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163B1 -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163B1
KR101078163B1 KR1020087008048A KR20087008048A KR101078163B1 KR 101078163 B1 KR101078163 B1 KR 101078163B1 KR 1020087008048 A KR1020087008048 A KR 1020087008048A KR 20087008048 A KR20087008048 A KR 20087008048A KR 101078163 B1 KR101078163 B1 KR 10107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rice seed
rice
calcined calciu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925A (ko
Inventor
요시유키 다카하라
가쯔마사 나가이
다카히코 고노
도시아키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벼 종자 병해에 대해 길항능을 갖는, 패각(貝殼)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벼 종자 병해 방제용 방제제, 및 그것을 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Agent for control of rice seed-borne disease and method for the control}
본 발명은 벼 종자 병해 방제용 방제제 및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식물병해, 예를 들면 벼 종자 병해인 키다리병(병원균명: Gibberella fujikuroi), 세균성 모마름병(병원균명: Burkholderia plantarii), 세균성 벼알마름병(병원균명: Burkholderia glumae), 및 벼 세균성 줄무늬병(병원균명: Acidovorax avenae subsp. avenae) 등은 벼 육묘(育苗) 상자에 발생하는 병해로서, 수도(水稻) 육묘시의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는 식물병해이다. 이들 식물병해의 방제를 목적으로, 프로클로라즈, 페푸라조에이트, 이프코나졸 등의 키다리병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화학약제와, 무기 구리나 옥솔린산(oxolinic acid), 카스가마이신(kasgamycin) 등의 항세균활성이 있는 화학약제의 조합으로 방제도 행해지고 있다.
또한, 현재 대리석이나 석회암으로부터 얻어지는, 광물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 예를 들면 탄산칼슘(CaCO3)은 식품이나 의약품, 그리고 건강보조식품의 첨가제로서 사용되고, 또한 이들은 토양의 pH를 조 정하기 위한 토양 개량제, 그리고 무기 구리제의 약해 완화 목적을 위한 탄산칼슘제로서, 농업분야에서 비료로서의 등록이 이루어져,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벼 종자 식물병해의 방제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있어서, 탄산칼슘 등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수산화물을 세균성 벼모마름병, 벼키다리병, 세균성 벼알마름병 등에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벼 종자에 대해, 탄산칼슘제와 화학약제의 조합으로 방제를 행하고 있는 종래기술로서는 특허문헌 3이나 특허문헌 4에 있어서,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과, 항균활성이 있는 농약인 이프코나졸이나 베노밀, 프로클로라즈 등의 화학약제를 조합함으로써, 벼 종자 살균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또한, 토양 전염성 식물병해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5에 있어서,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성 석회암 및 토양 살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한 시제(試劑)가, 뿌리혹병 등의 토양병해에 방제효과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생체의 탄생, 생육, 소멸에 관한 조성, 구조, 성분 등의 메커니즘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자연계의 지견(知見)을 인공물의 설계에 응용하는 기술이 최근 착안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농약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미생물 농약은 환경면에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고가격인 것도 많은 것이 현재 상황이다.
따라서, 동물성 각류(殼類)에 포함되는 유기질, 무기질 성분을 토양병해 방 제재에 응용하는 기술이 최근 착안되고, 특허문헌 6에서는 게, 새우의 동물성 각류에 포함되는 키틴질 함유 유기물을 토양 등에 살포하고, 그로부터 분리된 키틴분해효소(chitinase)를 생산하는 방선균을 토양 중에서 정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토양병해 방제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동일한 동물각류에서도 가리비나 전복, 굴, 함박조개 등의 패각(貝殼)은 그 생산고가 연간 약 백만톤이나 오르고 있고, 다수는 폐기물로서 매립되지만, 생산고가 연간 약 백만톤이나 오르고 있기 때문에, 폐기물량도 막대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폐기물량을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금까지 각 자치단체를 비롯한 연구기관, 기업에 있어서, 그 유효 이용책이 생각되어지고 있다.
