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285B1 -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285B1
KR101065285B1 KR1020090032290A KR20090032290A KR101065285B1 KR 101065285 B1 KR101065285 B1 KR 101065285B1 KR 1020090032290 A KR1020090032290 A KR 1020090032290A KR 20090032290 A KR20090032290 A KR 20090032290A KR 101065285 B1 KR101065285 B1 KR 10106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mber
sealing
container
container body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573A (ko
Inventor
히로카즈 무라세
게이 히라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에 의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 부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키고, 조립 전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용기 본체(1)의 개구(2)를 덮개 부재(3)로 막고, 덮개 부재(3) 또는 용기 본체(1)에 유지되는 밀봉 부재(4)로,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덮개 부재(3)를 부착했을 때에 개구(2) 에지(edge)와 덮개 부재(3)의 사이를 메우고 동시에 양자간을 밀봉한다. 이 밀봉 부재(4)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 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6)의 적어도 하나가,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의 벽면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 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접촉 배치된다.
덮개 부재, 밀봉용 충돌편, 환형상 본체부, 회전 연결 부재

Description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종래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는, 용기 본체의 토너 충전구에 덮개를 끼워 부착시키는 구조로, 토너 충전구의 원통 형상 개구부의 내측면 선단측이 최대 내경(內徑)이 되도록 원통 형상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덮개와 원통 형상 내측면의 접촉 부분을 선(線) 접촉으로 하여, 토너의 밀봉성을 향상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0-10390호 공보(발명의 실시예, 도 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 부재를 밀봉 부재를 통하여 부착하는 형태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와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 부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키고, 게다가,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着脫)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edge)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인 제 1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2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 통형상부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피삽입부를 가지며, 이 피삽입부에 밀봉 부재의 유지부를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配設)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에는 상기 피삽입부 중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底壁) 및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용기 받침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제 1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인 제 1 상태 및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2 상태 모두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에 접촉 배치되고,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다른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비접촉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제 7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 통형상부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피삽입부를 가지며, 이 피삽입부에 밀봉 부재의 유지부를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제 8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에는 상기 피삽입부 중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 및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제 8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제 7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용기 받침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제 7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태인 제 3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4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제 13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태인 제 3 상태 및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4 상태 모두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에 접촉 배치되고,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다른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비접촉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제 16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서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제 16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본체로 하여 덮개 부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게다가,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밀봉 부재가 접촉시에 받는 응력에 의해 왜곡 변형되는 경우가 있지만,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 서는,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용기 본체로 하여 덮개 부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게다가,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밀봉 부재가 접촉시에 받는 응력에 의해 왜곡 변형되는 경우가 있지만,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봉 부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는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에 대해서 밀봉 부재를 간단히 유지할 수 있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또는 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 밀봉 부재에 의한 밀봉 효과를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는 10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 밀봉 부재의 밀봉용 충돌편의 슬라이딩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 또는 1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 밀봉 부재의 밀봉용 충돌편의 슬라이딩 저항을 확실히 증대할 수 있다.
청구항 6 또는 1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와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슬라이딩 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대해서 덮개 부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게다가,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의 왜곡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용 용기의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을 위한 재료인 화상 형성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널리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재료로서 전자 사진 방식으로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착탈되고,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동 도면에서, 현상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로서 현상제가 수용되는 것으로, 일부에 개구(2)가 개설되고 또한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개구(2) 에지(edge)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미리 정해진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1)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3)와, 덮개 부재(3) 또는 용기 본체(1) 에 유지되고,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덮개 부재(3)를 부착했을 때에 개구(2) 에지와 덮개 부재(3)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양자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4)는, 도 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6c)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6)의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6b)가,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4)는, 도 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6c)을 가지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의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6a, 6c)가,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 및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 모두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에 접촉 배치되고,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의 다른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6b)가, 덮개 부재(3)가 상기 조립 전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에 비접촉 배치되고, 덮개 부재(3)가 상기 조립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3)(또는 용기 본체(1))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면 좋다.
또한, 도 1의 (a) 중, 부호 7은 용기 본체(1)의 일부에 설치되고 또한 현상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측에 용기 본체(1) 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폐 기구, 8은 회전함으로써 용기 본체(1)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9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3)에 부착되고 또한 외부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반송 부재(8)에 전달하는 회전 연결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는, 덮개 부재(3)의 조립 전 상태와 조립 상태의 사이에서 밀봉 부재(4)의 밀봉용 충돌편(6)(6a∼6c)에 의한 밀봉 상태가 상이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3)의 개폐 조작은 나사부를 이용한 회전 조작 방식이라도 좋고, 직선적인 진퇴 조작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4)로서는 밀봉 기능을 실현하는 데 있어 적어도 1개소에 밀봉 부위를 갖고 있는 점에서, 본 건에서는 밀봉용 충돌편(6)이 복수 있는 형태를 전제로 한다.
