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303B1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303B1
KR101059303B1 KR1020060073149A KR20060073149A KR101059303B1 KR 101059303 B1 KR101059303 B1 KR 101059303B1 KR 1020060073149 A KR1020060073149 A KR 1020060073149A KR 20060073149 A KR20060073149 A KR 20060073149A KR 101059303 B1 KR101059303 B1 KR 10105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cover
engine cover
eng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996A (ko
Inventor
히로시 쯔꾸이
히로시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한쪽 손만의 조작으로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도어 개방 상태의 개방 각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의 스테이 가이드(27)에 긴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와 V자 형상 가이드부(28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구멍(28)을 마련한다. V자 형상 가이드부(28B)의 제1 굴곡부(28B1)는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다른 측이 되는 위치에서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이 기복 동작할 때의 이동 궤적(25)에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제2 굴곡부(28B2)는 제1 굴곡부(28B1)의 단부로부터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굴곡부(28B1)에 대해 이동 궤적(2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제2 굴곡부(28B2)에 걸어 고정하여 로크한다.
굴곡부, 도어 개방 유지 기구, 가이드, 스테이, 엔진 커버

Description

작업 기계{WORK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전체도.
도2는 도1 중의 상부 선회체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3은 상부 선회체의 후방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구조물 커버의 개구부 및 엔진 커버 등을 도2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5는 도4 중의 엔진 커버 및 도어 개방 유지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도5 중의 엔진 커버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도6 중의 도어 개방 유지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도8은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유지 위치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도8 중의 도어 개방 유지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동작 설명도.
도10은 도어 개방 유지 기구의 스테이와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0 중의 스테이 가이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셔블(작업 기계)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 장치
5 : 선회 프레임(프레임)
6 : 캡
7 : 카운터웨이트
8 : 구조물 커버
8A : 사이드 커버
8B : 상부 커버
9 : 개구부
10 : 엔진
11 : 열교환기
12 : 냉각 팬
13 : 유압 펌프
14 : 엔진 커버
16 : 힌지
17 : 밀봉 부재
18 : 손잡이
21 : 도어 개방 유지 기구(도어 개방 유지 수단)
22 : 스테이
23 : 피봇 부착부(기단부측)
24 : 단차 롤러(선단부측)
25 : 이동 궤적
26 : 브래킷
27 : 스테이 가이드
28 : 가이드 구멍
28A : 직선 형상 가이드부
28B : V자 형상 가이드부
28B1 : 제1 굴곡부
28B2 : 제2 굴곡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0526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크레인, 휠 로더, 포크 리프트 등의 건설 기계 또는 운반 기계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되는 작업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등의 동력원을 수용하는 구조물 커버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건설 기계)에 있어서는 차체의 프레임 상에 구조물 커버를 설치하고, 이 구조물 커버에 의해 엔진 등의 동력원을 수용하는 기계실을 내부에 구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구조물 커버의 상부에는 기계실 내의 엔진을 정비, 점검하기 위해 점검용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를 엔진 커버(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엔진 커버와 구조물 커버 사이에는 엔진 커버를 개방한 상태(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아(스테이)와 슬라이드 레일(스테이 가이드)이 설치되고,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조작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드 바아를 슬라이드 레일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의 다른 측에는 슬라이드 바아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부가 설치되고,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운전자가 슬라이드 바아를 파지하여 슬라이드 레일의 계지부에 수작업으로 계지시킨다. 이에 의해, 엔진 커버는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고정)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80526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슬라이드 레일의 단부에 설치한 계지부에 슬라이드 바아를 계지시킴으로써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엔진 커버의 개방 각도(도어 개방 각도)를 반드시 충분 히 큰 각도로 설정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최근의 도로 사정에 의해 차폭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콤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의해, 구조물 커버의 폭 치수도 작게 제한되게 되어 구조물 커버에 설치하는 점검용 개구부도 필연적으로 작아져 버린다.
