하여,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가 유입되려 한다. 비구동 현상기에 간극이 있으면,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유입된 공기가 간극으로부터 빠져나가, 새로운 공기가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유입되려 하기 때문에,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고,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촉진된다.
이에 대하여, 청구항 1의 구성에서는, 기밀성 강화 기구가 비구동 현상기에 형성된 간극을 현상제로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때문에,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현상기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겨도,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어려워,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된다.
또한,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상기 잠상에 공급하는 현상 롤(roll)을 갖고, 상기 기밀성 강화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현상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상기 현상제를 이동시켜 막는 현상제 이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과 현상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막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 롤의 반발극(反發極)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현상 롤의 반발극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대량으로 현상제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 롤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상기 현상 롤에 부착된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 롤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현상 롤에 부착된 현상제를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이한 구성으로,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자력(磁力)에 의해 이동시키는 자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성 부재의 자력을 이용하여,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현상제를 빽빽하게 기립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현상기 내로부터 공기를 빼내기 위한 공기 배출 구멍과, 상기 공기 배출 구멍의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빼내진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상기 현상제를 제거하는 필터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어려워,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되기 때문에, 구동 현상기로부터 공기 배출 구멍을 통하여 빼내진 공기는 비구동 현상기로 향하지 않고, 필터 부재로 효율적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구동 현상기로부터 공기 배출 구멍을 통하여 빼내진 공기 중의 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간극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현상 롤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현상 롤을 역회전시켜 현상제를, 현상 롤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의 간극으로 이동시키면, 돌출부에 의해 압축되어, 고밀도로 된 상태로, 하우징과 현상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길이 방향에 걸쳐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 성이 강화될 수 있다. 즉, 돌출부는 간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제를 압축하는 압축 부재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은 상기 현상 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현상극(現像極)(S1)에 인접한 픽오프극(pickoff pole)(N1), 상기 픽오프극(N1)에 인접한 픽업극(pickup pole)(N2), 트리밍극(trimming pole)(S2), 반송극(N3)의 순으로 상기 5개의 영구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가 축적되어 있는 반발극은 상기 픽오프극(N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인하여, 복수의 현상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 간이한 구성으로, 한쪽 현상기로부터 다른 쪽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부에 구비된 감광체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안, 마젠타, 옐로, 블랙의 4색의 현상제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30)와, 화상 형성부(30)의 하방(下方)에 배치된 급지부(16)와, 화상 형성부(30)의 상방(上方)에 배치된 배지부(排紙部)(1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3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상을 유지하는 잠상 유지체로서의 감광체(13C, 13M, 13Y, 13K)(이하, 13C∼13K으로 나타냄)가 시안, 마젠타, 옐로,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13C∼13K)는 소정의 일 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13C∼13K)의 주위에는, 감광체(13C∼13K)의 회전 방향 b를 따라 차례로, 중간 전사 벨트(14), 브러시 롤(34), 대전 롤(36), 노광 장치로서의 LED 어레이 헤드(40)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 브러시 롤(34), 대전 롤(36)은 감광체(13C∼13K)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감광체(13C∼13K)의 회전 방향에서의 LED 어레이 헤드(40)의 하류 측으로서, 중간 전사 벨트(14)의 상류 측에는, 현상제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2C, 12M, 12Y, 12K)(이하, 12C∼12K로 나타냄)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13C∼13K)의 각각의 표면은 대전 롤(3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체(13C∼13K)의 표면은 LED 어레이 헤드(40)에 의해 노광되고,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잠상이 감광체(13C∼13K)의 표면에 형성된다. 감광체(13C∼13K)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12C∼12K)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감광체(13C∼13K) 상(上)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14)는 무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반송 롤(24A)과, 벨트 반송 롤(24A)의 하방에 배열 설치된 벨트 반송 롤(24B)과, 벨트 반송 롤(24B)의 경사 상방으로서 반송로(19)의 반대 측에 배열 설치된 벨트 반송 롤(24C)에 감겨 지지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의 외주면(外周面)은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면(14A)이고, 전사면(14A)에 면하여, 현상기(12C∼12K)와 감광체(13C∼13K)가 병렬로 배치되며, 감광체(13C∼13K)가 전사면(14A)에 접촉하고 있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14)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13C∼13K)의 반대 측에는, 전사 롤(32C, 32M, 32Y, 32K)(이하, 32C∼32K로 나타냄)이 배열 설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14)는 전사 롤(32C∼32K)에 의해 감광체(13C∼13K)에 가압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위 탠덤식의 풀 컬러 프린터로서, 현상기(12C∼12K)에 의해 현상된 4색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14)가 일주(一周)하는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14) 상에 중합(重合)된다.