또한, 밀봉용 충돌편(6)이 맞닿는 벽면은 덮개 부재(3)의 밀고 당김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 부재(3)의 밀고 당김 방향에 따른 면이라도 좋다.
게다가 또한, 덮개 부재(3)의 밀고 당김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대해서 밀봉용 충돌편(6)의 접촉 부위가 증가하면, 덮개 부재(3)를 회전 조작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부재(3)의 밀고 당김 방향에 따른 면에 대해서 밀봉용 충돌편(6)의 접촉 부위가 증가하면, 덮개 부재(3)를 회전 조작, 밀고 당김 조작하는 어느 것에 대해서도 슬라이딩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밀봉 부재(4)의 유지부의 대표적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의 개구(2) 에지 통형상부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피삽입부(3a)를 가지며, 이 피삽입부(3a)에 밀봉 부재(4)의 유지부를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밀봉 부재(4)의 대표적 형태로서는, 덮개 부재(3)의 피삽입부(3a)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8)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5)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5)에는 피삽입부(3a) 중 상기 반송 부재(8)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 및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6c)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반송 부재(8)의 회전축은, 반송 부재(8) 그 자체의 구성 요소인 회전축부는 물론, 실질적으로 반송 부재(8)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커플링 등의 회전 연결 부재(9)도 포함한다.
또한, 밀봉 부재(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덮개 부재(3)의 피삽입부(3a)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8)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5)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8)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5)의 내측 및 외측에는 피삽입부(3a)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 6b)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는 환형상 본체부(5)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b)을 피삽입부(3a)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밀봉용 충돌편(6)의 바람직한 치수 관계로서는, 밀봉 부재(4)가 덮개 부재(3)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 6b)을 가지며,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되기 전의 조립 전 상태에서의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6)(예를 들면, 6a, 6b)의 덮개 부재(3)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의 부착 위치(S)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밀봉 부재(4)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 치수 관계는, 덮개 부재(3)가 조립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 조립 전 상태일 때에 비접촉이었던 밀봉용 충돌편(6(6b))이 벽면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맞닿고, 그 접촉면에서의 밀봉용 충돌편(6(6b))의 슬라이딩 저항분을 증대시키는 데 있어서 필요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이하, 장치 하우징 이라고 함)(21) 내에 4개의 색(본 실시예에서는 블랙, 옐로, 마젠타, 시안)의 화상 형성부(22)(구체적으로는 22a∼22d)를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서 약간 경사진 위치 관계로 횡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상방에 각 화상 형성부(2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순환 반송되는 중간 전사 벨트(23)를 배설(配設)하는 한편, 장치 하우징(21)의 하방에는 기록재가 공급 가능하게 수용되는 기록재 공급 장치(24)를 배설하는 동시에, 장치 하우징(21)의 상부에는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가 배출 수용되는 기록재 배출 받이(26)를 설치하고, 상기 기록재 공급 장치(24)로부터의 기록재를 연직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25)를 통해서 상기 기록재 배출 받이(26)에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화상 형성부(22(22a∼22d))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3)의 순환 방향 상류측에서 차례로, 예를 들면 블랙용, 옐로용, 마젠타용, 시안용(배열은 반드시 이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 감광체(31)와, 이 감광체(31)를 미리 대전(帶電)하는 대전기(32)와, 이 대전기(32)에서 대전된 감광체(31)에 정전 잠상(靜電 潛像)을 기입하는 노광기(33)와, 감광체(31) 위의 정전 잠상을 각 색 토너로 가시상화하는 현상기(34)와, 감광체(31)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기(3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노광기(33)는, 각 화상 형성부(22)에 대해서 공통되는 것으로, 노광 용기(331) 내에 각 색 성분의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편향 미러(332)로 편향 