이로 인해, 점검용 개구부를 개폐하는 엔진 커버는 그 개방 각도(도어 개방 각도)를 충분히 큰 각도로 설정하여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지 않는 한, 구조물 커버 내의 엔진을 정비, 점검하는 면에서 엔진 커버가 방해되는 경우가 있어 유지 보수시의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의 다른 측에 설치한 계지부에 대해 슬라이드 바아를 수작업으로 계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작업에 수고를 필요로 해 운전자의 부담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운전자는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할 때에 한쪽 손으로 엔진 커버를 개방하면서, 다른 쪽 손으로 슬라이드 바아를 파지하여 슬라이드 레일의 계지부에 수작업으로 계지시킬 필요가 있어, 한쪽 손의 조작으로는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쪽 손만의 조작으로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부담을 확실하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때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구조물 커버 내에 수용한 엔진 등의 정비, 점검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장치가 설치된 차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프레임 상에 기립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기계실을 구획하여 상부에 상기 엔진을 점검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된 구조물 커버와, 상기 구조물 커버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 커버 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엔진 커버와, 상기 구조물 커버와 엔진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 커버를 상향으로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개방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1의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도어 개방 유지 수단을 기단부측이 상기 구조물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측이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조작에 추종하여 원호형의 이동 궤적을 그리도록 기복되는 스테이와, 상기 엔진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가이드하는 스테이 가이드로 구성하고, 상기 스테이 가이드는 상기 엔진 커버를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개방할 때에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상기 엔진 커버의 개방각에 따라서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다 른 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가이드하는 직선 형상 가이드부와,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에 V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엔진 커버의 개방각이 최대가 되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가이드하여 상기 엔진 커버의 자중에 의해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V자 형상 가이드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는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상기 엔진 커버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그리는 상기 이동 궤적에 따라 굴곡하여 연장된 제1 굴곡부와, 상기 제1 굴곡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궤적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상기 엔진 커버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되는 제2 굴곡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진 커버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되었을 때에 자중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엔진 커버의 무게 중심을 상기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작업 기계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1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은 작업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로, 상기 유압 셔블(1)은 도1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예를 들어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기 위해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부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작업 기계의 차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 캡(6), 카운터웨이트(7), 구조물 커버(8), 엔진(10) 및 엔진 커버(1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의 차폭은 도2 중에 도시하는 치수(W)로 설정되고, 후술하는 구조물 커버(8)는 이 치수(W)의 범위로 작고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부호 5는 상부 선회체(3)의 지지 구조체(프레임)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으로, 상기 선회 프레임(5)은 그 전방측에 작업 장치(4)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측에는 후술하는 카운터웨이트(7)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6은 선회 프레임(5)의 전방부 좌측에 배치된 운전자의 탑승부가 되는 캡으로, 상기 캡(6)은 그 내부에 운전실을 구획하고,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석, 조작 레버, 조작 페달(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치되어 있다.
부호 7은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카운터웨이트로, 상기 카운터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전방측의 작업 장치(4)에 대해 상부 선회체(3)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다. 또한, 카운터웨이트(7)의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엔진(10) 등을 수용하는 구조물 커버(8)가 설 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웨이트(7)의 상면(7A)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부 커버(8B)와 거의 동일면 상(높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부호 8은 캡(6)과 카운터웨이트(7)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기립 설치된 구조물 커버로, 상기 구조물 커버(8)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금속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기계실을 구획하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물 커버(8)는 선회 프레임(5)의 좌우 양측에 기립 설치된 사이드 커버(8A, 8A)와, 상기 각 사이드 커버(8A)의 상부측에 설치된 상부 커버(8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9는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에 설치된 점검구가 되는 개구부로, 상기 개구부(9)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후술하는 엔진(10) 등을 상방으로부터 점검하거나 할 때에 엔진 커버(14)를 거쳐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9)는 카운터웨이트(7)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부 커버(8B)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 형상 각 구멍(angled hole)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부(9)는 상부 커버(8B)의 중앙 위치에 대해 좌우 방향의 일측(도4 중 좌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고, 후술하는 엔진(10) 중 열교환기(11) 및 냉각 팬(12) 등의 정비, 점검을 상방으로부터 유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9)는 후술하는 엔진 커버(14)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이는 것이다.
부호 10은 카운터웨이트(7) 부근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설치된 원동기로서의 엔진으로, 상기 엔진(10)은 예를 들어 도2 및 도4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커버(8) 내(기계실)에 횡치 상태로 수용되고, 구조물 커버(8) 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0)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1)와 냉각 팬(12) 등이 설치되고, 엔진(10)의 다른 측에는 복수대의 유압 펌프(13) 등이 배치되는 것이다.
부호 14는 구조물 커버(8)의 개구부(9)를 개폐하는 엔진 커버로, 상기 엔진 커버(14)는 도2 내지 도6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상측의 덮개 판부(14A)와, 상기 덮개 판부(14A)의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확대 개방되어 연장된 좌측 판부(14B), 우측 판부(14C)와, 덮개 판부(14A)의 전후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확대 개방되어 연장된 전방 판부(14D), 후방 판부(14E)에 의해 사각 형상을 이루는 비교적 편평(깊이가 얕은)한 커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 커버(14)의 좌측 판부(14B)는 그 하측 부위가 후술하는 힌지(16)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커버(8)[상부 커버(8B)]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커버(14)는 힌지(16)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개폐되고, 이 때에 우측 판부(14C)는 자유 단부가 되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기복된다.
