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71B1 -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71B1
KR100753371B1 KR1020050024846A KR20050024846A KR100753371B1 KR 100753371 B1 KR100753371 B1 KR 100753371B1 KR 1020050024846 A KR1020050024846 A KR 1020050024846A KR 20050024846 A KR20050024846 A KR 20050024846A KR 100753371 B1 KR100753371 B1 KR 10075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salt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842A (ko
Inventor
남 종 김
Original Assignee
남 종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종 김 filed Critical 남 종 김
Priority to KR102005002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2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 B60S2001/3832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squeegee or coating thereof cleaning by rigid or semi-rigid scraping elements, e.g. for remov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 상기 살균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균용 조성물은 식물에 전혀 해가 없는 천연물질로서 우수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농약의 대체 내지는 보완용으로 널리 사용가능하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 살균용 조성물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 살균방법{Germicide Compositon for Agiculture and Horiculture Containing Salt Radiating Far-Infrared ray and Germicid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 상기 살균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 병원균 등에 의한 농작물의 병해는 1,200여종에 이르며 이들 병해에 의한 농작물의 수확 감소는 잡초와 해충의 피해를 포함하면 쌀의 경우 47%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토양 병해에 관한 국내 문헌집, 일본 식물 방역 협회, 1966). 이러한 점에서 작물 병해의 방제는 식량 확보의 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많은 방제 약제가 개발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용되는 이들 병해에 대한 주요 방제 약제는 100여종이 넘는다.
우리나라는 근 100년 동안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사회로 진행됨에 따라 각종 산업현장으로부터 각종 산업폐기물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 생활하수, 공장, 축산오폐수, 농약, 화학비료, 화공약품, 배기가스, 매연, 중금속 등으로 거의 모든 생활환경이 오염되었다. 특히, 각종 폐수와 중금속으로 인한 수질오염은 대단히 심각하여 우리나라 각종 하천수는 오염 수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하천수의 오염은 해수의 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연안의 해수의 오염은 대단히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염전으로부터 생산되는 천일염은 그 염에 중금속, 농약, 기름 등의 불순물이 혼합되어 염의 순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염을 인간에 섭취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현대의 농촌은 과다한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농작물 및 과수에는 그 일부가 표면에 잔존하거나 식물에 흡수되어 수확물에 잔류된다. 이와 같은 농약의 오염으로 농산물에는 농약이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잔류된 농약은 이를 섭취하는 인간에게 축적되어 만성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현대의 소비자들은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농산물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농약 사용량은 계속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위험성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농약에는 디니트로벤젠, 린데인 및 아트라진 등의 신체의 내분비신경 마비 또는 면역시스템의 붕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여러 화학물질이 있으므로, 이러한 농약 소비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계속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그 수확의 피해가 너무도 크므로, 농민들은 상기 사실을 주지하고 있음에도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현대의 과다한 농약을 대체 내지는 보완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연구하던 중 본 발명자들이 최근에 개발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일반 소금에 비하여 일반 생물에 미치는 유해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살균 효능이 매우 뛰어남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농약 대신에 사용가능한 천연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균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의 가열과정을 통하여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소금을 말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고;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850~10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고계;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얻어진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 성분은 벤토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추가하여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오링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한 2 이상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자체의 안정성과 내열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도 하지만 부족 광물을 보충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의 성분은 맥반석, 목문옥,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석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맥반석 15 내지 40중량%, 목문옥 15 내지 40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4중량%, 장석 7 내지 15중량%, 규석 5 내지 12중량%, 카오링 6 내지 13중량% 및 활석 2 내지 5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고, 맥반석 20 내지 32중량%, 목문옥 15 내지 32중량%, 벤토나이트 2 내지 3중량%, 장석 9 내지 10중량%, 규석 7 내지 8중량%, 카오링 7내지 9중량% 및 활석 3 내지 4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 제조의 바인더로서 석회석을 2 내지 6중량% 추가적으로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의 내열성 용기는 목문옥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가열단계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또한 맥반석 등의 특수 세라믹 용기로 제작되므로 1,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한다. 