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124B1 -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124B1
KR101077124B1 KR1020050000688A KR20050000688A KR101077124B1 KR 101077124 B1 KR101077124 B1 KR 101077124B1 KR 1020050000688 A KR1020050000688 A KR 1020050000688A KR 20050000688 A KR20050000688 A KR 20050000688A KR 101077124 B1 KR101077124 B1 KR 10107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drive motor
controller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067A (ko
Inventor
야마모토모토야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48Programmed parameter values in memory, rom, function selection and entry, no cpu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28Door, wind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컨트롤러는,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카운트 값)를 EEPROM에 기록하고, EEPROM에 기록되어 있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전원공급 개시시에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인식한다. 컨트롤러는,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전원공급 개시시에 판정한다. 그리고,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가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만, 컨트롤러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와, EEPROM에 기록되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윈도 글라스, 도어, 선루프, 컨트롤러, 원점위치 재학습, 모터

Description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Control apparatus for open/close me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close member}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차량용 파워 윈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어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컨트롤러의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컨트롤러의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컨트롤러의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컨트롤러의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위치기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개폐하는 파워윈도 장치나 차량의 루프 글라스를 개폐하는 선루프 장치라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파워 윈도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모터는, 일반적으로 모터 본체와, 이 모터 본체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구를 구비하며, 모터 본체 및 감속기구는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이 모터는, 모터 본체 회전축의 회전에 동기한 펄스 신호를 컨트롤러에 출력한다. 컨트롤러는, 그 펄스 신호의 에지를 카운트 함으로써 윈도 글라스의 위치를 검출하고, 동 펄스 신호의 주기에 근거하여 모터 본체의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윈도 글라스를 개폐 작동시키는 것으로, 컨트롤러에는 윈도 글라스에 의한 이물의 끼어듦을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끼어듦 방지기능은 윈도 글라스의 폐쇄작동 중에, 끼어듦의 유무를 판정하는 카운트 값의 범위 내에서 모터 본체의 회전속도가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경우, 윈도 글라스에 이물이 끼워져 있는 것에 의해 모터 본체의 회전 속도가 저하한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끼어듦 방지기능은, 끼어든 이물을 해방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윈도 글라스를 소정량만큼 개방작동 시키기 위해서, 모터 본체를 반전 구동시킨다.
컨트롤러는, 공급되는 구동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실제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잘못 인식하지 않기 위해서, 이 컨트롤러 내에 구비되는 EEPROM 등의 전기적인 기록(소거) 가능한 ROM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윈도 글라스의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8-331877 호 공보에 개시된 컨트롤러는, 모터에 대한 지령이 동작지령으로부터 정지지령으로 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또는 모터의 정지확인 후에, 윈도 글라스의 위치 정보를 ROM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는, 전원전압이 소정값 이하에서 소정시간 이상 저하한 경우, 이 소정시간 경과 후 또는 모터의 정지확인 후에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를 ROM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는, 소정값 이상의 토크가 소정시간 이상 출력되었다고 보여진 경우,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를 ROM에 기록한다. 더욱이, 컨트롤러는, 모터에 대한 지령이 정지지령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를 ROM에 기록한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평8-331877호 공보의 장치에 있어서는, 윈도 글라스의 작동 중(모터 작동 중)에,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를 ROM에 기록하기도 전에 컨트롤러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다시 전원공급이 개시되는 경우, 실제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는, ROM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도 글라스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있다. 즉,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와, ROM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가 달라져 버린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는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모터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온다. 