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82B1 -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82B1
KR101079582B1 KR1020070048705A KR20070048705A KR101079582B1 KR 101079582 B1 KR101079582 B1 KR 101079582B1 KR 1020070048705 A KR1020070048705 A KR 1020070048705A KR 20070048705 A KR20070048705 A KR 20070048705A KR 101079582 B1 KR101079582 B1 KR 10107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driving unit
cons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505A (ko
Inventor
조현기
김종우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82B1/ko
Priority to US12/055,602 priority patent/US7877038B2/en
Priority to EP08103231.0A priority patent/EP1992998B1/en
Priority to CNA2008100941550A priority patent/CN101308346A/zh
Publication of KR200801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온도차, 상담지체, 감광체

Description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OF IMAGE RECEPTOR}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횡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시간에 따른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비교한 비교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 100b, 100c : 화상형성장치 101 : 케이싱
106 : 유입통풍구 107 : 유출통풍구
130 : 상담지체 170 : 구동부
181, 183, 194 : 단열부재 193, 195, 197: 지지브라켓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화상형성방식에 따라서 잉크젯 방식 및 전자사진 방식이 있다. 전자사진 방식은 대전-노광-현상-전사-클리닝-제전과정을 거쳐서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종래의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5), 상담지체(5)의 회전축(5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담지체 프레임(4) 및 상담지체(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2)를 갖는다.
상담지체(5)의 회전축(5a) 일단부에는 상담지체 구동기어(5b)가 연결된다. 상담지체(5)는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미도시된 현상카트리지(도 2의 140 참조)에 의해 토너로 현상된다.
구동부(2)는 지지브라켓(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구동부(2)의 회전축(2a)에는 구동피니언(2b)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피니언(2b)은 전달기어(7)의 일측 기어열에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의 동력이 상담지체(5)에 전달되도록 상기 상담지체 구동기어(5b)는 전달기어(7)의 타측 기어열에 치합된다.
그런데, 지지브라켓(3)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어 구동부(2)에서 발생한 열이 바로 전도된다. 이에 따라, 상담지체(5)의 좌우측 표면 온도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한편,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6시간 연속으로 인쇄한 후 A지점부터 G지점까지 총 7개의 지점에서 온도(단위, 섭씨)를 측정한 결과 아래의 표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각 지점의 초기온도는 23.5도 였으며, A, G 지점의 온도는 상담지체 프레임(4)의 온도에 해당하고, B 내지 F 지점의 온도는 상담지체(5)의 표면 온도에 해당한다.
측정지점 A B C D E F G
온도 58.7 55.6 54.9 54.5 54.3 53.0 49.6
상담지체(5)의 표면온도가 상승할수록 상담지체(5)의 잔류 표면전위가 대략 50V(Volt) 상승하여 현상카트리지의 현상롤러(도 2의 143 참조)와의 전위차가 작아지게 된다. 전위차가 작아지면 상담지체(5)로 이동하는 토너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화상 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담지체(5)의 좌우에서 대략 최대 3도의 표면 온도차(溫度差)가 발생함에 따라 화상 농도가 좌우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담지체(5)의 온도차 외에도 상담지체(5)를 토너로 현상하기 위해 상담지체(5)에 인접하게 배치된 현상카트리지(도 2의 140참조)에도 온도차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현상카트리지(도 2의 140Y, 140M, 140C, 140K 참조) 내부에 저장된 토너의 유동 특성도 달라지게 되므로 화질열화는 더욱 가중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경량화, 소형화를 위해 구동부(2)를 강제 냉각시킬 수 있는 송풍팬(미도시)과 같은 강제 냉각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상기 온도차를 해결하는 다른 방안이 더욱 절실하게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담지체의 온도를 줄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팬과 같은 강제냉각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담지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담지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상기 지지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공기가 통풍되는 통풍구를 갖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위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 통풍구와; 상기 유입 통풍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구동부 측으로 돌출된 브라켓 절편을 가지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브라켓 절편에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 인쇄매체(P)를 급지하는 급지부(110), 노광유닛(121), 상담지체(130), 상담지체(130)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기(123), 상담지체(130)를 현상시키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140), 전사벨트유닛(150) 및 제2전사롤러(161)를 포함한다.