또한, 엔진 커버(14)를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하였을 때에는, 좌측 판부(14B), 우측 판부(14C) 및 전방 판부(14D) 등이 상부 커버(8B)의 상면에 후술하는 밀봉 부재(17) 등을 거쳐서 접촉하고, 후방 판부(14E)는 카운터웨이트(7) 의 상면(7A)에 밀봉 부재(17) 등을 거쳐서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어 폐쇄 상태의 엔진 커버(14)는 예를 들어 빗물, 더스트 등의 이물질이 상부 커버(8B)의 개구부(9)로부터 구조물 커버(8)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 커버(14)는 구조물 커버(8)의 개구부(9)를 개폐하기 위해 상부 커버(8B)의 좌우 방향 일측(도2 내지 도4 중 좌측)에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14)의 길이(좌우 방향의 치수)는 도2 중 차폭[치수(W)]에 비교하여, 예를 들어 1/3 내지 1/2 정도까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커버(14)는 중량이 경감되고,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하는 운전자는 후술하는 손잡이(18)를 잡고 엔진 커버(14)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엔진 커버(14)의 우측 판부(14C)에는 상부 커버(8B) 사이에 로크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고, 이 로크 기구는 엔진(14)에서 구조물 커버(8)의 개구부(9)를 폐쇄하였을 때에 엔진 커버(14)를 도어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서 로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엔진 커버(14)의 덮개 판부(14A)와 전방 판부(14D) 사이에는 후술하는 스테이 가이드(27)가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조작할 때에는, 후술하는 스테이(22)를 스테이 가이드(27)의 가이드 구멍(28)에 따라 미끄럼 이동 변위시킴으로써 엔진 커버(14)는 스테이(22)를 거쳐서 도6에 도시한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한 후에, 그 자중(Wg)에 의해 도8에 도시한 도어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엔진 커버(14)의 무게 중심(G)(무게 중심 위치)은 도6 및 도7에 예시 하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개방각(θ1)의 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이동 궤적(25)보다도 약간 외측이 되는 위치이고, 또한 가이드 구멍(28)의 V자 형상 가이드부(28B)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무게 중심(G)에는 엔진 커버(14)의 자중(Wg)이 작용하고, 이 자중(Wg)은 도7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성분(Wg1)과 횡방향 성분(Wg2)의 2축 방향의 성분으로 분해된다. 이로 인해, 엔진 커버(14)는 자중(Wg)의 횡방향 성분(Wg2)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의 힘을 받는 것이다.
부호 15는 엔진 커버(14)의 좌측 판부(14B)에 힌지(16)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판으로, 상기 설치판(15)은 예를 들어 금속 박판을 대략 역ㄷ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엔진 커버(14)의 좌측 판부(14B)(내측면)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판(15)은 엔진 커버(14)의 좌측 판부(14B)를 내측으로부터 보강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힌지(16)를 좌측 판부(14B)에 대해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부호 16은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에 엔진 커버(14)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 이들 힌지(16)는 예를 들어 경첩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16)는 도2 내지 도6,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와 엔진 커버(14)의 설치판(1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엔진 커버(14)를 개폐할 때의 지지점(회전 중심)을 구성하는 것이다.
부호 17은 엔진 커버(14)의 하면측에 설치된 밀봉 부재로, 상기 밀봉 부 재(17)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14)의 하면 전체[좌측 판부(14B), 우측 판부(14C), 전방 판부(14D) 및 후방 판부(14E)의 하면]에 설치되고, 개구부(9)의 주위에 위치하는 상부 커버(8B), 카운터웨이트(7)의 상면(7A)과 엔진 커버(14)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다.