따라서, 일본 특허공개 평8-331877 호 공보의 장치는, 윈도 글라스의 작동 중에 윈도 글라스의 위치정보를 ROM에 기록하기도 전에 컨트롤러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는 것을 예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실제 윈도 글라스의 위치와, ROM에 기록 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서,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고 다시 전원공급이 개시된 경우 모두에 있어서,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렇지만, 원점위치 재학습은, 예컨대 윈도 글라스를 완전개방 또는 완전폐쇄의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작동시켜 소정의 스위치를 조작한다고 하는 조작자에 의한 수동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잡한 작업이다. 또한, 윈도 글라스가 정지 중(모터 정지 중)에 있으면, 컨트롤러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다시 전원공급이 개시되어도, 실제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와, ROM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의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는, 윈도 글라스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 모터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컨트롤러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다시 전원공급이 개시된 경우 모두에 있어서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도록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동 학습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구동모터, 위치검출수단, 기억수단, 제어수단 및 판정수단을 포 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개폐부재를 개폐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된다.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기억수단은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으로 이루어지고, 검출된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정지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판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폐부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검출된 개폐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과,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공정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개폐부재를 개폐작동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 정지에 근거하여, 검출된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공정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수단이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판정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의 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신규하다고 생각되는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명백해진다. 목적 및 이점을 수반하는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현 시점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에 구체화한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파워윈도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사이드 도어(10)에 배열설치되는 개폐부재로서의 윈도 글라스(11)를, 구동모터(2)의 회전구동에 의해 승강(개폐) 작동시킨다. 파워윈도 장치(1)는, 구동모터(2), 컨트롤러(3), 구동회로(4), 윈도 스위치(윈도 SW)(5) 및 회전검출장치(6)를 포함하고 있다. 컨트롤러(3)는, 위치검출수단, 제어수단 및 판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회전검출장치(6)는 위치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파워윈도 장치(1)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각각 차량의 소정 장소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3)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7)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고, 구동회로(4)에는, 이 배터리(7)로부터 구동모터(2)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관련하여, 컨트롤러(3)에는, 차량에 구비되는 이그니션 스위치(IGSW)(8)의 온 신호에 근거하여 배터리(7)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그니션 스위치 (8)는 배터리(7)와 컨트롤러(3)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컨트롤러(3)는 이그니션 스위치(8)의 온 신호에 근거하여 배터리(7)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2)는, 컨트롤러(3)의 제어에 근거하여 구동회로(4)로부터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고, 윈도 레귤레이터(도시생략)를 통하여 윈도 글라스(11)를 승강(개폐) 시킨다. 구동모터(2)는, 모터본체와, 이 모터본체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구가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2)에는,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로서 모터본체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장치(6)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회전검출장치(6)는, 구동모터(2)의 회전축의 회전과 동기한 펄스신호를 얻는 동시에, 그 펄스신호를 컨트롤러(3)에 출력한다. 회전검출장치(6)는, 예컨대 2개의 홀 소자를 가지고 있고, 구동모터(2)의 회전축의 회전에 동기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서로의 펄스신호에 소정의 위상차가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는,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주기의 장단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각 펄스신호의 위상차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즉,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속도를 검출하고,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의 작동방향을 검출한다. 컨트롤러(3)는, 펄스신호의 에지에 근거하여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의 완전폐쇄위치(P1)로부터 완전개방위치(P2)까지의 범위에 있어서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윈도 글라스(11)의 완전폐쇄위치(P1)에서의 카운트 값은 「0」으로 설정되고, 윈도 글라스(11)의 완전개방 방향으로의 개방작동에 수반하여 카운트 값이 가산된다. 이것에 비해, 윈도 글라스(11)의 폐쇄작동 시에는 카운트 값이 감산되어, 윈도 글라스(11)의 완전폐쇄위치(P1)에서는 카운트 값이 다시 「0」으로 된다.
