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187B1 -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187B1
KR101067187B1 KR1020080092802A KR20080092802A KR101067187B1 KR 101067187 B1 KR101067187 B1 KR 101067187B1 KR 1020080092802 A KR1020080092802 A KR 1020080092802A KR 20080092802 A KR20080092802 A KR 20080092802A KR 101067187 B1 KR101067187 B1 KR 10106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olution
impregnated
sala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776A (ko
Inventor
김은주
김원기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08009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미역에 해초액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성착색료 없이 색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영양가가 향상된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샐러드등의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해초, 미역, 샐러드

Description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Seaweed Solution Impregnation Brown Seaweed, Salad Using Seaweed Solution Impregnation Brown Seawe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즉석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역은 값이 저렴하며 섬유질이 풍부하고 맛이 좋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중의 하나이다. 미역을 이용한 요리는 다양하지만 그 중 미역 샐러드는 미역에 식초등의 조미료를 첨가하여 식욕을 돋울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는 요리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미역 샐러드를 요리하기 위해서는 미역손질, 데치거나 볶는 등의 조리과정, 및 조미료를 첨가하는 등의 다수의 단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리의 복잡성 및 다수의 시간 소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미역 샐러드 즉석식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즉석식품에 사용되는 미역을 가공함에 있어, 미역의 세척 및 건조 단계에서 미역이 탈색되어 이렇게 가공된 미역을 이용한 식품에서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역을 포함하는 샐러드에 첨가되는 식초에 의해 미역이 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색을 막고 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착색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미역의 변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992-0001206호(발명의 명칭 "조미 미역의 가공방법")서는 조미료가 첨가된 미역에서, 미역의 변색에 의해 식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미역에 황색 및 청색의 인공식용 색소를 첨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인용문헌에 의한 기술에 의하면, 인공식용 색소에 의해 미역의 색감은 향상될 수 있으나, 인공식용색소 등의 합성착색료를 첨가함으로써 음식 자체만을 섭취하는 것에 비해 건강에는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역줄기는 유통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부패 및 변질되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량의 소금을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가 구입 후 소금을 제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유통시 보관 및 포장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착색료 없이 색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영양가가 향상된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역에 상기 해초액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역은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은 감태 또는 흑감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은 상기 감태 또는 상기 흑감태 및 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은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역에 상기 해초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에 식초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샐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역을 건조하여 제조된 건조미역 및 해초액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건조미역에 상기 해초액을 함침시켜 얻어지는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 및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에 첨가되어 맛을 돋우기 위한 식초를 포함하는 샐러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해초액을 이용하여 미역을 염색시킬 수 있으므로 합성착색료 없이 색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역 및 해초를 각각 섭취하는 것에 비해 간편하고, 다수의 영양소 섭취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영양은 물론 편리함이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국류, 짱아찌, 나물 또는 샐러드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음식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제조시 습기가 제거되어 부패 및 변질의 위험을 방지하고, 유통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 과정을 나 타내는 흐름도이다.
미역을 채취하고 이를 건조한다. 상기 채취한 미역은 검갈색일 수 있다. 상기 미역은 잎파리 또는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역은 식감은 좋으나 변색이 쉬운 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역을 채취한 후, 상기 미역을 끓는물에 데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친 미역은 녹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친 미역은 냉동보관할 수 있다.
상기 미역은 햇볕에 말리고 물에 헹구는 단계를 수회 반복하여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소금물일 수 있다. 소금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경우에 상기 미역의 세척도 및 신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햇볕에 말리고 물에 헹구는 단계는 건조된 미역의 표면이 흰색으로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햇볕에 말리고 물에 헹구는 단계는 3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미역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미역은 수저를 이용하여 미역을 뜨는 것이 편리한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역은 약 3㎝ 내지 5㎝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해초액을 제조한다. 상기 해초액은 감태 또는 흑감태등의 감태류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은 상기 감태 또는 흑감태와 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초 및 물은 물에 해초가 잠길 정도의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해초 3kg에 대해 80ml의 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은 상기 해초의 색이 검갈색을 나타낼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시간은 1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초액은 해초에 있는 영양분이 물에 녹아있는 상태이므로 해초의 영양분을 다수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미역에 해초액을 함침시킨다. 상기 건조미역에 해초액을 함침시키는 것은 해초액에 건조미역을 담근 후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역 절단 단계가 미리 수행됨으로써 해초액이 미역 전체에 균일하게 함침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1시간 수행될 수 있다. 1시간 이하로 가열하는 경우, 미역 고유의 색을 얻을 수 없음은 물론, 해초액에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가 미역 내에 함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시간 이상 가열할 경우, 미역이 너무 연해져 식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초기에 채취한 미역과 비슷한 정도인 검갈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초액에 사용된 상기 감태류는 영양분을 다수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시중에서 흔히 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해초액을 제조하여 미역에 함침시키면, 영양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조리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간편할 수 있다. 상기 미역에 해초액이 함침되면, 상기 미역을 찬물에 헹구어 세척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미역은 햇볕에 말리거나, 건조 기계를 사용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초액이 함침된 건조미역은 미역과 해초 각각에 함유된 영양소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음식만 섭취하는 것에 비해 다수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역은 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 B1, 비타민 B2, 마그네슘 및 알긴산, 푸코이단등의 섬유질이 풍부하여, 산후조리, 해독작용 및 항응혈작용을 도 울 수 있다. 또한, 감태류는 철분, 칼륨, 요오드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A, C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성장발육촉진,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예방, 변비예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고 고혈압을 내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미역 및 감태류를 각각 섭취하는 것에 비해 한번에 다수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영양은 물론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건조 미역은 해초액을 이용하여 미역을 염색시키므로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에도 미역의 색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탈색이 쉬운 미역 줄기도 합성착색료 없이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초액이 함침된 건조미역은 물에 불려 샐러드, 짱아찌, 나물 또는 국류등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음식을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습기를 제거하여 유통중 음식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패 및 변질 방지를 위한 다량의 소금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포장 및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에 유통이 수월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미역 샐러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에서 제조된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이 제공된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 기 해초액을 상기 미역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은 해초 및 미역의 영양소가 다수 함유되어 있으며, 해초액을 이용하여 상기 미역을 염색시키므로 상기 미역을 건조하여도 상기 해초액에 의해 색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건조함으로써 미역이 변질되거나 부패되는 문제점을 한층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통이 수월해 질 수 있다. 예컨대, 미역에 다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유통중에 의해 미역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미역의 부패뿐만 아니라 미역의 쫄깃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미역을 건조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방지되고 식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에 식초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초는 상기 미역과 혼합하여 맛을 돋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과 식초와의 혼합을 위해 상기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수분이 일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초를 첨가하는 경우 상기 미역은 변색될 수 있으나, 상기 미역에 함침된 해초에 의해 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유통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건조단계가 한번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미역 샐러드는 맛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초 외에도 양념 혼합물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양념 혼합물은 간장, 설탕 또는 소금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당근, 양파 또는 오이등의 채소를 더 포함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거나, 한천, 가사리 또는 톳등의 해초류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채소들은 채썰기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한천, 가사리 또는 톳등의 해초류는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섭취방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해초류를 첨가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영양소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해초류는 냉동보관할 수 있다.
상기 미역, 식초 및 양념 혼합물과 그 외의 채소 또는 해초류들은 각각 포장하여, 즉석식품 용기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의 혼합이 즉석식품 용기 내에 담아진 상태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는 가정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바쁜 출근시간에도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실외에서도 즉석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양가가 풍부하기 때문에 학교급식용이나 임산부 또는 노약자들이 영양섭취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식품들 중 샐러드의 제조방법만을 기술하고 있으나, 다른 식품의 제조에도 본 발명의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사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 이용한 샐러드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미역을 건조하는 단계;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역에 상기 해초액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해초액은 감태 또는 흑감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초액은 상기 감태 또는 상기 흑감태 및 물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92802A 2008-09-22 2008-09-22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02A KR101067187B1 (ko) 2008-09-22 2008-09-22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802A KR101067187B1 (ko) 2008-09-22 2008-09-22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76A KR20100033776A (ko) 2010-03-31
KR101067187B1 true KR101067187B1 (ko) 2011-09-22

