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557B1 -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1557B1 KR101031557B1 KR1020090031662A KR20090031662A KR101031557B1 KR 101031557 B1 KR101031557 B1 KR 101031557B1 KR 1020090031662 A KR1020090031662 A KR 1020090031662A KR 20090031662 A KR20090031662 A KR 20090031662A KR 101031557 B1 KR101031557 B1 KR 101031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oning
- protrusion
- container
- projection
- lid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 부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켜, 덮개 부재의 빠짐 방지, 회전 방지를 보다 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일부에 개구(2)가 개설(開設)된 통 형상부(1a)를 갖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에 대하여 회전 자재(自在)로 압입(押入)되는 덮개 부재(3)와,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에 덮개 부재(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피(被)위치 결정 돌출부(4)와, 피위치 결정 돌출부(4)에 접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 돌출부(4)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출부(5)를 구비하고, 피위치 결정 돌출부(4)가, 덮개 부재(3)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11)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11)에 대하여 덮개 부재(3)의 압인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를 갖고, 위치 결정 돌출부(5)가, 피위치 결정 돌출부(4)의 안내용 돌출 가지(11) 및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에 접하여 막히는 막음벽(14)을 갖는다.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덮개 부재, 용기 본체, 돌출부, 돌기, 회전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는, 용기 본체의 토너 충전구에 덮개 본체를 끼워 넣는 구조로, 토너 충전구의 원통형 개구부의 내측면 선단측이 최대 내경(內徑)이 되도록 원통형 외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덮개 본체와 원통형 내측면의 접촉 부분을 선(線)접촉으로 하여, 토너의 밀봉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10390호 공보(발명의 실시예, 도 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 부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켜, 덮개 부재의 빠짐 방지, 회전 방지를 보다 강화 가능하게 한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의 용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되고 또한 작상(作像)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 일부에 개구가 개설(開設)된 통 형상부를 갖고 또한 작상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가 착탈 자재(自在)로 감입(嵌入)되는 피감입부를 갖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상기 통 형상부에 대하여 회전 자재로 압입(押入)되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의 피감입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의 위치 결정 위치에 덮개 부재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피위치 결정 돌출부에 접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 돌출부를 위치 결정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위치 결정 돌출부가, 덮개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에 대하여 덮개 부재의 압인(押引)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는 다른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 결정 돌출부가,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안내용 돌출 가지 및 회전 방지용 돌기에 접하여 막는 막음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삭제
삭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수용 용기에 있어서, 피위치 결정 돌출부가 안내용 돌출 가지에 대하여 회전 방지용 돌기와는 별도로 회전 방지용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 결정 돌출부에 부딪치는 충돌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수용 용기에 있어서, 피위치 결정 돌출부 및 위치 결정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용기 본체의 위치 결정 돌출부에 덮개 부재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가 접촉을 개시하는 부위에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가 위치 결정 돌출부의 막음벽을 타고 넘는 방향을 향하여 안내 가능하게 경사지는 안내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위치 결정 돌출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압인 방향에서 덮개 부재의 피위치 결정 돌 출부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를 갖고,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기 덮개 부재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은 덮개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되고 또한 작상 재료가 수용되는 청구항 1에 따른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 부재를 분리함에 있어 회전시키려고 하면, 덮개 부재의 회전 방지 개소를 복수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덮개 부재의 회전 방지 개소의 위치 관계에 의해 용기 본체에 대하여 덮개 부재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어, 용기 본체와 덮개 부재 사이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 부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켜, 덮개 부재의 빠짐 방지, 회전 방지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 1개소당 회전 방지 하중, 빠짐 방지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복수 개소에서 덮개 부재의 피감입부의 둘레벽을 넓히는 방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회전 방지, 빠짐 방지 성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에 양 방향의 회전 방지용 돌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위치 결정 돌출부에 의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위치 결정 동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 돌출부에 대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덮개 부재를 부착함에 있어, 위치 결정 기구(피위치 결정 돌출부, 위치 결정 돌출부)의 존재에 따른 덮개 부재의 회전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덮개 부재를 부착함에 있어, 위치 결정 돌출부에 대하여 피위치 결정 돌출부를 쉽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 부재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조작력을 증가시켜, 덮개 부재의 빠짐 방지, 회전 방지 성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용 용기의 실시예의 개요를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을 위한 재료인 작상(作像)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를 넓게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작상 재료로서 전자 사진 방식 에서 이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의 용기 수용부에 착탈되고,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작용한다.
도 1에서, 현상제 수용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의 용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되고 또한 현상제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일부에 개구(2)가 개설(開設)된 통 형상부(1a)를 갖고 또한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가 착탈 자재(自在)로 감입(嵌入)되는 피감입부(3a)를 갖고 또한 미리 결정된 부착 위치까지 상기 통 형상부(1a)에 대하여 회전 자재로 압입(押入)되는 덮개 부재(3)와, 용기 본체(1)에 덮개 부재(3)를 부착할 때에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의 미리 결정된 위치 결정 위치에 덮개 부재(3)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는, 도 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3)의 피감입부(3a)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의 미리 결정된 위치 결정 위치에 덮개 부재(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위치 결정 돌출부(4)와,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4)에 접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 돌출부(4)를 미리 결정된 위치 결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출부(5)를 구비하고, 피위치 결정 돌출부(4)가, 덮개 부재(1)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11)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11)에 대하여 덮개 부재(3)의 압인(押引)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를 갖고, 위치 결정 돌출부(5)가, 피위치 결정 돌출부(4)의 안내용 돌출 가지(11) 및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에 접하여 막히는 막음벽(14)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a) 중, 부호 7은 용기 본체(1)의 일부에 설치되고 또한 현상제 수용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에 장착되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측에 용기 본체(1) 내의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폐 기구, 8은 용기 본체(1) 내의 현상제를 교반 반송하는 반송 부재, 9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3)에 부착되고 또한 외부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반송 부재(8)에 전달하는 회전 연결 부재이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에서,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로서는, 용기 본체(1)가 통 형상인 형태는 물론, 통 형상이 아닌 용기 본체(1)의 일부에 통 형상부(1a)를 갖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덮개 부재(3)는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가 감입되는 피감입부(3a)를 갖고, 피감입부(3a)에 대하여 '회전 자재로 압입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피위치 결정 돌출부(4), 위치 결정 돌출부(5))는, 용기 본체(1)의 통 형상부(1a)에 덮개 부재(3)를 조립했을 때 덮개 부재(3)를 위치 결정하고, 용기 본체(1)에 대하여 덮개 부재(3)를 회전 방지, 빠짐 방지하는 것이면 적절히 선정해도 지장없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피위치 결정 돌출부, 위치 결정 돌출부)는 1개소이어도 되지만,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성능(회전 방지, 빠짐 방지 성능)을 안정시킨다는 관점에서 보면, 복수 개소에 설치하는 형태, 즉,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예를 들면, 4a, 4b)와, 이들 피위치 결정 돌출부(4)에 대응하여 복수의 위치 결정 돌출부(5)(예를 들면, 5a, 5b)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방지용 돌기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그 만큼, 덮개 부재(3)에 대한 회전 방지 저지력이 증가한다.