컨트롤러(3)에는, 윈도 글라스(11)를 개폐(승강)작동 시키기 위해서, 윈도 스위치(5)로부터 각종 지령신호가 입력된다. 윈도 스위치(5)는, 윈도 글라스(11)를 완전폐쇄위치(P1)로부터 완전개방위치(P2)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개폐작동시키도록 조작된다. 윈도 스위치(5)는 예컨대 2단계 조작 가능한 요동형 스위치로 구성되고, 개방 스위치, 폐쇄 스위치 및 오토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윈도 스위치(5)의 한 쪽 끝이 일단계 조작되면, 개방 스위치가 온 으로 된다. 그리고, 윈도 스위치(5)는, 윈도 글라스(11)를 통상개방작동 시키기 위한 통상개방 지령신호, 즉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윈도 글라스(11)를 개방작동 시키기 위한 통상개방 지령신호를 컨트롤러(3)에 출력한다. 윈도 스위치(5)의 다른 쪽 끝이 일단계 조작되면, 폐쇄 스위치가 온 으로 된다. 그리고, 윈도 스위치(5)는, 윈도 글라스(11)를 통상폐쇄작동 시키기 위한 통상폐쇄 지령신호, 즉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윈도 글라스(11)를 폐쇄작동 시키기 위한 통상폐쇄 지령신호를 컨트롤러(3)에 출력한다. 윈도 스위치(5)의 한 쪽 끝이 이단계 조작되면, 개방 스위치 및 오토 스위치가 함께 온 으로 된다. 그리고, 윈도 스위치(5)는, 윈도 글라스(11)를 오토개방작동 시키기 위한 오토개방 지령신호, 즉 윈도 스위치(5)의 조작을 멈추어도 완전개방위치(P2)까지 윈도 글라 스(11)를 개방작동 시키기 위한 오토개방 지령신호를 컨트롤러(3)에 출력한다. 윈도 스위치(5)의 다른 쪽 끝이 이단계 조작되면, 폐쇄 스위치 및 오토 스위치가 함께 온 으로 된다. 그리고, 윈도 스위치(5)는, 윈도 글라스(11)를 오토폐쇄작동 시키기 위한 오토폐쇄 지령신호, 즉 윈도 스위치(5)의 조작을 멈추어도 완전폐쇄위치(P1)까지 윈도 글라스(11)를 폐쇄작동 시키기 위한 오토폐쇄 지령신호를 컨트롤러(3)에 출력한다.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로부터 통상개방 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이 지령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즉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 윈도 글라스(11)를 통상개방작동 시킬 수 있도록 구동회로(4)를 통하여 구동모터(2)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는 통상개방작동 된다. 또, 상기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가 완전개방위치(P2)에 도달하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가 조작되고 있어도 구동모터(2)를 정지시킨다.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로부터 통상폐쇄 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이 지령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즉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고 있는 동안, 윈도 글라스(11)를 통상폐쇄작동 시킬 수 있도록 구동회로(4)를 통하여 구동모터(2)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는 통상폐쇄작동 된다. 또, 상기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가 완전폐쇄위치(P1)에 도달하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가 조작되고 있어도 구동모터(2)를 정지시킨다.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로부터 오토개방 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를 완전개방위치(P2)까지 오토개방작동 시킬 수 있도록 구동회로(4)를 통하여 구동모터(2)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는 완전개방위치(P2)까지 오토개방작동 된다.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로부터 오토폐쇄 지령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를 완전폐쇄위치(P1)까지 오토폐쇄작동 시킬 수 있도록 구동회로(4)를 통하여 구동모터(2)를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는 완전폐쇄위치(P1)까지 오토폐쇄작동 된다.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를 폐쇄작동(통상폐쇄작동 및 오토폐쇄작동) 시키고 있는 경우, 윈도 글라스(11)에 의한 이물의 끼어듦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또, 끼어듦 유무의 판정은 카운트 값에 근거한 소정 끼어듦 영역에 있어서 행해지고, 완전폐쇄위치(P1) 부근의 소정 카운트 값 영역에서는 끼어듦 유무의 판정이 취소된다. 윈도 글라스(11)에 의한 이물의 끼어듦이 발생되면, 이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속도, 즉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가 저하된다.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의 변동을 상시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가 저하되었을 때의 회전속도의 변동값이 미리 정해진 한계값을 넘으면, 이물의 끼어듦이 발생되었다고 판정한다. 컨트롤러(3)는, 그 판정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가 끼어든 이물을 해방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2)의 회전을 반전시키고, 윈도 글라스(11)를 소정량(소정 카운트 값)만큼 개방작동 시킨다. 또한, 이물의 끼어듦이 발생되었다고 판정된 시점에서 구동모터(2)의 작동을 정지시켜, 윈도 글라스(11)의 더 이상의 폐쇄작동을 정지시켜도 좋다.
컨트롤러(3)는, 실제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이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위치정보)을, 컨트롤러(3)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EEPROM(3a)에 기록한다. EEPROM(3a)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기록(소거) 가능한 ROM이다. 컨트롤러(3)는, 이 카운트 값의 기록을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하는 타이밍에 행한다.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카운트 값의 EEPROM(3a)으로의 기록이 종료된 후에,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오프 상태(정지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온 상태(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EEPROM(3a)에 기록하는 처리를 「위치의 기억처리」라 한다.
