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704B1 - 화상형성 유닛 - Google Patents

화상형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704B1
KR102032704B1 KR1020160004511A KR20160004511A KR102032704B1 KR 102032704 B1 KR102032704 B1 KR 102032704B1 KR 1020160004511 A KR1020160004511 A KR 1020160004511A KR 20160004511 A KR20160004511 A KR 20160004511A KR 102032704 B1 KR102032704 B1 KR 10203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mage forming
main body
forming apparatu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245A (ko
Inventor
히로마사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은, 화상 담지체를 갖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유닛의 본체와 맞물려 상기 화상 담지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커버부를 록 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록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삽입된 후에 상기 록부를 록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장착 완료 전에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 유닛{IMAGE FORMING UNIT}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것들의 복수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 등의 유닛과, 그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럼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의 유닛을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닛에는, 감광 드럼 등의 유닛 내부에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구조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2002-132120호 공보에, 상기 유닛을 본체A에 삽입할 때에, 커버 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부와 맞물림으로써, 커버 부재가 유닛으로부터 떼어 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2007-240661호 공보에는, 유닛을 본체의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때에, 커버 부재를 본체에 록(lock) 하고, 유닛을 본체에서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 후에 이 록이 해제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2010-78703호 공보에는, 유닛을 본체의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때에 커버 부재를 본체에 록 하고, 이 록을 언제든지 해제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240661호 공보와 일본 특허공개 2010-78703호 공보의 경우, 유닛은, 본체에 록 된 커버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일본 특허공개 공보에 개시된 이 구조에 의해, 커버 부재가 서로 록 되어 있고, 본체에 그 유닛이 장착된 상태로 유닛 삽입 동작에 의해 유닛과 커버 부재간의 록이 해제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2-132120호 공보에 개시된 이 구조에 의해, 유닛을 본체의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때에, 커버 부재가 본체에 대하여 록 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 부재를 구비한 유닛이 부주의로 본체로부터 떼어내질 수도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7-240661호 공보에 개시된 구조에 의해, 유닛을 본체의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때에, 커버 부재가 본체에 대하여 록 되지만, 유닛이 장치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될 때까지 록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잘못된 유닛을 장착할 때에, 그 유닛을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면 커버 부재를 장치 본체로부터 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유닛을 커버 부재가 닫히지 않은 상태로 떼고, 그 결과 유닛내의 감광 드럼 등의 화상형성 부재가 노출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0-7870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유닛과 커버 부재와의 록을 유닛의 삽입 동작시에 해제하는 구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 그렇지만, 유닛과 커버 부재와의 록 기구에서의 고장으로 인해 상기 해제가 불가능하면, 유닛을 소정의 위치에 삽입할 수 없고, 그 결과 커버 부재와 본체간의 록도 해제 가능하지 않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10-78703호 공보에 개시된 구조에 의해, 커버 부재와 본체와의 록은 언제든지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부재와 본체와의 록은, 유닛을 어느 정도 본체에 삽입할 때까지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닛의 삽입중에 커버 부재가 본체로부터 떼어 내지면, 커버 부재에 의해 안내된 유닛이 본체로부터 탈락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일어나면, 즉, 유닛의 삽입 도중에서 커버 부재가 본체로부터 탈락되면, 유닛내에 설치되어 있는 감광 드럼 등의 화상형성 부재가 노출해버릴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 부재를 록 하되, 유닛 장착 동작시에 유닛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뗄 수 있는 화상형성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은, 화상 담지체를 갖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유닛의 본체와 맞물려 상기 화상 담지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커버부를 록 하기 위한 이동 가능한 록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삽입된 후에 상기 록부를 록 위치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장착 완료 전에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2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의 사시도, (b)는 단면도, (c)는 파트(b)의 우측에서 본 측면도다.
도 3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서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 (b)는 삽입 방향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다.
도 4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서의 커버 부재의 삽입 방향 선단측에서 도 3의 파트(b)와는 다른 각도로 본 사시도, (b)는 일부의 확대 측면도다.
도 5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가 커버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단면도다.
도 6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와 커버 부재와의 록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7의 파트(a)는 앞 커버를 개방한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본체로부터 드럼 카트리지를 떼어 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8의 파트(a)는 드럼 카트리지가 레일에 배치된 상태로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의 일부의 사시도, (b)는 레일로부터 드럼 카트리지를 뗀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제1의 실시예에서의 드럼 카트리지와 레일 사이의 록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10의 파트(a)는 드럼 카트리지가 커버 부재를 통해 삽입 위치에 세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의 사시도, (b)는 드럼 카트리지가 본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로, 드럼 카트리지 수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2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는 제1단계에서의, 이동 부재의 맞물림부(engaging portion)와 본체의 피맞물림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제2단계에서 그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13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서의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는 제3단계에서의, 이동 부재의 맞물림부와 본체의 피맞물림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와 본체의 록 맞물림부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는 제4단계에서의, 이동 부재의 맞물림부와 본체의 피맞물림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와 본체의 록 가이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5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는 제5단계에서의, 이동 부재의 맞물림부와 본체의 피맞물림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이동 부재의 돌출부와 본체의 록 해제 가이드부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의 파트(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본체의 일부의 사시도, (b)는 앞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7의 파트(a)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부재부를 개방한 상태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 (b)는 폐쇄부재부를 닫은 상태의 커버 부재를 나타낸다.
도 18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의 확대 사시도, (b)는 폐쇄부재부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다.
도 19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서의 커버 부재의 평면도, (b)는 파트(a)의 선A-A을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20의 파트(a)는 도 19의 파트(b)의 B부 확대도, 파트(b)는 도 19의 파트(b)의 C부 확대도다.
도 21은 드럼 카트리지가 커버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22는 도 21의 좌단부의 확대도다.
도 23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서 드럼 카트리지가 본체에 세트되기 전의 본체의 일부의 사시도, (b)는 드럼 카트리지가 커버 부재를 통해 삽입 위치에 세트된 후 그의 사시도다.
도 24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로부터 단부 커버 부재를, 떼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떼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5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를 구비한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세트할 때의 단면도다.
도 26은 도 25의 D부 확대도다.
도 27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위치에 세트된 커버 부재의 폐쇄부재부를 개방한 상태의 본체의 일부의 사시도, (b)는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의 사시도다.
도 28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변형부와 커버 부재와의 관계를, 드럼 카트리지의 본체에의 삽입이 시작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드럼 카트리지의 삽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삽입 완료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9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와 본체 사이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록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의 파트(a)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로, 드럼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커버 부재를 본체로부터 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제1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1)는, Y(옐로), M(마젠타), C(시안) 및 K(블랙)의 화상형성부(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이것들의 화상형성부(10)를 중간전사벨트(61)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배치된, 소위 탠덤형이다. 각 화상형성부(10)에서는, 다음의 화상형성동작이 행해진다. 화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감광체)(11)의 표면은, 대전 롤러(1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레이저 스캐너(13)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된 화상정보를 나타내는 화상 광에 노출되어, 그 표면에 잠상이 형성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독취장치(2)를 구비하고, 상술한 화상정보는, 화상독취장치(2)로부터, 원고로부터 독취되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단말로부터 공급된 화상정보로서 공급된다.
