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015B1 - 디지털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15B1
KR101058015B1 KR1020040089205A KR20040089205A KR101058015B1 KR 101058015 B1 KR101058015 B1 KR 101058015B1 KR 1020040089205 A KR1020040089205 A KR 1020040089205A KR 20040089205 A KR20040089205 A KR 20040089205A KR 101058015 B1 KR101058015 B1 KR 10105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rear body
digital camera
display unit
f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024A (ko
Inventor
김민주
한재호
남연우
고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포함하는 리어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부에 리어바디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리어바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경통측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커버하거나 경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외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프론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지털카메라는, 외부의 충격이나 비정상적인 물리적 힘 또는 오염으로부터 경통 및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보호되고, 또한 경통과 플래시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 적목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플래시로부터 방출하는 빛의 조사영역 내에 경통의 단부가 걸리지 않으므로 피사체에 조명이 고르게 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디지털카메라의 전면부의 형상을 예를 들어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디지털카메라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카메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지털카메라를 펼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지털카메라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디지털카메라 13:본체
15:슬라이딩커버 17:경통
19:렌즈 21:플래시
23:엘시디창 33:리어바디
35:경통 37:뷰파인더
41:디스플레이부 43:플래시
45:조작부 47:셔터버튼
49:전원
본 발명은 디지털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는 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현상이나 인화, 확대 과정 등이 필요 없고 정지화상뿐 아니라 동영상도 촬영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디지털카메라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촬영한 내용을 컴퓨터 메모리나 시디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또는 원하는 사람에게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가 넓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카메라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기능이나 가격에 따라 이를테면 일반 저가형으로부터 고기능의 전문가용이 있다.
한편, 카메라의 전방에 구비되며 다수 매의 렌즈가 내장되는 경통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물리력이나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특히 렌즈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기가 매우 쉽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슬라이딩식 커버를 갖는 디지털카메라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카메라의 본체 전면에 슬라이딩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커버로서,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경통측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물리적인 힘이나 충격 또는 오염으로부터 경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를 예로서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카메라(11)는, 셔터버튼(25)과, 다수의 렌즈(19)가 내장된 경통(17)과, 상기 셔터버튼(25)을 누를 때 빛을 발생하는 플래시(21)와, 엘시디창(도 2의 23) 등을 포함하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의 전면에 위치하며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경통(17)을 커버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통(17)을 개방하는 슬라이딩커버(15)를 포함한다.
상기 경통(17)은 사용자의 줌(zoom) 기능 조작에 의해 본체(13)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길어지거나 반대방향으로 귀환하여 그 선단부가 본체(13)의 전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한다.
상기 슬라이딩커버(15)는 본체(13)의 전면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직선운동하는 단순한 커버로서 외부에 대해 경통 자체나 렌즈를 보호하는 기본 기능을 갖는다. 보통 상기 슬라이딩커버(15)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중 슬라이딩커버(15)의 이동사실을 감지한 센서가 경통(17)을 본체(13) 내부로 귀환시키고, 반대로 경통(17)을 커버하던 슬라이딩커버(15)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카메라(11)는 촬영모드로 들어가며 경통(17)이 앞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또한, 상기 엘시디창(도 2의 23)은 상기 경통(17)의 내부로 잡힌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디지털카메라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카메라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커버(15)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 있고 경통(17)은 본체(13)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디지털카메라(11)는, 경통(17)과 플래시(21)의 거리(W1)가 충분하지 않아 야간촬영시 적목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플래시(21)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영역(S) 내부에 상기 경통(17)의 단부 일부가 걸려 피사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고르지 못하다는 문제도 있다. 조명분포가 불균일한 상태로 촬영한 경우 획득된 영상물의 질이 좋지 못하고 특히 카메라의 민감도를 높여 촬영했을 때에는 영상이 부분적으로 어둡게 나온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카메라(11)는 본체(13)의 뒷면에 구비되어 있는 엘시디창(23)을 보호하기 위한 아무런 보호구를 갖지 않아 엘시디창(23)이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더러워지거나 흠집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엘시디창(23)에 투명한 엘시디보호필름을 접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엘시디필름을 접착한 경우 그만큼 시인성이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비정상적인 물리적 힘 또는 오염으로부터 경통 및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보호되고, 또한 경통과 플래시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 적목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플래시로부터 방출하는 빛의 조사영역 내에 경통의 단부가 걸리지 않으므로 피사체에 조명이 고르게 도달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포함하는 리어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부에 리어바디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리어바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경통측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커버하거나 경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외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프론트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프론트바디가 리어바디의 경통을 커버할 때 리어바디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론트바디에는 카메라의 사용시 빛을 발생하는 플래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바디는 리어바디에 면접촉한 상태로 리어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이고, 상기 리어바디에는 전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31)는, 리어바디(33)와 프론트바디(39)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9)는 리어바디(33)의 전방에서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다.
상기 리어바디(33)에 대해 프론트바디(39)를 상대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리어바디(33) 및 프론트바디(39)의 일측에는 직선형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기(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 홈과 돌기를 통한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디지털카메라에서의 본체(13)에 대한 슬라이딩커버(15)의 운동 메커니즘과 동일하다.