컨트롤러(3)는, 전원 투입시나 배터리(7)의 교환시 등 자신에게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 EEPROM(3a)에 기록된 카운트 값을 판독하여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록된 카운트 값이 정확한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원점위치 재학습은,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행해진다. 이 원점위치 재학습은, 윈도 글라스(11)를 완전폐쇄의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조작하고,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여 이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을 「0」으로 리셋함으로써 행해진다.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하고, 동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원 투입시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지 여부의 판정처리를 「전원 투입시의 처리」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의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온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것은, 이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작동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있어,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잘못 인식하고 있고, 즉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고 있고,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온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온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이루어지면,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寸動; 적은 운동) 모드, 즉 윈도 스위치(5)의 일회의 조작으로 소정량(소정 카운트 값) 이상 윈도 글라스(11)가 작동하지 않는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오프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것은, 이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정지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윈도 글라스(11) 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일치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 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컨트롤러(3)의 「위치의 기억처리」를 도 3에 나타내는 흐름 및 도 5에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도 4에 나타내는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위치의 기억처리」
이 위치의 기억처리는, 예컨대 3[ms]마다의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행해질 수 있다. 스텝 S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구동회로(4)에는, 구동모터(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또는 구동모터(2)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기 위해서 전환될 수 있는 릴레이(4a)가 구비되어 있고, 컨트롤러(3)는, 그 릴레이(4a)의 온, 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1에 있 어서,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즉 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작동되고 있던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이 경과하고(도 5 참조),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모터(2)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어도, 구동모터(2)는 관성에 의해 근소한 시간이지만 작동된다. 그 때문에, 소정시간(t1)은 구동모터(2)가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보여지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정확한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이 EEPROM(3a)에 기록된다.
스텝 S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고,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이 구동모터(2)가 작동중 혹은 정지중에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 S1 ~ 스텝 S5에 나타내는 위치의 기억처리는, 상 기된 바와 같이,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즉, 컨트롤러(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의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한다. 컨트롤러(3)는, 그 기록 후에,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로서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EEPROM(3a)에 기록한다.
「전원 투입시의 처리」
이 전원 투입시의 처리는, 전원 투입시 등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행해진다. 스텝 S1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즉 이 기동정보가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억되어 있는 윈도 위치를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으로서 취득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것, 즉 이 기동정보가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된 것은,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정지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 EEPROM(3a)에 기록된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가 온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한 것은,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작동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있어,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위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상위하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 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이루어지면, 상기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원점위치 재학습은, 상기된 바와 같이, 이 윈도 글라스(11)를 완전폐쇄의 기계적 한계위치까지 조작하고, 윈도 스위치(5)를 조작하여 이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을 「0」으로 리셋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컨트롤러(3)는 스텝 S14로 되돌아간다. 즉,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기까지,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 즉 촌동 모드인 채이다.
한편, 상기 스텝 S15에 있어서,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면, 컨트롤러(3)는 상기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온 상태가 기록되어 있으면,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하도록 컨트롤러(3)가 동작된다. 즉,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필요한 경우에만 동 학습이 행해져,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가 저감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를 기재한다.
(1)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 운트 값)를 EEPROM(3a)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3)는, 전원공급 개시시에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인식하여 구동모터(2)를 제어한다. 컨트롤러(3)는, 전원공급 개시시에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3)가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만,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그 때문에,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2)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 된 것을 EEPROM(3a)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 개시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 된 것을 EEPROM(3a)에 기록한다. 컨트롤러(3)는, 전원공급 개시시에 EEPROM(3a)에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 된 것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한다. 즉, 이 경우에는,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작동중인 것이기 때문에,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상위하다. 따라서,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 된 것을 기록하는 동시에,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 된 것을 기록함으로써,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3)가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3) 컨트롤러(3)는, 릴레이(4a)가 오프상태로 되어 구동모터(2)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나서 이 구동모터(2)가 완전히 정지된 것으로 보여지는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운트 값)를 EEPROM(3a)에 기록한다. 즉, 구동모터(2)는 자신에게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어도 관성에 의해 근소한 시간이지만 작동하기 때문에,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함으로써, 정확한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4) 컨트롤러(3)는, 전원공급 개시시에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그 때문에, 탑승자(조작자) 등에 대하여 원점위치 재학습을 조기에 또한 확실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다.
(5)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운트 값)를 EEPROM(3a)에 기록한 후에, 구동모터(2)의 오프 상태를 기록한다. 그 때문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를 EEPROM(3a)에 기록하고 있을 때에 전원공급이 정지된 경우에는, 구동모터(2)의 오프상태가 기록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기록된 위치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판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조작자) 등에 대하여 원점위치 재학습을 조기에 또한 확실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에 구체화한 제2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컨트롤러(3)의 「위치의 기억처리」 및 「전원 투입시의 처리」가 약간 달라져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트롤러(3)는,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이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의 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위치정보)을, 컨트롤러(3)의 내부에 구비된 EEPROM(3a)에 기록한다. 컨트롤러(3)는, 이 카운트 값의 기록을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행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소거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EEPROM(3a)에 기록하는 처리를 「위치의 기억처리」라 한다.