이들 패각의 성분은 대체로 탄산칼슘 99%와 유기질 1%로 되고(구조부위에 따라 차이), 매우 높은 강인성(플라스틱과 동일한 정도)을 가져, 우수한 천연의 복합재료이다. 바다 중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를 탄소원으로서, 3층 구조를 한 패각은 바다 중의 칼슘으로부터 탄산칼슘을 형성하여, 독자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가리비를 비롯한 패각을 소성하면, 일반적으로는 그 성분인 탄산칼슘이 산화칼슘(CaO)으로 변환된다.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소성 칼슘이란, 주로 가리비 또는 함박조개 등의 패각을 고온에서 소성함으로써, 주성분인 탄산칼슘으로부터 탈탄산(이산화탄소를 제거)이 서서히 진행됨으로써 얻어지는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칼슘과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소성 칼슘」이라고 부른다)은, 예를 들면 500~1200℃에서 소성함으로써, 패각 내부의 탄산칼슘이나 유기물 의 소성, 더 나아가서는 탈탄산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최종적으로는 산화칼슘까지 소성된다. 소성온도를 높게 한 경우에는 거의 전부가 산화칼슘까지 변환되지만, 소성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일부가 산화칼슘으로 변환되지만 나머지는 탄산칼슘으로서 남는다.
이들 소성 칼슘에 포함되는 산화칼슘의 알칼리성분이나, 패각 자신의 다공질 구조가 소독효과나 소취(消臭)효과, 항균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이 중에서도, 종자 병해로의 응용이 최근 주목되어오고 있어, 특허문헌 7에서는 소성 칼슘, 과탄산염, 및 코팅제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필름코팅이나 피복 조립법(造粒法) 등으로 종자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양배추, 시금치 등의 종자 병해로부터 방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여 벼의 특정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8이나 특허문헌 9, 특허문헌 10에서는 슈도모나스속 세균을 세균성 벼모마름병, 세균성 벼알마름병, 그리고 벼키다리병 등에 대해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9-27121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6292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5-22181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5-23891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6-9281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평7-2614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292354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02120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017343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61409호 공보
발명의 개요
상기의 종자 병해 방제방법으로서, 종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알려져 있는 방제제는 저렴하고 대량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들을 사용하여 병해 방제를 시도한 것이다. 그러나, 소~중 정도의 병해 발생하에서는 방제효과가 있지만, 병해 발생이 높은 조건하, 즉 심(甚) 발생하에서는 방제가가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본원 명세서의 비교예 1-3 참조).
또한, 특허문헌 7의 방법으로는, 소성 칼슘을 포함하는 피복재로 작물의 종자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종자 병해를 방제할 수 있지만,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심 발생하에서는 방제효과는 그만큼 높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벼 종자 소독용으로서, 벼 종자 병해에 대해 방제효과가 높고, 더 나아가서는 종래의 종자 소독제에서 문제가 되어 있었던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도 없고, 경제적으로도 부하가 걸리지 않는 방제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가리비, 전복, 굴, 및 함박조개를 비롯한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이 벼키다리병, 세균성 벼모마름병, 및 세균성 벼알마름병 등의 벼 종자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과 비교하여, 소성 칼슘을 벼 종자 병해에 사용함으로써, 현저하게 높은 방제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리비나 전복, 굴, 및 함박조개 등의 패각은 광물 소성물과 비교하면, 유기물, 골격구조(다층구조, 다공질)가 특징이다. 패각의 소성 칼슘 자신이 갖는 다층·다공질 구조라고 하는 독자적인 구조나 특이적인 기능이, 높은 항균성이나 항균 유지성, 그리고 오랜 지속성을 발휘하여, 본 발명자들은 그 성질을 살려서 벼 종자에 사용함으로써, 매우 높은 방제효과를 얻은 것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특허문헌 7에서는 패각 소성 칼슘을 특정 조건하, 야채류의 병해 방제에 사용하고 있어, 주목할만한 방제효과를 발견하고 있다. 그러나, 효과는 특허문헌 7의 실시예에 명확한 바와 같이 중(中)정도로서, 특히 심 발생하에서의 효과가 비교적 작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소성 칼슘을 전술한 특정의 벼 종자 병해에 사용함으로써, 동등 이상의 방제효과를 얻는 놀랄만한 지견을 얻었다(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
또한, 특허문헌 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자 병해의 방제제로서 패각성분 단독이 아닌, 패각성분과 피복재 등의 광물을 혼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벼 종자에 대해 패각의 소성 칼슘을 피복재 등의 광물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해도, 높은 방제효과를 얻는 지견도 얻었다.