감광 드럼(11) 위에 형성된 잠상은, 현상기(14)에 의해 토너 상으로 가시화되어, 감광 드럼(11) 위에 각 색에 대응한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기(14)는, 감광 드럼(11)과 대향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슬리브(14a)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슬리브(14a)는 현상제를 담지하여 회전할 때, 현상 슬리브(14a)와 감광 드럼(11)과의 사이에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토너를 감광 드럼(11)에 공급하여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한다.
각각의 감광 드럼(11)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일차 전사롤러(17)에 의해 가해진 소정의 압력 및 일차 전사롤러(17)에 인가된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중간전사벨트(61)에 순차로 전사된다. 전사동작 후 감광 드럼(11) 위에 남은 소량의 토너는, 크리닝 블레이드(15)에 의해 제거 회수됨으로써, 그 화상형성부들은 다음 화상형성동작을 위해 준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현상기(14)안의 토너가 소비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19)로부터 현상기(14)에 토너가 보급된다.
한편, 기록재(시트) P는, 급지 카세트(20)로부터 1매씩 공급되어, 레지스트 롤러 쌍(23)에 반송된다. 기록재P의 선단은, 레지스트 롤러들 사이의 니프(nip)부에 의해 정지되어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사행을 수정한다. 그 후, 레지스트 롤러들은, 중간전사벨트(61) 위의 토너 상과 동기하여, 기록재P를 중간전사벨트(61)와 외부 이차 전사 롤러(35)와의 사이에 반송하기 시작한다. 중간전사벨트(61) 위의 토너 상은, 구동롤러(62)와 외부 2차 전사 롤러(35) 사이의 니프부에 소정의 압력과 정전적 부하 바이어스 전압을 가함으로써, 기록재P에 전사된다. 전사동작 후 중간전사벨트(61) 위에 남은 소량의 잔여 토너는, 크리닝 유닛(70)에 의해 제거 회수되어, 다음 화상형성동작을 준비한다.
기록재P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은, 정착기(40)의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 사이에 형성된 니프부에서 가열 가압됨으로써 기록재P에 정착된다. 토너 상이 정착된 기록재P는, 배지롤러쌍에 의해 배지 트레이(51) 위에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상술한 화상형성부(10), 중간전사벨트(61), 정착기(40) 등을 구비한 본체(1a)와 화상독취장치(2)와의 사이에 배지 트레이(51)를 설치한, 소위 실내 배출형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의 도 1의 오른쪽에 기록재P를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록재 반송부(3)를 배치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의 오른쪽면(도 1)에는, 측면 커버(90)가 회전 축(9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계지(locking)부(92)에 의해 본체(1a)의 일부에 걸려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a)의 측방을 덮고 있다. 측면 커버(90)는, 계지부(92)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본체(1a)의 측방을 개방 가능하며, 기록재 반송부(3)에 기록재가 걸렸을 경우, 예를 들면, 측면 커버(90)를 개방하는 것으로, 유저는 본체(1a)의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
본 실시예의 경우, 화상형성을 행하기 위한 감광 드럼(11)(화상형성 부재)을 가지는 드럼 카트리지(100)(유닛)를, 본체(1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여, 감광 드럼(11)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의 파트(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는, 감광 드럼(11), 대전롤러(12) 및 크리닝 블레이드(15)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들은 하우징(101)에 의해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감광 드럼(11)과 대전롤러(12)는, 하우징(1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대전롤러(12)와 크리닝 블레이드(15)는 감광 드럼(11)에 압착된다.
감광 드럼(11), 대전롤러(12) 및 크리닝 블레이드(15)는, 화상형성동작으로 열화되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는 드럼 카트리지를 사용한 상기 장치에서 출력한 프린트 양에 따라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a)의 전후 방향으로 삽탈될 수 있고, 그 드럼 카트리지(100)의 사용 기간이 끝난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a)의 전방은, 화상형성장치(1)를 유저가 조작하는 쪽이다. 이하, 삽입 방향은,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에 삽입하는 방향, 다시 말해, 도 2의 파트(a), (c)의 화살표α 의 방향이다.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에 장착함으로써, 감광 드럼(11)이, 본체(1a)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인 모터의 구동전달부와 커플링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11)이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대전롤러(12)는, 감광 드럼(11)에 압착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11)에 의해 회전된다.
드럼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에는, 도 2의 파트(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에의 삽입시에, 후술하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는 리브(rib)(102) 및 가이드(103)가 구비되어 있다. 리브(102)는, 도 2의 파트(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도 2의 파트(b)의 좌측면)의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 양단에 인접한 부분 각각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103)는, 도 2의 파트(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타측면(도 2의 파트(b)의 오른쪽면)에 삽입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101)의 타측면에는, 가이드(103)에 인접하고 그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으로 록 가이드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록 가이드부(104)(가이드부)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200)의 요동판(210)에 형성된 돌출부(211)(돌기부, 도 3의 파트(b)등)와 맞물릴 수 있어, 돌출부(211)를 안내한다. 도 2의 파트(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가이드부(104)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도 2의 파트(c)의 오른쪽 끝)에는, 록 가이드부(104)의 홈보다도 큰 상하 방향의 치수를 갖고 록 가이드부(104)와의 사이에 단차를 갖는, 록 맞물림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록 가이드부(104)의 삽입 방향에 대해 후단(도 2의 파트(c)의 좌단)에는, 록 가이드부(104)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는 위쪽으로 경사진 홈형의 록 해제 가이드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록 맞물림부(105), 록 가이드부(104)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이름순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록 맞물림부(105), 록 가이드부(104)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후술하는 것 같이, 돌출부(211)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요동판(210)의 회전 위상은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커버 부재]
본 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에 장착하기 전에, 드럼 카트리지(100)에는, 감광 드럼(11)을 포함하는 부재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적어도 감광 드럼(11)을 덮는 커버 부재(200)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 부재(200)는, 도 3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도 3의 파트(a)의 화살표α 방향)으로 길어지고, 삽입 방향에 대해 선단부측 및 하방측이 개방된 대략 상자형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버 부재(200)에 대해서도, 삽입 방향을 사용하고, 그 방향은, 커버 부재(200)를 드럼 카트리지(100)에 장착한 상태에 기초한다.
상기 커버 부재(200)는, 도 3의 파트(a), (b)와 도 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201), 제1측판부(202) 및 제2측판부(203)를 구비한다. 제1측판부(202) 및 제2측판부(203)는, 상판부(201)로부터(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각각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것 같이, 제1측판부(20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제2측판부(203)보다도 길어서, 현상기(14)와 대향하는 감광 드럼(11)이 넓게 노출되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측면이 적절하게 덮어진다.
제1측판부(202)는, 도 3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의 드럼 가이드(20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측판부(203)에는, 도 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에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의 단부에 각각의 유지 리브(203a)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에는, 본체(1a)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는 삽입부(204)가 설치된다. 이 삽입부(204)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방측에는, 본체(1a)에의 상기 카트리지 삽입시에, 본체(1a)의 일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은, 도 3의 파트(b) 및 도 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탈 가능하게 개방되어 있다.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측은, 도 3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부(203)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제2측판부(203)와 제1측판부(202)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후측판(206)에 의해 덮어져 있다.