또한, 도 2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 중간 전사 벨트(14)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감광체(13K)의 하류 측에 인접하여, 전사면(14A)에 면하여 토너 농도 검출 센서(1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토너 농도 검출 센서(15)는 전사면(14A)에 전사된 토너의 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급지부(16)의 상방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롤(18)이 급지부(16)에 세트된 용지(P)의 반송 방향 선단부(先端部)에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 다. 또한,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로(19)가 급지부(16)에서의 급지 롤(18)을 설치한 측으로부터 전사부(22) 및 정착부(28)를 경유하여 배지부(17)를 향하여 상방으로 S자 형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반송로(19)에는 반송 롤(20)이 2세트 배치되어 있다. 용지(P)는 급지 롤(18)에 의해, 도 1에서 이점쇄선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반송 경로를 따라, 1매씩 급지부(16)로부터 반송로(19)를 따라 반송 롤(20)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전사부(22) 및 정착부(28)를 경유하여 배지부(17)로 반송된다.
전사부(22)에는, 중간 전사 벨트(14)가 감긴 벨트 반송 롤(24A)과, 벨트 반송 롤(24A)로 가압된 전사 롤(26)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벨트 반송 롤(24A)과 전사 롤(26)의 닙(nip)부에는, 중간 전사 벨트(14)가 끼워 넣어지고, 용지(P)가 이 닙부를 통과할 때에, 중간 전사 벨트(14)로부터 토너상이 전사된다.
전사부(22)의 상방에는, 정착부(2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정착부(28)는 히팅 롤(28A)과 히팅 롤(28A)에 압접된 백업 롤(28B)을 갖고, 용지(P)가 히팅 롤(28A)과 백업 롤(28B)의 닙부를 통과하면 토너가 용융, 응고되어 토너상이 정착된다. 정착부(28)에서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P)는 정착부(28)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된 배지 롤(29)에 의해 배지부(17)로 배지된다.
(현상기(12C∼12K) 및 그 주변의 구성)
다음으로, 현상기(12C∼12K)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상기(12C∼12K)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13C∼13K)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開口部)(37A)를 갖는 하우징(37)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7)에는, 감광체(13C∼13K)에 형성된 잠상에 2성분 현상제를 공급하 는 현상 롤(38)과, 현상 롤(38)로 2성분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의 스크루 피더(screw feeder)(39A 및 39B)가 수용되어 있다. 2성분 현상제는 토너와 자성 캐리어 입자를 주용(主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다. 또한, 현상제로서는, 2성분에 한정되지 않고, 1성분의 현상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크루 피더(39A 및 39B)는 현상 롤(3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루 피더(39A 및 39B)가 회전함으로써, 2성분 현상제가 교반(攪拌)되면서 현상 롤(38)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반송되고, 현상 롤(38)로 2성분 현상제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현상 롤(38)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7)의 개구부(37A)에 배치되고, 감광체(13C∼13K)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현상 갭(gap))이 형성되도록, 감광체(13C∼13K)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롤(38)은 원주(圓柱) 형상의 내측 실린더(38B)와, 내측 실린더(38B)에 피복된 슬리브(sleeve)(38A)를 갖고 있다.
내측 실린더(38B)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슬리브(38A)는, 도 3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실린더(38B)의 축선(軸線)의 주위를 감광체(13C∼13K)의 회전 방향 b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감광체(13C∼13K)가 도 3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현상 롤(38)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내측 실린더(38B)에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 브(38A)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내측 실린더(38B)의 표면에 S극과 N극이 번갈아 형성되도록 5개의 영구 자석이 방사상(放射狀)으로 매설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 및 도 4의 (b)에서 S1극은 현상극이고, 감광체(13C∼13K)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38A)의 회전 방향 c를 따라 현상극(S1)에 인접하여 픽오프극(N1)이 배열 설치되고, 그에 인접한 픽업극(N2), 트리밍극(S2), 반송극(N3)의 순으로 자극(磁極)이 배치되어 있다.