이와 같이, 패각의 소성물을 벼 종자 병해에 응용한 예는 없고, 벼키다리병등의 사상균에 기인하는 종자 병해 뿐 아니라, 세균성 벼모마름병이나 세균성 벼알마름병 등의 세균에 기인하는 종자 병해의 양쪽에 대해, 종래의 화학약제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본 발명과 같이 패각의 소성물을 벼 종자에 대해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높은 방제효과를 갖는 지견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벼 종자 병해에 대해 길항능(拮抗能)을 갖는,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벼 종자 병해 방제용 방제제, 및 이를 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패각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방제제에 의하면, 벼의 특정 종류의 병해를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환경에도 우수하며, 또한 높은 방제가로 방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사용은 기존의 화학약제와 같이 환경오염은 없고, 또한 높은 pH에 의한 약해를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벼 종자 병해에 대해 길항능을 갖는,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벼 종자 병해 방제용 방제제 및 이를 사용한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방제제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방제제의, 대상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로서는 세균성 벼모마름병, 세균성 벼알마름병, 또는 벼키다리병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패각으로서는 상세한 소성조건은 후술하지만, 소성 전의 성분이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패각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구체적으로는, 피조개, 모시조개, 가리비, 전복, 굴, 함박조개, 나사조개, 벚꽃조개, 소라, 바지라기, 키조개, 우렁이, 새조개, 대합, 개량조개 등을 들 수 있다.
패각으로서는 패류의 양식장이나 가공소 등에서 정상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의 패각 중, 피조개, 가리비, 전복, 굴, 함박조개, 새조개, 대합, 개량조개의 패각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더욱 용이하게 또한 대량으로 입수할 수 있는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리비, 전복, 굴, 또는 함박조개의 패각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 1-4에 있어서 가리비나 전복의 패각을 사용하여, 이들을 소성해서 얻어진 소성 칼슘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하나이다.
이들의 패각은 1종류의 패각으로 되어 있어도, 2종류 이상의 패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그러나, 1종류의 패각을 사용하는 것이 처리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성 칼슘이란, 소성 전의 주성분이 탄산칼슘인 패각을 소성함으로써, 탈탄산(이산화탄소를 제거)이 서서히 진행됨으로써 얻어지는,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칼슘과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이다. 소성에 의해 소성 전의 주성분(약 99%)인 탄산칼슘이 서서히 산화칼슘으로 변환되는데, 함께 소성 전의 패각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 약 1%의 소성도 동시에 진행된다.
소성 칼슘의 탄산칼슘(CaCO3)과 산화칼슘(CaO)의 비율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성분비율(중량)이 탄산칼슘(CaCO3):산화칼슘(CaO)=99:1~1:99의 범위에서, 세균성 벼모마름병, 세균성 벼알마름병, 그리고 벼키다리병의 방제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소성 칼슘의 CaCO3와 CaO의 비율에 있어서, 산화칼슘(CaO)의 성분비율(중량)이 96%(상품명 CAI-I, 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산화칼슘(CaO)의 성분비율이 18%(상품명 CAI-V, 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등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하나이다.