급지부(110)는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카세트(111),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13), 픽업된 인쇄매체를 정렬하여 전사벨트유닛(150)으로 이송하는 레지롤러(registration roller, 115, 117)를 포함한다.
노광유닛(121)은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L)을 상담지체(130) 표면에 노출시켜 상담지체(13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담지체(130)는 감광드럼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드럼 타입이 아닌벨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담지체(130)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될 수 있는 한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4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를 각각 저장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현상카트리지(140)만 채용할 수도 있다.
현상카트리지(140)는 케이싱(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각 현상카트리지(140)의 일측에는 상담지체(130)를 저장된 토너로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롤러(143)가 존재한다.
전사벨트유닛(150)은 전사벨트(153), 전사벨트(153)를 궤도 순환시키는 한 쌍의 벨트 구동롤러(155, 157) 및 제1전사롤러(151)를 포함한다.
제1전사롤러(151)는 전사벨트(153)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13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담지체(130)에 형성된 토너 가시화상을 상기 전사벨트(153)로 전사시킨다.
제2전사롤러(161)는 상기 전사벨트(153) 상의 상기 토너 가시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한다. 이때, 제2전사롤러(161)는 벨트 구동롤러(157)에 대한 전위차에 의해 상기 토너 가시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에 의한 칼라인쇄과정을 간략히 설 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담지체(130)의 표면이 대전기(123)에 의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된다.
노광유닛(121)은 화상정보 중 옐로우 색상의 토너가 도포되어야 할 옐로우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상담지체(130)에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30) 표면에는 노광영역과 비노광영역 간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잠상은 옐로우 현상카트리지(140Y)에 의해 현상되어 옐로우 토너화상이 된다.
이 옐로우 토너화상은 제1전사롤러(151)에 의해 전사벨트(153)로 전사된다. 전사되고 남은 상담지체(130)표면 상의 잔류 토너들은 클리닝 블레이드(125)에 의해 긁혀져서 폐토너통(127)에 저장된다.
그 다음에, 다시 대전기(123)에 의해 상담지체(130)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유닛(121)은 마젠타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상담지체(130)에 노출시킨다. 그리고, 마젠타 현상카트리지(140M)가 상기 상담지체(130)를 현상시켜 마젠타 토너화상이 상담지체(130)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마젠타 토너화상은 제1전사롤러(151)에 의해 상기 옐로우 토너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전사벨트(153)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나머지 시안 색상의 토너도 상기 옐로우 및 마젠타 토너화상이 중첩되어 있는 전사벨트(153)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이에 따라, 3가지 색상의 토너가 중첩됨으로써 칼라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53)에 형성된다.
한편, 급지부(11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픽업롤러(113)에 의해 픽업되며 레지롤러(115, 117)에 선단이 정렬된다. 정렬된 인쇄매체(P)는 적절한 타이밍에 전사벨트(153)와 제2전사롤러(161)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칼라 토너화상이 상기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이 칼라 토너화상은 히트롤러(162) 및 프레스 롤러(163)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는 배지롤러(165, 167, 169)에 의해 외부로 배지된다.
도 3은 편의상 전사벨트유닛(150)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2의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종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70), 구동부(17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93) 및 단열부재(181)를 포함한다.
구동부(170)는 전기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부(170)의 회전축(170a)에는 구동피니언(170b)이 연결된다. 구동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3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담지체(130)의 회전축(130a)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부(170)로부터 동력을 수령하여 상담지체(130)를 구동하는 상담지체 구동기어(130b)가 결합된다.