주사(走査)하고, 도시 외의 결상 렌즈, 미러를 통하여 대응 하는 감광체(31) 위의 노광 위치에 광상(光像)을 유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는 텐션(tension) 롤(41∼44)에 걸쳐져 있고, 예를 들면, 텐션 롤(41)을 구동 롤로서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감광체(31)에 대응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이면에는 1차 전사기(51)(예를 들면, 1차 전사롤)가 배설되고, 이 1차 전사기(51)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31) 위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3)측에 정전적으로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이동 방향 최하류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부(22d)의 하류측의 텐션 롤(42)에 대응한 부위에는 2차 전사기(52)(예를 들면, 2차 전사 롤)가 배설되어 있어, 중간 전사 벨트(23) 위의 1차 전사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일괄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2차 전사 부위의 하류측의 텐션 롤(41)에 대응한 부위에는 중간 전사 벨트(23)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중간 청소기(5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전사 벨트(23)는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또는 각종 고무에 카본 블랙 등의 대전 방지제를 적당량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고, 그 체적 저항율이 1O6∼1O14Ω·c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공급 장치(24)의 피더(61)로 송출된 기록재 는, 기록재 반송로(25) 중의 적절한 수의 반송 롤(도시 생략)로 반송되고, 위치 맞춤 롤(62)로 위치 맞춤된 후에 2차 전사기(52)의 2차 전사 부위를 통과하여, 정착기(66)에서 미정착 토너상을 예를 들면 가열 가압 정착한 후, 배출 롤(67)을 통해서 기록재 배출 받이(26)에 배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 부호 38(38a∼38d)은 각 화상 형성부(22(22a∼22d))의 현상기(34)에 새로운 현상제(본 실시예에서는 토너)를 보급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토너 카트리지)이다.
-화상 형성부-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기(32) 및 청소기(35)와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하우징(2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각의 색 성분의 화상 형성부(22)의 일부를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대전기(32)는, 감광체(31)에 대향한 부위가 개구하는 대전 용기(321)를 가지며, 이 대전 용기(321) 내에 감광체(31)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대전 롤(322)을 배설한 것이다.
또한, 청소기(35)는, 감광체(31)에 대향하는 부위가 개구한 청소 용기(351)를 가지며, 이 청소 용기(35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개구 한 에지부에는 상기 감광체(31)에 접촉하는 탄성 긁어냄판으로 이루어지는 청소 블레이드(35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 용기(35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개구 다른 에지부에는 상기 감광체(31)에 접촉하는 탄성 실(seal)재(353)를 설치하고, 상기 청소 용기(351) 내에는 청소 블레이드(352)로 긁어낸 토너 등의 잔류물을 길이 방향에 따라 균일하게 하는 레벨링 반송 부재(354)를 배설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기(34)는, 장치 하우징(21)측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장착되어 있고, 감광체(31)에 대향해서 개구하고 또한 적어도 토너가 포함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341)를 가지며, 이 현상 용기(341)의 개구 부위에는 감광체(31)와의 대향 부위에 위치하는 현상 영역을 향해서 현상제가 반송 가능한 현상제 유지체(342)를 배설하는 동시에, 이 현상 용기(341)의 현상제 유지체(342)의 배면측에는 현상제가 순환하면서 교반 반송 가능한 한 쌍의 현상제 교반 반송 부재(343, 344)를 배설하고, 현상제 유지체(342)와 이 현상제 유지체(342)측에 위치하는 현상제 교반 반송 부재(343)의 사이에는 교반 반송된 현상제가 현상제 유지체(342)측에 공급 가능한 현상제 공급 부재(345)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유지체(342)에 공급된 현상제를 층두께 규제 부재(346)로 소정 층두께로 규제한 후에 현상 영역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상제 보급 시스템-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현상제 보급계는, 장치 하우징(21)의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 수용 용기(38)가 넣고 빼기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받침부(100)를 가지며, 이 용기 받침부(100)의 하부에는 보급용의 현상제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리저브(reserve) 탱크(110)를 배설하고, 상기 용기 받침부(100)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38)를 장착했을 때에 현상제 수용 용기(38) 내의 현상제가 배출 가능한 도시 외 의 배출구를 개설하는 동시에, 리저브 탱크(110) 내에는 저장되어 있는 현상제가 정량 공급 가능한 정량 교반 반송 부재(120)를 배설하고, 현상 농도가 저하하는 등의 농도 정보에 의거하여, 리저브 탱크(110)의 일부에 연결된 덕트(130)를 통해서 현상기(34)의 현상 용기(341) 내에 소정량의 현상제를 보급하는 것이다.