또한, 덮개 부재(3)의 압인 방향을 따라 복수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1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3)가 용기 본체(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1)로부터 덮개 부재(3)를 분리함에 있어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회전 방향 A를 향해 회전시키려고 하면, 한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5a)의 막음벽(14)으로 한쪽의 회전 방지용 돌기(12)가 직접적으로 막히고, 덮개 부재(3)를 회전 방향 A로 더 회전시키려고 하면, 덮개 부재(3)는 상기 회전 방지 개소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용기 본체(1)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덮개 부재(3)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5b)의 막음벽(14)으로 다른쪽의 회전 방지용 돌기(13)가 막힌다.
또한, 용기 본체(1)에 대하여 덮개 부재(3)를 도 1의 (b)에 나타낸 회전 방향 B를 향해 회전시키려고 하면, 상기 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5b)의 막음벽(14)으로 상기 다른쪽의 회전 방지용 돌기(13)가 직접적으로 막히고, 덮개 부재(3)가 상기 회전 방지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5a)의 막음벽(14)으로 상기 한쪽의 회전 방 지용 돌기(12)가 막힌다.
이 때문에, 위치 결정 돌출부(5)(5a, 5b)와 피위치 결정 돌출부(4)(4a, 4b) 사이의 접촉에 따른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고, 용기 본체(1)에 대하여 덮개 부재(3)가 빠지기 어렵고, 또한, 회전하기 어려운 구조로 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 기구를 복수 개소에 설치한 형태의 대표적 형태로서는,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4a, 4b)가 모두 안내용 돌출 가지(11) 및 회전 방지용 돌기(12 또는 13)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예를 들면, 4a)의 회전 방지용 돌기(12)가 다른 피위치 결정 돌출부(4)(예를 들면, 4b)의 회전 방지용 돌기(13)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용기 본체(1)에 대하여 덮개 부재(3)를 위치 결정 돌출부(5)에 대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4)의 쓰러짐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안내용 돌출 가지(11)에 대해 회전 방지용 돌기(12 또는 13) 와는 별도로 회전 방지용 돌기(12 또는 13)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 결정 돌출부(5)에 부딪치는 충돌용 돌기(도시 생략)를 갖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에 덮개 부재(3)를 부착할 때의 덮개 부재(3)의 회전 조작력을 경감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피위치 결정 돌출부(4) 및 위치 결정 돌출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덮개 부재(3)의 회전에 따라 용기 본체(1)의 위치 결정 돌출부(5)에 덮개 부재(3)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가 접촉을 개시하는 부위에 피위치 결정 돌출부(4)의 회전 방지용 돌기(12 또는 13)가 위치 결정 돌출부(5)의 막음벽(14)을 타고 넘는 방향을 향해 안내 가능하게 경사지는 안내 경사부(도시 생략) 를 갖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 결정 돌출부(5)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위치 결정 돌출부(5)에 대하여 피위치 결정 돌출부(4)를 위치 결정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용기 본체(1)의 위치 결정 돌출부(5)는 상기 덮개 부재(3)의 압인 방향에서 덮개 부재(3)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를 갖고,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기 덮개 부재(3)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은 덮개 부재(3)를 회전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이하, 장치 케이싱이라 함)(21) 내에 4개 색(본 실시예에서는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화상 형성부(22)(구체적으로는 22a 내지 22d)를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약간 경사진 위치 관계로 횡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위쪽에 각 화상 형성부(2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순환 반송되는 중간 전사 벨트(23)를 배설(配設)하는 한편, 장치 케이싱(21)의 아래쪽에는 기록재가 공급 가능하게 수용되는 기록재 공급 장치(24)를 배설하는 동시 에, 장치 케이싱(21)의 상부에는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가 배출 수용되는 기록재 배출 수용부(26)를 설치하고, 상기 기록재 공급 장치(24)로부터의 기록재를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25)를 통하여 상기 기록재 배출 수용부(26)에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화상 형성부(22)(22a 내지 22d)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23)의 순환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예를 들면, 블랙용, 옐로우용, 마젠타용, 시안용(배열은 반드시 이 순서로는 한정되지 않음)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며, 예를 들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 감광체(31)와, 이 감광체(31)를 미리 대전하는 대전기(32)와, 이 대전기(32)에서 대전된 감광체(31)에 정전 잠상을 기입하는 노광기(33)와, 감광체(31) 상의 정전 잠상을 각 색 토너로 가시상화하는 현상기(34)와, 감광체(31) 상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기(3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노광기(33)는, 각 화상 형성부(22)에 대하여 공통되는 것이며, 노광 용기(33) 내에 각 색성분의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편향 미러(332)로 편향 주사하고, 결상 렌즈, 미러(도시 생략)를 통해 대응하는 감광체(31) 상의 노광 위치에 광 화상을 인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는 스트레칭 롤(stretching roll)(41 내지 44)에 걸쳐져 있고, 예를 들면 스트레칭 롤(41)을 구동 롤로 하여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감광체(31)에 대응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이면(裏面)에는 1차 전사기(51)(예를 들면 1차 전사 롤)가 배설되고, 이 1차 전사기(51)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31) 상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23)측에 정전(靜電)적으로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이동 방향 최하류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부(22d)의 하류측의 스트레칭 롤(42)에 대응한 부위에는 2차 전사기(52)(예를 들면 2차 전사 롤)가 배설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23) 상의 1차 전사 화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일괄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3)의 2차 전사 부위의 하류측의 스트레칭 롤(41)에 대응한 부위에는 중간 전사 벨트(23) 상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중간 청소기(5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 전사 벨트(23)는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또는 각종 고무에 카본 블랙(carbon black) 등의 대전 방지제를 적당량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며, 그 체적 저항율이 106Ω·㎝ 내지 1014Ω·㎝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공급 장치(24)의 피더(feeder)(61)에 의해 송출된 기록재는, 기록재 반송로(25) 내의 적절한 개수의 반송 롤(도시 생략)에 의해 반송되어, 위치 정합 롤(62)에 의해 위치 정합된 후에 2차 전사기(52)의 2차 전사 부위를 통과하고, 정착기(66)에 의해 미정착 토너 화상을 예를 들면 가열 가압 정착한 후, 배출 롤(67)을 통해 기록재 배출 수용부(26)에 배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 부호 38(38a 내지 38d)은 각 화상 형성부(22)(22a 내지 22d)의 현상기(34)에 새로운 현상제(본 실시예에서는 토너)를 보급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토너 카트리지)이다.
