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045B1 -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045B1
KR101060045B1 KR1020080138313A KR20080138313A KR101060045B1 KR 101060045 B1 KR101060045 B1 KR 101060045B1 KR 1020080138313 A KR1020080138313 A KR 1020080138313A KR 20080138313 A KR20080138313 A KR 20080138313A KR 101060045 B1 KR101060045 B1 KR 10106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ion
constipation
sugar
skin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462A (ko
Inventor
김승훈
이동성
박필준
박선영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0001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 코어의 표면을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 성분들로 둘러싼 과립 또는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에 당, 향, 가루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추가한 과립을 함유함으로써 쓴맛 및 부스러기 등 잔여물에 의한 입안 내 잔여감을 개선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변비 증상을 완화시키고 대장의 배변 기능을 촉진시켜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결명자*알로에*차전자피*당*향*가루차*기호성*변비 개선*피부톤 개선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constipation and skin-tone having good taste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 코어의 표면을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 성분들로 둘러싼 과립 또는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에 당, 향, 가루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추가한 과립을 함유함으로써 쓴맛 및 부스러기 등 잔여물에 의한 입안 내 잔여감을 개선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변비 증상을 완화시키고 대장의 배변 기능을 촉진시켜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현대인은 인스턴트 식품과 고지방질 함유 식품 섭취 및 운동부족 등으로 각종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비만이나 변비 등은 성인병 중 가볍고 초기적인 증상이지만, 다른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성인병에 대한 예방책으로 간단한 운동과 더불어 천연 식품을 이용한 예방 과 치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비(constipation)는 건강할 때에 비하여 변이 굳고 건조하며, 배변의 횟수와 변의 양이 상당히 감소되어 배변 시 불쾌감이나 생리적 장애를 수반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변비증상을 개선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섬유질이 많은 식품, 예를 들면 고구마, 녹황색 채소류, 곤약, 과일류, 육류 등의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나, 식사 주기가 일정치 않은 현대인들, 특히 다이어트가 잦아 식사횟수가 적은 젊은 여성들이 이러한 식품을 섭취하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변비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한약재 및 생약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결명자(Cassia Tora L.)는 예로부터 간의 열기를 제거하고 대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하여 눈이 충혈되어 붓고 아플 때, 시력감퇴 및 야맹증과 같은 안질환 뿐만 아니라 변비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결명자를 분말로 복용할 경우에는 입안 내 쓴맛이 심하고, 목 넘김 시 분말의 뭉침으로 인해 심한 거부감이 나타나게 한다. 또한, 과립 제형으로 제조하여 복용할 경우 분말에 비해 거부감은 개선되지만 부스러기 등의 잔여물이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당 코어의 표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 성분을 도포하여 과립을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에 기호성이 우수한 원료를 코팅함으로써 기호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 코어; 및 상기 당 코어의 표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도포된 유효 성분 함유층;으로 이루어진 과립을 함유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에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더 추가한 과립을 함유하여 기호성을 개선시킨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당 코어; 및 상기 당 코어의 표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도포된 유효 성분 함유층;으로 이루어진 과립을 함유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2)당 코어에 1)단계에서 제조한 분말들을 단독으로, 혼합하여 또는 차례로 도포하여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기호성이 떨어지는 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의 분말을 당 코어에 도포하여 과립으로 제조함으로써 거부감을 줄이고,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향, 가루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코팅함으로써 쓴맛 및 부스러기 등의 잔여물에 의한 입안 내 잔여감을 개선하여 기호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와 같은 천연 생약재를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은 없고 대장의 배변 기능을 촉진시켜 우수한 변비 완화 및 예방 효과와 함께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식료품 및 기호식품 제조 산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기호성 및 배변 효능이 우수한 원료들과의 혼합처방에 의한 상승 효과, 피부톤 개선 효과 및 기호도 증진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 코어; 및 상기 당 코어의 표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도포된 유효 성분 함유층; 으로 이루어진 과립을 함유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립의 최외각층에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더 추가한 과립을 함유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2)당 코어에 1)단계에서 제조한 분말들을 단독으로, 혼합하여 또는 차례로 도포하여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단계의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결명자(Cassia Tora L.)는 초결명 또는 마제결명이라고도 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주로 습관성 변비에 사용되어 왔고, 그 종자나 잎을 통변(通便), 통경(通經), 건위(建胃), 시력(視力) 강화, 정장, 이뇨, 완하, 청간명목, 윤장통변, 목적목암 및 열결변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알로에(Aloe arborescens mill)는 식물학상 백합과(百合科)의 알로에 속(屬)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원생지는 아프리카 대륙이나 오늘날에는 열대지방 및 온대지방에 걸쳐 폭넓게 자생하고 있는 세계적인 약용식물이다. 알로에는 세균 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 궤양에 효과적인 알로에우르신 및 항암효과의 알로미틴이 들어 있으며,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항생물질, 상처치유 호르몬, 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또한, 알로에 잎의 쓴 황색 물질은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전자피(Plantaginis Semen)는 질경이(Plantago asiatica L.)과에 속하는 질경이 씨앗의 껍데기로서 식이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물에 넣으면 점액층을 형성하고, 스폰지와 같이 수분을 다량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방과 민간에서 그의 종자를 요로질환, 진해, 소염, 이뇨, 완하 등에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 분말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로에는 생엽을 절단한 후 열풍건조하거나 생엽의 껍질을 제거하고 겔 성분만을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고, 결명자 및 차전자피는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이어서, 건조된 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각각 분쇄기로 곱게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한다.