도 3의 파트(a) 및 도 4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부(203)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에는, 이동 부재로서의 요동판(210)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판(210)은, 제2측판부(203)의 측면에 직교하게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요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커버 부재(200)의 제2측판부(203)에 대하여, 도 4의 파트(b)의 화살표β로 나타낸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이동 가능하다). 요동판(210)은,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측의 상하 방향으로 측정된 폭을 갖고, 이 폭은 선단부측의 상하 방향으로 측정된 폭보다 크다.
요동판(210)의 선단부에는, 커버 부재(200)의 내부를 향해서, 다시 말해,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여진 드럼 카트리지(100)를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측판부(203)에는, 요동판(21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요동판(210)의 요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구멍(20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파트(b) 및 도 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11)가 관통구멍(203b)을 통해서 커버 부재(200)의 내부에 돌출한다. 이에 따라, 요동판(210)은, 돌출부(211)가 관통구멍(203b)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다. 요동판(210)의 후단 근처 상단부에는, 제2측판부(203)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돌출하는 맞물림부(212)(록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의 커버 부재에의 장착]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커버 부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의 선단부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도 5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의 측면에 형성된 리브(102)가, 커버 부재(200)의 제1측판부(202)의 내측면에 형성된 드럼 가이드(202a)와 맞물린다. 또한, 하우징(101)의 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103)에, 제2측판부(203)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지 리브(203a)가 맞물린다.
각 가이드와 각 리브의 맞물림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100)가 삽입 방향을 따라서 커버 부재(200)안에 삽입된다. 이렇게,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에 장착된 상태로, 감광 드럼(11)등이 설치될 때의 공간이, 상판부(201), 제1측판부(202) 및 제2측판부(203)에 의해 덮어진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1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200)는, 장착 상태로 서로 록 된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상태로, 커버 부재(200)에 설치된 요동판(210)의 돌출부(211)가, 드럼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의 상기 타측면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에 형성된 록 맞물림부(105)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도 6의 화살표α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다.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측은 후측판(206)에 의해 덮어져 있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측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는다.
[드럼 카트리지의 교환]
본 실시예의 드럼 카트리지(100)의 교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1a)로부터 드럼 카트리지(100)를 꺼내는 동작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럼 카트리지를 꺼냄]
도 7의 파트(a), (b)는,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의 각 색의 드럼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는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본체(1a)는, 전방에 앞 커버(400)가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 7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커버(400)를 개방하는 것으로, 드럼 카트리지(100)에 액세스가능하다. 본체(1a)에는, 도 7의 파트(a)의 왼쪽에서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순으로 복수의 드럼 카트리지(100)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드럼 카트리지(100)는, 공통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00)의 커버 부재(200)도 공통의 구조를 갖는다. 도 7의 파트(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럼 카트리지(100)에 인접하게 현상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안의 드럼 카트리지(100)(도 7의 파트(a)의 왼쪽에서 3번째 카트리지)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다른 드럼 카트리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의 교환은, 화상형성장치(1)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예를 들면, 조작 패널)나 외부 단말장비에, 시안의 드럼 카트리지(100)에 대해서 요구된다. 이 경우, 유저나 서비스 맨 등의 조작자가, 도 7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커버(400)를 개방한다. 그 후, 도 7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시안의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로부터 꺼낸다.
여기에서, 드럼 카트리지(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의 소정의 장착 위치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록 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100)는, 도 8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에서 드럼 카트리지(1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10)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10)에는, 도 8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에 의해 이동 가능한 록 클로(claw)(411)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a)의 소정의 장착 위치에 장착된 상태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하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맞물림 구멍(16a)에 록 클로(411)가 맞물린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구멍(16a) 안에는, 해제 부재(16b)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부재(16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구멍(16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드럼 카트리지(100)의 전방면에 노출해서 조작자에 의해 개방 가능한 조작 레버(16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자가 이 조작 레버(16c)를 도 9의 화살표γ로 나타낸 방향으로 내리면, 해제 부재(16b)도 록 클로(411)와 함께 내림으로써, 록 클로(411)는 맞물림 구멍(16a)으로부터 떼어 내진다. 이에 따라, 드럼 카트리지(100)의 록이 해제되어, 드럼 카트리지(100)를, 도 9의 화살표δ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체(1a)로부터 꺼낼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100)를 꺼낸 후, 드럼 카트리지(100)는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보호는 조심스럽게 처리될 필요가 없다. 제거된 드럼 카트리지(100)는 서비스 맨이나 다른 조작자에 의해 회수된다. 드럼 카트리지(100)를 꺼낼 때에, 커버 부재(200)를 본체(1a)의 후술하는 삽입 위치에 장착하여, 드럼 카트리지(100)를 커버 부재(200)안에 안내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감광 드럼(11)등에 토너 등이 부착되어 있는 오염으로부터 조작자가 보호된다.
[드럼 카트리지의 장착]
다음에,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에 장착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자가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여진 새로운 드럼 카트리지(100)를, 도 10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의 삽입 위치에 배치한다. 도 10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를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본체(1a)안에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a)의 드럼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는 수납부(300)에는,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에 설치된 삽입부(204)와 맞물릴 수 있는 지지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a)의 지지부(301)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여진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의 삽입 위치로부터 소정량 삽입한 상태로,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301)에는, 수납부(300)에서 위쪽으로 함몰되고, 삽입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면에서 지지면(302)이 설치되고, 반대의 폭방향 단부에 설치된 각 측벽(303)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304)가 설치된다. 또한, 한쪽(도 11의 오른쪽)의 가이드 리브(304)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수납측의 단부(도 12의 파트(a)의 좌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305)를 가진다.
한편, 커버 부재(200)의 삽입부(204)에는, 도 3 및 도 12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면(204a)과 맞물림 리브(204b)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면(204a)은, 커버 부재(200)를 본체(1a)에 삽입한 상태로, 지지면(302)과 접촉한다. 맞물림 리브(204b)는, 각각의 가이드 리브(304) 위에 배치되고 가이드 리브(304)와 맞물릴 수 있다.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의 삽입 위치를 향해서 삽입할 때에, 커버 부재(200)의 삽입부(204)를 본체(1a)의 지지부(301)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접촉면(204a)이 지지면(302)에 접촉하고, 맞물림 리브(204b)가 가이드 리브(30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커버 부재(200)가 삽입 위치를 향해서 안내된다.
[제1단계]
도 12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가 소정량Y만큼 삽입된 상태로, 커버 부재(200)의 요동판(210)의 맞물림부(212)가, 한쪽의 가이드 리브(304)의 돌기부(305)의 전방측과 접촉한다. 여기서, 돌기부(305)의 전방측은,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는 측이고, 본체(1a)의 전방측에 가까운 측이다. 후술하는 돌기부(305)의 후면은, 전방측의 뒤쪽이고, 본체(1a)에 대해 후방측면이다.