-화상 형성부-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기(32) 및 청소기(35)와 일체화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케이싱(21)에 대하여 착탈 자재로 장착되고, 각각의 색성분의 화상 형성부(22)의 일부를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대전기(32)는 감광체(31)에 대향한 부위가 개구(開口)된 대전 용기(321)를 갖고, 이 대전 용기(321) 내에 감광체(31)의 표면에 접촉 혹은 근접하는 대전 롤(322)을 배설한 것이다.
또한, 청소기(35)는 감광체(31)에 대향하는 부위가 개구된 청소 용기(351)를 갖고, 이 청소 용기(351)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개구의 한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감광체(31)에 접촉하는 탄성 스크래핑 판(elastic scraping plate)으로 이루어진 청소 블레이드(35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청소 용기(351)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개구의 다른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감광체(31)에 접촉하는 탄성 실(seal)재(353)를 설치하고, 상기 청소 용기(351) 내에는 청소 블레이드(352)로 긁어 담은 토너 등의 잔류물을 길이 방향에 따라 고르게 하는 레벨링 반송 부재(354)를 배설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기(34)는, 장치 케이싱(21)측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와는 별도로 장착되어 있고, 감광체(31)에 대향하여 개구되고 또한 적어도 토너 가 포함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341)를 갖고, 이 현상 용기(341)의 개구 부위에는 감광체(31)와의 대향 부위에 위치하는 현상 영역을 향해 현상제가 반송 가능한 현상제 유지체(342)를 배설하는 동시에, 이 현상 용기(341)의 현상제 유지체(342)의 배면측에는 현상제가 순환하면서 교반 반송 가능한 한 쌍의 현상제 교반 반송 부재(343, 344)를 배설하고, 현상제 유지체(342)와 이 현상제 유지체(342)측에 위치하는 현상제 교반 반송 부재(343) 사이에는 교반 반송된 현상제가 현상제 유지체(342)측에 공급 가능한 현상제 공급 부재(345)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유지체(342)에 공급된 현상제를 층 두께 규제 부재(346)에 의해 소정 층 두께로 규제한 후에 현상 영역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현상제 보급계-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보급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서, 현상제 보급계는, 장치 케이싱(21)의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 수용 용기(38)가 착탈 자재로 장착되는 용기 수용부(100)를 갖고, 이 용기 수용부(100)의 하부에는 보급용의 현상제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리저브 탱크(reserve tank)(110)를 배설하고, 상기 용기 수용부(100)에는 현상제 수용 용기(38)를 장착했을 때에 현상제 수용 용기(38) 내의 현상제가 배출 가능한 배출구(도시 생략)를 개설하는 동시에, 리저브 탱크(110) 내에는 저장되어 있는 현상제가 정량 공급 가능한 정량 교반 반송 부재(120)를 배설하고, 현상 농도가 저하하는 등의 농도 정보에 의거하여, 리저브 탱크(110)의 일부에 연결된 덕트(130)를 통해 현상기(34)의 현상 용기(341) 내에 소정량의 현상제를 보급하는 것이다.
-현상제 수용 용기-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 용기(38)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ABS, PET 등의 합성 수지로 연신(延伸) 블로(blow) 성형되는 양단이 개구된 긴 통 형상 용기 본체(200)를 갖고, 이 용기 본체(200) 내에는 수용 현상제가 교반 가능한 반송 부재로서의 교반기(205)를 배설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200)의 양단에는 덮개 부재로서의 단부 플랜지(201, 202)를 장착한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통 형상 용기 본체(200)의 단부 플랜지(202)에 의해 막히는 개구(204)가 현상제를 충전 가능한 현상제 충전구로서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단부 플랜지(201)에는 파지(把持)용의 핸들(2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단부 플랜지(202)에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가 착탈 자재로 감입되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피감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감입부(210)는, 교반기(205)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저벽(213)과, 교반기(205)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벽(214)을 갖는 것이며,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는 외부 구동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로터(rotor)(211)가 설치되고, 이 로터(211)의 내면 중앙에 상기 교반기(205)의 회전축부(205a)가 인괘(引掛) 지지되는 커플링 부재로서의 인괘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 중, 216은 용기 본체(200)의 적절한 부위에 부착되는 사용 이력 관리 메모리로서의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용기 수용부(100)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어 장치(도시 생략)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현상제 수용 용기(38)의 사용 이력이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밀봉 부재-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플랜지(202)와 용기 본체(200) 사이에는 양자간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실 부재)(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300)는, 단부 플랜지(202)가 용기 본체(200)에 부착되는 조립 상태의 전(前)단계에서,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단부 플랜지(202)는, 상기 조립 상태의 전단계에서 밀봉 부재(300)를 유지한다는 조립전 상태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30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도 10의 (a), (b), 도 11의 (a), (b)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감입부(210) 내에 수용되고 또한 교반기(205)의 회전축(본 예에서는 교반기(205)의 회전축부(205a)를 지지하는 커플링 부재로서의 인괘부(212))이 관통하는 고리 형상 본체부(301)를 갖고, 이 고리 형상 본체부(301)의 내측 가장자리 및 외측 가장자리에는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접하는 밀봉용 충돌편(片)(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303)을 형성하는 동시에, 고리 형상 본체부(30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접하는 밀봉용 충돌편(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전 상태에 있는 조건으로 단부 플랜지(202) 의 피감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어 있는 상황을 상정하였을 경우에, 도 1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의 베이스부를 기점으로 한 밀봉용 충돌편(302, 303)의 단부 플랜지(202)의 압인 방향 치수를 a1, a2라고 하면, a1>a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와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 사이에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대하여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 위치까지 부착했을 때에 양자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4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기구(400)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미리 결정된 위치 결정 위치에 단부 플랜지(20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와,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외주벽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에 접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를 미리 결정된 위치 결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출부(420)(도 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나 위치 결정 돌출부(420)는 각각 단부 플랜지(202), 용기 본체(200)와 일체로 성형해도 되고, 혹은, 별체(別體)의 것을 고착하도록 해도 된다.