-현상제 수용 용기-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 용기(38)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ABS, PET 등의 합성 수지로 연신(延伸) 블로우 성형되는 양단(兩端)이 개구된 긴 통형상 용기 본체(200)를 가지며, 이 용기 본체(200) 내에는 수용 현상제가 교반 가능한 반송 부재로서의 아지테이터(agitator; 205)를 배설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200)의 양단에는 덮개 부재로서의 단부(端部) 플랜지(201, 202)를 장착한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통형상 용기 본체(200)의 단부 플랜지(202)로 막히는 개구(204)가 현상제를 충전 가능한 현상제 충전구로서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단부 플랜지(201)에는 파지용(把持)의 핸들(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단부 플랜지(202)에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피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삽입부(210)는, 아지테이터(205)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213)과, 아지테이터(205)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214)을 갖는 것이며,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는 도시 외의 외부 구동 원으로부터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로터(211)가 설치되고, 이 로터(211)의 내면 중앙에 상기 아지테이터(205)의 회전축부(205a)가 걸려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로서의 걸음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 중, 216은 용기 본체(200)의 적절한 부위에 부착되는 사용 이력 관리 메모리로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용기 받침부(100)에 장착되었을 때에 도시 외의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현상제 수용 용기(38)의 사용 이력이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밀봉 부재-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플랜지(202)와 용기 본체(200)의 사이에는 양자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실 부재)(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300)는, 단부 플랜지(202)가 용기 본체(200)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의 전(前)단계에서,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단부 플랜지(202)는, 상기 조립 상태의 전단계에서 밀봉 부재(300)를 유지한다는 조립 전 상태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30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 재료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도 1O의 (a), (b), 도 11의 (a), (b)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삽입부(210) 내에 수용되고 또한 아지테이터(205)의 회전축(본 예에서는 아지테이터(205)의 회전축부(205a)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로서의 걸음부(212))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301)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301)의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에는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 303)을 형성하는 동시에, 환형상 본체부(301)의 외측 에지에는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 전 상태에 있는 조건에서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어 있는 상황을 상정한 경우에, 도 11 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의 기부(基部)를 기점으로 한 밀봉용 충돌편(302, 303)의 단부 플랜지(202)의 밀고 당김 방향 치수를 a1, a2라고 하면, a1>a2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와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사이에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에 대해서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 위치까지 부착했을 때에 양자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기구(400)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돌출해서 설치되고 또한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의 미리 정해진 위치 결정 위치에 단부 플랜지(20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와,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의 외주벽에 돌출해서 설치되고 또한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에 맞닿아서 당해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를 미리 정해진 위치 결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420)(도 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나 위치 결정 돌기부(420)는 각각 단부 플랜지(202), 용기 본체(200)와 일체적으로 성형해도 좋고,또는, 별체(別體)의 것을 고착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는, 예를 들면 단부 플랜지(20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용 돌기(411)와, 이 안내용 돌기(411)의 일단측으로부터 단부 플랜지(202)의 밀어넣는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회전 정지용 돌기(41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위치 결정 돌기부(4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에 대응해서 복수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위치 결정 돌기부(420)는, 예를 들면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의 안내용 돌기(411) 및 회전 정지용 돌기(412)에 맞닿아서 폐색되는 폐색벽(42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 위치 결정 돌기부(420)의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의 안내용 돌기(411)의 피위치 결정면과 피삽입부(210)의 저벽(213) 사이의 치수를 b, 또한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의 선단으로부터 위치 결정 돌기부(420)의 상기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의 안내용 돌기(411)의 피위치 결정면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면까지의 치수를 c라고 한다.
