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562B1 -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 Google Patents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562B1
KR100427562B1 KR10-2002-0002702A KR20020002702A KR100427562B1 KR 100427562 B1 KR100427562 B1 KR 100427562B1 KR 20020002702 A KR20020002702 A KR 20020002702A KR 100427562 B1 KR100427562 B1 KR 10042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tea
constipation
extrac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493A (ko
Inventor
박상철
김현정
백주현
정진오
김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2-000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5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 개선용 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분말과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민들레(포공영), 함초, 행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한 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하고 변비증상 개선효과가 뛰어난 혼합침출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Powder of Cassia Tora L. and tea containing the same for treating constipation}
본 발명은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 후 분무건조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분말과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민들레(포공영), 함초, 행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한 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하고 변비증상 개선효과가 뛰어난 혼합침출차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식품과 고지방질 함유 식품 섭취,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현대인들에게 각종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비만이나 변비 등은 성인병 중 가볍고 초기적인 증상이지만, 대장 관련 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 또는 다른 여러 합병증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성인병에 대한 예방책으로 간단한 운동과 더불어 천연 식품을 이용한 예방과 치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비(constipation)는 건강할 때에 비하여 변이 굳고 건조하며, 배변의 횟수와 변의 양이 상당히 감소되어 배변시 불쾌감이나 생리적 장애를 수반하는 증상이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변비증상을 개선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섬유질이 많은 식품, 예를 들면 고구마, 녹황색 채소류, 곤약, 과일류 및 육류 등의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나, 식사주기가 일정치 않은 현대인들, 특히 다이어트가 잦아 식사횟수가 적은 젊은 여성들이 이러한 식품을 섭취하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변비치료 효과가 뛰어난 한약제 및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및 음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결명자(Casssia ToraL.)는 예로부터 간의 열기를 제거하고 대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하여 눈이 충혈되어 붓고 아플 때, 시력감퇴, 야맹증과 같은 안질환뿐만 아니라 변비 치료에 있어서도 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결명자를 함유함으로써 변비개선 효과를 가지는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99-84271호와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01-73975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결명자를 단순 분쇄하여 배전한 것과 여러 생약을 적어도 1종 이상 혼합하여 침출차를 제조한 것으로, 변비개선 효과가 있는 결명자 유효성분의 침출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변비증상을 개선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생약 식품연구에 주력한 결과, 천연 생약재 특히 결명자를 분쇄한 후 정제수 또는 에틸알콜로 추출하고 농축한 결명자 추출액을 건조분말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분말을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현미분말,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민들레, 함초, 행인등의 재료와 혼합하여 혼합침출차로 음용할 경우, 결명자 유효성분의 침출율 향상과 더불어 더욱 상승된 변비 개선효과 및 기호성 향상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비증상의 개선효과가 있는 결명자 유효성분의 침출율이 향상된 결명자 추출분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결명자 추출분말 및 변비증상의 개선효과가 있는 생약제들을 함유함으로써 변비개선효과 및 기호성이 뛰어난 혼합침출차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변비개선 효과가 있는 혼합침출차는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과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민들레(포공영), 함초, 행인과 같이 변비치료 및 예방에 유효한 효과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약재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약재를 함유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명자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혼합침출차의 제조과정은 다음의,
(1) 결명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 및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제조공정의 상기 (1)에서, 결명자를 0.01∼2.0mm로 분쇄한 후 결명자 중량대비 4∼12배의 정제수 또는 20∼90%의 에탄올을 가한다. 이를 15∼60℃에서 2∼24 시간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여과하여 추출박과 분리하여 1차 추출액을 획득한다. 분리된 추출박에 다시 최초의 결명자 중량대비 2∼8배의 정제수 또는 20∼90%의 에탄올을 가한다. 이를 15∼60℃에서 1∼12 시간동안 가열하여 2차 추출하고 이를 다시 여과하여 2차 추출액을 획득한다. 먼저 얻어진 상기 결명자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냉각하여 결명자 추출액을 획득한다.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제조공정의 상기 (2)에서, 상기 제 1공정에서 획득한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하여 결명자 농축액을 얻은 다음, 이를 통상의 분무건조방식으로 분무건조하여 결명자 추출분말을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결명자 추출분말과 카스카라 추출분말(MartinBauer, France), 10∼70 메쉬(mesh) 정도의 크기로 마쇄한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 민들레(포공영), 함초 및 행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의 생약재를 배합한 다음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총 중량이 1.0∼2.0g이 되도록 여과포에 충전 포장하여 결명자 추출분말이 함유된 혼합침출차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 생약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명자(Cassia Tora L.)는 초결명 또는 마제결명이라고도 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주로 습관성 변비에 사용되어 왔으며, 그의 종자나 잎을 통변(通便), 통경(通經), 건위(建胃), 시력(視力) 강화, 정장, 이뇨, 완하, 청간명목, 윤장통변, 목적목암, 열결변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카스카라사그라다(Cascara Sagrade, Rhamni purshianae Cortex)는 카스카라사그라다나무(Rhamnus purshiana De Candolle)(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약재로 이용하며, 변비증상 개선 등의 목적으로 약용되어 왔다.