<피위치 결정 돌출부>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는, 도 8,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복수(본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410)는, 도 8,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단부 플랜지(20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일단측으로부터 단부 플랜지(202)의 압인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4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는, 단부 플랜지(202)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 반 정도가 대략 동일한 폭 치수로 연장되고, 반대측 반 정도의 피감입부(210)의 저벽(213) 측면이 조립시 회전 방향의 반대측을 향해 점차로 볼록하게 돌출한 안내면(4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방지용 돌기(412)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 중 용기 본체(200)에 단부 플랜지(202)를 조립할 때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 단부에 설치되고, 안내용 돌출 가지(411)로부터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방지용 돌기(412) 중 단부 플랜지(202)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 단부는 선단측을 향해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410)는, 도 8,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일단측으로부터 단부 플랜지(202)의 압인 방향을 향하고 또한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회전 방지용 돌기(412)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4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는, 단부 플랜지(202)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 반 정도가 대략 동일한 폭 치수로 연장되고, 반대측 반 정도의 피감입부(210)의 저벽(213) 측면이 조립시 회전 방향의 반대측을 향해 점차로 볼록하게 돌출한 안내면(4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 방지용 돌기(413)는 안내용 돌출 가지(411) 중 용기 본체(200)에 단부 플랜지(202)를 조립할 때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 단부에 설치되고, 안내용 돌출 가지(411)로부터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는, 상기 안내용 돌출 가지(411) 중 회전 방지용 돌기(413)와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단부 플랜지(202)의 압인 방향을 향하고 또한 상기 회전 방지용 돌기(413)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충돌용 돌기(414)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돌출부>
한편, 위치 결정 돌출부(420)는, 도 9,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410a, 410b)에 대응하여 복수(본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420)는, 도 9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를 갖고, 이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에는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 부(410a)(410)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 및 회전 방지용 돌기(412)에 접하여 막히는 막음벽(422)을 구비하고,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안내면(415)을 따른 안내면(423)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420)는, 도 9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통 형상부(200a)의 주위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 형성 고리 형상부(425)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 구획벽(426)을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개방구측에는 일부 개구를 남겨서 분리한 상태의 분리 구획벽(427)을 설치하고, 단차 형성 고리 형상부(425), 위치 결정 구획벽(426) 및 분리 구획벽(427)으로 둘러싸이는 구획 영역(428)을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수용 영역이라고 하고, 구획 영역(428)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 회전 방지용 돌기(413), 충돌용 돌기(414)가 접하여 막히는 막음벽(422)으로서 기능시킨 것이다. 또한,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내측면에는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안내면(415)에 따른 안내면(42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분리 구획벽(427)의 구획 영역(428)의 외측에는 바깥 쪽을 향해 끝이 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 경사부(4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구획 영역(428)은, 단부 플랜지(202)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는 구획 영역 폭(m)보다도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획 영역 폭(j)을 넓게 확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 위치 결정 돌출부(420)의 레이아웃에 대 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피위치 결정면과 피감입부(210)의 저벽(213) 사이의 치수를 b, 또한,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선단으로부터 위치 결정 돌출부(420)의 상기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피위치 결정면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면까지의 치수를 c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420)는 구획 영역(428)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분리 구획벽(427)을 제외하거나, 혹은, 위치 결정 구획벽(426)과 단차 형성 고리 형상부(425)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등 적절히 선정해도 지장이 없다.
-실시예에서의 밀봉 부재의 부착 상태-
[1] 조립전 상태
도 12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전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고 있고, 이 때,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의 치수 관계 a1, a2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되지만, 밀봉 부재(300)의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비접촉 배치된다. 또한, 밀봉 부재(300)의 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접촉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전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밀봉 부재(300) 의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이 피감입부(210)의 저벽(213)과 비접촉이기 때문에, 조립전 상태로 장기간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었다고 하여도,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이 탄성 변형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이 탄성 변형된 채의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보관되었을 경우에 비해,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형상 열화는 보여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전 상태의 밀봉 부재(300)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에 유지되어 있지만, 이 때, 위치 결정 기구(400)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가 밀봉 부재(300)의 빠짐 방지용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2] 조립 상태
다음에,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를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의 치수 관계 a1, a2(도 11 참조),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 위치 결정 돌출부(420)의 치수 b, c(도 8, 도 9 참조)에 대해서, a1>b- c, a2>b-c, 단, a1>a2의 관계를 만족한다.
이 때, 'b-c'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피감입부(210)에 유지된 밀봉 부재(300)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의해 'b-c'까지 내리눌려진다. 이 때문에, 조립전 상태에서, 치수 a1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치수 a2의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은 'b-c'까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밀봉 부재(300)의 밀봉용 충돌편(302 내지 304)은 모두 피감입부(210)의 저벽(213) 및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용 충돌편(302 내지 304)과 피감입부(210)의 벽면 사이에는 탄성적인 접촉에 의한 3중의 밀봉 부위가 얻어지는 동시에, 밀봉용 충돌편(302 내지 304)의 탄성적인 접촉에 따르는 슬라이딩 저항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잘못해서 회전 조작하였다고 하여도, 밀봉용 충돌편(302 내지 304)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부 플랜지(202)가 잘못해서 회전하는 일은 없고, 단부 플랜지(202)가 오개방될 염려는 없다.
-비교예에서의 밀봉 부재의 부착 상태-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밀봉 부재(300) 대신에 비교예로서의 밀봉 부재(300')를 이용하여, 조립전 상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 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비교예에서, 밀봉 부재(300')는, 도 1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에 수용되는 고리 형상 본체부(301')를 갖고, 이 내측 가장자리에는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외측 가장자리에는 피감입부(210)의 속까지 압입하기 위한 돌출편(리브)(303')을 설치하고, 고리 형상 본체부(30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을 더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돌출편(303')의 치수 관계를 a1, a2(단, 돌출편(303')은 실시예 1의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과 기능적으로 다르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관계에 대해서는 외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3)에 대응시키도록 하였음.)로 하고,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 위치 결정 돌출부(420)의 치수 관계를 b, c(도 8, 도 9 참조)라고 한 바, a1>b-c, a2≤b-c, 단, a1>a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였다.
[1] 조립전 상태
도 1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플랜지(202)가 조립전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에 밀봉 부재(300')가 유지되고 있고, 이 때,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 및 돌출 편(303')의 치수 관계 a1, a2가 a1>a2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300')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되지만, 돌출편(303')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비접촉 배치된다. 또한, 밀봉 부재(300')의 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접촉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비교예에서는,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는 대략 실시예와 동일하다.
