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687B1 -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방법 및 노광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방법 및 노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687B1
KR101057687B1 KR1020070094707A KR20070094707A KR101057687B1 KR 101057687 B1 KR101057687 B1 KR 101057687B1 KR 1020070094707 A KR1020070094707 A KR 1020070094707A KR 20070094707 A KR20070094707 A KR 20070094707A KR 101057687 B1 KR101057687 B1 KR 10105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posure
protrusion
holde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173A (ko
Inventor
사토시 호노베
도모카즈 구리타
시게루 다나카
준이치 오자와
다로 미츠이
유키히로 이치키
도시유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54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ED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7Light-emitting array or panel
    • G03G2215/0409Light-emitting diodes, i.e. LED-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광 장치를 상(像) 유지체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축의 방향인 제 1 방향(Z방향)과,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Y방향)과,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X방향)에서의 어느 복수의 방향에 관해서, LPH(14)로부터 돌출된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를 복수 개소에서 맞닿게 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2)에 대한 LPH(14)의 위치를 정하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R1020070094707
화상 형성 유닛, LED 프린트 헤드, LED 어레이, 로드 렌즈 어레이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 방법 및 노광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IMAGE HOLDER, IMAGE FORMING METHOD, AND EXPOS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像)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 방법 및 노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 등의 상 유지체 위를 노광하는 노광 장치로서,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라인 형상으로 배열한 발광 소자 어레이를 사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노광 장치에 있어서, 감광 드럼(64)과의 대면 거리를 결상(結像)계 렌즈 어레이(20)의 감광체 대향면을 기준면으로 한 충돌부를 갖는 충돌 부재(22)에 의해 감광 드럼(64)과의 위치 설정을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7-195734호 공보(제 3-4 페이지)
본 발명은 제 2 위치 결정 수단과 노광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 유지체의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의 휨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를 갖는 노광 부재와, 상기 노광부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노광 부재와 상기 상 유지체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 1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상 유지체의 축선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상기 노광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보다도 상기 노광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상기 제 1 돌출부보다도 상기 노광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측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 서 설치된 제 2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2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상기 제 1 돌출부보다도 상기 노광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측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를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3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3 돌출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당해 노광 부재를 당해 제 2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당해 제 3 돌출부의 당해 제 2 방향과 상기 제 3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하는 2개의 면이 형성된 제 3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제 3 지지부의 당해 2개의 면은, 당해 2개의 면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간격이 당해 제 1 가압 부재의 가압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또한, 당해 2개의 면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간격이 최대가 되는 개구부가 당해 제 3 돌출부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부재는,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노광 부재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서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부가 상기 제 3 지지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투사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당해 노광 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부재는,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노광 부재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당해 제 3 돌출부의 단부(端部)가 상기 제 3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당해 노광 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상 유지체를 포함하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상 유지체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부는, 당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 유지체 위에 결상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되고, 당해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광학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광학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되고, 당해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 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광학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2 돌출부보다도 상기 광학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이다.
또한,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7 기재의 노광 장치에서, 상기 광학 부재는, 열(列)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성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상 유지체 위에 결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노광 부재에 의해 노광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당해 노광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노광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2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노광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유지체 유닛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9 기재의 상 유지체 유닛에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축에 부착된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노광부를 갖는 노광 부재를 노광하는 공정 과, 상기 노광부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노광 부재와 상기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상기 노광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를 정하는 공정은, 상기 위치를 정하는 공정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에 가까운 위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 유지체 위에 결상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광학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광학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를 정하는 공정은, 상기 위치를 정하는 공정보다도 상기 광학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방법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상 유지체의 축 방향과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노광부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과 비교하여, 노광부에 대해서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위치 결정 수단과 노광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 