여기에서, 지지면(302)과 가이드 리브(304)의 상면 사이의 간격X는, 접촉면(204a)과 맞물림 리브(204b)의 하면 사이의 간격보다도 약간 크므로, 삽입부(204)와 지지부(301) 사이의 유극은 작다. 이 때문에, 삽입부(204)가 지지부(301)에 소정량Y만큼 삽입된 상태로,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가, 본체(1a)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해, 조작자가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로부터 손을 떼도, 이것들이 본체(1a)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제2단계]
다음에, 도 12의 파트(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더욱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하면, 도 12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요동판(210)이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화살표 β1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12의 파트(a), (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의 돌출부(211)가 드럼 카트리지(100)의 록 맞물림부(105)와 계속 맞물려 있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에 록 되어 있다.
[제3단계]
다음에,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더욱 삽입하고 나서, 도 13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이 화살표β1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맞물림부(212)가 돌기부(305)의 하방을 통과한다. 이때, 커버 부재(200)의 접촉부(205)가 본체(1a)의 일부인 표면(306)에 접촉하여, 커버 부재(200)가 그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가 본체(1a)의 삽입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록 맞물림부(105)로부터 떼어 내져,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와의 록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도 13의 파트(a)의 위치)에 배치하면,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200)와의 록이 해제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는,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200)와의 록 및 록 해제를 행하는 유닛 록 수단으로서의 유닛 록 기구(500)를 구비한다. 유닛 록 기구(500)는, 맞물림부(212), 피맞물림부로서의 돌기부(305), 이동 부재로서의 요동판(210), 돌출부(211), 및 록 맞물림부(105)를 구비한다.
상술한 것처럼, 맞물림부(212)는, 커버 부재(200)에 설치된다. 피맞물림부로서의 돌기부(305)는, 본체(1a)에 설치되어서 맞물림부(212)와 맞물릴 수 있다. 이동 부재로서의 요동판(210)에는 맞물림부(212)가 구비되고,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이동 가능(요동 가능)하다. 돌출부(211)는, 요동판(210)에 설치되어서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향해서 돌출된다. 록 맞물림부(105)는, 돌출부(211)와 맞물릴 수 있고, 돌출부(211)와 맞물린 상태로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200)를 록 한다. 한편, 록 맞물림부(105)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배치하면, 맞물림부(212)가 돌기부(305)와 맞물림으로써 돌출부(211)로부터 떼어 내진다.
록 맞물림부(105)의 위쪽에는, 도 13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가이드부(104)보다도 위쪽으로 함몰된 해제부(10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211)는 록 가이드부(104)의 위치의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대응하게, 요동판(210)도 화살표β1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 결과, 맞물림부(212)의 위치를 돌기부(305)에 대하여 하강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것들의 맞물림과 해제가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와 록 맞물림부(105)간에 해제됨으로써, 커버 부재(200)로부터 해제된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a) 안에 삽입 가능해진다. 즉, 도 5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리브(102)가, 커버 부재(200)의 드럼 가이드(202a)와 맞물리고, 드럼 카트리지(100)의 가이드(103)에, 커버 부재(200)의 유지 리브(203a)가 맞물리고 있다. 이 맞물림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본체(1a) 안에 삽입 가능해진다.
[제4단계]
이 삽입 위치부터 드럼 카트리지(100)만을, 본체(1a)의 장착 위치를 향해서 제1의 소정량 삽입하면, 도 1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이 상기 화살표β1 방향과는 역방향인 화살표β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커버 부재(200)의 접촉부(205)가 본체(1a)의 일부인 피접촉면(306)에 접촉하여, 커버 부재(200)는 그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돌기부(305)를 지나간 맞물림부(212)가 돌기부(305)의 후면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도 14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의 돌출부(211)가 드럼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이동되고, 돌출부(211)가 록 가이드부(104)와 맞물린다. 이 때, 해제부(105a)에 의해 록 가이드부(104)보다도 위쪽에 위치한 돌출부(211)가, 해제부(105a)와 록 가이드부(104)의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부(105b)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록 가이드부(104)와 맞물린다. 이 결과, 요동판(210)은, 도 1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β2로 나타낸 방향으로 요동하여, 맞물림부(212)가 돌기부(305)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커버 부재(200)가 본체(1a)에 대하여 록 되어, 커버 부재(200)가 본체(1a)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a)와 커버 부재(200)와의 록 및 록 해제를 행하는 본체 록 수단으로서의 본체 록 기구(이동 기구)(600)를 가진다. 본체 록 기구(600)는, 맞물림부(록 맞물림부)(212)와, 피맞물림부로서의 돌기부(305)를 구비한다. 본체 록 기구(600)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거리)만큼 삽입하면,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를 맞물리게 한다. 한편, 후술하는 것 같이, 본체 록 기구(600)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간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록 기구(600)는, 이동 부재로서의 요동판(록부)(210), 돌출부(211), 록 가이드부(가이드부)(104)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도 구비한다. 록 가이드부(104)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1의 소정량에 해당한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에 해당한 (제2 소정량에 해당한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위치까지,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이동하는 범위에, 삽입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록 가이드부(104)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그 범위에서 이동할 때에,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에 요동판(210)이 유지되도록, 돌출부(211)를 안내하며 이와 맞물린다. 한편,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2 소정량에 해당한 위치에 이동했을 경우에,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해제 위치에 요동판(210)을 이동시키도록, 돌출부(211)를 안내하며 이와 맞물린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록 기구(600)는, 상술한 유닛 록 기구(500)와 마찬가지로, 맞물림부(212), 피맞물림부로서의 돌기부(305), 이동 부재로서의 요동판(210), 및 돌출부(211)를 구비한다. 록 가이드부(104)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록 맞물림부(105)와 연속해서 형성된 홈이다. 이 때문에, 본체 록 기구(600)와 유닛 록 기구(500)는, 기구로서 공통 구조를 가진다.
여기에서, 커버 부재(200)가 본체(1a)에 대하여 록 된 상태로 커버 부재(200)를 본체(1a)로부터 제거하려고 하는 경우도, 커버 부재(200)를 제거할 수 없다. 즉, 이 상태에서는, 도 14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와 록 가이드부(104)와의 맞물림에 의해 요동판(210)의 요동 움직임을 규제하여서,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의 후면간의 맞물림이 유지된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200)를 본체(1a)로부터 빼낼 수 없다.
한편,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이상 삽입된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렸을 경우에는, 본체(1a)와 커버 부재(200)와의 록이 해제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렸을 경우, 도 13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록 가이드부(104)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에 설치된 록 맞물림부(105)의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요동판(210)이 화살표β1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고, 도 13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커버 부재(200)와 본체(1a)와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리면,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로부터 뗄 수 있다.