부호 18은 엔진 커버(14)의 덮개 판부(14A)에 고정하여 설치한 손잡이로, 상기 손잡이(18)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14)의 우측 판부(14C)에 가까운 위치에서 덮개 판부(14A)의 중앙부(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보수 작업 등을 행하는 운전자는 손잡이(18)를 한쪽 손으로 파지하면서 엔진 커버(14)를, 힌지(16)를 회전 지지점으로서 들어올림으로써 도어 개방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부호 19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 커버(8)의 우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작동 유압 탱크로, 상기 작동유 탱크(19)는 상기 유압 펌프(13)의 흡입측에 접속되는 동시에, 유압 작동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복귀 오일이 환류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유 탱크(19) 전방측에는 상기 엔진(1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21은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한 도어 개방 유지 수단으로서의 도어 개방 유지 기구로, 이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는 도4 내지 도10에 도시한 후술하는 스테이(22)와 스테이 가이드(27) 등으로 구성되고, 엔진 커버(14)를 도8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어 개방 유지 위치로 로크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테이(22) 및 스테이 가이드(27)로 이루어지는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는 엔진 커버(14)의 전방 판부(14D)측에 위치하여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와 엔진 커버(14)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22는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로, 상기 스테이(22)는 예를 들어 강철 막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 부재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22)의 기단부측에는 피봇 부착부(23)가 설치되고, 이 피봇 부착부(23)는 후술하는 브래킷(26)에 빠짐 방지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스테이(22)의 자유 단부가 되는 선단부측에는 후술하는 스테이 가이드(27)의 가이드 구멍(28)에 따라 미끄럼 이동(슬라이드 이동)하는 단차식 롤러(2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22)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반경(R)에 대응한 유효 길이를 갖고, 피봇 부착부(2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은 도5, 도6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14)를 개폐 조작할 때에, 이에 추종하여 반경(R)의 원호 형상을 이루는 이동 궤적(25)을 그리도록 상하로 기복되는 것이다.
부호 26은 스테이(22)의 기단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으로, 상기 브래킷(26)은 개구부(9)의 주위(전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여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6)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14)를 도어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후술하는 스테이 가이드(27)보다도 힌지(16)에 가까운 좌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6)은 스테이(22)의 피봇 부착부(23)가 힌지(16)로부터 미리 정해진 치수(L)만큼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 커버(14)를 도8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는, 스테이(22)가 정립(正立) 위치[브래킷(26)의 상방 위치]를 넘어 힌지(16)측으로 역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은 후술하는 제2 굴곡부(28B2)에 대해 자중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부호 27은 엔진 커버(14)의 전방 판부(14D)측에 설치되는 스테이 가이드로, 상기 스테이 가이드(27)는 예를 들어 강판 등의 금속 판재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엔진 커버(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판부(27A)와 수직판부(27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 가이드(27)의 수직판부(27B)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구멍(28)이 길게 연장되도록 뚫어 설치되고, 수직판부(27B)의 상단부측에는 차양형을 이루는 절곡부(27C, 27D)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굽힘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 가이드(27)는 엔진 커버(14)의 덮개 판부(14A)와 전방 판부(14D)와의 사이에 양자의 코너측을 덮도록 설치된다. 즉, 스테이 가이드(27)는 수평 판부(27A)의 단부 모서리부가 엔진 커버(14)의 전방 판부(14D)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접합되고, 수평 판부(27A)의 하면은 전방 판부(14D)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동일면)에 배치된다. 또한, 스테이 가이드(27)의 수직 판부(27B)는 절곡부(27C, 27D)가 덮개 판부(14A)의 내측면(하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스테이 가이드(27)는 전방 판부(14D)에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엔진 커버(14) 내에 고착된다. 그리고, 스테이 가이드(27)는 엔진 커버(14)의 길이 방향(차량의 좌우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우측면부(14C)를 향해 연장되도록 엔진 커버(14)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부호 28은 스테이 가이드(27)의 수직판부(27B)에 설치된 긴 가이드 구멍으로, 상기 가이드 구멍(28)은 스테이 가이드(27)의 판 두께 방향으로 뚫어 설치되고, 스테이 가이드(27)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을 향해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28)은 스테이(22)의 단차식 롤러(24)에 거의 대응한 폭 치수를 갖고,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을 가이드 구멍(28)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활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구멍(28)은 엔진 커버(14)를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개방할 때에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엔진 커버(14)의 개방각에 따라서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가이드하므로, 스테이 가이드(27)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긴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와,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다른 측에 위치하여 V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V자 형상 가이드부(28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V자 형상 가이드부(28B)는 엔진 커버(14)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가이드하여 엔진 커버(14)의 자중(Wg)[횡방향 성분(Wg2)]에 의해 스테이(22)를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것이다.