상기 유효 성분들은 0.001 내지 2.0mm의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01mm 미만에서는 분말이 너무 미세하여 제형 형성에 적합하지 않고, 2.0mm 초과시에는 분말의 크기가 너무 커서 제형을 형성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2)당 코어에 1)단계에서 제조한 분말들을 단독으로, 혼합하여 또는 차례로 도포하여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분말들을 각각 수용액상에 고루 분산시키고, 유동층 코팅기(fluid bed coater)를 사용하여 당 코어에 단독으로, 혼합하여 또는 차례로 도포함으로써 당 코어 및 유효 성분 함유층으로 이루어진 과립을 제조한다.
상기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6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원료의 기대 효능이 저하되어 효과를 얻기 어렵고, 60중량% 초과시 그 효능에 있어 최적비를 구성하지 못하여 기대 효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당 코어는 말토데스트린, 싸이클로덱스트린, 설탕, 이성화당, 포도당, 과당, 유당, 자일로스, 맥아당, 프락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 코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 코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이 도포된 과립은 구슬 형태이며, 1 내지 5m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mm 미만에서는 입자가 너무 작아 기호성이 떨어지게 되고, 5mm 초과시에는 입자가 너무 커서 목 넘김이 나쁘기 때문이다.
3) 상기 2)단계의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하는 단계
당 코어 및 유효 성분 함유층으로 이루어진 과립에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더 추가한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과립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스테인레스 용기 안에 넣고, 용기 내부 공간에 분무가 가능하도록 고안하여 설치된 미세 분무 장치를 통해 당, 향, 가루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고루 분무하여 코팅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당은 자당, 자일리톨, 올리고당, 식이섬유, 에리스리톨, 포도당, 과당, 스테비오사이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향은 사과향, 포도향, 복숭아향, 살구향, 오렌지향, 구아바향, 망고향, 레몬향, 라임향, 청포도향, 라즈베리향, 크랜베리향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가루차는 녹차, 홍차, 허브차 등이 있다.
상기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에서는 각 원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기호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 초과시 너무 강한 맛과 향으로 인하여 기호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은 제약학상 허용되는 부형제, 예를 들어 가소제, 향미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기호성 및 배변 효능이 우수한 다른 원료들과 혼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 리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의 제조
알로에는 생엽을 절단한 후 60℃의 온도에서 열풍건조하고, 결명자 및 차전자피는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건조된 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분쇄기로 곱게 분쇄하여 각각 0.05mm 크기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을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혼합하고, 3.0g씩 포장하였다.
[비교예 2]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을 과립 제형으로 제조한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과립 제형의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바인더(Binder)로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용매로 물/EtOH을 사용하여 알로에 분말, 결명자 분말,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이 구형 과립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1~2mm 크기의 과립을 제조하고, 3.0g씩 포장하였다.