상기 제1의 소정량(거리)은, 도 13의 파트(a)에 도시된 삽입 위치로부터,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이어도 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 및 커버 부재(200)를 삽입 위치에 세트한 위치로부터, 드럼 카트리지(100)만을 가압하는 것으로 커버 부재(200)와 본체(1a)가 록 되면 충분하다. 달리 말하면, 조작자가 드럼 카트리지(100) 및 커버 부재(200)를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때의 기세로 약간 드럼 카트리지(100)만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커버 부재(200)와 본체(1a)가 록 되지 않으면 충분하다. 이 때문에, 제1의 소정량은, 록된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200) 사이의 삽입 방향의 유극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제5단계]
이 위치로부터 더욱 드럼 카트리지(100)만을 본체(1a)의 장착 위치를 향해서 삽입하면, 도 15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이 화살표β1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요동판(210)의 맞물림부(212)는 돌기부(305)의 하방(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그 맞물림을 해제한다. 이 결과, 커버 부재(200)가 본체(1a)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커버 부재(200)는 본체(1a)로부터 떼어 내진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보다도 큰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함으로써, 도 15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판(210)의 돌출부(211)가 드럼 카트리지(100)에 대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돌출부(211)가 록 해제 가이드부(106)와 맞물린다.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상술한 것 같이, 록 가이드부(104)보다도 삽입 방향으로 후방측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출부(211)가 록 해제 가이드부(106)에 맞물려서 안내된 상태에서 요동판(210)이 화살표β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요동판(210)은, 도 15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β1 방향으로 요동하여, 맞물림부(212)가 돌기부(305)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이동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의 타측면(도 2의 파트(b)의 오른쪽면)에 형성된 가이드(103)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타측면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개방하고 있다. 하우징(101)의 양측면은, 도 2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에 대해 후단부면과 경사면(101a)과 연속하고 있다. 1쌍의 경사면(101a)은, 후단부측을 향하는 거리가 좁아질수록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 2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103)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는, 그 깊이만큼 경사면(101a)까지 들어간다.
이에 따라, 가이드(103)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와 각각 맞물리는 유지 리브(203a) 및 돌출부(211)는, 가이드(103)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로부터 삽입 방향에 대해 후방측에 빠져 나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의 드럼 가이드(202a)도, 커버 부재(20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것과 맞물리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리브(102)가, 드럼 가이드(202a)로부터 삽입 방향에 대해 전방측으로 빠져 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커버 부재(200)를 본체(1a)로부터 뗄 때에, 드럼 카트리지(100)로부터도 커버 부재(200)를 뗄 수 있다. 즉, 커버 부재(200)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본체(1a) 및 드럼 카트리지(100)로부터 뗄 수 있다.
상술한 제2 소정량은, 드럼 카트리지(100)가 본체(1a)의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삽입될 때 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위치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맞물림 구멍(16a)에 본체(1a)의 록 클로(411)가 맞물려, 드럼 카트리지(100)가 본체(1a)에 대하여 록 된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200)가 본체(1a)로부터 제거될 때, 드럼 카트리지(100)가 부주의로 꺼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렇지만, 제2 소정량은, 드럼 카트리지(100)의 중심이 본체(1a)에 들어간 위치에 해당하여도 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의 중심이 본체(1a)의 가이드 레일(410) 위에 있으면, 커버 부재(200)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드럼 카트리지(100)가 부주의로 본체(1a)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감광 드럼(11)을 가지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경우, 제2 소정량은, 감광 드럼(11)이 본체내에 제자리에 위치되는 위치에 해당하여도 된다. 즉, 감광 드럼(11)이 본체(1a)의 내부에 있으면, 커버 부재(200)를 제거해도, 감광 드럼(11)이 외부에 노출하기 어려워져, 삽입동작에서 감광 드럼(11)의 손상이나 감광을 피할 수 있다.
어쨌든,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한 후에, 커버 부재(200)를 본체(1a) 및 드럼 카트리지(100)로부터 뗀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삽입하고 나서 커버 부재(200)를 떼고 있다. 이 결과, 도 16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가 소정의 장착 위치에 삽입된 후, 도 16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커버(400)를 닫음으로써, 드럼 카트리지(100)의 교환 작업이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로 보호된 상태로, 본체(1a)의 삽입 위치에 정확히 위치결정되고, 그 후,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에 삽입한다. 이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안의 감광 드럼(11)등의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본체(1a)에의 삽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장착전의 상태에서는, 유닛 록 기구(500)에 의해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가 서로 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200)는 부주의로 드럼 카트리지(100)에서 내려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의 삽입 위치에 세트한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거되어도 된다. 즉, 도 13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위치에서는, 커버 부재(200)의 요동판(210)에 설치된 맞물림부(212)는 본체(1a)에 설치된 돌기부(305)와 맞물리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 및 커버 부재(200)를 삽입 위치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본체(1a)로부터 용이하게 뗄 수 있다. 그러므로, 잘못해서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a)의 삽입 위치에 세트했을 경우라도, 전술한 일본 특허공개 2007-240661호 공보의 경우와 달리,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동작 없이, 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부터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커버 부재(200)와 본체(1a)가 서로 록 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2 소정량만큼 삽입될 때까지 커버 부재(200)는 본체(1a)로부터 떼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작업시에 부주의로 커버 부재(200)가 본체(1a)로부터 풀리지 않고,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일본 특허공개 2010-78703호 공보의 경우와 같이 커버 부재(200)와 본체(1a)와의 록을 언제든지 해제 가능하게 했을 경우, 조작자가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동작중에 잘못해서 커버 부재(200)를 본체(1a)로부터 떼어낼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일어날 경우,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실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소정량은, 적어도 드럼 카트리지(100)의 중심이 본체(1a)에 들어간 위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 상태로 커버 부재(200)와 본체(1a)와의 록이 해제되어도, 드럼 카트리지(100)가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후,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a)의 가이드 레일(4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와의 록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그 해제를 위한 어떠한 특별한 동작을 행하지 않고,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와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와의 록 해제를 행하는 유닛 록 기구(5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는 삽입 위치에 배치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요동판(210)이 고착해서 회전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 맞물림부(212)와 돌기부(305)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도 요동판(21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커버 부재(200)를 삽입 위치에 배치할 수 없다. 또한, 커버 부재(200)를 삽입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경우에도, 커버 부재(200)와 드럼 카트리지(100)와의 록이 해제되지 않고 있으면, 드럼 카트리지(100)를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커버 부재(200)와 본체(1a)간의 록이 가능하지 않다. 어쨌든, 유닛 록 기구(500)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커버 부재(200)와 본체(1a)와의 록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a)로부터 떼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록 기구(600)과 유닛 록 기구(500)는, 공통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부품의 수는 각각의 기구의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본체 록 기구(600)와 유닛 록 기구(500)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0) 및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위치에의 세트 및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동작에 연동하여, 각각 록 및 록 해제를 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본체(1a)에의 세트 및 삽입 동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록 기구들의 록 및 록 해제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그 록 및 록 해제를 위해 특별히 조작하지 않고, 드럼 카트리지(100)의 본체(1a)에의 장착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의 설명에서는, 본체 록 기구(600)와 유닛 록 기구(500)는 공통 구조를 갖지만, 이것들은 각각의 기구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록 기구의 록 및 록 해제는 요동판(210)을 요동시켜서 실행되지만, 요동판 대신에 활주가능 부재가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그 활주가능 부재는, 록 맞물림부(105), 록 가이드부(104) 및 록 해제 가이드부(106)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제2의 실시예>
제2의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드럼 카트리지(100)를 덮는 커버 부재(700) 및 본체(1b)의 록 및 록 해제의 구조가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1의 실시예와 같은 참조부호는 본 실시예에서 대응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 할당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간략을 기하기 위해 생략된다.