목문옥은 일반적인 옥보다 유익 광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코발트 등의 함량이 월등하며 특히 게르마늄 성분은 1g당 38ppm으로 함유량이 일반 게르마늄 온천수의 12배 이상이다. 또한, 맥반석은 1㎤당 3~15만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여 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고,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며, 목문옥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화학적 구성 성분은 대략, NaCl 95∼98 중량%, Na2O 0.06∼0.08중량%, MgO 0.02∼0.04중량%, K2O 0.01∼0.03중량%, SiO2 0.02∼0.03중량%, Al203 0.01∼0.02중량%, Fe2O3 0.01∼0.02중량%, CaO 0.002∼0.003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희귀미량원소 0.01∼0.02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구성성분은 천일염보다 농원예용 작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광물질의 함량이 훨씬 높은 반면 농원예용 작물에 해를 미치는 납, 비소 등의 성분은 검출 한계치 이하이다.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유황 등 갖가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원적외선 방사 소금으로 전환 하면 이들 광물질의 함량이 상당히 변할 뿐만 아니라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실리콘, 유황, 아연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농원예용 작물에 중요한 풍부한 광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에 다량으로 함유된 불순물과 간수, 납, 구리, 비소, 수은 등은 검출되지 않으므로, 농원예용 작물에 대단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살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유효농도는 1.0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살균용 조성물은 벼, 오이, 토마토, 밀, 보리, 콩나물 및 잔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농원예용 작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주요 식물 병원균인 벼 도열병균, 벼 잎집 얼룩병균, 오이 잿빛 곰팡이병균, 토마토 역병균, 밀 붉은녹병균, 보리 흰가루 병균을 대상으로 그의 항균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식물 병원균에 대해 탁월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용 살균제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얻은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농업용 살균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물의 1.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고체 또는 액체 담체, 표면 활성제, 희석제, 전착제, 상승제, 접착제 및 분산제 등과 같은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혼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살균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여러 방법으로 투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식물의 잎에 직접 사용되거나 제제화 또는 비제제화될 수 있고, 식물이 자라거나 심겨진 기타 매체에 사용할 수 있고, 분무 또는 살포할 수 있고, 크림(cream) 또는 풀(paste) 제제로 사용할 수 있고, 증기 또는 느린 방출 과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식물의 어떤 부분에도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잎, 줄기, 가지 또는 뿌리, 뿌리를 둘러 싼 토양, 심기전의 씨, 일반적인 토양, 논의 물 또는 수경(hydroponic) 배양계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물에 주입 가능하고 전기역학 분무 기술 또는 저부피 방법을 사용하여 채소에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 및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 예를 들어, 고령토, 벤토나이트, 규조토, 백운석, 탄산칼슘, 활석, 마그네시아 분말, 풀러토(Fuller′s earth), 석고, 규조토 및 도토와 같은 충전제로 구성된 분무 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과립은 다른 처리 없이 토양에 사용하기 적당한 과립으로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이 과립은 충전제의 펠렛(pellet)을 활성 성분으로 함침시키거나 활성 성분 및 충전제 분말의 혼합물을 작은 알갱이로 함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조성물은 또한 분말의 액체내 분산을 촉진하는 습윤제 및 분산제로 구성된 물에 분산 가능한 과립 또는 습윤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분말 및 과립은 충전제 및 현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화 농축물 또는 유액은 습윤제 또는 유제를 임의 로 포함한 용매에 활성 성분을 용해시킨 다음, 혼합물을 습윤제, 또는 유제를 포함할 수 있는 물에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유기 용매는 알킬 벤젠 및 알킬나프탈렌 같은 방향족 용매, 이소포론, 사이클로헥사논 및 메틸사이클로헥사논 같은 케톤, 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르에탄 같은 염화 탄화수소 및 벤질 알콜, 푸르푸릴 알콜, 부탄올 및 글리콜 에테르 같은 알콜이다. 큰 불용성 고체의 현탁 농축물은 고체 침전을 막기 위한 현탁제 포함 분산제로 볼 또는 비드 밀링(ball or bead milling)하여 제조된다. 분무용 조성물은 또한 연무질(aerosol)형태일 수 있는데, 제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트리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과 같은 촉진제의 존재하에서 압력 용기내에 놓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료(예를 들어, 질소, 칼슘 또는 인을 포함하는 비료)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과 결합된 예로 피복된 비료의 과립만으로 구성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립은 화합물을 적당하게 중량의 25%까지 포함한다. 습윤 분말, 유화 농축물 및 현탁 농축물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또는 현탁제 같은 계면활성제를 보통 포함할 것이다. 이들 시약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시약일 수 있다. 적당한 양이온성 시약은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같은 4차 암모늄 화합물이다.