[2] 조립 상태
다음에,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를 부착하는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300')의 부착 상태를 도 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의 밀봉 부재(300')의 각 치수 관계(a1, a2, b, c)는 상술한 관계이며, 'b-c'는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으로부터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피감입부(210)에 유지된 밀봉 부재(300')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의해 'b-c'까지 내리눌려진다. 이 때문에, 조립전 상태에서, 치수 a1의 내측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2')은 'b-c'까지 탄성 변형된 상태로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접촉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밀봉 부재(300')의 돌출편(303')에 대해서는 a2≤b-c의 관계를 만족하므로, 돌출편(303')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대하여 비접촉 배치되거 나, 혹은, 접촉할 정도로 접근하지만, 탄성적으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돌출편(303')은 피감입부(210)의 저벽(213)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하는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고, 이 돌출편(303') 부분에서는 밀봉 부위가 얻어지지 않으며, 게다가 돌출편(303')과 피감입부(210)의 저벽(213) 사이에서는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은 얻을 수 없다.
또한, 둘레 가장자리 밀봉용 충돌편(304')은 피감입부(210)의 둘레벽(214)에 탄성적으로 접촉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비교예에서는, 돌출편(303')이 실시예 1과 같은 밀봉용 충돌편(303)으로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잘못해서 회전 조작하였을 경우에는, 밀봉용 충돌편(302', 304')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은 작용하지만, 돌출편(303')에 의한 슬라이딩 저항이 얻어지지 않는 만큼, 실시예 1에 비해, 단부 플랜지(202)가 잘못해서 회전하여, 단부 플랜지(202)가 오개방될 우려가 있다.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
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200)에 대하여 단부 플랜지(202)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도 2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의 피감입부(210)를 압입한 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면 되고, 단부 플랜지(202)를 소정량 회전시키면,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400)에 의해 단부 플랜지(202)가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회전 방지, 빠짐 방지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고, 단부 플랜지(202)는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대하여 조립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위치 결정 요소(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 +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는, 도 2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 이행하고,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에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를 위치 결정한다.
한편, 제 2 위치 결정 요소(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 +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는, 도 2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4에 나타낸 상태로 이행하고,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에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를 위치 결정한다.
-제 1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도 25, 도 26)-
제 1 위치 결정 요소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도 16 참조)는,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10b)(도 18 참조)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있다.
이 때, 도 25 및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는,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의 막음벽(422)에 접하여 막히고, 또한,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회전 방지용 돌기(412)는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의 단부에 접하여 막혀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화살표로 나타낸 회전 방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도 25 및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회전 방지용 돌기(412)가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의 단부 막음벽(422)으로 막히고, 또한,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안내면(415)이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의 막음벽(422)에 형성된 안내면(423)으로 막힌다.
이 때, 도 26의 (b)에 나타낸 비교예(410a')(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로부터 회전 방지용 돌기(412)를 제거한 형태)에 비해, 회전 방지용 돌기(412)에 의해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서, 회전 방지용 돌기(412)와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 단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하면, 그 만큼,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이 증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 중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안내면(415)에서도,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을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단부 플랜지(202)의 회전 방지 저지력이 더욱 증가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 2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도 27, 도 28)-
제 2 위치 결정 요소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도 17 참조)는,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도 19 참조)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있다.
이 때, 도 27 및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는,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구획 영역(428)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는,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막음벽(422)으로 하여 막히고, 또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회전 방지용 돌기(413)는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충돌 부분의 막음벽(422)에 접하여 막혀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화살표로 나타낸 회전 방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도 27 및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회전 방지용 돌기(413)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충돌 막음벽(422)으로 막히고, 또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안내면(415)이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막음벽(422)에 형성된 안내면(423)으로 막힌다.
이 때, 도 28의 (b)에 나타낸 비교예(410b')(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로부터 회전 방지용 돌기(413)를 제거한 형태)에 비해, 회전 방지용 돌기(413)에 의해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서, 회전 방지용 돌기(413)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위치 결정 구획벽(426)의 막음벽(422)과의 접촉 면적은, 비교예에 비해 넓게 확보되므로,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이 비교예보다도 증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 중 안내용 돌출 가지(411)의 안내면(415)에서도, 단부 플랜지(202)를 회전할 때의 회전 방지 저지력 을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단부 플랜지(202)의 내(耐)회전 토크는 분산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는, 회전 방지용 돌기(413)와는 별도로 단차 형성 고리 형상부(425)에 접하는 충돌용 돌기(4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구획 영역(428) 내에서 쓰러져 이동하는 일은 없고, 그 만큼, 단부 플랜지(202)의 장착 상태가 손상될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구획 영역(428)은, 단부 플랜지(202)의 조립시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는 구획 영역 폭(m)보다도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획 영역 폭(j)을 넓게 확보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가 상기 구획 영역(428)에 들어가기 쉽고, 또한, 구획 영역(428)의 좁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위치 결정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 1, 제 2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와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는, 회전 방지용 돌기(412, 413)가 단부 플랜지(202)의 압인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단부 플랜지(202)가 용기 본체(20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200)로부터 단부 플랜지(202)를 분리함에 있어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예를 들면 한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420)(예를 들면, 420a)의 막음벽(422)으로 한쪽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예를 들면, 410a)의 회전 방지용 돌기(412)가 직접적으로 막히고, 또한, 단부 플랜 지(202)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단부 플랜지(202)는 상기 회전 방지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200)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단부 플랜지(202)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420)(예를 들면, 420b)의 막음벽(422)으로 다른쪽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예를 들면, 410b)의 회전 방지용 돌기(413)가 막힌다.
또한, 용기 본체(200)에 대하여 단부 플랜지(202)를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상기 다른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420)(420b)의 막음벽(422)으로 상기 다른쪽의 회전 방지용 돌기(413)가 직접적으로 막히고, 단부 플랜지(202)가 상기 회전 방지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200)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위치 결정 돌출부(420)(420a)의 막음벽(422)으로 상기 한쪽의 회전 방지용 돌기(412)가 막힌다.