현미는 백미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며 배전처리를 할 경우 구수한 맛과 향을 내므로 녹차 등에 혼합하여 떫고 쓴맛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동규자엽(Malva Verticillata Linne)은 아욱을 말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그의 종자나 잎을 통변(通便), 통유(通乳), 이뇨(利尿), 최유(催乳), 이수통림, 하유윤장, 소변불리, 수종창만, 임력삽통, 유즙불행, 유방창통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차전자피(Plantaginis Semen)는 질경이(Plantago asiatica L.)(질경이과 Plantaginaceae)를 말하는 것으로, 한방과 민간에서 그의 종자를 요로질환, 진해, 소염, 이뇨, 완하 등에 사용하였다.
수국(Hydrangea macrophylla D.C var thunbergii Makino)은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으로, 천연감미료의 하나이며 민간요법 또는 한의학에 위장장애 및 기관지염, 고혈압, 약물중독, 해열작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악취를 풍기는 유세포를 갖고 있어 해독 작용 및 종기를 없애는 작용을 한다. 또한, 항균성이 있기 때문에 세균성 설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완하 작용, 이뇨 작용도 있어 변비와 부종을 해소하고 당뇨병, 간장병피부 보습효과, 고혈압, 동맥강화 치료와 예방, 감기로 인해 기침이 나면서 가래가 많은 증상 등에 효과가 있다.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L.)는 포공영이라고도 하며 건위, 강장, 강력한 이뇨, 해열, 천식, 거담, 이담(利膽), 완하작용, 야맹증에 효과가 있다. 특히 해독, 해열, 소염 작용이 있어 열독을 생긴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폐농양 등에 주로 쓰이며, 변비 등에도 효과가 빠르다.
함초는 갯벌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한해살이 염생식물로서, 바닷물에 녹아 있는 모든 미량원소가 농축되어 있어 숙변제거와 변비 예방 효과가 있으며, 비만증, 고혈압, 저혈압, 당뇨병, 중이염, 축농증, 위장질환 또는 각종 암 등에 효험이 있다.