[커버 부재]
커버 부재(700)는, 도 17의 파트(a),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폐쇄부재부(710), 하부에 수용부(720)를 구비하고 있고, 폐쇄부재부(710)는 수용부(720)를 개폐가능하다. 커버 부재(7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에는, 커버 부재(700)로부터 본체(1b)에 드럼 카트리지(100)를 주고받는, 주고받기 개구부(740)가 구비되어 있다. 주고받기 개구부(740)를 형성하는 부재의 외주는, 본체(1b)의 드럼 카트리지(100)의 수용구인 개구부(800)(수납부, 도 23의 파트(a))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750)로서 기능한다. 또한, 맞물림부(750)의 상부에는, 본체(1b)의 돌기부(810)(도 29의 파트(a))와의 맞물림을 위한 맞물림부(76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700)의 폐쇄부재부(710)와 수용부(720)는 일체로 성형된 수지재, 예를 들면, 블랙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재로 제조되어 있다. 도 18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부(710)는 리빙 힌지(730)에 의해, 수용부(7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도 18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부(710)가 수용부(720)에 근접할 때에 간극이 되는 부분의 근방에는, 부재(711)를 설치함으로써 커버 부재(700)의 내부에 직접 빛이 도달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9의 파트(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부(710)에는 스냅 피트(fit)(712)와 훅(hook)(713)이 설치되어 있고, 폐쇄부재부(7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들은 수용부(720)와 맞물려 있다. 이에 따라, 폐쇄부재부(710)는 수용부(720)에 록 된다. 훅(713)은, 도 20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여 수용부(720)에 형성된 개구부(721)를 통해 진입가능하다. 그리고, 훅(713)이 개구부(721)의 주위부와 맞물림으로써, 폐쇄부재부(710)가 수용부(720)에 닫은 상태로 록 된다. 훅(713)은, 폐쇄부재부(710)가 수용부(720)에 대해 후방측(화살표R로 나타낸 방향, 삽입 방향에 대해 선단측을 향해, 도 19의 파트(b)의 오른쪽)에 이동될 때를 제외하고 풀리지 않는다.
스냅 피트(712)는, 도 20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여 수용부(720)에 형성된 개구부(722)를 통해 진입가능하다. 스냅 피트(712)와 개구부(722)의 주위간에 맞물림으로써, 폐쇄부재부(710)가 수용부(720)를 닫은 상태로 록 된다. 스냅 피트(712)는, 수용부(720)에 대하여 전방측(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 삽입 방향에 대해 후방측, 도 19의 파트(b)의 왼쪽)으로 힘을 받아서 그 형성에 의해 개구부(722)의 주위로부터 풀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부재부(7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스냅 피트(712)와 훅(713)의 모두가 수용부(220)의 일부와 맞물리므로, 폐쇄부재부(710)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스냅 피트(712)가 화살표F 방향의 힘을 가해서 수용부(220)로부터 풀린 상태에서는, 폐쇄부재부(710)가 개방되면 상기 후방측만이 폐쇄부재부(710)의 경사의 결과로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훅(713)은 화살표R 방향으로 움직이고, 폐쇄부재부(710)는 개방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의 커버 부재에의 장착]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버 부재(70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부재부(710)를 개방한 상태로 수용부(720)안에 배치된 드럼 카트리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700)안에 드럼 카트리지(100)가 수용되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다. 이 상태에서, 단부 커버 부재(770)는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측(도 21의 오른쪽)에 설치된 맞물림부(750)와 맞물린다.
단부 커버 부재(770)는, 발포 재료로 제조되고, 커버 부재(700)의 맞물림부(760)와 그발포 재료의 탄성을 사용하여 맞물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주고받기 개구부(740)가 단부 커버 부재(770)에 의해 닫히고, 드럼 카트리지(100)의 전체가 커버 부재(700) 및 단부 커버 부재(770)에 의해 덮인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부(710)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측에는, 스토퍼부(714)가 설치된다. 폐쇄부재부(710)가 닫힌 상태에서, 스토퍼부(714)는 돌출부(11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면에 접촉하고, 이 돌출부(110)는 드럼 카트리지(100)에 대해 후방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700)내에서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부 커버 부재(770) 없이,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700)의 주고받기 개구부(7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후술하는 도 28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의 일부는 맞물림부(760)와 접촉해서 맞물림부(760)를 탄성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700)와 단부 커버 부재(770)에 의해 보호된다. 드럼 카트리지(100)의 수송시 포장 형태는, 종래의 포장과 마찬가지로 커버 부재(700), 발포 재료의 완충 부재, 보호 자루, 골판지 상자를 포함하여도 된다.
[드럼 카트리지의 교환]
본 실시예의 드럼 카트리지(100)의 교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안(도 23의 파트(a)의 왼쪽에서 3번째)의 드럼 카트리지(100)를 설명하지만, 다른 드럼 카트리지에 대해서도 같다.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로부터 꺼낸다(도 23의 파트(a)). 도 23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 새로운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의 삽입 위치에 삽입한다.
이때, 도 24의 파트(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로부터 단부 커버 부재(770)를 제거한다. 도 22와 함께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의 스토퍼부(714)가 드럼 카트리지(100)의 돌출부(110)와 접촉한다. 이 때문에, 단부 커버 부재(770)가 제거되는 경우도, 본체(1a)에 드럼 카트리지(100)가 적소에 위치결정되기 전에 이 커버 부재(700)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의 삽입 위치에 삽입한다. 이때,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의 맞물림부(750)는 본체(1b)의 개구부(800)와 맞물린다. 단부 커버 부재(770)의 사이즈는 개구부(800)보다도 크기 때문에, 단부 커버 부재(77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커버 부재(700)는 개구부(800)를 통해 삽입될 수 없다.