이 때문에, 위치 결정 돌출부(420)(420a, 420b)와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410a, 410b) 사이의 접촉에 따르는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여, 용기 본체(200)에 대하여 단부 플랜지(202)가 빠지기 어렵고, 또한, 회전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단부 플랜지(202)의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a)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가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420a)의 위치 결정 돌출 가지(421)로 막히고, 또한,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410b)의 안내용 돌출 가지(411)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420b)의 위치 결정 구획벽(426)으로 막혀서, 단부 플랜지(202)의 빼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셔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 플랜지(202)의 근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00)의 둘레벽에는 배출용 개구(220)가 개설되어 있고, 이 배출용 개구(220)에는 당해 개구(220)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로서의 셔터(2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230)는, 도 29 및 도 3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용 개구(220)를 막는 개폐 덮개(240)와, 이 개폐 덮개(240)를 개폐 조작 방향을 따라 이동 자재로 유지하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덮개>
여기서, 개폐 덮개(240)는, 도 3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용 개구(220)보다도 적어도 큰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덮개 본체(241)를 갖고, 이 덮개 본체(241)의 개폐 조작 방향의 일방향을 제외한 다른 3변에 대응하여 측벽부(242)를 형성하고,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242)에는 안쪽에 돌출되어 덮개 유지 프레임(250)을 끌어안고 유지하는 유지 암(243)을 적절한 개수(본 예에서는 개폐 조작 방향에 이간하여 2개씩)로 형성하고, 또한, 덮개 본체(241)의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측벽부(242)의 개방 단에는 스토퍼부로서의 인괘조(引掛爪)(244)를 형성하고, 또한, 덮개 본체(241)의 덮개 유지 프레임(250) 측면에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실재(245)를 예를 들면 접착한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유지 암(243)에 대응하는 덮개 본체(241) 부분에 구멍부(2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 덮개(240)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양측 가 장자리를 2개의 유지 암(243)과 이 유지 암(243) 사이에 위치하는 덮개 본체(241)로 3점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덮개 유지 프레임>
본 실시예에서, 덮개 유지 프레임(250)은, 도 3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프레임 본체(251)를 갖고, 이 프레임 본체(251)의 배출용 개구(220)에 대응한 부위에 관통 홀(252)을 개설하고, 또한, 프레임 본체(251)의 개폐 덮개(240)가 폐쇄하는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의 한쪽의 모서리부에는 절결(切欠) 형상의 막음부(25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본체(251)의 단부 가장자리의 반대측의 모서리부에는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 규제 돌기(254)를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간의 치수는, 상기 개폐 덮개(240)의 폭 방향 양쪽 측벽부(242) 사이의 치수보다 약간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규제 돌기(254)의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돌출 치수 k는 상기 막음부(253)의 폭 방향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개폐 덮개(240)의 폭 방향의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측면 가장자리의 기준 위치에 접했을 경우에는, 개폐 덮개(240)가 폭 방향으로 상기 위치 규제 돌기(254)의 돌출 치수 k만큼만 이동하므로, 개폐 덮개(240)의 인괘조(244)가 막음부(253)와 비접촉으로 되어 구속이 해제되는 위치 관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9 중, 부호 260은 개폐 덮개(240)와 덮개 유지 프레임(250) 사이에 설치되어 양자간을 밀폐하는 예를 들면 탄성 고무제의 실(seal)판이며, 예를 들면 프레임 본체(251) 위에 미리 고착되어 있다.
여기서, 셔터(230)(개폐 덮개(240), 덮개 유지 프레임(250))가 개폐 동작하기 위한 치수 관계에 대해서 정리하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1에서, w1 내지 w6 및 f, h, k는 이하의 치수를 나타낸다.
w1 :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 선단까지의 최대 폭 치수
w2 :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 선단으로부터 막음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3 :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를 제외한 양측부간의 폭 치수
w4 : 덮개 유지 프레임의 위치 규제 돌기를 제외한 일측부로부터 막음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5 : 개폐 덮개의 폭 방향 일측벽 내면으로부터 스토퍼부에 이르기까지의 폭 치수
w6 : 개폐 덮개의 스토퍼부를 제외하는 폭 방향 양측벽간의 최대 폭 치수
f : 막음부의 막음 길이
h : 스토퍼부(인괘조)의 인괘 길이
k : 위치 규제 돌기의 돌출 치수
도 31에서, 우선, 개폐 덮개(240)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에 끼워지는 조건 에 대해서 검토해 보건대, w2>w5, w3>w5로 하면 끼워지지 않으므로, w5-w2>0, w5-w3>0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w1<w5로 하면 위치 규제 돌기(254) 선단 위치를 따라 개폐 덮개(240)가 이동하여도, 스토퍼부로서의 인괘조(244)와 막음부(253)가 개폐 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되고, 이동 구속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w1-w5>0인 것이 필요하다.
이제, 막음부(253)의 막음 길이 f(w1-w2)에 대해서 검토해 보건대, f는 w5-w2의 간극보다도 큰 것, 즉, f-(w5-w2)>0 또는 f>w5-w2인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위치 규제 돌기(254)의 돌출 치수 k(w1-w3)에 대해서 검토해 보건대, k는 w5-w3의 간극보다도 큰 것, 즉, k-(w5-w3)>0 또는 k>w5-w3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토퍼부로서의 인괘조(244)의 인괘 길이 h(w6-w5)가 짧을 경우에는, w1>w6으로 되어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w6-w1>0으로 될 필요가 있다.
이 때, h에 대해서는, w6-w1의 간극보다도 큰 것, 즉, h-(w6-w1)>0 또는 h>w6-w1인 것이 필요하다.
-셔터 동작 과정-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230)는,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 과정을 거친다.
(1) 셔터 폐쇄
이것은 개폐 덮개(240)가 배출용 개구(220)를 완전히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도 3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에 위치하는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개폐 조작 방향의 일단부에 접하고 있고, 개폐 덮개(240)의 폭방향의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위치 규제 돌기(254)의 선단에 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2) 셔터 잠금
도 32의 (a)의 상태로부터 개폐 덮개(240)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 덮개(240)는, 위치 규제 돌기(254)에 의해 위치 규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개폐 덮개(240)의 인괘조(244)가 막음부(253)에 접한다(도 32의 (b) 참조).
이 때, 개폐 덮개(240)는 개방 개시 직전 위치에서 이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셔터(23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하여 잠겨져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현상제 수용 용기(38)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낙하하거나, 혹은, 수송시에서, 상자형 골판지의 양옆에 발포 스티롤 등의 완충재를 넣었다고 하여도, 셔터(230)가 잘못해서 개방하게 될 염려는 거의 없다.
(3) 셔터 잠금 해제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잠금의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240)의 폭 방향 측벽부(242)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위치 규제 돌기(254)를 지나쳐 간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덮개(240)는 개폐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교차 방향)에 대하여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측면 가장자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여기서, 개폐 덮개(240)는, 폭 방향의 일 측벽부(242)가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측면 가장자리의 기준 위치에 접할 때까지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도 3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덮개(240)의 인괘조(244)는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막음부(253)와는 비접촉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막음부(253)와 인괘조(244)에 의한 개폐 덮개(24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즉, 셔터(23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되어,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진다.