트리밍극(S2)의 대향부에는, 트리밍극(S2)과 협동하여 자기 브러시 층의 높이를 정렬하는 층 형성 부재로서의 트리밍 블레이드(41)가 현상 롤(38)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또한, 현상극(S1)과 트리밍극(S2)은 모두 S극이고, 픽오프극(N1), 픽업극(N2), 반송극(N3)은 모두 N극이다. 또한, 현상 롤(38)에는, 마이너스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현상기(12C∼12K)에서는, 슬리브(38A)가 회전 방향 c를 따라 회전하면, 우선, 스크루 피더(39A, 39B)에 의해, 현상 롤(38)로 공급된 2성분 현상제는 픽업극(N2)에 의해 슬리브(38A)의 표면에 흡착된다. 여기서, 슬리브(38A)의 표면에는, 반송극(N3)으로부터 현상극(S1)을 향하는 자계, 픽오프극(N1)으로부터 현상극(S1)을 향하는 자계, 픽업극(N2)으로부터 트리밍극(S2)을 향하는 방향의 자계, 및 반송극(N3)으로부터 트리밍극(S2)을 향하는 자계가 형성된다. 또한, 2성분 현상제는 자성 캐리어 입자의 표면에 토너가 부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슬리브(38A)의 표면에 흡착된 2성분 현상제는 슬리브(38A)의 표면에서 상기 자계의 방 향(자속(磁束) 밀도 벡터 B의 방향)을 따른 자력선의 방향으로 자성 캐리어 입자가 배열되어,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다.
픽업극(N2)의 근방에서 슬리브(38A)의 표면에 형성(유지)된 자기 브러시는 슬리브(38A)가 회전 방향 c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슬리브(38A)의 표면을 따라 트리밍극(S2)→반송극(N3)→현상극(S1)→픽오프극(N1)으로 반송(이동)된다. 그리고, 트리밍극(S2)을 통과할 때에 자기 브러시의 높이가 정렬되면서, 현상극(S1) 근방에서 자기 브러시 상의 토너가 감광체(13C∼13K)로 이행하고, 슬리브(38A)의 표면에는 거의 자성 캐리어 입자만으로 된 자기 브러시가 남는다. 거의 자성 캐리어 입자만으로 된 자기 브러시는 슬리브(38A)의 회전에 따라, 픽오프극(N1)에서 슬리브(38A)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하여 하우징(37) 내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슬리브(38A)가 회전 방향 c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픽업극(N2)에서 항상 신선한 2성분 현상제가 보충되어 현상극(S1)에 반송된다. 현상극(S1)에서 토너가 감광체(13C∼13K)로 이행하여 감광체(13C∼13K)의 표면의 정전잠상이 현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12C∼12K)의 측면에는, 복수의 현상기(12C∼12K) 내를 연결하는 연결로(50)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로(50)는 복수의 현상기(12C∼12K)에 각각 형성되어 현상기(12C∼12K) 내로부터 공기를 빼내기 위한 공기 배출 구멍(52)과, 공기 배출 구멍(52)의 각각에 연결되어 공기 배출 구멍(52)으로부터 빼내진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로(54)와, 배출로(54)에 설치되어 공기 배출 구멍(5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현상제를 제거하 는 필터 부재(5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 구멍(52)은 현상기(12C∼12K)의 측면으로서, 스크루 피더(39A)의 회전축 방향의 일단부(一端部) 측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 구멍(52)은 공기 배출 구멍(52)을 통하여, 현상기(12C∼12K) 내로부터 공기 및 불필요해진 현상제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배출로(54)는 폐기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폐기 현상제 용기(58)와, 일단부가 공기 배출 구멍(52)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부(他端部)가 폐기 현상제 용기(58)에 연결된 배기 덕트(4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현상기(12C∼12K) 내로부터 공기 배출 구멍(52)을 통하여 배출된 현상제는 하강 구배(句配)가 형성된 배기 덕트(48)를 경사 하방으로 강하(降下)하여, 폐기 현상제 용기(58)에 수용된다.
또한, 필터 부재(56)는 폐기 현상제 용기(5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필터 부재(56)가 배치된 부분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외부와 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기(12C∼12K)로부터 공기 배출 구멍(52)을 통하여 빼내진 공기는 배기 덕트(48) 및 폐기 현상제 용기(58)를 통하여, 또한 필터 부재(56)를 통과하여, 현상제가 제거된다. 필터 부재(56)에 의해 현상제가 제거된 공기는 필터 부재(56)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필터 부재(56)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해 폐기 현상제 용기(58)에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기 덕트(48)가 현상기(12C∼12K)의 공기 배출 구멍(52)의 각각에 연 결됨으로써, 현상기(12C∼12K)는 서로가 연결된 상태로 되고, 각 현상기(12C∼12K)의 사이에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해진다.
또한, 현상기(12C∼12K)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12C∼12K)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60)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60)가 구동 신호를 현상기(12C∼12K)에 보냄으로써, 현상기(12C∼12K)를 구동시키면, 현상기(12C∼12K)는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로 된다.