행인(Prunus armeniaca L.)은 위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숙변을 제거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거담작용 및 진해작용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혼합침출차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변비 개선용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차는 결명자 추출분말 10∼50중량%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10∼50중량%, 볶음 결명자 분쇄분말 0∼25중량%, 볶음현미분말 0∼50중량%, 동규자엽 0∼20중량%, 차전차피 0∼10중량%, 수국 0∼20중량%, 삼백초 0∼5중량%, 카스카라피 0∼5중량%, 서양민들레(포공영) 0∼15중량%, 함초 0∼10중량% 및 행인 0∼10중량%만큼을 차 배합물의 총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분 중 함량이 0인 경우는 그 성분은 본원 발명의 차 성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변비개선용 차는 결명자를 분쇄하여 추출 및 농축하고 이를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과정을 통해 결명자 유효성분의침출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이외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을 비롯한 다른 원료를 첨가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이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한편 쓴맛이 억제되어 기호성이 향상된 혼합침출차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시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결명자 추출분말의 제조
시중에서 흔히 구입할 수 있는 결명자를 세척한 후 잘게 분쇄하였다. 상기 결명자 분쇄물에 결명자 분쇄물 중량대비 4∼12배의 정수 또는 20∼90%의 에탄올을 가하여 15∼60℃에서 2∼24시간동안 방치하여 1차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결명차 1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분리한 나머지 분리박에 다시 최초의 결명자 분쇄물 중량대비 2∼8배의 정수 또는 20∼90%의 에탄올을 가한 후 15∼60℃에서 1∼12시간동안 방치하여 2차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결명차 2차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의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한 후 농축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액을 분무건조하여 결명자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4: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변비개선용 차의 제조
상기 제조한 결명자 추출분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10∼70메쉬(mesh)로 마쇄한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 민들레(포공영), 함초, 행인 등을 하기 표 1의 제조예 2∼4의 조성 및 함량으로 각각 배합한 후 이를 1.5g 티백으로 제조하여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결명자 추출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차의 제조
상기 제조예의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차의 변비개선 효과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결명자 추출분말을 함유하지 않는 차를 표 1의 비교예 1∼3의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제조예 2(중량%) 제조예 3 (중량%) 제조예 4(중량%) 비교예 1(중량%) 비교예 2(중량%) 비교예 3(중량%)
결명자 추출분말 50.0 50.0 25.0 - - -
볶음 결명자 분쇄분말 - - 0.0 50.0 - 25.0
카스카라 추출분말 - - 25.0 - 50.0 25.0
볶음 현미분말 50.0 10.0 10.0 10.0 10.0 10.0
동규자엽 - 6.0 6.0 6.0 6.0 6.0
차전차피 - 5.0 5.0 5.0 5.0 5.0
수국 - 5.0 5.0 5.0 5.0 5.0
삼백초 - 2.0 2.0 2.0 2.0 2.0
카스카라피 - 2.0 2.0 2.0 2.0 2.0
서양 민들레 - 6.0 6.0 6.0 6.0 6.0
함초 - 7.0 7.0 7.0 7.0 7.0
행인 - 7.0 7.0 7.0 7.0 7.0
시험예 1: 결명자 추출분말의 변비개선효과 실험
제조예 2∼4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혼합차를 변비증상이 있는 20명의 대상자에게 각각 음용하도록 한 후 표 2의 판정기준에 따라 비교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보기 음용전후 개선효과의 판정
배변효과 0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10% 미만1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10%∼25%2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25%∼40%3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40%∼60%4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60%∼80%5점: 개선효과를 느낀 응답자의 비율이 80%∼100% 응답자 중 변비개선효과를느낀 응답자의 비율을0점(작다)에서5점(크다)까지 판정
제조예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배변 효과(평균 점수) 3 4 5 1 2 2
상기 표 3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명자 추출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차가 결명차 추출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3의 차에 비하여 배변 효과 및 변비개선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결명자 추출분말 대신 볶음 결명자 분쇄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비교예 1에 비하여 배변 효과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혼합차의 경우 결명자 유효 성분의 침츌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결명자 추출분말을 단독으로 혼합하는 경우보다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차피, 수국, 삼백초, 카그카라피, 서양 민들레, 함초 또는 행인 등 다른 생약재를 혼합한 처방이 배변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5∼8: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변비예방용 차의 제조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본 발명 결명자 추출분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및 0.1∼1.0mm 정도의 크기로 마쇄한 볶음 현미분말, 동규자엽, 차전자피, 수국, 삼백초, 카스카라피, 서양 민들레(포공영), 함초 및 행인 등을 표 4의제조예 5∼8의 조성으로 배합하여 이를 1.5g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제조예 5(중량%) 제조예 6(중량%) 제조예 7(중량%) 제조예 8(중량%)
결명자 추출분말 25.0 25.0 25.0 25.0
카스카라 추출분말 25.0 25.0 25.0 25.0
볶음 현미분말 15.0 - 10.0 -
동규자엽 6.0 6.0 6.0 12.0
차전차피 5.0 5.0 5.0 5.0
수국 - 15.0 5.0 -
삼백초 2.0 2.0 2.0 5.0