또한, 1종류의 소성 칼슘이어도 되고, CaCO3와 CaO 각 성분비율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소성 칼슘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성 칼슘은 탄산칼슘과, 산화칼슘, 각각의 혼합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산화칼슘은 흡습성이 커서, 일부 수화(水和)되어 수산화칼슘(Ca(OH)2)으로 되는 경우가 있지만, 성능상 지장 없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는 소성 칼슘의 성분에 대해서 탄산칼슘과, 산화칼슘, 각각의 성분 이외에, 수산화칼슘 성분이 혼재하고 있는 소성 칼슘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산칼슘과 산화칼슘, 각 성분의 비율은 소성온도 및 소성시간에 따라 상이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성 칼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가리비 등의 패각을 소성한 후 분쇄하여, 분말상으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한 후에 소성해도 된다.
한편, 소성 칼슘을 분쇄한 분말상의 제품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소성 칼슘을 제조하는 경우, 통상 500~1200℃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한다. 이 온도범위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600~1200℃의 온도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1100℃의 온도범위이다.
소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로터리 킬른(rotary kiln), 직화 버너 등, 일반적인 소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소성시간에 대해서는 소성온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전술한 소성 칼슘의 바람직한 비율로 하기 위해, 당업자가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소성 칼슘은, 통상 그 자신을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분쇄시의 입경은 소성처리나 가공방법에 따라 상이하여, 제한은 없지만, 통상 2~100 ㎛로 분쇄된 것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2~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45 ㎛이다. 여기서 입경이란, 분쇄한 소성 칼슘 분말 1개의 최장부의 길이와 최단부의 길이의 평균길이(평균직경)를 말한다. 분쇄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분쇄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성 칼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예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각으로서 가리비를 사용하고, 그의 고온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CAI-I, 입경 5 ㎛ 타입 및 15 ㎛ 타입, 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이나 가리비의 저온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CAI-V, 입경 5 ㎛ 타입 및 15 ㎛ 타입, 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마찬가지로 가리비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H(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 그 밖에 패각으로서 전복을 사용하고, 그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A(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이 있다. 그 밖에도 동일한 소성품으로서, 예를 들면 가와이 주식회사제(상품명 「패각 소성 칼슘 H-D」)나 (주)스텝제, (주)차플로즈 코포레이션(상품명 「쉘 화이트」) 등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제제를 사용한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벼의 육묘는 볍씨를 일정기간, 수중에 담그는 작업(침종(浸種))을 행하여, 볍씨에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킨 후, 30℃ 전후의 물에 1일~2일 담그어 최아(催芽)처리를 행하고, 육묘토양이나, 육묘토양을 충전한 육묘 상자, 묘상(苗床) 등에 파종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약해의 문제도 없고 사용시기도 한정되지 않아,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벼키다리병 방제제, 세균성 벼모마름병, 및 세균성 벼알마름병 방제제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전술한 육묘조작에 있어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기의 처리로도 가능하지만,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방제제의 희석액에 침종전, 침종시 또는 최아시의 볍씨를 침지처리하거나, 침종전, 침종시, 최아 전 또는 파종 전의 볍씨를 습분의(濕粉衣) 처리하거나, 또는 파종한 후에 상기 방제제의 희석액을 토양관주(土壤灌注)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자에 대한 피복재 등의 성분을 사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침종시 또는 최아시에 본 방제제 희석액에 볍씨를 침지처리하는 경우의 희석액의 온도는 15℃~35℃, 바람직하게는 15℃~30℃에서 행한다. 또한, 처리하는 시간에 관해서는 순시(瞬時)~48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24시간 처리한다.
