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392B1 -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392B1
KR101063392B1 KR1020090034752A KR20090034752A KR101063392B1 KR 101063392 B1 KR101063392 B1 KR 101063392B1 KR 1020090034752 A KR1020090034752 A KR 1020090034752A KR 20090034752 A KR20090034752 A KR 20090034752A KR 101063392 B1 KR101063392 B1 KR 10106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ember
coupling
injection
press
pre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039A (ko
Inventor
박희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39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8Rear parcel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상부면에 제1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용착부의 후방에는 제1용착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와, 상기 제1용착부에 용착되도록 저면에 제2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착부의 전방에는 상기 사출 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 사이에 진동 용착과 동시에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위치 자유도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 사이에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출 부재, 프레스 부재, 결합홈, 결합부, 리브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REAR PACKAGE TRAY OF VEHICLE}
본 발명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후방에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Rear Package Tray)가 장착되며, 이러한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는 스피커 또는 다양한 물건이 적재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사출과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부품을 진동 용착하여 결합하고, 결합된 리어 패키지 트레이를 차량 내에 결합하여 장착된다.
하지만, 종래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의 일부를 중첩시켜 진동 용착하기 때문에 아무런 기술 없이 용착하게 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의 결합시 공차가 발생되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부품에 진동 용착되어 결합된 힘보다 더 큰 외력이 발생될 경우,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 사이의 진동 용착된 이음새에서 박리되어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 중 분리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 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출물과 프레스 부품의 조립 공차를 줄이는 동시에 사출물과 성형품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상부면에 제1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용착부의 후방에는 제1용착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와, 상기 제1용착부에 용착되도록 저면에 제2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착부의 전방에는 상기 사출 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의 내측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 결합부의 후방을 구속하는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에는 사출 부재의 내측 일면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결합부의 전방에는 고정 후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용착부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끼워 결합되도록 프레스 부재에는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 사이에 진동 용착과 동시에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위치 자유도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 사이에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사출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부재의 결합홈에 프레스 부재의 고정 후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부재의 돌출부가 프레스 부재의 관통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사출 부재(100)와, 상기 사출 부재(100)에 용착 결합되는 프레스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는 상호 자유도가 구속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사출 부재(100)의 전방의 상부면에는 프레스 부재(200)의 저면과 용착되기 위해 제1용착부(150)가 형성되고, 제1용착부는 사출 부재의 전방의 길이 방향 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용착부(150)의 후방에는 제1용착부(150)와 평행하도록 사출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120)이 형성되며, 단면은 하부가 오목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결합홈(120)의 단면 형상을 'U'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출 부재(100)와 결합되는 프레스 부재(200)의 하부에는 사출 부재(100)의 제1용착부(150)와 용착되는 제2용착부(220)가 형성되며, 제2용착부(220)는 프레스 부재(2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용착부(220)는 사출 부재(100)의 제1용착부(150)에 대응되도록 프레스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용착부(220)의 전방에는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결합부(240)가 형성되며, 결합부(240)는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에 결합되어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 사이의 상호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을 사출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나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에 결합되는 프레스 부재(200)의 결합부(220)도 다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에는 프레스 부재(200)의 결합부(220)가 결합될 시 결합부(220)의 후방을 구속하기 위한 리브(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130)는 결합홈(120)이 형성된 사출 부재(100)의 내측 측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출 부재(100)의 결합홈(120)에 결합된 프레스 부재(200)의 결합부(220)의 전면은 사출 부재(100)의 내측 전면에 대면하여 구속되고, 결합부(220)의 후면은 리브(13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결합 구조는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조립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의 구속력을 발생시켜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전후방을 구속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상하 방향을 구속할 수 있다.
결합홈(120)이 형성된 사출 부재(100)의 내측에는 결합홀(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140)은 결합홈(120)이 형성된 사출 부재(100)의 내측 일면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부재(200)에는 결합홀(140)에 끼워져 사출 부재(100)와 결합되도록 고정 후크(2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후크(260)는 결합부(24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그 끝단이 하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출 부재(100)의 결합홀(140)은 결합홈(120)이 형성된 사출 부재(100)의 내측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홀(140)에 결합되는 프레스 부재(200)의 고정 후크(260)도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부재(100)의 결합홀(140)에는 고정 후크(260)가 단단히 결합되며, 이는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전후 방향(320)을 구속함과 동시에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상하 방 향(360)도 구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전후 방향(320) 및 상하 방향(340)을 구속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좌우 방향을 구속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용착부(150)가 형성된 사출 부재(10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60)가 더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도록 프레스 부재(200)의 제2용착부(220)의 일측에는 그 관통홀(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돌출부(160)의 형상을 원기둥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프레스 부재(200)의 관통홀(280)은 돌출부(1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부재(100)의 돌출부(160)가 프레스 부재(200)의 하방에서 관통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로 인해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좌우 방향(360)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돌출부(160)와 관통홀(280)이 제1용착부(150) 및 제2용착부(220)의 일측에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용착부(150) 및 제2용착부(2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용착부(150) 및 제2용착부(220)의 일측에 다수의 돌출부 및 관통홀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는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진공 용착에 의해 회전방향이 구속되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 우 방향을 구속함으로써,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상호 위치 자유도를 완전히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조립 공차를 줄이는 동시에 사출 부재(100)와 프레스 부재(20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사출 부재와 프레스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사출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부재의 결합홈에 프레스 부재의 고정 후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프레스 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부재의 돌출부가 프레스 부재의 관통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사출 부재 120: 결합홈
130: 리브 140: 결합홀
150: 제1용착부 160: 돌출부
200: 프레스 부재 240: 결합부
260: 고정 후크 280: 관통홀