[비교예 3] 당 코어를 부형제로 둘러싸고 그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코팅하여 제조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당 코어에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넣지 않고 부형제만으로 둘러싼 후, 그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코팅한 과립을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바인더로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용매로 물/EtOH을 사용하고, 당 코어로 설탕 구(Sugar sphere; 제조원 ㈜KPT)를 사용하였다. HPMC 및 물/EtOH을 이용하여 설탕 구에 부형제로 덱스트린이 도포되도록 혼합하여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스테비오사이드(제조원: 비에스 코퍼레이션)와 가루 녹차(제조원: ㈜아모레퍼시픽)를 넣고 HPMC 및 물/EtOH을 사용하여 구형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과 가루차로 코팅한 후, 쟈스민향(제조원: 서울향료)을 추가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실시예 1]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차례로 당 코어에 둘러쌓아 제조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과립 제형의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바인더로 HPMC(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용매로 물/EtOH을 사용하고, 당 코어로 설탕 구(Sugar sphere; 제조원 ㈜KPT)를 사용하였다. HPMC 및 물/EtOH을 이 용하여 설탕 구에 알로에 분말, 결명자 분말, 차전자피 분말의 혼합물이 도포되도록 혼합하여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실시예 2]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차례로 당 코어에 둘러싸고 그 최외각층을 당으로 코팅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에 스테비오사이드(제조원: 비에스 코퍼레이션)를 넣고 HPMC 및 물/EtOH을 사용하여 구형 과립의 최외각층이 당으로 코팅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실시예 3]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차례로 당 코어에 둘러싸고 그 최외각층을 당 및 향으로 코팅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에 스테비오사이드(제조원: 비에스 코퍼레이션)를 넣고 HPMC 및 물/EtOH을 사용하여 구형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으로 코팅한 후, 쟈스민향(제조원: 서울향료)을 추가하고 혼합하여 당 및 향으로 코팅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실시예 4]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차례로 당 코어에 둘러싸고 그 최외각층을 당 및 가루차로 코팅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에 스테비오사이드(제조원: 비에스 코퍼레이션)와 가루 설녹차(제조원: ㈜아모레퍼시픽)를 넣고 HPMC 및 물/EtOH을 사용하여 구형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및 가루차로 코팅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실시예 5]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을 차례로 당 코어에 둘러싸고 그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코팅한 과립 제형의 조성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1~5mm 크기의 구형 과립에 스테비오사이드(제조원: 비에스 코퍼레이션)와 가루 녹차(제조원: ㈜아모레퍼시픽)를 넣고 HPMC 및 물/EtOH을 사용하여 구형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및 가루차로 코팅한 후, 쟈스민향(제조원: 서울향료)을 추가하여 당, 향 및 가루차로 코팅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3.0g씩 포장하였다.
성분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비교예3
(중량%)
실시예1
(중량%)
실시예2
(중량%)
실시예3
(중량%)
실시예4
(중량%)
실시예5
(중량%)
설탕구 - - 5 15 10 10 10 5
알로에 분말
(제조예 1)
28 28 - 28 28 28 28 28
결명자 분말
(제조예 1)
30 30 - 30 30 30 30 30
차전자피 분말
(제조예 1)
20 20 - 20 20 20 20 20
스테비오사이드 - - 6 - 6 1 1 6
쟈스민향 - - 5 - - 5 - 5
가루 녹차 - - 5 - - - 5 5
부형제 22 22 79 6 6 6 6 1
[시험예 1] 변비 개선효과 실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를 변비증상이 있는 20명의 대상자에게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복용, 총 1 주간)하도록 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된 판정기준에 따라 변비 개선효과를 비교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보기 사용전후 개선효과의 판정
배변효과 0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10% 미만
1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10%~25%
2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25%~40%
3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40%~60%
4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60%~80%
5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80%~100%
응답자 중 변비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을 0점 (작다)에서 5점 (크다)까지 판정
제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배변효과 4 5 5 5 5 5 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2 및 실시예 1~5는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에 의해서 유사한 배변 효과를 나타내며, 변비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감이 매우 우수하였다.
[시험예 2] 기호성 실험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에 대한 기호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요원 1 2 3 4 5 6 7 8 9 10 평균
비교예 1 1 1 1 1 1 1 1 1 1 1 1.0
비교예 2 1 1 1 1 1 1 1 1 1 1 1.0
실시예 1 1 3 2 2 1 3 1 2 2 1 1.8
실시예 2 3 2 2 3 3 3 3 2 3 3 2.7
실시예 3 4 4 4 4 5 4 3 5 3 4 4.0
실시예 4 3 3 3 4 3 3 3 4 3 4 3.3
실시예 5 5 5 4 4 4 3 5 4 5 4 4.0
비교예 1 1 1 1 1 1 1 1 1 1 1 1.0
비교예 2 1 2 2 1 1 1 2 1 2 2 1.5
실시예 1 2 2 3 2 2 2 3 2 1 3 2.2
실시예 2 5 5 4 4 4 5 5 4 4 4 4.4
실시예 3 4 2 3 4 3 3 3 4 3 3 3.2
실시예 4 4 4 3 4 3 4 3 4 3 3 3.5
실시예 5 5 5 5 4 4 5 4 5 4 4 4.5
전반적 기호도 비교예 1 1 1 1 1 1 1 1 1 1 1 1.0
비교예 2 1 2 2 1 1 2 2 1 2 1 1.5
실시예 1 2 3 2 2 1 3 1 2 2 2 2.0
실시예 2 3 3 4 3 3 3 4 3 3 3 3.2
실시예 3 2 4 3 3 4 4 3 4 3 3 3.3
실시예 4 4 4 3 4 3 4 4 3 4 4 3.7
실시예 5 5 5 5 4 4 5 4 4 5 4 4.5
[평가기준] 5 : 아주 좋음, 4 : 좋음, 3 : 보통, 2 : 나쁨, 1 : 아주 나쁨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분말 제형과 비교하여 과립 제형은 맛 및 전반적 기호도가 개선되었다. 또한, 유효 성분 함유층의 최외각층을 당, 향, 가루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코팅한 실시예 2~5는 향, 맛, 전반적 기호도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당, 향 및 가루차의 혼합물로 코팅한 실시예 5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 및 만족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톤 개선 실험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예 3을 음성대조군으로 선정하고 실시예 5를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변비 증상이 있는 10명의 대상자에게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복용, 총 1주간)하도록 한 후, Facial Stage DM-3 (Moritex, Japan) 기기를 활용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의 명도 및 색채 측정값으로 피부톤 개선율을 판단하였다.