-실시예에서의 밀봉 부재의 부착 상태-
〔1〕조립 전 상태
도 12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 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어 있고, 이 때,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O3)의 치수 관계 a1. a2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되지만, 밀봉 부재(300)의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비접촉 배치된다. 또한, 밀봉 부재(300)의 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접촉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 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밀봉 부재(300)의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이 피삽입부(210)의 저벽(213)과 비접촉이기 때문에, 조립 전 상태로 장기간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었다고 해도,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이 탄성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이 탄성 변형된 채의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보관된 경우에 비교하여,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형상 열화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전 상태의 밀봉 부재(300)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유지되어 있지만, 이 때, 위치 결정 기구(400)의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가 밀봉 부재(300)의 빠짐 방지용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2〕조립 상태
다음에,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를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의 치수 관계 a1, a2(도 11 참조),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 위치 결정 돌기부(420)의 치수 b, c(도 8, 도 9 참조)에 대해서, a1>b-c, a2>b-c, 단, a1>a2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이 때,‘b-c'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피삽입부(210)에 유지된 밀봉 부재(300)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에 의해서 ‘b-c'까지 가압된다. 이 때문에, 조립 전 상태에서, 치수 a1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O2), 치수 a2의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O3)은 'b-c'까지 탄성 변형된 상태로 피삽입부(21O)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밀봉 부재(300)의 밀봉용 충돌편(302∼304)은 모두 피삽입부(210)의 저벽(213) 및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용 충돌편(302∼304)과 피삽입부(210)의 벽면의 사이에는 탄성적인 접촉에 의한 3중의 밀봉 부위가 얻어지는 동시에, 밀봉용 충돌편(302∼304)의 탄성적인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잘못하여 회전 조작했다고 해도, 밀봉용 충돌편(302∼304)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부 플랜지(202)가 잘못하여 회전하는 경우는 없어, 단부 플랜지(202)가 오(誤)개방될 우려는 없다.
-비교예에서의 밀봉 부재의 부착 상태-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밀봉 부재(300) 대신에 비교예로서의 밀봉 부재(300')를 사용하여, 조립 전 상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비교예에서, 밀봉 부재(300')는, 도 1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수용되는 환형상 본체부(301')를 가지며, 이 내측 에지에는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외측 에지에는 피삽입부(210)의 안쪽까지 밀어넣기 위한 돌출편(리브)(303')을 설치하고, 또한 환형상 본체부(301')의 에지에는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을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 돌출편(303') 치수 관계를 a1, a2(단, 돌출편(303')은 실시예 1의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과 기능적으로 다르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관계에 대해서는 외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3)에 대응시키도록 함.)로 하고, 피위치 결정 돌기부(410), 위치 결정 돌기부(420)의 치수 관계를 b, c(도 8, 도 9 참조)로 한 바, a1>b-c, a2≤b-c, 단, a1>a2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했다.
〔1〕조립 전 상태
도 1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 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어 있고, 이 때,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 및 돌출편(303')의 치수 관계 a1, a2가 a1>a2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300')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되지만, 돌출편(303')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비접촉 배치된다. 또한, 밀봉 부재(300')의 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접촉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비교예에서는,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는 대략 실시예와 동일하다.
〔2〕조립 상태
다음에,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를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의 밀봉 부재(3OO')의 각 치수 관계(a1, a2, b, c)는 상술한 관계이며,‘b-c'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용기 본 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피삽입부(210)에 유지된 밀봉 부재(300')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형상부(200a)에 의해 ‘b-c'까지 가압된다. 이 때문에, 조립 전 상태에서, 치수 a1의 내측 에지 밀봉용 충돌편(302')은 ‘b-c'까지 탄성 변형된 상태로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 밀봉 부재(300')의 돌출편(3O3')에 대해서는 a2≤b-c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돌출편(303')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거나, 또는, 접촉할 정도로 접근하지만, 탄성적으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돌출편(303')은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고, 이 돌출편(303') 부분에서는 밀봉 부위가 얻어지지 않고, 게다가, 돌출편(303')과 피삽입부(210)의 저벽(213)의 사이에서는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둘레 에지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삽입부(210)의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비교예에서는, 돌출편(303')이 실시예 1과 같은 밀봉용 충돌편(303)으로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잘못해서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밀봉용 충돌편(302', 304')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은 작용하지만, 돌출편(303')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이 얻어지지 않는 만큼,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단부 플랜지(202)가 잘못해서 회전하여, 단부 플랜지(202)가 오개방될 우려가 있다.