컨트롤러(3)는, 전원 투입시나 배터리(7)의 교환시 등 자신에게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 EEPROM(3a)에 기록된 카운트 값을 판독하여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는, 이 카운트 값의 유무에 따라서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즉,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이 기록되어 있다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하고, EEPROM(3a)에 이 카운트 값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원 투입시의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지 여부의 판정처리를 「전원 투입시의 처리」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이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작동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는,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 위치를 취득할 수 없다, 즉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 모드, 즉 윈도 스위치(5)의 일회의 조작으로 소정량(소정 카운트 값) 이상 윈도 글라스(11)가 작동하지 않는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면,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고,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컨트롤러(3)의 「위치의 기억처리」를 도 6에 나타내는 흐름 및 도 8에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도 7에 나타내는 흐름에 따라 설명한다.
「위치의 기억처리」
이 위치의 기억처리는, 예컨대 3[ms]마다의 소정시간 경과마다 행해진다. 스텝 S2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3)는, 구동회로(4) 내의 릴레이(4a)의 온, 오프 상태에 근거하 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소거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21에 있어서,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즉 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작동하고 있던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이 경과하고(도 8 참조),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스텝 S2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23에 있어서,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이 구동모터(2)가 작동중 혹은 정지중에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 S21 ~ 스텝 S24에 나타내는 위치의 기억처리는, 상기된 바와 같이, 소정시 간의 경과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즉, 컨트롤러(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소거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후의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한다.
「전원 투입시의 처리」
이 전원 투입시의 처리는, 전원 투입시 등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행해진다. 스텝 S3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이 소거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트 값이 EEPROM(3a)로부터 소거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즉 EEPROM(3a)에 카운트 값이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억되어 있는 윈도 위치를 현재의 윈도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으로서 취득하고,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31에 있어서, EEPROM(3a)에 카운트 값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 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상기 스텝 S31에 있어서, 카운트 값이 EEPROM(3a)으로부터 소거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34로 진행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31에 있어서, 카운트 값이 EEPROM(3a)으로부터 소거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3)는 당연히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인식할 수 없고, 원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여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온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이루어지면, 상기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는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면 스텝 S34로 되돌아간다. 즉,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하기까지,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 즉 촌동 모드인 채로 있다. 한편, 상기 스텝 S35에 있어서,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면, 컨트롤러(3)는 상기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행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에만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행해지게 되고,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가 저감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를 기재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1)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1), (3) 및 (4)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작용효과를 기재한다.
(1)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운트 값)를 EEPROM(3a)에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소거한다. 컨트롤러(3)는, 전원공급 개시시에 EEPROM(3a)에 카운트 값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는 경우, 이 카운트 값을 소거하는 바와 같은 타이밍은,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가 작동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만일 소거되지 않은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였다고 하여도,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있다. 따라서,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가 상위하다. 그 때문에,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는 동시에,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소거함으로써,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3)가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2)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는 동시에,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카운트 값을 소거한다. 따라서, EEPROM(3a)에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를 기록하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 만큼 데이터 수가 적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차량용 파워인도 장치에 구체화한 제3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컨트롤러(3)의 「위치의 기억처리」 및 「전원 투입시의 처리」가 약간 상이할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이들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트롤러(3)는, 실제의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인식하기 때문에, 이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에 대응한 카운트 값(위치정보)을, 컨트롤러(3)의 내부에 구비되는 EEPROM(3a)에 적어도 2회 기록한다. 컨트롤러(3)는, 이 카운트 값의 기록을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과, 이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였을 때에 행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규정범위 외의 위치정보를 EEPROM(3a)에 기록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EEPROM(3a)에 기록하는 처리를 「위 치의 기억처리」라 한다. 상기 규정범위는 윈도 글라스(11)의 이동가능 범위이다.