음성대조군 (비교예 3) 실험군 (실시예 5)
피부톤
개선율(%)
명도 (평균±표준편차) 명도 (평균±표준편차)
-0.4±1.0 5.9±1.0
색채 (평균±표준편차) 색채 (평균±표준편차)
0.2±1.1 10.9±1.0
표 5 및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음성대조군인 비교예 3은 유의한 피부톤 개선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사용전보다 사용후의 피부톤이 많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배변을 유도함으로써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12)

  1. 당 코어; 및
    상기 당 코어의 표면에 0.001 내지 2.0mm의 입경을 갖는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이 도포된 유효 성분 함유층;
    으로 이루어진 1 내지 5mm의 크기의 과립을 함유하는 식감 및 쓴맛이 개선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층을 더 추가한 과립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6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7. 1)결명자, 알로에 및 차전자피를 각각 0.001 내지 2.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2)당 코어에 1)단계에서 제조한 분말들을 혼합하여 또는 차례로 도포하여 1 내지 5mm의 과립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감 및 쓴맛이 개선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과립의 최외각층을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결명자 분말, 알로에 분말 및 차전자피 분말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6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당, 향 및 가루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38313A 2008-07-22 2008-12-31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0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1354 2008-07-22
KR1020080071354 2008-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62A KR20100010462A (ko) 2010-02-01
KR101060045B1 true KR101060045B1 (ko) 2011-08-29

Family

ID=4208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313A KR101060045B1 (ko) 2008-07-22 2008-12-31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70B1 (ko) * 2018-06-14 2019-07-16 정건희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2520985B1 (ko) * 2021-09-27 2023-04-12 주식회사 루씨베이전씨 피부 개선 및 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62B1 (ko) * 2002-01-17 2004-04-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100486630B1 (ko) * 2004-01-30 2005-05-03 오정해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62B1 (ko) * 2002-01-17 2004-04-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100486630B1 (ko) * 2004-01-30 2005-05-03 오정해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이섬유 보충용 식품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62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8851A1 (zh) 一种罗汉果益生元菊花茶速溶饮品及其制备方法
CN103230012B (zh) 一种蜂巢素口含片及其制备工艺
CN104351587A (zh) 一种牛饲料及其制备方法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WO2022068391A1 (zh) 一种具有祛湿减脂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90110229A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1304B1 (ko) 원지와 석창포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4473060A (zh) 一种保健绿豆糕及其制备方法
US20200188468A1 (en) A coated costus composition enriched with triterpenoid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of the same
KR101060045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640203B1 (en) Excipient from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6649522A (zh) 一种枳椇子粉,和采用该枳椇子粉的直饮粉及其制备方法
CN106690121A (zh) 一种海参沙棘虫草硒制剂及其制备工艺
CN105994740A (zh) 铁皮石斛绿茶及其制备方法
CN110151851A (zh) 一种以金银花甘草药对为基础的复合物及其应用
KR101337895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체리향 혼합 차 및 그 제조방법
WO2022091901A1 (ja) 月経随伴症状の予防、改善又は緩和のための組成物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JP2005154411A (ja) 二日酔い防止・除去用組成物
CN104352802A (zh) 治疗慢性痢疾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8271987A (zh) 具有中药成分的叶黄素酯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43389B1 (ko) 환의 제조시 사용되는 발효 찹쌀풀 결합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