본 발명의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제제를 상기 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침지처리의 경우는, 침지액 중의 소성 칼슘 농도가 통상 0.01 중량%~1 중량%(희석배수로서는 10000배~100배), 바람직하게는 0.1 중량%~1 중량%(희석배수로서는 1000배~10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0.8 중량%(희석배수로서는 1000배~125배)가 되도록, 소성 칼슘액(소성 칼슘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현탁 또는 유탁의 소성 칼슘을 포함하는 액체를 말한다. 이하 동일.)을 조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습분의 처리의 경우는 침종이나 최아 처리된 볍씨를 물기를 뺀 후, 볍씨에 소성 칼슘을 혼합하고, 바른 후 파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볍씨 100 g에 대해, 소성 칼슘이 0.1 g~10 g, 바람직하게는 0.5 g~5 g이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토양관주의 경우, 토양에 소성 칼슘 등의 수용액을 스며들게 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육묘 상자(크기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30×60×3 ㎝) 1상자당 소성 칼슘을 10~1000배, 바람직하게는 50~500배로 희석한 희석액 50~500 ㎖를 토양에 관주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볍씨를 수세(水洗)한 후, 소성 칼슘 농도가 0.2 중량%(희석배수 500배) 또는 0.5 중량%(희석배수 200배)가 되도록 물을 사용하여 소성 칼슘액을 조제하고, 15℃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또는 30℃에서 24시간 최아시 침지처리를 행하는 것은 높은 발병 억제효과가 얻어지는 측면에서, 이들 침지처리는 특히 바람직한 처리방법의 하나이다.
소성 칼슘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통상의 농약에 사용되고 있는 광물성 분말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물성 분말로서는, 탈크, 탄산칼슘, 규조토 등이 있다. 광물성 분말의 첨가량은 후술하지만,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부분의 방제효과가 있는 희석배수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소성 칼슘만을 500배 희석한 수현탁액으로 방제효과가 있는 소성 칼슘과 광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소성 칼슘 40 중량부와 광물성 분말 60 중량부를 혼합하면, 생성된 혼합분말을 200배 희석하여 수현탁액을 제작하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벼 종자에 대해 광물성 분말과 혼합하지 않고, 소성 칼슘의 분쇄품을 그대로, 또는 물로 희석한 소성 칼슘액을 사용하여 전술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도, 소성 칼슘의 분쇄품을 전술한 혼합성 분말과 혼합하지 않아도 특이적으로 높은 방제성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성 칼슘의 분쇄품을 광물성 분말과 혼합하지 않고, 물로 희석한 액체로서 사용하는 것은 벼 종자 병해에 대해 높은 방제효과를 갖는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이다.
또한, 소성 칼슘은 물에 0.2 중량% 정도 용해되면, pH는 12~13이 되어 강한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광물의 탄산칼슘을 소성함으로써 얻어진 생석회와 비교하면 반응성은 낮지만, 그 패각 독자의 다층·다공질 구조에 기인하여, 알칼리 성분의 유지력이 높아짐으로써, 장시간 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pH가 높은 것에 의한 약해가 나오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방제제는 벼키다리병 등의 사상균에 기인하는 종자 병해, 및 세균성 벼모마름병이나 세균성 벼알마름병 등의 세균에 기인하는 종자 병해의 양쪽에 대해 방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화학약제에 보여진 농약 내성균의 출현에 의한 방제효과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소성 칼슘은 그 자신 칼슘원으로서 식품으로의 첨가나, 소성 칼슘의 수 중량% 수용액을 스프레이하여, 병원균, 세균, 곰팡이 등의 구제(驅除)에 사용하거나, 가정용도에 있어서 수용액으로 한 상태에서의 야채나 과수의 잔존농약의 세정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용도에서도 회반죽 등의 벽재의 첨가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약품에도 응용되고 있다. 소성 칼슘은 국제연합의 식료농업기관(FAO) 및 세계보건기구(WHO)의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회의(JECFA)에 있어서, 식품으로의 첨가의 1일 섭취 허용량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전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패각의 소성 칼슘의 세균성 벼모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가리비의 고온 소성물의 분쇄품(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상품명 CAI-I, 입경 5 ㎛ 타입), 가리비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H(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 전복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A(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을 물로 200배, 500배로 희석하고, 소성 칼슘 농도가 각각 0.5 중량%, 0.2 중량%가 되도록 소성 칼슘액을 조제하였다. 이 액체에 세균성 벼모마름병 오염벼(품종: 고시히카리)를 넣고, 15℃에서 24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표 2, 표 3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모마름병의 검정은 묘(苗)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발병지수 5: 고사, 3: 발병, 자란 키가 건전한 것의 1/2 미만, 1: 발병, 자란 키가 건전한 것의 1/2 이상, 0: 건전