컨트롤러(3)는, 전원 투입시나 배터리(7)의 교환시 등 자신에게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 EEPROM(3a)에 기록된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일치하고, 또한 이들의 위치정보가 규정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즉, 컨트롤러(3)는,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서로 일치하고 또한 그것들이 규정범위 내에 있으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하고,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규정범위 외의 값이라면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원 투입시의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지 여부의 판정처리를 「전원 투입시의 처리」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규정범위 외의 값이라는 것은,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는 작동중이었거나, 또는 정지시의 처리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취득할 수 없다, 즉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 모드, 즉 윈도 스위치(5)의 일회의 조작으로 소정량(소정 카운트 값) 이상 윈도 글라스(11)가 작동하지 않는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EEPROM(3a)에 기록된 복수의 위치정보가 일치하고 또한 그것들의 위치정보(값)가 규정범위 내인 경우, 정지시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한다. 따라서,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컨트롤러(3)의 「위치의 기억처리」를 도 9에 나타내는 흐름 및 도 11에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 도 9 및 도 10은, 2개의 위치정보를 EEPROM(3a)에 기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위치의 기억처리」
이 위치의 기억처리는, 예컨대 3[ms]마다의 소정시간 경과마다 행해진다. 스텝 S4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컨트롤러(3)는, 구동회로(4) 내의 릴레이(4a)의 온, 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1)에 규정범위 외의 값을 기록한다. 다음에, 스텝 S4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의 제2 어드레스(어드레스 2)에 규정범위 외의 값을 기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하는 값 및 제2 어드레스에 기록하는 값은, 규정범위 외의 값이라면, 일치하고 있어도 일치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
상기 스텝 S41에 있어서, 구동모터(2)가 기동시의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즉 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44로 진행한다. 스텝 S4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작동하고 있던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이 경과하여(도 11 참조),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스텝 S45로 진행한다.
스텝 S45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위치정보)을 EEPROM(3a)의 제1 어드레스에 기록한다. 다음에, 스텝 S46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위치정보)을 EEPROM(3a)의 제2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44에 있어서, 구동모터(2)가 정지되었다고 판정되는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보다 상세하게는 이 구동모터(2)가 작동중 혹은 정지중이고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컨트롤러(3)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이들 스텝 S41 ~ 스텝 S46에 나타내는 위치의 기억처리는, 상기된 바와 같이, 소정시간의 경과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즉, 컨트롤러(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2)가 정지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EEPROM(3a)에 규정범위 외의 값을 복수 기록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의 구동모터(2)가 작동상태로부터 정지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복수 기록한다.
「전원 투입시의 처리」
이 전원 투입시의 처리는, 전원 투입시 등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개시되었을 때에 행해진다. 스텝 S51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1)에 기억된 데이터(위치정보)와, EEPROM(3a)의 제2 어드레스(어드레스 2)에 기억된 데이터(위치정보)를 비교한다. 컨트롤러(3)는, 제1 어드레스의 데이터와 제2 어드레스의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 스텝 S52로 진행한다.
스텝 S52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1)에 기억된 데이터가 규정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규정범위 내인 경우에는 스텝 S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EEPROM(3a)의 어드레스 1의 데이터 또는 어드레스 2의 데이터를 현재의 윈도 글라스(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카운트 값으로서 취득하고, 스텝 S54로 진행한다.
스텝 S54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51에 있어서 EEPROM(3a)의 복수의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일치 하고, 또한 스텝 S52에 있어서 어드레스 1의 데이터가 규정범위 내인 경우, 컨트롤러(3)는,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EEPROM(3a)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3)는,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이것에 비하여, 컨트롤러(3)는, 상기 스텝 S51에 있어서, 제1 어드레스의 데이터와 제2 어드레스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스텝 S55로 진행한다. 또한, 컨트롤러(3)는, 상기 스텝 S52에 있어서, EEPROM(3a)의 제1 어드레스(어드레스 1)에 기억된 데이터가 규정범위 외의 경우에는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즉, 상기 스텝 S51에 있어서, 어드레스 1의 데이터와 어드레스 2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52에 있어서 어드레스 1의 데이터가 규정범위 외의 경우, 컨트롤러(3)는, 당연히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취득할 수 없어,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고 구동모터(2)의 제어에 지장을 가져온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판정이 이루어지면, 상기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탑승자(조작자)에게 재촉하는 촌동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는 스텝 S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6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55로 되돌아간다. 즉, 컨트롤러(3)는,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기까지, 원점위치의 재학습 처리모드, 즉 촌동 모드인 채로 있다. 한편, 상기 스텝 S56에 있어서,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종료되면, 컨트롤러(3)는 상기 스텝 S54로 진행하고, 윈도 스위치(5)의 조작에 따른 통상의 윈도 글라스(11)의 작동처리를 행하는 통상작동 처리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원 투입시의 처리를 행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에만 원점위치의 재학습이 행해지게 되어,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가 저감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를 기재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1)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1), (3) 및 (4)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작용효과를 기재한다.