즉, 스테이 가이드(27)의 가이드 구멍(28)에 설치한 V자 형상 가이드부(28B)는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엔진 커버(14)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가이드하기 위해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이 그리는 이동 궤적(25)에 따라 굴곡하여 연장된 제1 굴곡부(28B1)와, 상기 제1 굴곡부(28B1)의 선단부로부터 이동 궤적(25)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엔진 커버(14)의 자중(Wg)에 의해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이 로크 상태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굴곡부(28B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V자 형상 가이드부(28B)를 구성하는 제1 굴곡부(28B1)는 도11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에 대해 둔각이 되는 각도(α)(예를 들어 130 내지 140도)만큼 대략「く」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굴곡부(28B2)는 제1 굴곡부(28B1)에 대해 대략 직각이 되는 각도(β)(예를 들어, 85 내지 95도)만큼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굴곡부(28B1)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14)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개방각(θ1)의 위치]까지 개방할 때에,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반경(R)의 이동 궤적(25)에 따라 원활하게 안내하고,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각도[개방각(θ1)]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는, 이 이상으로 스테이(2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1 굴곡부(28B1)의 단부에서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제2 굴곡부(28B2)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부(28B1)의 단부로부터 대략 V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굴곡부(28B1)에 대해 이동 궤적(2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굴곡부(28B2)는 엔진 커버(14)를 도6, 도7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개방각(θ1)의 위치]까지 개방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엔진 커버(14)로부터 손을 떼면(도어 개방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엔진 커버(14)가 자중(Wg)[횡방향 성분(Wg2)]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굴곡부(28B2) 내로 유도하는 것으로부터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이드 구멍(28)의 V자 형상 가이드부(28B)는 엔진 커버(14)를 도6 및 도7에 예시한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개방각(θ1)의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 엔진 커버(14)의 무게 중심(G)(무게 중심 위치)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제1 굴곡부(28B1)로부터 제2 굴곡부(28B2)에 자중에 의해 걸어 고정하였을 때에 이 걸림 고정 상태(로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구멍(28)에는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도중 위치에 대경의 롤러 삽통부(28C)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22)의 선단부측에 설치한 단차식 롤러(24)(도10 참조)를 가이드 구멍(28) 내에 미끄럼 이동(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때에는, 단차식 롤러(24)가 롤러 삽통부(28C)를 거쳐서 삽통되고, 이에 의해 단차식 롤러(24)는 가이드 구멍(28)에 대해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즉,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를 조립할(또는 분해할) 때에는, 단차식 롤 러(24)를 롤러 삽통부(28C)의 위치에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단차식 롤러(24)를 롤러 삽통부(28C) 내에 삽통[또는, 롤러 삽통부(28C) 내로부터 발출하거나] 하여, 가이드 구멍(28)에 대한 단차식 롤러(24)의 조립 부착(제거)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유압 셔블(1)의 캡(6) 내에 올라탄 운전자가 시동 스위치를 조작하고, 구조물 커버(8) 내의 엔진(10)을 기동하면 상기 엔진(10)에 의해 유압 펌프(13) 등이 구동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캡(6) 내의 조작 레버 등을 적절하게 경동(傾動) 조작함으로써, 유압 펌프(13)로부터의 압유가 작업 장치(4)의 각 유압 실린더, 선회용 유압 모터, 또는 하부 주행체(2)의 주행용 유압 모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급배되어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물 커버(8) 내에 설치한 엔진(10), 열교환기(11) 및 냉각 팬(12) 등의 보수 및 점검을 행할 때에는, 운전자가 손잡이(18)를 한쪽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 엔진 커버(14)를 한쪽 손만의 조작으로 힌지(16)를 회전 지지점으로서 상방으로 개방하면서,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에 의해 도8 및 도9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개방각(θ2)의 도어 개방 유지 위치로 로크(걸림 고정)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한쪽 손만의 조작으로 엔진 커버(14)를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개방할 때에,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이 스테이 가이드(27)에 마련한 가이드 구멍(28) 중,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가이드되고, 스테이(22)는 도5 내지 도9 중에 도시하는 반경(R)의 이동 궤적(25)에 따라 기복 동작한다.