지지부로서의 개구부(800)는,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의 삽입 위치를 향해서 소정량만큼 삽입한 상태로, 커버 부재(700) 및 드럼 카트리지(100)가 본체(1b)에 의해 지지되도록 기능한다. 즉,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의 맞물림부(750)는 본체(1b)의 개구부(800)에 유극 없이 맞물리고, 그의 맞물림 폭Y는, 예를 들면 50mm이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b)에 의해 지지된다. 즉, 조작자가 커버 부재(7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로부터 손을 떼도, 이것들이 본체(1a)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위치가 드럼 카트리지(100)의 본체(1b)에 대한 삽입 위치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b)의 전방측(도 26의 좌측)의 면에 개구부(800)의 상측에는,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돌기부(80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700)의 수용부(720)의 일부에 폐쇄부재부(710)의 스냅 피트(712)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개구부(72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7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의 삽입 위치에 세트한 상태로, 돌기부(801)가 개구부(723)를 통해서 스냅 피트(712)를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스냅 피트(712)가 풀린다. 이에 따라, 상술한 것 같이, 커버 부재(700)의 폐쇄부재부(710)가 개방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27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재부(71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가 드럼 카트리지(100)에 액세스 가능해진다. 이 때, 도 22와 함께 설명된 스토퍼부(714)와 돌출부(110)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700)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상태로, 도 27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b)의 소정의 장착 위치를 향해서 삽입된다. 이 때,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은, 커버 부재(700)에 의해 안내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700)의 저부(701)에 얹혀 있고, 가이드부로서의 저부(701)에 의해 안내된다. 조작자는,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700)의 양쪽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할 수 있다. 본체(1b)의 삽입 위치에 위치 규제하고 나서 폐쇄부재부(710)를 개방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하기 직전까지 감광 드럼(11)은 노광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본체 록 기구]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700)와 본체(1b)간의 록 및 록 해제를 행하는 본체 록 기구(이동 기구)(900)에 대해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 록 기구(900)는, 맞물림부(삽입부, 록부)(760)와, 피맞물림부로서의 돌기부(810)를 구비한다. 맞물림부(760)는 커버 부재(700)에 설치되고, 한 쌍의 돌기부(810)는 본체(1b)에 설치되어 맞물림부(760)와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부(760)는 본체(1b)와의 맞물림과 록의 기능을 겸한다. 한 쌍의 돌기부(810)는, 커버 부재(700)의 맞물림부(750)가 맞물리고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본체(1b)의 개구부(800)의 표면 중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본체(1b)와 커버 부재(700)가 서로 록 된다. 한편,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맞물림부(760)가 돌기부(810)로부터 풀림으로써, 본체(1b)와 커버 부재(700)와의 록이 해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록 기구(900)는, 탄성변형부(761)와, 제1맞물림부로서의 돌출부(120)와, 제2맞물림부로서의 돌출부(110)를 더욱 구비한다. 탄성변형부(761)는, 선단부에 맞물림부(760)가 설치되고,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간에 풀리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부(750)의 상면의 2개소에 각각 잘려진 부분(762)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잘려진 부분(762)의 저부에서 상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탄성변형부(761)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761)는, 커버 부재(7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잘려진 부분(762)내에서 탄성변형 가능하다. 탄성변형부(761)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맞물림부(760)가 설치된다. 맞물림부(760)는, 탄성변형부(761)의 탄성변형에 의해 서로 접근하고 이격된다.
제1맞물림부로서의 돌출부(120)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선단부에 위쪽으로 돌출된다. 도 28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가 커버 부재(700)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700)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 아직 이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돌출부(120)는 탄성변형부(761)와 맞물려, 그 탄성변형부(761)를 탄성적으로 확장시킨다. 돌출부(120)의 삽입 방향의 길이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의 끝에 해당하는 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제1의 소정량만큼 커버 부재(700)에 대하여 이동될 때에, 탄성변형부(761)와 맞물리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범위에서는, 탄성변형부(761)가 돌출부(120)에 의해 확장되므로, 도 29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제2맞물림부로서의 돌출부(110)는,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에 대한 후단부에 위쪽으로 돌출한다. 도 28의 파트(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가 삽입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이 되는 위치에 커버 부재(70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돌출부(110)가 탄성변형부(761)와 맞물려, 탄성변형부(761)를 탄성변형시켜서 확장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9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가 아직 서로 맞물려 있지 않다.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에 관해서, 돌출부 110과 돌출부 120과의 사이에는, 탄성변형부(761)와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탄성변형부(761)는, 돌출부 110 및 돌출부 120과 맞물리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변형하지 않고, 도 29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760)는 돌기부(810)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 록 기구(900)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도 23에 도시된 삽입 위치에 커버 부재(700)에 의해 덮인 드럼 카트리지(100)를 세트한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700)가 본체(1b)와 록 되지 않는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하기 전에, 도 28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 120은 탄성변형부(761)를 확장하여, 커버 부재(700)의 맞물림부(760)는 본체(1b)의 돌기부 810과 맞물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7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로부터 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위치로부터,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도 28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가 탄성변형부(761)로부터 풀려, 탄성변형부(761)는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이 결과, 도 29의 파트(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가 서로 맞물려, 커버 부재(700)가 본체(1b)와 록 되어, 커버 부재(700)를 제거할 수 없다.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이상만큼 삽입된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렸을 경우에는, 본체(1b)와 커버 부재(700)와의 록이 해제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렸을 경우, 돌출부(120)가 탄성변형부(761)를 확장시키고, 맞물림부(760)와 돌기부(810)가 풀려 커버 부재(700)와 본체(1b)와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에 되돌림으로써, 커버 부재(700) 및 드럼 카트리지(100)는 본체(1b)로부터 뗄 수 있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2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도 28의 파트(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10)는 탄성변형부(761)와 맞물리고, 탄성변형부(761)를 확장시킨다. 이 결과, 도 29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760)는 돌기부(810)와 풀리고, 커버 부재(700)와 본체(1b)간의 록이 해제되어, 커버 부재(700)가 꺼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0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00)를 소정의 위치까지 밀어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버 부재(700)는 본체(1b)로부터 떼어 내지고(도 30의 파트(b)), 그 후, 앞 커버(400)가 닫힘으로써, 드럼 카트리지(100)의 교환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드럼 카트리지(100)를 본체(1b)의 삽입 위치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거될 수 있다. 드럼 카트리지(100)를 삽입 위치로부터 제1의 소정량만큼 삽입하면, 본체(1b)와 커버 부재(700)가 록 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00)가 제2 소정량만큼 삽입될 때까지 커버 부재(700)는 본체(1a)로부터 록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00)의 삽입 작업시에 부주의로 커버 부재(700)가 본체(1a)로부터 풀리지 않고, 드럼 카트리지(100)는 커버 부재(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00)와 커버 부재(700)간의 록 및 록 해제를 행하는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있지만, 이러한 기구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비되어도 된다. 그 밖의 구조 및 기능은,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유닛이 드럼 카트리지(100)이었다. 그렇지만, 상기 유닛은 다른 형태의 유닛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은, 대전의 기능만을 가진 대전 유닛, 현상 기능만을 가진 현상 유닛, 클리닝 기능만을 가진 클리너 유닛, 화상 전사 기능을 가진 화상 전사 유닛, 화상 정착 기능만을 가진 화상 정착 유닛 등이어도 좋다. 상기 대전 유닛의 경우, 화상형성을 행하기 위한 화상형성부재는, 예를 들면 대전롤러(12)가 된다. 마찬가지로, 현상 유닛의 경우, 화상형성부재는, 현상 슬리브(14a)등이 된다. 클리너 유닛의 경우, 화상형성부재는, 크리닝 블레이드(15)가 된다. 전사유닛의 경우, 화상형성부재는, 중간전사벨트(61)등이 된다. 화상정착 유닛의 경우, 화상형성부재는, 가열롤러(41) 및 가압롤러(42)가 된다. 상기 유닛은, 드럼 카트리지(100)와 현상기(14)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닛을 소위 탠덤형 화상형성장치라고 하면 복수의 이러한 유닛이 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유닛 전부가 공통의 구조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에, 현상 유닛이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는, 토너 입자의 색을 제외하고 공통이고, 잘못된 색 유닛을 배치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삽입 위치에만 상기 유닛을 세트한 경우에, 상기 장치의 본체로부터 상기 유닛이 떼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30)

  1.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으로서,
    화상 담지체를 갖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유닛의 본체와 맞물려 상기 화상 담지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커버부를 록 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록 되는 록 위치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록 해제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록부; 및
    상기 본체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소정량 만큼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장착 완료 전에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제1 소정량만큼 삽입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에, 상기 록부를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화상형성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록 하도록 구성된 록 맞물림부를 구비한, 화상형성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본체는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록부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는, 화상형성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소정량에 해당한 위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의 장착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록부가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고 나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의 장착 완료 전에 상기 록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상형성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량만큼 삽입될 때까지 상기 록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상형성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탄성변형을 사용하여 상기 록부의 맞물림에 의한 록 및 록 해제가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소정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로부터 제2의 소정량에 해당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변형부가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의 장착 완료 전에 상기 탄성변형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이동되는, 화상형성 유닛.