상담지체 구동기어(130b) 및 구동피니언(170b) 사이에는 전달기어(173)가 개재되어 구동부(170)의 동력이 상담지체(130)로 전달된다.
한편, 지지브라켓(193)은 금속성 재질로 마련된다. 지지브라켓(193)은 구동 부(170)를 지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담지체(130)외 히트롤러(162), 프레스롤러(163), 벨트 구동롤러(155, 157)와 같은 회전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미도시)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단열부재(181)는 구동부(170)와 지지브라켓(193)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부(170)의 열이 지지브라켓(193)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부재(181)는 단열성 재질로 마련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70), 단열부재(181) 및 지지브라켓(193)은 체결구(미도시)로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로도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에는 유입 통풍구(106)와 배출 통풍구(107)를 마련할 수 있다.
유입 통풍구(106)는 구동부(170)의 하측에 마련되며, 배출 통풍구(107)는 구동부(170)의 상측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가 상기 유입 통풍구(106)로 유입되어 상기 구동부(170)를 냉각시키고 상기 배출 통풍구(107)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송풍팬과 같은 강제 송풍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대류에 의해 상기 구동부(17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활한 외기 유입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70)의 하측에 유입 통풍구(106)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 통풍구(1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106)는 화상형성장치(100a)를 옮길 때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케이싱(101)의 하측에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입 통풍구(106)를 손잡이부(106)가 아닌 케이싱(101)의 바닥면(101a)에 마련하는 경우, 원활한 외기 유입을 위해 바닥면(101a)을 화상형성장치(100a)의 설치면에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격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통풍구(106)를 손잡이부(106)에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입 통풍구(106)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외관상의 이점뿐만 아니라 상기 별도의 이격수단이 없어도 되는 이점이 있다.
배출 통풍구(10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유입 통풍구(106)에 대향하는 케이싱(101)의 상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도 1의 1)를 대략 6시간 정도 연속하여 인쇄하면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측정된 상담지체(도 1의 도 3의 130) 좌우의 온도차(도 1에서 B지점의 온도에서 F 지점에서의 온도를 뺀 값)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J 및 K는 각각 종래 화상형성장치(도 1의 1)의 상담지체(도 1의 5) 및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의 상담지체(도 3의 130)의 온도차 그래프이다.
여기서, 온도차의 단위는 섭씨온도(Celsius temperature scale)이며, 온도차가 양(+)의 값이라는 것은 구동부(170)에 가장 가까운 상담지체(도 1의 5, 도 3의 130)의 표면온도(도 1에서 B지점의 표면온도)가 구동부(170)에서 가장 먼 쪽의 상담지체(도 1의 5, 도 3의 130)의 표면온도(도 1에서 F지점의 표면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온도차가 (-)라는 것은 역으로 구동부(170)에 가장 가까운 상담지체(도 1의 5, 도 3의 130)의 온도가 구동부(170)에서 가장 먼 쪽의 상담지체(도 1의 5, 도 3의 130)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J 그래프에 의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도 1의 1)의 경우 온도차는 최대 (+)2도, 최소 (-)1.1도 평균 (+)1도이다. 반면,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의 경우, K 그래프에 의하면 온도차는 최대 (+)0.5도, 최소 (-)1.2도 범위 내에 있으며 평균 (-)0.2도이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도 1의 1)의 경우 온도차가 (-)1도에서 (+)2도로 3도의 변동폭을 갖는 데 반해, 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의 경우 (+)0.5도에서 (-)1.2도로 1.7도의 변동폭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에 비해 1.3도만큼 변동폭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의 온도차의 평균값은 (-)0.2도로서 종래의 (+)1.1도에 비해 대략 1도 정도 평균값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 내부에는 송풍팬과 같은 강제송풍수단 없이도 기내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구동부(170)의 배치에 따른 상담지체(130)의 길이방향으로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담지체(130)의 길이방향으로 온도차를 줄이는 효과 외에도 그와 유사한 패턴으로 상담지체(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현상카트리지(140)의 온도차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상카트리지(140) 내부에 저장된 토너의 온도에 따른 유동특성도 거의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인쇄매체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b)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도 3의 100a)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b)는 지지브라켓(195) 및 단열부재(183)를 갖는다.