그리고,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조작을 또한 계속하면,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이 가이드 구멍(28)[V자 형상 가이드부(28B)]의 제1 굴곡부(28B1)에 도달하고, 도6 및 도7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제1 굴곡부(28B1)에 의해 이동 궤적(25)에 따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각도가 개방각(θ1)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가 되었을 때에는, 이 이상으로 스테이(2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1 굴곡부(28B1)의 단부에서 규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상태(도6 및 도7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최대 도어 개방 위치)에서, 운전자가 엔진 커버(14)[손잡이(18)]로부터 손을 떼도록 도어 개방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엔진 커버(14)가 자중(Wg)[횡방향 성분(Wg2)]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이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곡부(28B1)로부터 제2 굴곡부(28B2) 내로 유도되어,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자동적으로 제2 굴곡부(28B2) 내에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엔진 커버(14)를 도6 및 도7에 예시한 최대 도어 개방 위치[개방각(θ1)의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 엔진 커버(14)의 무게 중심(G)을 이동 궤적(25)보다도 약간 외측이 되는 위치이고, 또한 가이드 구멍(28)의 V자 형상 가이드부(28B)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테이(22)의 선단부측[단차식 롤러(24)]을 제1 굴곡부(28B1)로부터 제2 굴곡부(28B2)에 자중에 의해 걸어 고정하였 때에, 이 걸림 고정 상태(로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상태(로크 상태)가 실수로 해제되는 등의 문제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개방 조작을 행할 때에 엔진 커버(14)는 개방각(θ1)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로부터 개방각(θ2)의 도어 개방 유지 위치까지 각도[Δθ(Δθ=θ1-θ2)]만큼 약간 복귀된다. 그러나, 이 각도(Δθ)를, 예를 들어 2 내지 3도의 작은 각도로 억제할 수 있고, 도어 개방 유지 위치에서의 개방각(θ2)을, 예를 들어 74 내지 75도가 되는 큰 도어 개방 각도로 설정하여 큰 개방각(θ2)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22) 및 스테이 가이드(27)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를 이용하여 엔진 커버(14)를 도4 중에 2점 차선으로 나타내는 도어 개방 유지 위치로 로크함으로써, 상부 커버(8B)에 설치한 개구부(9)를 외부로 크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개구부(9)를 점검창으로서 이용하여, 구조물 커버(8) 내의 엔진(10), 열교환기(11) 및 냉각 팬(12) 등에 대해 유지 보수(보수,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열교환기(11)의 라디에이터에 이용하는 방진 네트의 탈착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엔진 커버(14)를 크게 도어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유지 위치에서의 개방각(θ2)을 큰 도어 개방 각도(예를 들어, 74 내지 75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엔진 커버(14)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 행하는 정비, 점검(유지 보수) 작업을 안심하고 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에 수반되는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성 및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 보수 작업의 종료 후에 엔진 커버(14)를 도8에 도시한 도어 개방 유지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방향으로 복귀시킬 때에는, 운전자가 한쪽 손으로 엔진 커버(14)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를 향해 약간 들어올림으로써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가이드 구멍(28)의 제2 굴곡부(28B2)로부터 제1 굴곡부(28B1)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에 운전자는 다른 쪽 손으로 스테이(22)를 파지하고,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제1 굴곡부(28B1)로부터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를 향해 강제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스테이(22)의 걸림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일측으로 미끄럼 변위시킴으로써 엔진 커버(14)를 도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어 폐쇄 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 개방 유지 기구(21)의 스테이 가이드(27)에 긴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와 V자 형상 가이드부(28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구멍(28)을 마련하고, 이 V자 형상 가이드부(28B)는 그 제1 굴곡부(28B1)가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이 그리는 원호 형상의 이동 궤적(25)에 따라 절곡되도록 굴곡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조작할 때에 그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개방각(θ1)의 위치]까지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이동 궤적(25)에 따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는 이 이상으로 스테이(2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1 굴곡부(28B1)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14)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한 후에는, 운전자가 엔진 커버(14)의 손잡이(18)로부터 손을 떼어도, 엔진 커버(14)가 자중(Wg)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함으로써 스테이(22)의 선단부측을 스테이 가이드(27)[V자 모양 가이드부(28B)]의 제2 굴곡부(28B2)에 걸어 고정할 수 있어, 스테이(22)의 움직임을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상태[개방각(θ2)의 위치]에 걸어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엔진 커버(14)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운전자는 한쪽 손만의 조작에 의해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도어 개방 조작을 행하는 운전자의 부담을 확실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 가이드(27)의 가이드 구멍(28)에 V자 형상 가이드부(28B)[제1 및 제2 굴곡부(28B1, 28B2)]를 설치함으로써, 엔진 커버(14)를 도어 개방 상태로 보유 유지할 때의 개방각(θ2)을, 예를 들어 75도에 가까운 각도까지 크게 할 수 있어, 구조물 커버(8) 내에 수용한 엔진(10) 등의 정비, 점검(유지 보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직선 형상 가이드부(28A)와 V자 형상 가이드부(28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구멍(28)을 스테이 가이드(27)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가이드 구멍 대신에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내 홈,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돌기부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조물 커버(8)의 상부 커버(8B) 상에서 엔진 커버(14)를 개폐할 때에, 그 도어 개방 방향을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량 전후가 되는 방향에서 엔진 커버를 상향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포크 리프트 등의 건설 기계 또는 운반 기계 등과 같이, 구조물 커버의 상부에 설치한 점검용 개구부를 엔진 커버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다양한 작업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방 