-셔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플랜지(202)의 근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00)의 둘레벽에는 배출용 개구(220)가 개설되어 있고, 이 배출용 개구(220)에는 그 개구(220)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로서의 셔터(2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230)는, 도 16 및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용 개구(220)를 막는 개폐 덮개(240)와, 이 개폐 덮개(240)를 개폐 조작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덮개>
여기서, 개폐 덮개(240)는,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용 개구(220)보다도 적어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덮개 본체(241)를 가지며, 이 덮개 본체(241)의 개폐 조작 방향의 한 방향을 제외한 다른 3변에 대응해서 측벽부(242)를 형성하고,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242)에는 내방으로 돌출해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을 포착하여 유지하는 유지 암(arm; 243)을 적절한 수(본 예에서는 개폐 조작 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씩) 형성하고, 또한 덮개 본체(241)의 폭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측벽부(242)의 개방단에는 스토퍼부로서의 걸음 클로(244)를 형성하고, 게다가 또한 덮개 본체(241)의 덮개 유지 프레임(250) 측면에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실재(245)를 예를 들면 부착한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유지 암(243)에 대응하는 덮개 본체(241) 부분에 구멍부(2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 덮개(240)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양측 에지를 2개의 유지 암(243)과 이 유지 암(243)의 사이에 위치하는 덮개 본체(241)로 3점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양측 에지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덮개 유지 프레임>
본 실시예에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은,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프레임 본체(251)를 가지며, 이 프레임 본체(251)의 배출용 개구(220)에 대응한 부위에 통과 구멍(252)을 개설하고, 또한 프레임 본체(251)의 개폐 덮개(240)가 폐쇄하는 방향의 끝 에지의 한쪽 코너부에는 노치(notch) 형상의 폐색부(25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본체(251)의 끝 에지의 반대측의 코너부에는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위치 규제 돌기(254)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양측 에지간의 치수는, 상기 개폐 덮개(240)의 폭방향 양 측벽부(242)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규제 돌기(254)의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양측 에지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돌출 치수(k)는 상기 폐색부(253)의 폭방향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개폐 덮개(240)의 폭방향의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측 에지의 기준 위치에 맞 닿은 경우에는, 개폐 덮개(240)가 폭방향으로 상기 위치 규제 돌기(254)의 돌출 치수(k)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의 걸음 클로(244)가 폐색부(253)와 비접촉이 되어 구속이 해제되는 위치 관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6 중, 부호 260은 개폐 덮개(240)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간을 밀폐하는 예를 들면 탄성 고무제의 밀봉판이며, 예를 들면 프레임 본체(251) 위에 미리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셔터(230)(개폐 덮개(240), 덮개 유지 프레임(250))가 개폐 동작하기 위한 치수 관계에 대해서 정리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w1∼w6 및 f, h, k는 이하의 치수를 나타낸다.
w1: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 선단까지의 최대폭 치수
w2: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 선단으로부터 폐색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3: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를 제외한 양 측부간의 폭 치수
w4: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를 제외한 일측부에서 페색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5: 개폐 덮개의 폭방향 일측벽 내면에서 스토퍼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6: 개폐 덮개의 스토퍼부를 제외한 폭방향 양 측벽간의 최대 폭 치수
f: 페색부의 폐색 길이
h: 스토퍼부(걸음 클로)의 거는 길이
k: 위치 규제 돌기의 돌출 치수
동 도면에서, 우선, 개폐 덮개(240)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에 끼워지는 조건에 대해서 검토해 보면, w2>w5, w3>w5로 하면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w5-w2>0, w5-w3>0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w1<w5로 하면 위치 규제 돌기(254) 선단 위치에 따라서 개폐 덮개(240)가 이동해도, 스토퍼부로서의 걸음 클로(244)와 폐색부(253)가 개폐 방향에서 겹치지 않게 되어, 이동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w1-w5>0인 것이 필요하다.
이제, 폐색부(253)의 폐색 길이 f(w1―w2)에 대해서 검토해 보면, f는 w5-w2의 간격보다도 큰 것, 즉, f-(w5-w2)>0 또는 f>w5-w2인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위치 규제 돌기(254)의 돌출 치수 k(w1-w3)에 대해서 검토해 보면, k는 w5-w3의 간격보다도 큰 것, 즉, k-(w5-w3)>0 또는 k>w5-w3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토퍼부로서의 걸음 클로(244)의 거는 길이 h(w6-w5)가 짧은 경우에는, w1>w6이 되어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w6-w1>O이 될 필요가 있다.
이 때, h에 대해서는, w6-w1의 간격보다도 큰 것, 즉, h-(w6-w1)>0 또는 h>w6-w1인 것이 필요하다.
-셔터 동작 과정-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230)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 과정을 거친다.
(1) 셔터 폐쇄
이것은, 개폐 덮개(240)가 배출용 개구(220)를 완전하게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개폐 조작 방향의 일단부에 맞닿아 있고, 개폐 덮개(240)의 폭방향의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위치 규제 돌기(254)의 선단에 맞닿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2) 셔터 록
도 19의 (a)의 상태로부터 개폐 덮개(240)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 덮개(240)는, 위치 규제 돌기(254)로 위치 규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개폐 덮개(240)의 걸음 클로(244)가 폐색부(253)에 맞닿는다(도 19의 (b) 참조).