Claims (4)

  1. 상부면에 제1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용착부의 후방에는 제1용착부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 및
    상기 제1용착부에 용착되도록 저면에 제2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착부의 전방에는 상기 사출 부재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된 프레스 부재;
    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의 내측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 결합부의 후방을 구속하는 리브가 더 형성된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사출 부재에는 사출 부재의 내측 일면에서 바닥면으로 연장된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스 부재의 결합부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고정 후크가 더 형성된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용착부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끼워 결합되도록 프레스 부재에는 관통홀이 더 형성된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20090034752A 2009-04-21 2009-04-21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106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752A KR101063392B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752A KR101063392B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039A KR20100116039A (ko) 2010-10-29
KR101063392B1 true KR101063392B1 (ko) 2011-09-07

Family

ID=4313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752A KR101063392B1 (ko) 2009-04-21 2009-04-21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698A (ko) 2018-03-06 2019-09-1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698A (ko) 2018-03-06 2019-09-1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039A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JP2015214197A (ja) 車両前部構造
JP5741624B2 (ja) 車両端部構造
JP2008030629A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体の取付構造
JP2005155827A (ja) 固定構造
JP2008126981A (ja) 車体の補強構造
JP6137225B2 (ja) バンパアブソーバ取付構造
JP6469561B2 (ja) 車両用内装材
JP5772440B2 (ja) バッテリ載置構造
KR101063392B1 (ko) 차량용 리어 패키지 트레이
JP2010173622A (ja) 車両のフード構造
JP4905308B2 (ja) エンジンカバー
JP6106059B2 (ja) 車両構成部材
JP2019102204A (ja) バッテリ端子の被水防止構造
JP6201350B2 (ja) 燃料タンク保持構造
JP5742516B2 (ja) 車両フロア構造
JP2010111306A (ja) 溶着リブを用いた2部品の固定構造
JP6786938B2 (ja) 車両用バッテリ保持構造
JP4916023B2 (ja) スポイラーの補強構造
JP6624886B2 (ja) ハーネス固定具
JP2008100558A (ja) バンパステイ構造
JP4919190B2 (ja) 壜体用の合成樹脂製把手
KR101464971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6029527B2 (ja) ケースとカバーの結合構造
JP5576253B2 (ja) 自転車用ドレス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