유지 수단의 스테이 가이드에 긴 직선 형상 가이드부와 V자 형상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이 중 V자 형상 가이드부는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이 되는 위치에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엔진 커버의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도어 개 방 각도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는 이 이상으로 스테이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한 후에 운전자가 엔진 커버로부터 손을 떼면 상기 엔진 커버가 자중으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V자 형상 가이드부의 단부에 계지할 수 있어 스테이의 움직임을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걸어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커버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운전자는 한쪽 손만의 조작으로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부담을 확실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 가이드에 직선 형상 가이드부와 V자 형상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할 때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구조물 커버 내에 수용한 엔진 등의 정비, 점검(유지 보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유지 보수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 가이드에 설치한 V자 형상 가이드부를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그리는 이동 궤적에 따라 굴곡하여 연장된 제1 굴곡부와, 상기 제1 굴곡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궤적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엔진 커버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되는 제2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V자 형상 가이드부는 제1 굴곡부에 의해 엔진 커버의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이동 궤적에 따라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는 이 이상으로 스테이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1 굴곡부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한 후에 운전자가 엔진 커버로부터 손을 떼면, 상기 엔진 커버가 자중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V자 형상 가이드부의 제2 굴곡부에 걸어 고정하여, 스테이의 움직임을 로크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때에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걸어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폐쇄할 때에는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제2 굴곡부로부터 제1 굴곡부로 원활하게 이동시켜 걸림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제1 굴곡부로부터 직선 형상 가이드부를 향해 미끄럼 이동 변위시켜 엔진 커버를 도어 폐쇄 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엔진 커버를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 그 무게 중심 위치가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에 자중에 의해 걸어 고정하였을 때에 이 걸림 고정 상태(로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엔진 커버의 도어 개방 상태(로크 상태)가 실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엔진 커버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 행하는 엔진 등의 정비, 점검(유지 보수) 작업을 안심하고 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에 수반하는 운전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작업성 및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작업 장치가 설치된 차체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프레임 상에 기립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기계실을 구획하여 상부에 개구부가 설치된 구조물 커버와, 상기 구조물 커버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물 커버 상에, 기단부측이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자유 단부측이 상하로 기복되어 도어 개방 방향으로서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측의 덮개판부, 상기 덮개판부의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하향으로 연장된 좌측판부, 우측판부 및 상기 덮개판부의 전후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하향으로 연장된 전방판부, 후방판부로 이루어지는 엔진 커버와, 상기 구조물 커버와 엔진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 커버를 상향으로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엔진 커버를 도어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개방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유지 수단은 기단부측이 상기 구조물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부측이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조작에 추종하여 원호형의 이동 궤적을 그리도록 기복되는 스테이와, 상기 덮개판부, 상기 좌측판부, 상기 우측판부 및 상기 전방판부, 상기 후방판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엔진 커버 내에서, 상기 도어 개방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자유 단부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엔진 커버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가이드하는 스테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 가이드는 상기 엔진 커버를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개방할 때에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상기 엔진 커버의 개방각에 따라서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직선 형상으로 가이드하는 직선 형상 가이드부와,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에 V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엔진 커버의 개방각이 최대가 되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가이드하여 상기 엔진 커버의 자중에 의해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하는 V자 형상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는,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을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상기 엔진 커버의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직선 형상 가이드부의 다른 측 위치로부터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그리는 상기 원호 형상의 이동 궤적을 따라 굴곡하여 연장된 제1 굴곡부와, 상기 제1 굴곡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궤적의 직경 방향 외향으로 굴곡하여 상기 엔진 커버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테이의 선단부측이 로크 상태로 걸어 고정되는 제2 굴곡부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가이드는, 그 하면이 상기 엔진 커버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커버는 최대 도어 개방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 자중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엔진 커버의 무게 중심을, 상기 힌지의 회전 중심보다도 상기 스테이의 기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 가이드의 V자 형상 가이드부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기계.