발병도=100×{∑(지수의 값)×(각 지수에 해당하는 개체수)}÷{5×(조사묘 수)}
방제가=100×{(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처리구에서의 발병도)}÷{무처리구에서의 발병도)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1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2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3
[비교예 1] 생석회(CaO)의 세균성 벼모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생석회(CaO)를 물로 200배, 500배로 희석하고, 0.5 중량%, 0.2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모마름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석회(CaO)의 경우는 실시예 1의 소성 칼슘 처리구와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1] 슈도모나스 에스피 CAB-02(Pseudomonas sp. 미생물 수탁번호 FERM P-15237)의 세균성 벼모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참고예로서 슈도모나스 에스피 CAB-02(Pseudomonas sp. 미생물 수탁번호 FERM P-15237)를 사용하고, CAB-02 균주를 1×1010 cfu/g 함유하는 제제를 물로 200배로 희석하여, 균농도를 5×107 cfu/㎖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현탁액에 세균성 벼모마름병 오염벼(품종: 고시히카리)를 넣고, 15℃에서 24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모마름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B-02를 사용한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병해 발생 조건하의 소성 칼슘 처리구와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패각의 소성 칼슘의 세균성 벼알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소성 칼슘(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상품명 CAI-I, 입경 5 ㎛ 타입)을 물로 200배, 500배로 희석하고, 소성 칼슘 농도가 각각 0.5 중량%, 0.2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하였다. 이 액체에 세균성 벼알마름병 오염벼(품종: 고시히카리)를 넣고, 15℃에서 24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표 7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알마름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6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7
표 6,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떠한 소성 칼슘 처리구에서도 희석배수를 불문하고 거의 발병이 확인되지 않아, 높은 발병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비교예 2] 생석회(CaO)의 세균성 벼알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생석회(CaO)를 물로 200배, 500배로 희석하고, 각각 0.5 중량%, 0.2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알마름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8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석회(CaO)의 경우는 실시예 2의 소성 칼슘 처리구와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 2] 슈도모나스 에스피 CAB-02(Pseudomonas sp. 미생물 수탁번호 FERM P-15237)의 세균성 벼알마름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참고예로서 슈도모나스 에스피 CAB-02(Pseudomonas sp. 미생물 수탁번호 FERM P-15237)를 사용하고, CAB-02 균주를 1×1010 cfu/g 함유하는 제제를 물로 200배로 희석하여, 균농도를 5×107 cfu/㎖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현탁액에 세균성 벼알마름병 오염벼(품종: 코시히카리)를 넣고, 15℃에서 24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세균성 벼알마름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도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도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09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B-02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소성 칼슘 처리구와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패각의 소성 칼슘의 벼키다리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가리비의 고온 소성물의 분쇄품(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상품명 CAI-I, 입경 5 ㎛ 타입), 가리비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H(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 전복의 소성물의 분쇄품(상품명 MC-A(마그나캡스), 입경 5 ㎛ 타입, 아사다쇼카이 주식회사제)을 물로 200배, 500배, 1000배로 희석하고, 소성 칼슘 농도가 각각 0.5 중량%, 0.2 중량%, 0.1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하였다. 이 액체에 벼키다리병 오염벼(품종; 고시히카리)를 넣고, 15℃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표 14에 나타낸다. 소성 칼슘의 벼키다리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묘율 및 방제가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발병묘율=도장(徒長)묘율+부패 고사 묘율