상기 리어바디(33) 및 프론트바디(39)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통상의 커넥팅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운동체간의 케이블에 의한 인터페이싱 방식은 공지의 슬라이딩식 휴대폰과 동일하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하튼 상기 리어바디(33)의 내부에는 전원(49)이 수납되고 전면에는 경통(35)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49)은 디지털카메라에 사용하는 통상의 배터리로서 디지털카메라(31)의 모든 동작을 위한 전기를 발생한다. 도면부호 37은 뷰파인더이다. 아울러 예컨대 상기 경통(35)의 줌 기능을 조절하는 조절스위치(미도시)나 전원스위치 등을 리어바디(33)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바디(39)에는 디스플레이부(41)와 조작부(45)와 플래시(43)와 셔터버튼(47) 등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1)는 상기 경통(35)의 렌즈가 잡은 피사체의 형상을 나 타내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소자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41)는 프론트바디(39)의 후면에 위치하여 프론트바디(39)를 리어바디(33)에 대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 리어바디(33)에 의해 커버되므로 그만큼 안전하다.
상기 조작부(45)는 디스플레이부(41)에 나타난 영상을 조절하거나 확대하거나 하는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그 세부구성 및 기능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래시(43) 및 셔터버튼(47)은 일반적인 플래시와 셔터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지털카메라를 펼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바디(39)가 리어바디(33)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여 있고 경통(35)은 전방으로 빠져나와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1)도 사용자가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바디(39)가 화살표 C방향으로 직선이동함에 따라 플래시(43)는 경통(35)으로부터 더욱 멀어져 플래시(43)와 경통(35)의 이격거리(W2)가 충분히 넓다. 여기서 충분히 넓다는 의미는 플래시(43)의 조사영역(S)의 내부에 경통(35)의 단부가 걸리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플래시(43)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피사체에 고르게 도달하여 사진이 부분적으로 어둡게 나오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한 상태로 사진을 촬영 후 디지털카메라(31)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프론트바디(39)를 화살표 C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닫는다. 프론트바디(39)를 화살표 C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프론트바디의 슬라이딩 이동 사실을 감지한 센서(미도시)가 경통(35)을 리어바디(33)의 내부로 당겨 프론트바디(39)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메카니즘 자체는 종래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공지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지털카메라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어바디(33)와 프론트바디(39)가 완전히 포개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바디(33)의 전면에 프론트바디(39)의 후면이 상호 대향위치함에 따라 경통(35)은 프론트바디(39)에 의해 보호되고 디스플레이부(41)는 리어바디(33)에 의해 보호된다.
이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카메라(31)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프론트바디(39)를 화살표 C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디지털카메라는, 외부의 충격이나 비정상적인 물리적 힘 또는 오염으로부터 경통 및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보호되고, 또한 경통과 플래시의 거리가 충분히 멀어 적목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플래시로부터 방출하는 빛의 조사영역 내에 경통의 단부가 걸리지 않으므로 피사체에 조명이 고르게 도달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렌즈를 구비한 경통을 포함하는 리어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부에 리어바디에 대해 상대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리어바디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상기 경통측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커버하거나 경통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통을 외부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어바디의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프론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론트바디가 상기 리어바디의 경통을 커버할 때 상기 리어바디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바디에는 카메라의 사용시 빛을 발생하는 플래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바디는 상기 리어바디에 면접촉한 상태로 상기 리어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바디에는 전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카메라.
KR1020040089205A 2004-11-04 2004-11-04 디지털카메라 KR10105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205A KR101058015B1 (ko) 2004-11-04 2004-11-04 디지털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205A KR101058015B1 (ko) 2004-11-04 2004-11-04 디지털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024A KR20060040024A (ko) 2006-05-10
KR101058015B1 true KR101058015B1 (ko) 2011-08-19

Family

ID=3714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205A KR101058015B1 (ko) 2004-11-04 2004-11-04 디지털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744A (ko) * 2006-08-09 2006-09-01 임종훈 슬라이드형 디지털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928A (ja) * 1997-08-20 1999-03-05 Hitachi Ltd ディジタルメモリ付きカメラ
JPH11160775A (ja) 1997-11-28 1999-06-18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
JPH11282061A (ja) 1998-03-30 1999-10-15 Minolta Co Ltd 移動発光装置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928A (ja) * 1997-08-20 1999-03-05 Hitachi Ltd ディジタルメモリ付きカメラ
JPH11160775A (ja) 1997-11-28 1999-06-18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
JPH11282061A (ja) 1998-03-30 1999-10-15 Minolta Co Ltd 移動発光装置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024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7571A (en) Compact camera with flash unit
TW200815891A (en) Imaging device and light shielding member
JP6852098B2 (ja) 撮像装置
JP2020056941A5 (ko)
JP2019071517A (ja) 撮像装置
US998983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058015B1 (ko) 디지털카메라
TW200409960A (en) An optical unit and an imaging apparatus
JP2009212700A (ja) 撮像装置の表示装置用カバー及び撮像装置
JP2007140012A (ja) 電子機器
US3941464A (en) Miniature motion picture camera
JPH11149105A (ja) 撮影機器の遮光カバー装置
WO2022196047A1 (ja) ファインダー及び撮像装置
JP2017003630A (ja) 撮像装置
CN201174018Y (zh) 交换镜头相机机身防抖组件
KR100252162B1 (ko) 비디오 카메라
US7020392B2 (en) Finder housing
JP2014036319A (ja) 電子機器
JPH1031248A (ja) カメラ
JP3940966B2 (ja) カメラ
JPH08220615A (ja) カメラ
JP3963362B2 (ja) カメラ
JP2004029108A (ja) カメラ
JP2001343682A (ja) 外装カバーを備えた機器
JP2006330415A (ja) デジタル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