  8.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으로서,
    화상 담지체를 갖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 가능한 본체;
    상기 유닛의 본체와 맞물려 상기 화상 담지체를 덮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커버부를 록 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록 하는 록 위치와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록 해제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록부; 및
    상기 본체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제1량 만큼 상기 본체가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가 상기 제1량 만큼 삽입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가 상기 제1량 보다 큰 제2량 만큼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록부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제1 소정량만큼 삽입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 시작 위치로 되돌아간 경우에, 상기 록부를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화상형성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커버부를 록 하기 위한 록 맞물림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본체는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록부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맞물리는 상태에서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는, 화상형성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제1량에 해당한 위치로부터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록부가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 본체가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록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상형성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삽입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제1량만큼 삽입될 때까지 상기 록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화상형성 유닛.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탄성변형을 사용하여 상기 록부의 맞물림에 의한 록 및 록 해제가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제1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변형부가 상기 록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화상형성 유닛의 상기 본체가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탄성변형부가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이동하는, 화상형성 유닛.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는,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중심이 상기 화상형성 동작에 들어가는 위치인, 화상형성 유닛.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량에 해당한 상기 위치는, 상기 화상 담지체의 양단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내에 들어가는 위치인, 화상형성 유닛.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록 하도록 구성된 상기 돌기부와 록 맞물림부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록부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부에 대해 요동 가능하며,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한 요동 동작에 의해 상기 록 위치와 상기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오목한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가 록 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가 록 해제되는, 화상형성 유닛.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동작에 의해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로부터 맞물리지 않는, 화상형성 유닛.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본체가 삽입 시작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로부터 맞물리지 않는, 화상형성 유닛.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록 해제되고,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록 되는, 화상형성 유닛.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경사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진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록 해제되는, 화상형성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경사진 가이드부는 연속해서 형성된 홈인, 화상형성 유닛.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커버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록 하도록 구성된 상기 돌기부와 록 맞물림부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록부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부에 대해 요동 가능하며,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부에 대한 요동 동작에 의해 상기 록 위치와 상기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화상형성 유닛.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서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오목한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가 록 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본체가 록 해제되는, 화상형성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상기 삽입부의 삽입 동작에 의해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로부터 맞물리지 않는, 화상형성 유닛.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본체가 삽입 시작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로부터 맞물리지 않는, 화상형성 유닛.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록 해제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록 되는, 화상형성 유닛.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상기 돌기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경사진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록 맞물림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경사진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록 해제되는, 화상형성 유닛.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맞물림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경사진 가이드부는 연속해서 형성된 홈인, 화상형성 유닛.
KR1020160004511A 2015-01-15 2016-01-14 화상형성 유닛 KR102032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5619 2015-01-15
JP2015005619A JP6407036B2 (ja) 2015-01-15 2015-01-1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245A KR20160088245A (ko) 2016-07-25
KR102032704B1 true KR102032704B1 (ko) 2019-10-16

Family

ID=5502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511A KR102032704B1 (ko) 2015-01-15 2016-01-14 화상형성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03114B2 (ko)
EP (1) EP3045980B1 (ko)
JP (1) JP6407036B2 (ko)
KR (1) KR102032704B1 (ko)
CN (1) CN1058075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0059B2 (en) 2015-01-22 2017-09-1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51940A (ko) * 2016-11-09 2018-05-17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8205519A (ja) 2017-06-02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JP2018205518A (ja) 2017-06-02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7009133B2 (ja)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7207921B2 (ja) * 2018-09-26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ユニット
CN117518763A (zh) * 2019-03-22 2024-02-06 珠海纳思达信息技术有限公司 处理盒及处理盒的安装方法
JP2022056493A (ja) * 2020-09-30 2022-04-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保護部材、保護部材付き交換部品、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661A (ja) 2006-03-06 2007-09-20 Fuji Xerox Co Ltd 保護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
JP4102650B2 (ja) 2002-11-19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075275A (ja) 2007-09-20 2009-04-09 Fuji Xerox Co Ltd 保護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0078703A (ja) 2008-09-24 2010-04-08 Fuji Xerox Co Ltd 保護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6953A (ja) * 1990-10-31 1992-06-1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5224476A (ja) *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266225A (ja) * 1993-03-12 1994-09-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63097B2 (ja) 2000-10-30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039340B1 (en) * 2002-12-13 2006-05-02 Tonerhead, Inc. Universal drum cover for xerographic device cartridges
JP4524694B2 (ja) * 2007-09-20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保護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24696B2 (ja) 2007-09-20 2010-08-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保護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055154B2 (en) * 2007-09-20 2011-11-08 Fuji Xerox Co., Ltd. Protection cover, an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93642B2 (ja) 2010-11-30 2014-0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感光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2650B2 (ja) 2002-11-19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240661A (ja) 2006-03-06 2007-09-20 Fuji Xerox Co Ltd 保護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
JP2009075275A (ja) 2007-09-20 2009-04-09 Fuji Xerox Co Ltd 保護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0078703A (ja) 2008-09-24 2010-04-08 Fuji Xerox Co Ltd 保護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9803A1 (en) 2016-07-21
JP2016130816A (ja) 2016-07-21
CN105807594A (zh) 2016-07-27
EP3045980B1 (en) 2021-02-24
JP6407036B2 (ja) 2018-10-17
KR20160088245A (ko) 2016-07-25
US10303114B2 (en) 2019-05-28
EP3045980A1 (en) 2016-07-20
CN105807594B (zh)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704B1 (ko) 화상형성 유닛
EP0843233B1 (en) Toner supply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30029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760642B2 (ja) 画像形成装置
US8203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US8923729B2 (en) Image-forming device having drawer to which cartridges are detachably attachable
JP5786375B2 (ja)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US8483599B2 (en) Powder container, powder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owder container controlling method
EP2492756A2 (en)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27999B2 (en)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eatures to prevent erroneous cartridge unit locking
US20120125944A1 (en) Powder container, powder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owder container controlling method
JP2019194629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065285B1 (ko)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4217920B1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130998B2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4553571B2 (ja) 画像形成装置
US10564595B2 (en) Cartridge unit
JP6556309B2 (ja) カートリッジ
JP5428756B2 (ja) 画像形成装置
JP6648934B2 (ja)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
JP5381553B2 (ja)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057688B1 (ko) 수용 용기, 수용 용기 장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9581838B (zh) 显影装置和成像装置
JP452469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06997A (ja) 画像形成装置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