수성 분산액 또는 유액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고비율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 농축물 형태로 사용되고 그 농축물은 사용하기 전에 물로 희석되어진다. 이 농축물은 오랜 기간의 저장에 견뎌야 하고 저장 후에 통상적인 장치 및 전기역학의 분무 장비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동안 균질로 유지되는 수성 제제 를 형성하기 위해 물로 희석할 수 있어야 한다. 농축물은 편리하게 중량의 95%까지, 적당하게 10-85%(예를 들면 25-60%)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제제를 형성하기 위해 희석한 후, 그 제제는 의도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중량의 0.0005%-10%, 또는 0.01%-10%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사한 또는 보충의 살균 또는 식물 생장 조절, 제초 또는 살충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가적인 화합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제조예 >
서해안에서 나는 양질의 천일염을 햇볕에 잘 건조한 후, 상기 천일염 4 ㎏을 맥반석 32중량%, 목문옥 32중량%, 벤토나이트 2중량%, 장석 10중량%, 규석 8중량%, 석회석 4중량%, 카오링 9중량% 및 활석 3중량%으로 이루어진 내열성 용기(가로(25)× 세로(25) × 높이(20)㎝)에 잘다져 투입한 후 뚜껑을 덮었다. 이어서,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 288개를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사이에 공간을 두고 가마에 적재하고 가마 문을 폐쇄하였다. 그 후, 가마의 열원 공급구를 통하여 가마 내의 온도를 1050℃가 되도록 2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가마의 문을 열어 가마 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천일염 1000㎏으로부터 정제한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 850㎏을 얻었으며, 이때 천일염의 NaCl 농도는 88 중량%였고, 이를 정제한 옥의 원적외선을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에서의 NaCl 농도는 97중량%이었다.
< 실시예 >
식물 병원균에 대한 예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 1.0, 1.5, 2.0, 3.0%(중량%)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일정 크기의 기주 식물에 50 ㎖씩 엽면 살포하였다. 약제가 살포된 식물을 실내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하여 용매 및 물을 휘산시켰다. 이와 같이 살균용 조성물로 처리된 식물체(처리구)와 증류수로 처리된 식물체(대조구 1), 처리구와 동일한 농도의 천일염으로 처리된 식물체(대조구 2)에, 각기 하기 시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정 식물 병원균을 접종하여 동일한 조건(습도 및 온도)하에서 동일한 기간 동안 방치한 후 각 잎의 병반 면적율[측정된 병반 면적(병으로 생기는 반점)이 잎집 면적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한 이병 면적율 대비표로 구함]을 구해 방제가(Control Value, %)를 산출하였다. 방제가가 높을수록 살균 효과는 우수한 것이다.
(시험예 1) 밀 붉은녹병에 대한 살균 효과
밀의 붉은 녹병균(Puccinia recondita)을 실험실에서 식물체에 직접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 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6.5 ㎝)에 15립씩 밀 종자(은파)를 파종하여 온실에서 7일간 재배한 1 엽기의 밀에 포자를 털어 접종하였다. 접종한 1 엽기의 밀을 20℃의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 처리한 후에 상대 습도 70% 및 20℃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10일 동안 발병을 유도한 후 잎의 병반 면적율을 구했다.
(시험예 2)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살균 효과
보리 흰가루병균(Erysiphe graminis)은 실험실에서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 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6.5 ㎝)에 15립씩 보리 종자(동보리 1호)를 파종하여 온실(25±5℃)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보리에 흰가루병 포자를 털어 접종하고 습도 50% 및 22 내지 24℃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7일간 발병을 유도한 후 잎의 병반 면적율을 구했다.