유지체의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노광부에 의해 가까운 장소에서 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노광부의 광축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지지부를 구성하는 면의 폭을 가압력을 갖는 방향에서 좁게 구성한 경우에 4개의 접점으로써 접촉하는 것을 원인으로 하는 위치 결정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노광 부재를 광축 방향에서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2 돌출부의 단부가 제 2 지지부의 상기한 제 1 방향으로부터의 투사 영역에 위치하도록 이동을 제한하므로, 노광 부재를 재차 상 유지체에 대해서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원활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노광 부재를 광축 방향에서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2 돌출부의 단부가 제 2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을 제한하므로, 노광 부재를 재차 상 유지체에 대해서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원활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제 3 지지부가 제 2 지지부와 상 유지체의 회전축 동축 위에서 상 유지체 유닛측에 설치되고, 또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착탈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제 3 지지부와 제 2 돌출부 간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12에 의하면, 상 유지체의 축 방향과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노광부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과 비교하여, 노광부에 대해서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위치 결정 수단과 노광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 유지체의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위치 결정 수단과 소형으로 구성되어 휘기 쉬운 노광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 유지체의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 및 청구항 11에 의하면, 상 유지체의 축 방향과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노광부의 광축 방향의 위치 결정과 비교하여, 노광부에 대해서 보다 가까운 장소에서 행할 수 있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위치 결정 수단과 노광 부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 유지체의 축 방향 또는 광축 방향 및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 하여, 노광부의 광축 방향에 관한 노광 부재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는 소위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로서, 각 색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해서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10),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3)나 화상 판독 장치(4)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접속되어, 이들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35),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70)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1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 11K)(이하, 총칭하여 간단히 「화상 형성 유닛(11)」이라고도 칭함)이 구비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은, 정전 잠상(靜電潛像)을 형성하여 토너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2), 감광체 드럼(12)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帶電)하는 대전기(13), 대전기(13)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2)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노광하는 노광 장치(노광 부재)의 일례로서의 LED 프린트 헤드(LPH)(14), 감광체 드럼(12)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15),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2)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너(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1)은 현상기(15)에 수납된 토너를 제외하고,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화상 형성 유닛(11)은 각각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10)는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감광체 드럼(12)으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이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20),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각 색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20)에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시키는 1차 전사 롤(21),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전사된 중첩 토너상을 기록재(기록지)인 용지(P)에 일괄 전사(2차 전사)시키는 2차 전사 롤(22), 2차 전사된 화상을 용지(P) 위에 정착시키는 정착기(5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서는, 감광체 드럼(12)과 대전기(13)와 클리너(16)는, 상 유지체 유닛으로서의 일체화된 모듈(이하, 「감광체 모듈(MOD)」이라고 칭함)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 모듈(MOD)은 화상 형성 장치(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감광체 드럼(12)의 수명 등에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또한, 감광체 모듈(MOD)은 감광체 드럼(12)만의 구성이나, 또한, 상기 구성 요소에 더하여 현상기(15)를 일체화한 구성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수명이 다른 구성 요소에 비교해서 짧은 감광체 드럼(12)을 포함한 것이면, 어떠한 구성 요소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감광체 모듈(MOD)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모듈(MOD)과 LPH(14)를 별체로 한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또한, LPH(14)는 후단에서 설명하는 접속· 분리(리트랙트) 기구에 의해, 화상 형성시에서 설정되는 감광체 드럼(12)을 노광할 때의 소정의 위치(노광 위치)와, 예를 들면, 감광체 모듈(MOD)의 착탈시에서 설정되는 감광체 드럼(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사이에서,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10)는 제어부(30)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즉, 제어부(30)에 의한 제어 하에서, PC(3)나 화상 판독 장치(4)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35)에 의해서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도시 생략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블랙(K)의 화상 형성 유닛(11K)에서는, 감광체 드럼(12)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전기(13)에 의해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되고, 화상 처리부(35)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LPH(14)에 의해 노광된다. 그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12) 위에는, 블랙(K) 화상에 관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12)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15)에 의해 현상되고, 감광체 드럼(12) 위에는 블랙(K)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11Y, 11M, 11C)에서도, 각각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각 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은,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전사 벨트(20) 위에, 1차 전사 롤(21)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전 흡인(吸引)되어, 각 색 토너가 중첩된 합성 토너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20) 위의 합성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20)의 이동에 따라 2차 전사 롤(22)이 배치된 영역(2차 전사부(T2))으로 반송된다. 합성 토너상이 2차 전사부(T2)에 반송되면, 토너상이 2차 전사부(T2)에 반송되는 타이밍에 맞춰서 용지(P)가 용지 유지부(40)로부터 2차 전사부(T2)에 공급된다. 그리고, 2차 전사부(T2)에서 2차 전사 롤(22)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전계에 의해, 합성 토너상은 반송되어 온 용지(P) 위에 일괄하여 정전 전사된다.
그 후, 합성 토너상이 정전 전사된 용지(P)는 중간 전사 벨트(20)로부터 박리되어, 반송 가이드(23)를 통하여 정착기(50)까지 반송된다. 정착기(50)에 반송된 용지(P) 위의 합성 토너상은, 정착기(50)에 의해 열 및 압력에 의한 정착 처리를 받아 용지(P) 위에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배출부에 설치된 배지(排紙) 적재부(45)에 반송된다.
한편,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20)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2차 전사의 종료 후에 중간 전사 벨트(20) 표면으로부터 벨트 클리너(25)에 의해 제거되어, 다음 화상 형성 사이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형성 장치(1)에서의 화상 형성이 프린트 매수분의 사이클만큼 반복하여 실행된다.