방제가=100×{(무처리구에서의 발병묘율)-(처리구에서의 발병묘율)}÷{무처리구에서의 발병묘율)
도장묘율=100×{(도장한 묘수)÷(전체 묘수)}
부패 고사 묘율=100×{(부패 고사한 묘수÷(전체 묘수)}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0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1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2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3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4
표 10-표 14 중 어느 소성 칼슘 처리구에 있어서도 무처리구의 병해 발생 조건의 정도나 희석배수, 침지시간을 불문하고, 발병이 거의 없어, 높은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생석회(CaO)의 벼키다리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생석회(CaO)를 물로 200배로 희석하고, 0.5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한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침종전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5, 표 16에 나타낸다. 벼키다리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묘율 및 방제가를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묘율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5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6
표 15, 표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석회(CaO)의 경우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병해 발생 조건하의 소성 칼슘 처리구와 비교하여, 방제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패각의 소성 칼슘의 벼키다리병에 대한 발병 억제효과
가리비의 고온 소성물의 분쇄품(니폰 천연소재 주식회사제, 상품명 CAI-I, 입경 5 ㎛ 타입)을 물로 200배, 500배로 희석하고, 소성 칼슘 농도가 각각 0.5 중량%, 0.2 중량%가 되도록 액체를 조제하였다. 이 액체에 벼키다리병 오염벼(품종; 고시히카리)를 넣고, 30℃에서 24시간 최아시 침지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침종, 최아 후, 파종하고 유리온실에서 2주간 육묘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소성 칼슘의 벼키다리병의 검정은 묘의 발병 정도로부터 발병묘율을 산출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발병묘율 및 방제가의 산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Figure 112008024132925-pct00017
표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아시 침지처리에 있어서도, 희석배수를 불문하고 높은 발병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Claims (11)

  1. 벼 종자 병해에 대해 길항능을 갖는, 패각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칼슘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벼 종자 병해 방제용 방제제로서, 상기 벼 종자 병해가 벼키다리병, 세균성 벼모마름병, 또는 세균성 벼알마름병인 방제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패각의 종류가 가리비, 전복, 굴, 또는 함박조개인 방제제.
  4.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제제를, 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
  5. 제1항의 방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소성 칼슘액으로 하고, 벼 종자를 침지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침지처리를, 침종전(浸種前), 침종시 또는 최아시(催芽時)의 볍씨를 소성 칼슘액에 담금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소성 칼슘액에 1~48시간, 볍씨를 담금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소성 칼슘액을, 소성 칼슘 농도가 0.01 중량%~1 중량%가 되도록 조제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의 방제제를, 벼 종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
  10. 제1항의 방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소성 칼슘 농도가 0.01 중량%~1 중량%가 되도록 소성 칼슘액을 조제하고, 침종전, 침종시 또는 최아시의 볍씨를 1~48시간 침지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
  11. 제3항의 방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소성 칼슘액으로 하고, 벼 종자를 침지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 종자 병해의 방제방법.