(시험예 3) 벼 도열병에 대한 살균 효과
벼 도열병균(Pyricularia oryzea)의 균주를 쌀겨 한천배지(Rice Polish 20 g, 덱스트로스 10 g, 한천 15 g, 증류수 1 ℓ)에 접종하여 26℃ 배양기에서 2 주간 배양하였다. 병원균이 자란 배지의 표면을 고무 쓸개로 긁어 기중 균사(aerial hyphae)를 제거하고 형광등이 켜진 25 내지 28℃의 선반에서 48 시간 동안 포자를 형성시켰다. 형성된 분생포자를 살균 증류수를 이용해 일정 농도의 포자 현탁액 (106 개/㎖)을 제조한 후, 이것을 벼 도열병에 감수성인 낙동벼(3-4 엽기)에 흘러 내릴 정도로 충분히 분무하여 병균을 접종하였다. 병균이 접종된 벼를 습실상에 암상태로 24 시간 방치하고, 상대습도 90% 이상 및 26±2℃인 항온 항습실에서 5일 동안 발병을 유도하여 잎의 병반 면적율을 구했다. 이때 3-4 엽기 벼의 최상위 엽 바로 밑의 완전 전개된 잎에 형성된 병반 면적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4) 벼 잎집얼룩병에 대한 살균 효과
적당한 양의 밀기울을 1ℓ 배양병에 넣고 멸균한 후 감자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media)에서 3일간 자란 벼잎집얼룩병균(Rhizoctonia solani)의 한천을 접종한 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사 덩어리를 적당히 분쇄하여 2-3 엽기의 낙동벼가 자란 포트 (5 cm)에 고르게 접종하고 28±1℃ 및 상대습도 80% 이상인 항온 항습실에서 5일 동안 발병을 유도하여 2-3 엽기 유묘의 잎의 병반 면적율을 구했다.
(시험예 5) 오이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살균효과
토마토에서 분리한 회색 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을 플레이트 상에서 감자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이것을 25℃의 배양기에 15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형성시켰다. 배지에 형성된 포자에 플레이트 당 10 ㎖의 증류수를 넣은 후 붓으로 포자를 긁어 수확하고 살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포자 농도가 105개/㎖가 되도록 조정한 후 1 엽기 오이에 분무 접종하였다. 이를 20℃ 습실상에서 3일간 발병을 유도하 여 본엽 1엽의 병반 면적율을 구했다.
(시험예 6) 토마토 역병에 대한 살균효과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을 플레이트 상에서 V-8 쥬스 한천배지(V-8 juice 200 ㎖, CaCO3 4.5 g, 한천 15 g, 증류수 800 ㎖)에 접종하고 20℃에서 16시간 광처리 및 8시간 암처리하여 14일 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수확하였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에 살균 증류수를 넣고 흔들어서 유주자낭을 균총에서 떼어낸 후 4겹의 헝겊 조각으로 유자자낭을 걸러냈다. 걸러낸 유주자낭의 농도를 살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105개/㎖로 조정하고 이 접종원을 토마토 유묘에 분무 접종하여 20℃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 처리한 후 온도 20℃ 및 상대습도 80% 이상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4일 동안 발병시킨 후 토마토 1엽 및 2엽의 병반 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6에서 측정한 처리구 및 대조구 잎의 병반 면적율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 조성물 등의 항균활성(in vivo)
화합물명 처리농도(중량%) RCB1) RSB2) CGM3) TLB4) WLR5) BPM6)
원적외선 방사 소금 1.0 8 11 7 6 11 13
1.5 17 22 15 17 20 23
2.0 30 35 28 28 31 34
3.0 29 33 29 33 33 35
천일염 1.0 3 1 4 3 2 5
1.5 3 2 3 6 4 8
2.0 4 4 6 1 5 3
3.0 7 6 11 5 2 8
증류수 0 0 0 0 0 0
1) RCB : 벼 도열병
2) RSB : 벼 잎집얼룩병
3) CGM : 오이 잿빛곰팡이병
4) TLB : 토마토 역병
5) WLR : 밀 붉은녹병
6) BPM : 보리 횐가루병
상기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조성물은 6종의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조구인 천일염에 비하여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과도한 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1.0 내지 2.0%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원적외선 방사 소금 조성물의 유해성 시험
시중에서 판매되는 금부어를 사용하여 유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 원적외선 방사 소금 1.0, 1.5, 2.0, 3.0%(중량%) 농도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5가지 군으로 설정한 금붕어를 방생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된 금붕어(처리구)과 처리구와 동일한 농도의 천일염으로 처리된 금붕어(대조구 1)에 대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상기 금붕어의 생존 여부를 7일의 경과시까지 금붕어의 폐사여부, 임상증상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3.0 %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경우는 일부 금붕어에 대하여 유해성이 확인되었으나, 나머지 대부분의 금붕어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금붕어는 없었으며, 임상 테스트에서도 유해성 존재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2). 이상의 결과, 원적외선 방사 소금 조성물은 5.0%까지는 민물 어류의 경우에도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어 환경오염의 염려는 없다고 판단된다.