지지브라켓(195)은 단열재질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183)는 상기 지지브라켓(195)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지지브라켓(19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브라켓(195) 및 단열부재(183)는 일체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83)와 상기 지지브라켓(195) 사이에는 간격(H)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열부재(183)는 도 6에서는 구동부(170)가 설치되는 영역에만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브라켓(195)의 전체 영역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간격(H)은 구동부(170)의 열이 지지브라켓(195)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기로 채워진 단열층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간격(H)은 유입 통풍구(106)로부터 유입된 외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170)에 의해 열 전도된 단열부재(183) 및 지지브라켓(195)이 외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지므로 외기에 의한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상기 간격(H)은 도 6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하부가 개방되어 하측의 유입 통풍구(106)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를 간격(H)에 주입하고 상하부를 폐쇄하여 공기를 상기 간격(H)내에 정체시켜 공기에 의한 단열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간격(H)이 지나치게 클 경우, 구동부(170)의 회전축(170a)이 진동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H)은 대략 4mm정도로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c)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지지브라켓(197) 및 단열부재(185)를 갖는다.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도 3의 100a)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97)은 브라켓 절편(197a)을 갖는다. 지지브라켓(197)은 금속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아연 도금 강판일 수 있다.
브라켓 절편(197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70) 측으로 돌출된 절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 절편(197a)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절곡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브라켓 절편(197a)은 구동부(170) 측으로 볼록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몰딩에 의해서 형성될 단열부재(185)를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열부재(185)는 지지브라켓(197)의 구동부(170)가 설치될 영역에 인서트 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금형에 지지브라켓(197)의 브라켓 절편(197a)을 삽입한 후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의 단열부재(18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70)의 회전축(170a)이 지지브라켓(197) 및 단열부재(185)를 관통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197) 및 단열부재(185)에는 회전축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구동부(170)의 플랜지(177)와 단열부재(185)를 체결구로 결합하기 위해, 단열부재(185) 형성 시 체결구 홀(185a)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구 홀(185a)은 플랜지(177)의 체결구 홀(175)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체결구 홀(185a) 내부에는 구동부(170)와 단열부재(185)를 체결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탭핑 작업(tapping work)으로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몰딩에 의해 금속성 재질의 지지브라켓(197)과 플라스틱 재질의 단열부재(185)를 단품제작 과정에서 미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a)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181)를 구동부(170)와 지지브라켓(193) 사이에 삽입하여 조립해야 하는데 반해,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열부재(185)가 이미 지지브라켓(197)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197)과 단열부재(185)를 하나의 단품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 제조공정 상의 부품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 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송풍팬과 같은 강제송풍 수단 없이도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둘째,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특히, 구동부가 상담지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길이방향에 따른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온도차에 따른 화상 농도차를 감소시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단열부재를 지지브라켓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섯째, 통풍구를 손잡이부에 배치함으로써 외기를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으며, 케이싱과 화상형성장치 설치면을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격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Claims (9)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공기가 통풍되는 통풍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이동 시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갖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통풍구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위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 통풍구와; 상기 유입 통풍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내기가 배출되는 배출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 통풍구는 상기 케이싱의 상기 손잡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금속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는 감광드럼으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담지체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구동부 측으로 돌출된 브라켓 절편을 가지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브라켓 절편에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48705A 2007-05-18 2007-05-18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KR10107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05A KR101079582B1 (ko) 2007-05-18 2007-05-18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US12/055,602 US7877038B2 (en) 2007-05-18 2008-03-26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of a photosensitive body