KR1020087008048A 2005-09-07 2006-09-05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101078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8935 2005-09-07
JP2005258935 2005-09-07
JPJP-P-2006-00156915 2006-06-06
JP2006156915 2006-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925A KR20080042925A (ko) 2008-05-15
KR101078163B1 true KR101078163B1 (ko) 2011-10-28

Family

ID=3783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048A KR101078163B1 (ko) 2005-09-07 2006-09-05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13536A (ko)
KR (1) KR101078163B1 (ko)
WO (1) WO20070296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952A (ko) 2017-01-23 2017-02-15 이칠우 난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1484B1 (ko) 2019-01-29 2019-11-0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각 소성 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척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754A (ja) * 2005-09-07 2007-04-19 Central Glass Co Ltd イネ種子病害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KR101034372B1 (ko) * 2008-12-29 2011-05-16 박인진 인삼의 연작재배가 가능한 복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의 연작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610A (ja) * 1998-08-31 2000-03-07 Daikei Shokuhin:Kk 殺菌剤、その製造方法、練歯磨、殺菌水、食品の殺菌方法、種子の殺菌保存方法、ほたて貝殻焼成物添加食品、その製造方法
JP2001029007A (ja) * 1999-07-19 2001-02-06 Takatsugu Sagawai 山菜、野菜及び穀類の殺菌方法
JP4035324B2 (ja) * 2000-02-10 2008-01-23 株式会社サカタのタネ 種子処理方法
JP2001321100A (ja) * 2000-05-12 2001-11-20 Takatsugu Sagawai 玄米のγ−アミノ酪酸を強化する方法
JP4651875B2 (ja) * 2001-07-16 2011-03-16 有限会社東根製作所 殺菌抗菌剤、殺菌抗菌用のカルシウム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2926A (ja) * 2003-02-13 2004-09-24 Nagano Prefecture イネ種子伝染性細菌病害防除方法
JP4327487B2 (ja) * 2003-03-26 2009-09-09 株式会社テイエス植物研究所 種子病害防除方法および被覆種子
JP2007099754A (ja) * 2005-09-07 2007-04-19 Central Glass Co Ltd イネ種子病害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952A (ko) 2017-01-23 2017-02-15 이칠우 난각 소성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1484B1 (ko) 2019-01-29 2019-11-0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난각 소성 분말을 이용한 천연 항균성 세척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13536A (ja) 2008-01-24
WO2007029699A1 (ja) 2007-03-15
KR20080042925A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ogh et al. Control of citrus canker and citrus bacterial spot with bacteriophages
JP2007031294A (ja) イネの育苗時期に発生する病害に対する防除剤
JP2006096753A (ja) 植物の病害を防除する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KR102432601B1 (ko) 천연유황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L186440B1 (pl) Biologicznie czysta kultura szczepu bakterii Pseudomonas chlororaphis oraz kompozycja do zwalczaniagrzybów patogennych dla roślin
CA2939188A1 (en) Plant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s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s and for wastewater remediation
KR101078163B1 (ko) 벼 종자 병해 방제제 및 방제방법
CN102257935A (zh) 鸡尾酒疗法防治植物病害的方法
CN107427011A (zh) 预防农作物和观赏植物中,优选葡萄种植和木本植物中的感染的方法
JP5987672B2 (ja) 植物病害防除剤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方法
JP3768694B2 (ja) Bacillussp代謝物含有材の製造方法
JP2009249364A (ja) イネ用土壌病害防除剤
JP2007022891A (ja) 高分散性二酸化チタン粉末
JP2007099754A (ja) イネ種子病害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Karthika et al. Antifungal activities of organic preparations, botanicals and nonhazardous chemicals against Rhizoctonia solani Kuhn causing sheath blight of rice
Dashtbozorg et al. Antimicrobial applications of rhamnolipids in agriculture and wound healing
KR100797036B1 (ko) 식물병원균 방제용 토착미생물 트리코더마 아스퍼렐룸dyf0328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식물 병 방제제
KR100753371B1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CN109303060A (zh) 一种含噻霉酮和唑菌酯的组合杀菌物及应用
CN110352986B (zh) 含枯草芽孢杆菌和扑海因的组合物及应用
CN106259434B (zh) 一种增强甲基硫菌灵防效的杀菌混剂配方及制备方法
KR102570041B1 (ko) 과산화아세트산을 함유한 김 붉은갯병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김 붉은갯병 구제방법
JP2004262926A (ja) イネ種子伝染性細菌病害防除方法
CN1952106B (zh) 无致病性双核丝核菌bnr-1的农用制剂与应用
CN103404519A (zh)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