(1)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가 오프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t1)의 경과 후에,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운트 값)를 EEPROM(3a)에 복수개 기록한다. 또,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즉 릴레이(4a)의 온 상태에 근거하여, 규정범위 외의 값을 EEPROM(3a)에 복수개 기록한다. 그리고,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 컨트롤러(3)는, 복수개의 카운트 값이 일치하는지, 또는 그것들의 카운트 값이 규정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컨트롤러(3)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 는 위치정보가 규정범위 외인 경우,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복수의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는 것은,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구동모터(2)는 작동중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함으로써,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3)가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2) 컨트롤러(3)는, 구동모터(2)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복수개의 카운트 값을 EEPROM(3a)에 기록하고, 구동모터(2)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복수개의 규정범위 외의 값을 EEPROM(3a)에 기록한다. 즉, 복수개의 카운트 값을 기록하는 사이에 컨트롤러(3)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었을 경우, 복수의 데이터가 상위하다. 따라서, EEPROM(3a)에 위치정보를 기록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전원공급의 정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위치의 기억처리」가 확실하게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EEPROM(3a)에 기록되는 구동모터(2)의 기동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EEPROM(3a)에 기록되는 윈도 글라스(11)의 위치정보(카운트 값)의 유무에 근거하여, 전원공급 개시시에 컨트롤러(3)가 윈도 글라스(11)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판정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3)는, 릴레이(4a)의 온, 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의 정지상태 및 작동상태를 검출하고 있었지만, 릴레이(4a) 이외에 구동모터(2)의 정지상태 및 작동상태를 검출하여도 좋다. 예컨대, 회전검출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모터(2)의 회전과 동기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의 정지상태 및 작동상태를 검출하여도 좋다. 또한, 릴레이(4a)를 대신하여 파워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경우, 이 트랜지스터의 온, 오프 상태에 근거하여 구동모터(2)의 정지상태 및 작동상태를 검출하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으로서 EEPROM(3a)을 이용하였지만, 그 밖의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 예컨대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개폐부재를 윈도 글라스(11)로 한 차량용 파워윈도 장치(1)로 실시하였지만, 개폐부재를 선루프로 한 선루프 장치나 개폐부재를 슬라이드 도어로 한 슬라이드 도어 개폐장치로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차량 이외의 개폐제어장치로 실시하여도 좋다.
·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지상태와 작동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면 EEPROM(3a)에 기록하는 정보는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작동 개시시의 「ON」을 기록하고 작동 정지시에 「OFF」를 기록하여도 좋다. 또한, 작동 개시시에 정보를 기록하고, 작동 정지시에 정보를 소거하여도 좋다. 또한, 작동 정지시에 정보를 기록하고, 작동 개시시에 정보를 소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 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등가물로 변경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번잡한 작업인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4)

  1. 개폐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로서, 이 제어장치는,
    개폐부재를 개폐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으로 이루어지고, 검출된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기억수단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판정하는 판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이 구동모터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이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제2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를 기록한 후에 제1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소거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정지시 및 작동 정지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한 때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적어도 2회 기록하고,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작동 가능범위를 나타내는 규정범위 외의 위치정보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2회의 위치정보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일치하고, 또한 이 위치정보가 규정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나서 이 구동모터가 완전하게 정지되었다고 보여지는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와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개폐부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8. 개폐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으로서, 이 제어방법은,
    개폐부재를 개폐작동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검출된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전기적으로 기록 가능한 ROM으로 이루어지는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수단이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인식하는 공정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이 구동모터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이 구동모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제2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를 기록한 후에 제1 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정지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소거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정지시 및 작동정지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였을 때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적어도 2회 기록하고, 또한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작동 가능범위를 나타내는 규정범위 외의 위치정보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개시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2회의 위치정보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일치하고, 또한 이 위치정보가 규정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공정은,
    상기 구동모터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되고 나서 이 구동모터가 완전히 정지되었다고 보여지는 소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페부재의 제어방법.