카스카라피 2.0 2.0 2.0 2.0
서양 민들레 6.0 6.0 6.0 10.0
함초 7.0 7.0 7.0 8.0
행인 7.0 7.0 7.0 7.0
시험예 2: 기호성 실험
제조예 5∼8에 따라 제조된 결명자 추출분말 함유 혼합침출차를 1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하여 기호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요원 1 2 3 4 5 6 7 8 9 10 평균
전반적 기호도 제조예 5 3 4 5 3 3 4 3 3 2 3 3.3
제조예 6 4 3 2 3 3 4 4 3 2 3 3.1
제조예 7 5 4 4 5 3 5 4 4 3 4 4.1
제조예 8 2 1 2 3 2 2 1 2 1 1 1.7
[주] 5: 아주좋음, 4:좋음, 3: 보통, 2:나쁨, 1: 아주 나쁨
상기 표 5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결명자 추출분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에 볶음 현미분말 및 수국을 모두 첨가하여 제조한 차(제조예 7)의 관능이 볶음 현미분말 또는 수국을 첨가하지 않거나(제조예 8) 둘 중 하나만을 첨가하여 제조한 차(제조예 5 및 6)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명자 분쇄물을 정제수 또는 알콜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 및 분무건조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본 발명 변비 개선용 차는 결명자 추출분말을 제조하여 이용함으로써 변비 개선에 유효한 성분의 침출률이 우수하며, 변비개선 효과가 있는 다른 생약제와의 혼합처방에 의한 상승효과 및 기호성이 우수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변비개선용 식료품 및 기호식품 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결명자를 0.01∼2.0mm로 분쇄한 후 정제수 또는 20∼90% 에탄올을 첨가하고 15∼60℃에서 추출하여 결명자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결명자 추출액을 농축 및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제조된 결명자 추출분말에,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볶음 현미분말 및 수국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개선용 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02702A 2002-01-17 2002-01-17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10042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702A KR100427562B1 (ko) 2002-01-17 2002-01-17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702A KR100427562B1 (ko) 2002-01-17 2002-01-17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493A KR20030062493A (ko) 2003-07-28
KR100427562B1 true KR100427562B1 (ko) 2004-04-28

Family

ID=3221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702A KR100427562B1 (ko) 2002-01-17 2002-01-17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5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45B1 (ko) * 2008-07-22 2011-08-29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42489A1 (ko) * 2010-05-12 2011-11-17 Sim Bo Mi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095834B1 (ko) 2009-03-18 2011-12-16 심보미 체질에 따라 처방되는 변비개선용 차 조성물
KR101920023B1 (ko) * 2017-03-24 2018-11-20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결명자 및 펜넬을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962B1 (ko) * 2014-04-18 2016-06-10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결명자를 이용한 변비 예방 및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KR101600884B1 (ko) * 2014-09-26 2016-03-09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89771B1 (ko) * 2019-11-25 2022-04-22 조동기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45B1 (ko) * 2008-07-22 2011-08-29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변비 또는 피부톤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5834B1 (ko) 2009-03-18 2011-12-16 심보미 체질에 따라 처방되는 변비개선용 차 조성물
WO2011142489A1 (ko) * 2010-05-12 2011-11-17 Sim Bo Mi 체질에 따라 다른 변비개선용 천연식품 조성물
KR101920023B1 (ko) * 2017-03-24 2018-11-20 주식회사 티젠 농업회사법인 결명자 및 펜넬을 포함하는 변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493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65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JP2003334046A (ja) 大麦若葉及び/又はケールを含有する粉末飲料並びに飲料
CN103393183B (zh) 一种具有清热润燥作用的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JP2009533332A (ja) 高脂血症および脳卒中の回復および予防のための天然植物抽出物組成物、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天然茶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7562B1 (ko)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20110056901A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892508A (zh) 一种具有润肠通便作用的桑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65528B1 (ko) 기능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20100005868A (ko) 양파 음료 조성물
KR100337472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엑기스를 함유한 건강식품음료조성물
CN107496648A (zh) 一种可增强男性功能提高生育能力解酒护肝抗疲劳的食疗配方
CN103704409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03444937B (zh) 一种秋季养身早茶袋泡茶
JP2005154411A (ja) 二日酔い防止・除去用組成物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876557A (zh) 一种葛根护肝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198948B1 (ko) 건강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54146A (zh) 一种酸汤的制作方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695B1 (ko) 퉁퉁마디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0916B1 (ko) 기능성음료와 그 제조방법
KR102484124B1 (ko) 갈비 양념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1973B1 (ko)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