KR1020060073149A 2005-09-05 2006-08-03 작업 기계 KR101059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6766A JP4625384B2 (ja) 2005-09-05 2005-09-05 作業機械
JPJP-P-2005-00256766 2005-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96A KR20070025996A (ko) 2007-03-08
KR101059303B1 true KR101059303B1 (ko) 2011-08-24

Family

ID=3793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49A KR101059303B1 (ko) 2005-09-05 2006-08-03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25384B2 (ko)
KR (1) KR101059303B1 (ko)
CN (1) CN1011398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1308B (zh) * 2005-12-22 2012-08-29 卡巴吉尔根股份公司 滑动门
KR101322106B1 (ko) 2007-08-02 2013-10-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차량의 엔진룸 개폐장치
JP5332587B2 (ja) * 2008-12-17 2013-11-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366842B2 (ja) * 2010-01-26 2013-12-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の開閉構造
JP5437130B2 (ja) * 2010-03-25 2014-03-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フード保持装置
JP5608411B2 (ja) * 2010-04-26 2014-10-15 Ihi建機株式会社 カバーの開閉機構
JP5404660B2 (ja) * 2011-01-14 2014-02-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10805B2 (ja) * 2011-09-30 2015-11-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03889828B (zh) * 2011-10-25 2016-08-17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用于开启和关闭施工机械发动机罩的装置
CN103587588B (zh) * 2012-08-13 2016-03-1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舱盖的支撑结构
JP5873778B2 (ja) * 2012-08-24 2016-03-0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02900123A (zh) * 2012-10-12 2013-01-30 中外合资沃得重工(中国)有限公司 机身护罩限位装置
KR101739308B1 (ko) * 2013-02-15 2017-05-2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셔블
JP6196890B2 (ja) * 2013-11-21 2017-09-1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蓋部材開閉機構及び基板検査装置
CN103669455B (zh) * 2013-11-28 2016-02-10 三一重机有限公司 机顶罩支撑结构及挖掘机
JP5920369B2 (ja) * 2014-01-17 2016-05-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ボンネット
JP5949794B2 (ja) * 2014-01-17 2016-07-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ツールボックス
KR200476161Y1 (ko) * 2014-05-15 2015-02-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JP6440455B2 (ja) * 2014-10-30 2018-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転圧機械のフード開閉機構
JP6732423B2 (ja) * 2015-09-30 2020-07-29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07176211B (zh) * 2017-06-26 2023-09-12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自卸车甲板检修门
JP6863210B2 (ja) * 2017-09-29 2021-04-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8673468A (zh) * 2018-06-11 2018-10-19 河南百年融熥实业有限公司 一种工厂用移动式多功能机械手臂
CN112989498B (zh) * 2021-04-22 2021-08-10 常州市凯迪电器股份有限公司 四连杆尾门电撑杆输出力的计算方法
KR102443810B1 (ko) * 2021-06-23 2022-09-16 김용이 자동차 후드패널의 개방각도 조절용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856A (ja) * 2001-12-20 2003-07-03 Suzuki Motor Corp 開閉体のヒンジ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5371Y2 (ko) * 1972-11-28 1976-06-29
JPH03121089U (ko) * 1990-03-23 1991-12-11
JP2518458Y2 (ja) * 1991-06-13 1996-11-27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開閉体支持装置
JP2000142480A (ja) * 1998-11-18 2000-05-2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フードの開閉装置
JP2005059734A (ja) * 2003-08-12 2005-03-10 Yanmar Co Ltd トラクタ
JP2007008364A (ja) * 2005-07-01 2007-01-18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カバー開閉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856A (ja) * 2001-12-20 2003-07-03 Suzuki Motor Corp 開閉体のヒ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996A (ko) 2007-03-08
JP4625384B2 (ja) 2011-02-02
CN101139844A (zh) 2008-03-12
JP2007069673A (ja) 2007-03-22
CN101139844B (zh)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303B1 (ko) 작업 기계
JP4343900B2 (ja) 建設機械
KR101317744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후드
EP2248695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070037673A (ko) 작업 기계
CN108138462B (zh) 小型建筑机械
DE60318095T2 (de) Kombination einer hinteren tür und einer daran verschwenkbaren motorhaube
EP0971077B1 (en) Guard cover for construction machine
JP6600583B2 (ja) 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エンジンカバー取付方法
JP4875643B2 (ja) 建設機械
JP2007030602A (ja) 開閉式フードのロック解除装置
JP6352758B2 (ja) 建設機械
JP2020114963A (ja) 建設機械
JP4175985B2 (ja) ステップおよび建設機械
JP6657471B2 (ja) 建設機械
JPH11200415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WO2023162556A1 (ja) 建設機械
JP4663595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構造
JP4515847B2 (ja) 建設機械
JP2018053579A (ja) 建設機械
JPH10292429A (ja) 建設機械の手摺
JP2011012509A (ja) 建設機械
JP2009154755A (ja) 建設機械
JP2009221742A (ja) 作業機械のドア構造
JP2023180705A (ja) 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