EP08103231.0A EP1992998B1 (en) 2007-05-18 2008-03-31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emperature Difference of a Photosensitive Body
CNA2008100941550A CN101308346A (zh) 2007-05-18 2008-05-06 能够减小感光体的温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05A KR101079582B1 (ko) 2007-05-18 2007-05-18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05A KR20080101505A (ko) 2008-11-21
KR101079582B1 true KR101079582B1 (ko) 2011-11-03

Family

ID=396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05A KR101079582B1 (ko) 2007-05-18 2007-05-18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77038B2 (ko)
EP (1) EP1992998B1 (ko)
KR (1) KR101079582B1 (ko)
CN (1) CN1013083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2010A (ja) * 2008-12-24 2010-07-08 Fuji Xerox Co Ltd 冷却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65878B2 (ja) * 2013-09-26 2016-08-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02681B2 (ja) * 2013-10-31 2017-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197523A (ja) * 2014-03-31 2015-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94298B2 (ja) * 2015-01-21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15381B2 (ja) * 2015-02-02 2019-05-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排気手段
JP6488849B2 (ja) * 2015-04-20 2019-03-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68613B2 (ja) * 2015-05-21 2020-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7843B2 (ja) * 2015-06-29 2018-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冷却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812267B2 (ja) * 2017-02-20 2021-01-1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860A (ja) * 2002-12-06 2004-07-02 Ricoh Co Ltd 駆動力伝達装置、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063A (ja) * 1982-02-08 1983-08-12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複写機のコロナ放電装置
JP2780775B2 (ja) * 1988-01-12 1998-07-30 株式会社リコー 感光体疲労検出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US5221947A (en) * 1992-02-20 1993-06-22 Eastman Kodak Company Internally heated roller assembly for toner image fixing apparatus
JPH05265328A (ja) * 1992-03-16 1993-10-1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107697A (ja) * 1993-09-29 1995-04-21 Minolta Co Ltd パルスモータの駆動伝達機構
JPH07325536A (ja) * 1994-05-31 1995-12-12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3220425B2 (ja) * 1997-12-25 2001-10-2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装置
JPH11249364A (ja) * 1998-03-05 1999-09-17 Fuji Xerox Co Ltd 回転軸支持装置
JP2000230542A (ja) * 1999-02-09 2000-08-22 Ricoh Co Ltd 回転体駆動装置
JP3664065B2 (ja) * 2000-09-29 2005-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333518B2 (ja) * 2004-08-05 2009-09-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
JP4647323B2 (ja) * 2005-01-31 2011-03-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冷却構造およびこの冷却構造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60365B2 (ja) * 2005-12-26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23673B2 (ja) * 2006-03-30 2012-04-25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動力伝達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3860A (ja) * 2002-12-06 2004-07-02 Ricoh Co Ltd 駆動力伝達装置、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2998A3 (en) 2011-02-23
EP1992998A2 (en) 2008-11-19
KR20080101505A (ko) 2008-11-21
CN101308346A (zh) 2008-11-19
US20080285998A1 (en) 2008-11-20
EP1992998B1 (en) 2014-09-24
US7877038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582B1 (ko) 상담지체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EP160780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83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97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holding portion having an air vent
US7433624B2 (en) Cooling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20080050144A1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Cooling Mechanism
CN105988352B (zh) 图像形成装置
JP438380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693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US90145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01428B2 (en) Fixing device having a thermistor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thermistor
US92013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rmediate transfer belt cooling chamber
JP5137452B2 (ja) 画像形成装置
US8511680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reliably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belt unit
JP5219396B2 (ja) 画像形成装置
US88860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255793A (ja) 画像形成装置
JP6759633B2 (ja) 画像形成装置
US75839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US80505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hotosensitive cartridge
US20080304881A1 (en) Endless belt, belt convey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75288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precision in relative positioning of conveying unit and fixing unit
JP5963687B2 (ja) ドラ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197574A (ja) 画像形成装置
EP2267557B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