  14. 제 8 항,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 제어방법은,
    상기 전원공급 개시시에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부재의 현재위치를 상실하였다고 판정하면,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와 상기 기억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개폐부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원점위치 재학습을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어방법.
KR1020050000688A 2004-01-05 2005-01-05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077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0482 2004-01-05
JP2004000482 2004-01-05
JPJP-P-2004-00366563 2004-12-17
JP2004366563A JP4463670B2 (ja) 2004-01-05 2004-12-17 開閉部材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067A KR20050072067A (ko) 2005-07-08
KR101077124B1 true KR101077124B1 (ko) 2011-10-26

Family

ID=3498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688A KR101077124B1 (ko) 2004-01-05 2005-01-05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68510B2 (ko)
JP (1) JP4463670B2 (ko)
KR (1) KR101077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697B2 (ja) * 2005-01-27 2010-10-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JP2007063889A (ja) * 2005-09-01 2007-03-15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07008384A1 (de) * 2007-02-21 2008-08-28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ischer 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Stellteil sowie Ansteuerverfahren
DE102007045986A1 (de) * 2007-09-26 2009-04-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versiererkennung bei einer elektrischen Betätigungseinheit eines Fahrzeugs
US8805844B2 (en) 2008-08-04 2014-08-12 Liveperson, Inc. Expert search
JP5571591B2 (ja) * 2011-01-20 2014-08-13 アスモ株式会社 開閉体駆動装置及び開閉体の駆動方法
CN103510790A (zh) * 2013-10-12 2014-01-15 芜湖开瑞金属科技有限公司 汽车玻璃升降器电机控制装置
CN104948056B (zh) * 2015-06-17 2016-08-24 温州天球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采集电机电流的汽车车窗自适应防夹控制方法
KR101691844B1 (ko) 2016-04-27 2017-01-02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오버헤드도어의 차량추돌방지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697953B2 (ja) * 2016-05-26 2020-05-27 株式会社ミツバ 開閉体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体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57A (ja) * 2001-12-27 2003-09-10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位置ズレ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473A (en) * 1970-05-25 1971-11-30 Gen Motors Corp Control circuit for power window regulator
US4831509A (en) * 1986-04-16 1989-05-16 Byrne & Davidson Doors (N.S.W.)Pty. Limited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JP3253031B2 (ja) * 1993-01-21 2002-02-04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装置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5585705A (en) * 1994-05-05 1996-12-17 Leopold Kostal Gmbh & Co. Kg Process for monitoring movement of closure devices which may be adjusted by motors
JPH08331877A (ja) 1995-06-02 1996-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窓電動開閉機構の安全装置
JP3554812B2 (ja) 1998-12-17 2004-08-18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JP4184550B2 (ja) 1999-09-06 2008-11-19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制御装置
US6794837B1 (en) * 2002-05-31 2004-09-21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start-up transient detection and compens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57A (ja) * 2001-12-27 2003-09-10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位置ズレ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067A (ko) 2005-07-08
JP4463670B2 (ja) 2010-05-19
US20050212473A1 (en) 2005-09-29
US7268510B2 (en) 2007-09-11
JP2005220734A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327B2 (en) Power window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perated window
KR101077124B1 (ko) 개폐부재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6678601B2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rough road condition detection and compensation
JP4134197B2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US2011016773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body
US6788016B2 (en) Motor speed-based anti-pin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endzone ramp detection and compensation
US8120293B2 (en) Control apparatus for open/close memb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close member
JP2006022570A (ja) 開閉体駆動装置
US6972536B2 (en) Closure memb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limiting positional deviation of closure member
CN109209103B (zh) 用于车辆电动部件的防夹控制方法和控制器
JP2009052247A (ja) 開閉体制御装置
JP4515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検出装置
JP2000054766A (ja) 開閉体制御装置
JP3839402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位置ズレ防止方法
JPH0912581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駆動制御装置
CN111485789B (zh) 开闭体控制装置和构造物
EP4011665A1 (en) Control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n roof assembly
JPH08331877A (ja) 車両用窓電動開閉機構の安全装置
JP5044419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4350878B2 (ja) 移動体制御装置
JP3630008B2 (ja) 開閉機構の途中停止検出装置
JP2005281971A (ja) パワーウィンドウシステム
JP2018012455A (ja) 自動ステップ制御方法及び自動ステップ制御装置
JP4283149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システム
JP2020029739A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付き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