이 때, 개폐 덮개(240)는 개방 개시전 위치에서 이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셔터(23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해서 록(lock)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현상제 수용 용기(38)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낙하하거나, 또는, 수송시에서, 상자형 골판지의 양측에 발포 스티롤 등의 완충재를 넣지 않았다고 해도, 셔터(230)가 잘못해서 개방되어 버릴 우려는 거의 없다.
(3) 셔터 록 해제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셔터 록의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240)의 폭방향 측벽부(242)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위치 규제 돌기(254)를 통과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240)는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교차 방향)에 대해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측 에지에 접근하는 방향으 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여기서, 개폐 덮개(240)는, 폭방향의 한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측 에지의 기준 위치에 맞닿을 때까지 폭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때,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덮개(240)의 걸음 클로(244)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폐색부(253)와는 비접촉인 위치로 이동해 버리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폐색부(253)와 걸음 클로(244)에 의한 개폐 덮개(24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즉, 셔터(23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한 록 상태가 해제되기에 이르고,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4) 셔터 개방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30)가 록 해제되면,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는,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고, 배출용 개구(220)를 완전히 개방한다.
이 때, 개폐 덮개(240)의 걸음 클로(244)는,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방향 측 에지에 따라 비접촉인 채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의 개방 동작이 손상되는 일은 없고, 개폐 덮개(240)는 그 종단 위치(개방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덮개(240)와 덮개 유지 프레임(250) 사이에 스프링 등의 가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해서 특히 강한 조작력을 요하지 않고 이동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착탈되고, 현상 장치에서 사용되는 분체(粉體)의 토너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수용 용기(토너 카트리지)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공급되는 화상 형성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전반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셔터 주변의 밀폐성을 높이면, 액체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고, 또한, 잉크젯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하는 잉크를 수용한 잉크 수용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밀봉 부재의 조립 전 상태로부터 조립 상태에 이르는 거동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기 받침부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5 중 VII-VII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덮개 부재(단부 플랜지)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의 (a)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밀봉 부재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b)는 그 평면 설명도.
도 11의 (a)는 도 10의 (b)중 L-L선 단면 설명도, (b)는 도 11의 (a)중 Q부의 상세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 밀봉 부재가 유지된 조립 전 상태에서의 덮개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 (b)는 (a)중 P-P선 단면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의 (a)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밀봉 부재가 유지된 조립 전 상태에서의 덮개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 (b)는 (a)중 P-P선 단면 설명도.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셔터(개폐 덮개, 덮개 유지 프레임)를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
도 17의 (a)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셔터의 평면 설명도, (b)는 개폐 덮개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셔터(개폐 덮개, 덮개 유지 프레임)가 개폐 동작하기 위한 치수 관계에 대한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의 (a)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b)는 록 상태에 있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0의 (a)는 록 해제 상태에 있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b) 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본체 2 : 개구
3 : 덮개 부재 3a : 피삽입부
4 : 밀봉 부재 5 : 환형상 본체부
6(6a, 6b, 6c) : 밀봉용 충돌편 7 : 개폐 기구
8 : 반송 부재 9 : 회전 연결 부재
S : 부착 위치
X : 조립 전 상태의 덮개 부재에서의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 차
Y : 덮개 부재가 조립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밀봉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

Claims (18)

  1.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着脫)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edge)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인 제 1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2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 통형상부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피삽 입부를 가지며, 이 피삽입부에 밀봉 부재의 유지부를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配設)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에는 상기 피삽입부 중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底壁) 및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 용기 받침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제 1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인 제 1 상태 및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2 상태 모두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에 접촉 배치되고,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다른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비접촉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덮개 부재는,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 통형상부가 삽입되는 바닥이 있는 피삽입부를 가지며, 이 피삽입부에 밀봉 부재의 유지부를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이 환형상 본체부에는 상기 피삽입부 중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 및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되기 전의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2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2. 용기 받침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제 7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밀봉용 충돌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태인 제 3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되고, 또한, 상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4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6. 