컨트롤러(60)가 구동된 현상기(12C∼12K)에 정지 신호를 보냄으로써, 현상기(12C∼12K)를 정지시키면, 현상기(12C∼12K)는 구동되지 않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로 된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 색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 색 화상(예를 들어,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 색 화상 모드와, 단색 화상(예를 들어, 흑백의 모노크로매틱(monochromatic)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화상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60)는 그 화상 모드에 따라, 구동될 현상기(12C∼12K)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복수 색 화상으로서의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풀 컬러 화상 모드에서는, 컨트롤러(60)는 현상기(12C∼12K)의 전부를 구동한다. 또한, 단색 화상으로서의 흑백의 모노크로매틱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크로매틱 화상 모드에서는, 컨트롤러(60)는 현상기(12K)를 구동하는 동시에, 현상기(12C∼12Y)를 비구동 상태로 한다.
따라서, 모노크로매틱 화상 모드 등의 단색 화상 모드에서는, 현상기(12C∼ 12K)에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현상기(12C∼12K)에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할 경우에, 비구동 현상기에 형성된 간극을 현상제로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밀성 강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기밀성 강화 기구는 하우징(37)과 현상 롤(38)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현상제를 이동시켜 막는 현상제 이동 수단으로서의 구동부(43)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43)는 현상 롤(38)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현상 롤(38)에 부착된 현상제를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37)와 현상 롤(38)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현상제로 막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43)는 현상 롤(38)의 반발극, 즉, 픽오프극(N1)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7)의 개구부(37A)를 기준으로 보아, 현상 롤(38)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의 간극에는, 하우징(37)의 내벽에 현상 롤(38)로 돌출하는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롤(38)을 역회전시켜 현상제를, 현상 롤(38)의 회전 방향 하류 측의 간극으로 이동시키면, 돌출부(64)에 의해 압축되어, 고밀도로 된 상태가 된다. 또한, 현상제는 하우징(37)과 현상 롤(38)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길이 방향에 걸쳐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이 강화된다. 즉, 돌출부(64)는 간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제를 압축하는 압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비구동 현상기에 형성된 간극을 현상제로 막는 구성에는, 아무것도 매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간극에 현상제를 매립하는 구성과, 이미 간극이 현상제 등으로 매립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다시 현상제로 간극을 매립하여 간극을 매립하는 밀도를 높이는 구성이 포함된다. 즉, 간극을 현상제로 막기 전에 비해, 간극을 현상제로 막은 후에서 간극(간극의 밀도)이 감소하고 있으면 되고, 이에 따라,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이 높아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하우징(37)의 개구부(37A)를 기준으로 보아, 현상 롤(38)의 회전 방향상류 측에서, 현상 롤(38)과의 사이의 간극은 현상 롤(38)에 흡착된 현상제 및 트리밍 블레이드(41)에 의해 막혀 있어, 기밀성이 유지되고 있다.
구동부(43)는 컨트롤러(60)에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60)에 의해, 현상 롤(38)을 역회전시키는 타이밍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단색 화상 모드의 지령을 취득한 때에, 비구동 현상기에서, 현상 롤(38)을 역회전시켜, 현상제로 간극을 막는다.
또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하는 상황이 형성되는 것에 대비하여, 구동 상태로부터 정지할 때에, 매회, 역회전하여 정지하고, 구동 상태로부터 비구동 상태로 상태 변화할 때에, 현상제로 간극을 막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
다음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대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구동 현상기의 구동부(43)가 현상 롤(38)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픽오프극(N1)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고, 하우징(37)과 현상 롤(38)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현상제로 막아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현상기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겨도,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어려워,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제를 이용하여,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하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 롤(38)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현상 롤(38)에 부착된 현상제를 간극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이한 구성으로,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롤(38)의 반발극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대량으로 현상제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현상기로부터 비구동 현상기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어려워, 비구동 현상기로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되기 때문에, 구동 현상기로부터 공기 배출 구멍(52)을 통하여 빼내진 공기는 비구동 현상기로 향하지 않고, 필터 부재(56)로 효율적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구동 현상기로부터 공기 배출 구 멍(52)을 통하여 빼내진 공기 중의 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이동 수단으로서는,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현상제를 자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자성 부재(62)일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자성 부재(62)는 하우징(37)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현상 롤(38)의 반발극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하우징(37)과 현상 롤(38)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성 부재(62)의 자력을 이용하여,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현상제를 빽빽하게 기립시킬 수 있고, 효과적으로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부에 구비된 감광체 및 그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을 강화하는 기밀성 강화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현상제 이동 수단을 자성 부재로 바꾼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2K∼12C: 현상기
37: 하우징 38: 현상 롤
43: 구동부(기밀성 강화 기구, 현상제 이동 수단)
50: 연결로 52: 공기 배출 구멍
54: 배출로 56: 필터 부재
60: 컨트롤러(제어 수단)
62: 자성 부재(기밀성 강화 기구, 현상제 이동 수단)

Claims (8)