(4) 셔터 개방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30)가 잠금 해제되면, 개폐 덮개(240)의 개폐 조작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개폐 덮개(240)는,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고, 배출용 개구(220)를 완전히 개방한다.
이 때, 개폐 덮개(240)의 인괘조(244)는, 도 3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유지 프레임(250)의 폭 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비접촉된 채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의 개방 동작이 손상될 일은 없고, 개폐 덮개(240)는 그 종단 위치(개방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덮개(240)와 덮개 유지 프레임(250) 사이에 스프링 등의 가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 덮개(240)는 개폐 조작 방향에 대하여 특히 강한 조작력을 필요로 함이 없이 이동한다.
◎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38)와 대략 동일한 현상제 수용 용기를 이용한 것이지만, 실시예 1과 달리, 실시예 1에서 이용된 밀봉 부재(300) 대신에 예를 들면 도 14, 도 15에 나타낸 비교예에 따른 밀봉 부재(300')를 이용하고, 위치 결정 기구(400)로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의 것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에 단부 플랜지(202)를 조립한 경우에서, 사용자가 조립 상태에 있는 단부 플랜지(202)를 잘못해서 회전 조작하였다고 하여도, 위치 결정 기구(400)에 의한 단부 플랜지(202)의 위치 결정성이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것과 같은 밀봉 부재(300)의 밀봉용 충돌편(302 내지 304)에 의한 충분한 슬라이딩 저항을 얻을 수 없지만, 단부 플랜지(202)가 잘못해서 회전하는 일은 없고, 단부 플랜지(202)가 오개방될 염려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밀봉 부재(300')를 이용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 플랜지(202)와 용기 본체(200)의 선단 통 형상부(200a) 사이에 펠트나 고무 등의 실판과 같은 밀봉 부재를 이용해도 되고, 다른 밀봉 구조를 채용하도록 하면 이 종류의 밀봉 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여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되고, 현상 장치에서 이용되는 분체(粉體)의 토너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수용 용기(토너 카트리지)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공급되는 작상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전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셔터 주변의 밀폐성을 높이면, 액체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고, 또한, 잉크젯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공급하는 잉크를 수용한 잉크 수용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위치 결정 기구(피위치 결정 돌출부, 위치 결정 돌출부)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용기 수용부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5 중 Ⅶ-Ⅶ선에 따른 단면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덮개 부재(단부 플랜지)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용기 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의 (a)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밀봉 부재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b)는 그 평면 설명도.
도 11의 (a)는 도 10의 (b) 중 L-L선 단면 설명도, (b)는 도 11의 (a) 중 Q부의 상세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밀봉 부재가 유지된 조립전 상태에서의 덮개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 (b)는 (a) 중 P-P선 단면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의 (a)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밀봉 부재가 유지된 조립전 상태에서의 덮개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 (b)는 (a) 중 P-P선 단면 설명도.
도 15는 비교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에서 덮개 부재가 용기 본체에 부착된 조립 상태에서의 밀봉 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1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7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2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8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20의 (a)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의 조 립 개시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b)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덮개 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도 20의 (a) 중의 A-A선 단면 설명도.
도 22는 도 20의 (a) 중의 B-B선 단면 설명도.
도 23은 도 20의 (b) 중의 C-C선 단면 설명도.
도 24는 도 20의 (b) 중의 D-D선 단면 설명도.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1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6의 (a)는 도 25 중 E부 상세도, (b)는 제 1 위치 결정 요소의 비교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7은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제 2 위치 결정 요소에 의한 위치 결정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8의 (a)는 도 27 중 F부 상세도, (b)는 제 2 위치 결정 요소의 비교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셔터(개폐 덮개, 덮개 유지 프레임)를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
도 30의 (a)는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셔터의 평면 설명도, (b)는 개폐 덮개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 설명도.
도 31은 실시예 1에서 이용되는 셔터(개폐 덮개, 덮개 유지 프레임)가 개폐 동작하기 위한 치수 관계에 대한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의 (a)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b)는 잠금 상태에 있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3의 (a)는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b)는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셔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본체 1a : 통 형상부
2 : 개구 3 : 덮개 부재
3a : 피감입부 4(4a, 4b) : 피위치 결정 돌출부
5(5a, 5b) : 위치 결정 돌출부 7 : 개폐 기구
8 : 반송 부재 9 : 회전 연결 부재
11, 411 : 안내용 돌출 가지 12, 13, 412, 413 : 회전 방지용 돌기
14, 422 : 막음벽
Claims (7)
- 화상 형성 장치 케이싱의 용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되고 또한 작상(作像) 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로서,일부에 개구가 개설(開設)된 통 형상부를 갖고 또한 작상 재료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이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가 착탈 자재(自在)로 감입(嵌入)되는 피감입부를 갖고 또한 부착 위치까지 상기 통 형상부에 대하여 회전 자재로 압입(押入)되는 덮개 부재와,상기 덮개 부재의 피감입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의 위치 결정 위치에 덮개 부재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와,상기 용기 본체의 통 형상부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피위치 결정 돌출부에 접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 돌출부를 위치 결정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출부를 구비하고,상기 피위치 결정 돌출부는, 덮개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용 돌출 가지와, 이 안내용 돌출 가지에 대하여 덮개 부재의 압인(押引)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회전 방지용 돌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는 다른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상기 위치 결정 돌출부는,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안내용 돌출 가지 및 회전 방지용 돌기에 접하여 막는 막음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피위치 결정 돌출부는 안내용 돌출 가지에 대하여 회전 방지용 돌기와는 별도로 회전 방지용 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 결정 돌출부에 부딪치는 충돌용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피위치 결정 돌출부 및 위치 결정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덮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용기 본체의 위치 결정 돌출부에 덮개 부재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 가 접촉을 개시하는 부위에 피위치 결정 돌출부의 회전 방지용 돌기가 위치 결정 돌출부의 막음벽을 타고 넘는 방향을 향하여 안내 가능하게 경사지는 안내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용기 본체의 위치 결정 돌출부는 상기 덮개 부재의 압인 방향에서 덮개 부재의 피위치 결정 돌출부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를 갖고, 제 1 위치 결정 돌출부와 제 2 위치 결정 돌출부의 상기 덮개 부재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은 덮개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용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되고 또한 작상 재료가 수용되는 제 1 항에 기재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248935A JP4600560B2 (ja) | 2008-09-26 | 2008-09-26 |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JP-P-2008-248935 | 2008-09-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5572A KR20100035572A (ko) | 2010-04-05 |