Family

ID=4218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02A KR101067187B1 (ko) 2008-09-22 2008-09-22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1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32A (ja) * 1993-06-25 1995-01-13 Toyo Foods:Kk 海藻食品の製造法
KR100544340B1 (ko) 2003-12-08 2006-01-23 주식회사 보양 과일맛 소스를 곁들인 해조샐러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371A (ko) * 2005-01-12 2006-07-18 김성득 기능성 건미역 가공방법
KR100737241B1 (ko) 2006-03-29 2007-07-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젤라틴 코팅을 이용한 해조 샐러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해조 샐러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32A (ja) * 1993-06-25 1995-01-13 Toyo Foods:Kk 海藻食品の製造法
KR100544340B1 (ko) 2003-12-08 2006-01-23 주식회사 보양 과일맛 소스를 곁들인 해조샐러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2371A (ko) * 2005-01-12 2006-07-18 김성득 기능성 건미역 가공방법
KR100737241B1 (ko) 2006-03-29 2007-07-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젤라틴 코팅을 이용한 해조 샐러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해조 샐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76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021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баклажанов
CN101791135B (zh) 一种贝类食品及其制作方法
Garza Common edible seaweeds in the Gulf of Alaska
KR101011146B1 (ko) 해물뼈찜 및 그 조리방법
KR101927990B1 (ko) 서류와 해산물을 이용한 서해장 및 그 제조방법
CN102805391A (zh) 一种即食海带裹鱼食品的加工方法及其产品
CN101088388A (zh) 一种川式泡菜及其制备方法
Brown Pickles and preserves
KR101067187B1 (ko)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의 제조방법, 해초액이 함침된 미역을이용한 샐러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178B1 (ko) 즉석 냉동 잡채 및 그 제조방법
CN102948829B (zh) 一种即食调味干扇贝柱的加工方法
KR20090040055A (ko) 영양쌀의 제조방법 및 영양쌀을 이용한 즉석식품
KR20210026875A (ko) 오색양파밥의 제조방법
KR101347332B1 (ko) 더덕 물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05189A (zh) 一种泡藕带
KR100454662B1 (ko) 전분이 도포된 동결건조 송이버섯 및 이를 이용한송이버섯 김치
CN110651976A (zh) 一种即食清水笋的加工方法
KR102516876B1 (ko) 대용량 갯고둥 통조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용량 갯고둥 통조림
JP4621297B1 (ja) 惣菜の製造方法及び惣菜
KR101276301B1 (ko) 천연조미료를 침투시킨 건조야채의 제조방법
KR20170139865A (ko) 톳 짬뽕 제조방법
Mouritsen et al. Tsukemono for Everyone
KR20170018491A (ko) 즉석 제조용 젓갈 보리비빔밥의 제조방법
KR100433839B1 (ko) 조기의 조미 건포 제조방법
Harrison Cooking with Seaweeds 101+ 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