  1. 현상제로 잠상(潛像)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 내를 연결하는 연결로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서 구동 상태로 된 구동 현상기와 비구동 상태로 된 비구동 현상기가 존재할 경우에, 기체가 통하지 않도록 상기 비구동 현상기에 형성된 간극(間隙)을 상기 현상제로 막아 상기 비구동 현상기의 기밀성(氣密性)을 강화하는 기밀성 강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상기 잠상에 공급하는 현상 롤(roll)을 갖고,
    상기 기밀성 강화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현상 롤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 상기 현상제를 이동시켜 막는 현상제 이동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 롤의 반발극(反發極)에 축적되어 있는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 롤을 일정 각도 역회전시켜, 상기 현상 롤에 부착된 현상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동 수단은 상기 현상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를 자력(磁力)에 의해 이동시키는 자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현상기 내로부터 공기를 빼내기 위한 공기 배출 구멍과, 상기 공기 배출 구멍의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빼내진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중의 상기 현상제를 제거하는 필터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의 간극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현상 롤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은 상기 현상 롤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현상극(現像極)에 인접한 픽오프극(pickoff pole), 상기 픽오프극에 인접한 픽업극(pickup pole), 트리밍극(trimming pole), 반송극의 순으로 5개의 영구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가 축적되어 있는 반발극은 상기 픽오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70128786A 2007-06-26 2007-12-12 화상 형성 장치 KR101080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7850A JP5012254B2 (ja) 2007-06-26 2007-06-26 画像形成装置
JPJP-P-2007-00167850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68A KR20080114468A (ko) 2008-12-31
KR101080146B1 true KR101080146B1 (ko) 2011-11-07

Family

ID=4019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786A KR101080146B1 (ko) 2007-06-26 2007-12-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0426B2 (ko)
JP (1) JP5012254B2 (ko)
KR (1) KR101080146B1 (ko)
CN (1) CN101334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2465B2 (en) * 2007-02-20 2010-09-07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265225B (zh) * 2008-12-23 2014-06-04 奥西-技术有限公司 用于操作成像装置的方法和应用该方法的成像装置
JP5500422B2 (ja) * 2009-12-22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24199B2 (ja) * 2017-03-30 2022-02-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組立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34291B2 (en) * 2017-10-26 2020-0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system with developer retainer
CN212256020U (zh) * 2020-02-17 2020-12-29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处理盒及图像形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2122A (ja) * 2003-03-11 2004-09-30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その現像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053A (en) * 1986-10-23 1989-08-22 Mita Industrial Co.,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units
JPH05232819A (ja) * 1992-02-25 1993-09-10 Canon Inc 多色画像形成装置
JPH0980846A (ja) * 1995-09-18 1997-03-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62734A (ja) * 2000-08-17 2002-02-28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365918A (ja) * 2001-06-08 2002-12-20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該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015420A (ja) 2001-06-29 2003-01-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03298B2 (en) * 2003-02-20 2006-09-05 Ricoh Company, Ltd. Toner scatter suppressing developing device,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4396922B2 (ja) * 2003-12-12 2010-01-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4387927B2 (ja) * 2004-11-12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02065A (ja) * 2005-10-07 2007-04-1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2122A (ja) * 2003-03-11 2004-09-30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その現像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68A (ko) 2008-12-31
CN101334608A (zh) 2008-12-31
US20090028612A1 (en) 2009-01-29
JP5012254B2 (ja) 2012-08-29
JP2009008745A (ja) 2009-01-15
US7680426B2 (en) 2010-03-16
CN101334608B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2543A1 (en)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8014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5024665A (ja)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826623A1 (en) Stop position control of image bear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13643B2 (ja)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9692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US2005006935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927142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50003872A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01100524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139684A (ja) 画像形成装置
US9829826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301393A (ja) 現像器
JP2009276666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8166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152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848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現像装置
JP4438470B2 (ja) 画像形成装置
JP5272624B2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32112A (ja) 画像形成装置
KR102541857B1 (ko) 스프링 오거를 구비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JP4002774B2 (ja) 携帯可能なトナー充填装置の制御方法、携帯可能なトナー充填装置の制御装置
JP4369633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1051999B (zh) 用于引导显影剂的显影剂循环器
US9891554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