한편, 동일한 실험의 천일염의 경우는 1.0%에서부터 어류에게 치명적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표 2).
원적외선 방사 소금 및 천일염의 농도에 따른 경과시간에 따른 금붕어의 사망 수
조성물 농도 (중량%) 총 사망 금붕어 수/시험 금붕어 수 경과시간
5 10 15 20 30 40 50 70 100 130 160
원적외선 방사 소금 1.0 0/10 0 0 0 0 0 0 0 0 0 0 0
1.5 0/10 0 0 0 0 0 0 0 0 0 0 0
2.0 0/10 0 0 0 0 0 0 0 0 0 0 0
3.0 2/10 1 0 1 0 0 0 0 0 0 0 0
천일염 1.0 5/10 2 1 1 0 1 0 0 0 0 0 0
1.5 7/10 3 2 1 1 0 0 0 0 0 0 0
2.0 10/10 3 3 1 1 1 0 0 0 0 0 0
3.0 10/10 7 2 1 0 0 0 0 0 0 0 0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용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탁월하고 생물체에 해가 없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과다한 농약 사용의 대체 내지는 보완용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천일염의 가열공정을 통하여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ⅰ)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ⅱ)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ⅲ)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850~10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ⅳ)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유효농도는 1.0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유효농도는 1.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원예용 작물은 벼, 오이, 토마토, 밀, 보리, 고추, 콩나물 및 잔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용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의 살균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방법.
KR1020050024846A 2005-03-25 2005-03-25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KR10075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46A KR100753371B1 (ko) 2005-03-25 2005-03-25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846A KR100753371B1 (ko) 2005-03-25 2005-03-25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42A KR20060102842A (ko) 2006-09-28
KR100753371B1 true KR100753371B1 (ko) 2007-08-30

Family

ID=3762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846A KR100753371B1 (ko) 2005-03-25 2005-03-25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841B1 (ko) * 2023-04-12 2023-07-24 주식회사 새한바이오 친환경 잡초관리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9490B1 (ko) * 2023-10-13 2024-02-21 조영봉 친환경 과수 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842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6717B (zh) 活性化合物结合物
KR100954297B1 (ko) 표면 미생물의 밀도증진 조성물과 그 용도
WO2012008781A2 (ko) 2,5-다이케토피페라진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농업용 약제
JP2006096753A (ja) 植物の病害を防除する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US20100136132A1 (en) Lignosulfonate compositions for control of plant pathogens
KR20130032100A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내한성 증강효과를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1287141B1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JP5987672B2 (ja) 植物病害防除剤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方法
WO2020140163A1 (es) Una formulación para la protección contra la bacteriosis del kiwi, causada por la bacteria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
KR100753371B1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농원예용 살균용 조성물 및살균방법
TW202000896A (zh) 阿氏芽孢桿菌(Bacillus aryabhattai MN1)及其培養方法、微生物製劑以及該微生物製劑之使用方法
CN101316509A (zh) 化合物及其相应的控制植物病原体的用途
JP2006182773A (ja) イネ科植物病害を防除するための生物資材または防除剤の製造方法
KR101064829B1 (ko) 표면 미생물의 밀도증진 조성물
CN107318865A (zh) 克菌丹和呋吡菌胺复配的农药组合物
RU2294101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фитопатогенными грибам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й композиции
EA015341B1 (ru) 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нематоцидов
KR102073487B1 (ko)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를 접종한 가축분 입상 퇴비의 제조방법
KR101320428B1 (ko) 3-펜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JPS6328404B2 (ko)
JPH0613442B2 (ja)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ES2307870T3 (es) Composicion bactericida, bacteriostatica y fingicida que comprende dos o mas especies vivas de trichoderma.
KR100753237B1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 조성물을 이용한 무공해 콩나물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