화상 형성 장치 하우징의 용기 받침부에 대해서 착탈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 에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용기 본체에 대해서 밀려 들어가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용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상기 덮개 부재를 부착했을 때에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메우고 또한 상기 개구 에지와 덮개 부재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의 벽면에 맞닿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태인 제 3 상태 및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태인 제 4 상태 모두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 또는 용기 본체에 접촉 배치되고,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의 다른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비접촉 배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는 유지된 측의 덮개 부재에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 내에 배설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화상 형성 재료가 반송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피삽입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환형상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축에서 보아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내측 및 외측에는 상기 피삽입부의 저벽에 맞닿는 밀봉용 충돌편을 형성하고,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서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밀봉용 충돌편을 피삽입부의 저벽에 대해서 비접촉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을 가지며,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후의 상기 제 3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밀봉용 충돌편 중 덮개 부재의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치수가 큰 밀봉용 충돌편과 상기 치수가 작은 밀봉용 충돌편의 치수들의 차를 X라고 하고, 또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의 부착 위치에 부착된 상기 제 4 상태에서의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밀어넣는 방향에 따른 최대 탄성 변형량을 Y라고 하면,
    X<Y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KR1020090032290A 2008-09-26 2009-04-14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065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8926A JP4618357B2 (ja) 2008-09-26 2008-09-26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JP-P-2008-248926 2008-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73A KR20100035573A (ko) 2010-04-05
KR101065285B1 true KR101065285B1 (ko) 2011-09-19

Family

ID=4139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290A KR101065285B1 (ko) 2008-09-26 2009-04-14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0871B2 (ko)
EP (1) EP2169474A1 (ko)
JP (1) JP4618357B2 (ko)
KR (1) KR101065285B1 (ko)
CN (1) CN101685285B (ko)
AU (1) AU200920144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1817B1 (en) * 2011-03-30 2021-06-30 Ricoh Company, Lt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00199B2 (ja) * 2012-04-02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ボトル、補給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250571B2 (en) * 2013-03-12 2016-02-0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toner container useful in printing
CN103472698B (zh) * 2013-09-23 2016-08-2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粉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488A (ja) 1999-08-17 2001-02-23 Ricoh Co Ltd トナー容器
JP2003015391A (ja) * 2001-06-29 2003-01-17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収容構造体
JP2003084553A (ja) * 2001-09-13 2003-03-1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2008158099A (ja) 2006-12-21 2008-07-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用シール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906B1 (ko) * 1993-12-28 1998-05-15 미따라이 하지메 현상제 카트리지 및 그 재생 방법(Developer Cartridge and Remanufactruring Method Therefor)
JP3382474B2 (ja) * 1996-09-30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ローラの組み込み方法
JPH10149006A (ja) * 1996-11-19 1998-06-0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890034A (en) * 1997-02-28 1999-03-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for use in the developing device
US5812915A (en) * 1997-11-07 1998-09-22 Xerox Corporation Press fit fill plugs with uniform sealing ability
US5878307A (en) * 1998-02-12 1999-03-02 Nashu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having rotary seal
JP2000010390A (ja) 1998-06-24 2000-01-14 Sharp Corp 現像剤収容容器
EP1347346B1 (en) * 1999-08-23 2014-04-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057933A (ja) 2001-08-09 2003-02-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キャップ部材取付構造
JP2003241497A (ja) 2002-02-20 2003-08-27 Canon Inc 容器枠体構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155138B2 (en) * 2003-12-22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8050597B2 (en)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488A (ja) 1999-08-17 2001-02-23 Ricoh Co Ltd トナー容器
JP2003015391A (ja) * 2001-06-29 2003-01-17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収容構造体
JP2003084553A (ja) * 2001-09-13 2003-03-1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2008158099A (ja) 2006-12-21 2008-07-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用シール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5285A (zh) 2010-03-31
JP2010079071A (ja) 2010-04-08
US20100080644A1 (en) 2010-04-01
CN101685285B (zh) 2012-02-15
KR20100035573A (ko) 2010-04-05
US8270871B2 (en) 2012-09-18
EP2169474A1 (en) 2010-03-31
JP4618357B2 (ja) 2011-01-26
AU2009201441B2 (en) 2011-02-24
AU2009201441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029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476285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トナー供給機構、シャッタ
KR102032704B1 (ko) 화상형성 유닛
JP5585414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KR101031557B1 (ko)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5786375B2 (ja)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EP2492756B1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9804318B (zh) 调色剂盒和调色剂供应机构
KR101065285B1 (ko)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8831484B2 (en) Powder container, powder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owder container controlling method
AU2013200135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9791388B (zh) 调色剂盒和调色剂供应机构
JP4217920B1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7533312B (zh) 能够安装调色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CN107209470B (zh) 显影剂容器以及具有该显影剂容器的图像形成装置
JP4720955B2 (ja)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