KR101031557B1 true KR101031557B1 (ko) | 2011-04-27 |
Family
ID=4158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1662A KR101031557B1 (ko) | 2008-09-26 | 2009-04-13 |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2) | US7937029B2 (ko) |
EP (2) | EP2372468B1 (ko) |
JP (1) | JP4600560B2 (ko) |
KR (1) | KR101031557B1 (ko) |
CN (2) | CN101685284B (ko) |
AT (1) | ATE523815T1 (ko) |
AU (2) | AU2009201442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80656B1 (en) | 2010-06-11 | 2020-10-14 | Ricoh Company, Ltd. |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9116468B2 (en) | 2011-03-30 | 2015-08-25 | Ricoh Company, Ltd. |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gripping part includes a powder loading port and a sealing member |
JP5853404B2 (ja) * | 2011-04-25 | 2016-02-09 | 株式会社リコー | 粉体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5110219B1 (ja) * | 2012-02-21 | 2012-12-2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13242474A (ja) * | 2012-05-22 | 2013-12-05 | Fuji Xerox Co Ltd | 現像剤容器の梱包構造 |
JP6156066B2 (ja) | 2013-10-31 | 2017-07-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 |
JP6665597B2 (ja) * | 2016-03-08 | 2020-03-1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WO2020046321A1 (en) * | 2018-08-30 | 2020-03-0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int materials replenish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1947A (ja) * | 1996-01-31 | 1997-08-15 | Konica Corp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剤供給装置 |
JP2002351199A (ja) | 2001-05-22 | 2002-12-04 | Sharp Corp | トナー補給ボトル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7941Y2 (ko) * | 1971-08-02 | 1978-02-28 | ||
JPS537941A (en) | 1976-07-09 | 1978-01-24 | Morio Watanabe | Structure of multiilayer hollow window |
HUT41715A (en) | 1984-12-28 | 1987-05-28 | Monsanto Co | Process for preparing n-substituted alpha-amino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
JPH0454110Y2 (ko) * | 1985-03-27 | 1992-12-18 | ||
JP2967619B2 (ja) | 1991-07-26 | 1999-10-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カラー固体撮像装置 |
US5339596A (en) * | 1992-11-04 | 1994-08-23 | Cohen Zev B | Toner cartridge recharging tool |
US5398849A (en) * | 1993-06-28 | 1995-03-21 | Nu-Kote International | Cartridge with slide mechanism for dispensing toner |
JP3480075B2 (ja) * | 1994-09-22 | 2003-12-1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用カートリッジ |
JP3555918B2 (ja) * | 1997-01-17 | 2004-08-18 | 株式会社資生堂 | 蓋体の係合構造 |
JP2000010390A (ja) | 1998-06-24 | 2000-01-14 | Sharp Corp | 現像剤収容容器 |
US6259877B1 (en) | 2000-02-18 | 2001-07-10 |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 device |
ES2369115T3 (es) * | 2001-02-19 | 2011-11-25 | Canon Kabushiki Kaisha |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y sistema para suministro de toner. |
US6990301B2 (en) | 2001-02-19 | 2006-01-24 | Canon Kabushiki Kaisha |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EP1233311B1 (en) * | 2001-02-19 | 2012-08-29 | Canon Kabushiki Kaisha | Toner supply container |
JP4167589B2 (ja) * | 2003-12-17 | 2008-10-15 | 株式会社リコー | 収納容器、トナー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KR100727943B1 (ko) * | 2005-06-27 | 2007-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어보드를 내장한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KR100756044B1 (ko) * | 2005-08-29 | 2007-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통과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US7460819B2 (en) * | 2005-12-21 | 2008-12-02 | Kabushiki Kaisha Toshiba |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7240663A (ja) | 2006-03-06 | 2007-09-20 | Canon Inc |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方法 |
JP4566147B2 (ja) * | 2006-03-06 | 2010-10-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
US7548715B2 (en) * | 2007-04-26 | 2009-06-16 |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 Container for toner cartridge |
-
2008
- 2008-09-26 JP JP2008248935A patent/JP4600560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04-13 US US12/422,729 patent/US7937029B2/en not_active Ceased
- 2009-04-13 KR KR1020090031662A patent/KR1010315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4-14 AU AU2009201442A patent/AU2009201442B2/en active Active
- 2009-04-17 CN CN2009101355170A patent/CN101685284B/zh active Active
- 2009-04-17 CN CN201110350681.0A patent/CN102354091B/zh active Active
- 2009-06-18 AT AT09163179T patent/ATE52381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6-18 EP EP11170530.7A patent/EP2372468B1/en active Active
- 2009-06-18 EP EP09163179A patent/EP2169475B1/en active Active
-
2011
- 2011-05-23 AU AU2011202382A patent/AU2011202382B2/en active Active
-
2012
- 2012-04-19 US US13/451,159 patent/USRE44172E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1947A (ja) * | 1996-01-31 | 1997-08-15 | Konica Corp |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剤供給装置 |
JP2002351199A (ja) | 2001-05-22 | 2002-12-04 | Sharp Corp | トナー補給ボト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937029B2 (en) | 2011-05-03 |
AU2009201442B2 (en) | 2011-02-24 |
KR20100035572A (ko) | 2010-04-05 |
EP2169475B1 (en) | 2011-09-07 |
JP2010079073A (ja) | 2010-04-08 |
CN102354091A (zh) | 2012-02-15 |
CN101685284A (zh) | 2010-03-31 |
JP4600560B2 (ja) | 2010-12-15 |
CN101685284B (zh) | 2012-07-18 |
EP2372468A1 (en) | 2011-10-05 |
AU2009201442A1 (en) | 2010-04-15 |
EP2372468B1 (en) | 2013-08-07 |
US20100098456A1 (en) | 2010-04-22 |
ATE523815T1 (de) | 2011-09-15 |
EP2169475A1 (en) | 2010-03-31 |
AU2011202382A1 (en) | 2011-06-09 |
CN102354091B (zh) | 2015-01-21 |
USRE44172E1 (en) | 2013-04-23 |
AU2011202382B2 (en) | 201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1557B1 (ko) |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
JP4530029B2 (ja) |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EP2357537B1 (en) |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786375B2 (ja) |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 |
JP5585414B2 (ja) |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 |
KR20160088245A (ko) | 화상형성 유닛 | |
JP5556617B2 (ja) |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 |
KR20210147112A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1065285B1 (ko) |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 |
JP4217920B1 (ja) |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4720955B2 (ja) |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5381553B2 (ja) |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