다음에, 도 2는 노광 장치인 LED 프린트 헤드(LPH)(14)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에서, LPH(14)는 지지체로서의 하우징(61), 광원의 일례로서의 LED 어레이(LED)(63), LED(63)나 LED(63)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10O) 등을 탑재하는 LED 회로 기판(62), LED(63)로부터의 광을 감광체 드럼(12) 표면에 결상시키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의 로드 렌즈 어레이(64), 로 드 렌즈 어레이(64)를 지지하는 동시에 LED(63)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홀더(65), 하우징(61)을 로드 렌즈 어레이(64)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6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61)은 알루미늄, SUS 등의 금속의 블록 또는 판금으로 형성되어, LED 회로 기판(62)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홀더(65)는 하우징(61) 및 로드 렌즈 어레이(64)를 지지하고, LED(63)의 발광점과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초점면이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홀더(65)는 LED(63)를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LED(63)에 외부로부터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판 스프링(66)은 LED(63) 및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우징(61)을 통해서 LED 회로 기판(62)을 로드 렌즈 어레이(64)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LPH(14)는 조정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결상 위치(초점면)가 감광체 드럼(12) 표면상에 위치하도록 조정된다.
LED 회로 기판(62)에는, 도 3(LED 회로 기판(62)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8개의 LED칩(CHIP1∼CHIP58)으로 이루어지는 LED(63)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정밀도 좋게 라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LED칩(CHIP1∼CHIP58)에 배치된 발광 소자(LED)의 배열(LED 어레이)의 단부 경계에서, 각 LED 어레이가 LED칩끼리의 연결부에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각 LED칩은 교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LED 회로 기판(62)에는, LED(63)를 구동하는 신호(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100) 및 레벨 시프트 회로(108),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3단자 레귤레이터(101), LED(63)의 광량 보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EEPROM(102), 제어부(30) 및 화상 처리부(35)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수신이나 주 전원(7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는 하니스(harness ; 10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LED(63)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LED(63)는 신호 생성 회로(100) 및 레벨 시프트 회로(108)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즉, 신호 생성 회로(100)는 LED(63)에 배치된 LED 각각의 배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전송 신호(CK1R, CK1C) 및 전송 신호(CK2R, CK2C)와, 화상 처리부(3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LED 각각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점등 신호(φI)를 생성한다. 그리고, 전송 신호(CK1R, CK1C) 및 전송 신호(CK2R, CK2C)를 레벨 시프트 회로(108)에 출력하고, 점등 신호(φI)를 LED(63)에 출력한다.
레벨 시프트 회로(108)는 저항(R1B)과 콘덴서(C1), 및 저항(R2B)과 콘덴서(C2)가 각각 병렬로 배치된 구성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LED(63)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신호 생성 회로(10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레벨 시프트 회로(108)는 신호 생성 회로(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신호(CK1R, CK1C) 및 전송 신호(CK2R, CK2C)에 의거하여 전송 신호(CK1) 및 전송 신호(CK2)를 생성하여, LED(63)에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LED(63)는, 예를 들면, 스위치 소자로서의 128개의 사이리스터(thyristor)(S1∼S128), 발광 소자로서의 128개의 LED(L1∼L128), 128개의 다이오드(D1∼D128), 128개의 저항(R1∼R128), 나아가서는 신호 라인(φ1, φ2)에 과잉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전송 전류 제한 저항(R1A, R2A)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사이리스터(S1∼S128)의 애노드(anode) 단자(입력단)(A1∼A128)은 전원 라인(55)에 접속되고, 전원 라인(55)을 통해서 3단자 레귤레이터(101)(도 3 참조)로부터 구동 전압(VDD(VDD=+3.3V))이 공급된다.
한편, 각 사이리스터(S1∼S128)의 게이트 단자(제어단)(G1∼G128)는 각 사이리스터(S1∼S128)에 대응해서 설치된 저항(R1∼R128)을 통해서 전원 라인(56)에 각각 접속되고, 전원 라인(56)을 통해서 접지(GND)되어 있다.
또한, 홀수번째의 사이리스터(S1, S3 ,···, S127)의 캐소드 단자(출력단)(K1, K3,···, K127)에는, 신호 생성 회로(100) 및 레벨 시프트 회로(108)로부터의 전송 신호(CK1)가 전송 전류 제한 저항(R1A)을 통하여 송신된다. 짝수번째의 사이리스터(S2, S4 ,···, S128)의 캐소드 단자(출력단)(K2, K4,···, K128)에는, 신호 생성 회로(100) 및 레벨 시프트 회로(108)로부터의 전송 신호(CK2)가 전송 전류 제한 저항(R2A)을 통하여 송신된다.
게다가, LED(L1∼L128)의 캐소드 단자는 신호 생성 회로(100)에 접속되어 점등 신호(φI)가 송신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신호 생성 회로(100)는 전송 신호(CK1R, CK1C) 및 전송 신호(CK2R, CK2C)를 각각 소정의 타이밍으로 하이레벨(이하, 「H」라고 기재함)에서 로(low) 레벨(이하, 「L」이라고 기재함), 「L」에서 「H」로 설정한다. 그것 에 의해, 레벨 시프트 회로(108)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신호(CK1)의 전위를 「H」에서 「L」, 「L」에서 「H」로 반복하여 설정하고, 또한, 그것에 교대로 출력되는 전송 신호(CK2)의 전위를 「H」에서 「L」, 「L」에서 「H」로 반복하여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각 LED칩에서는, 홀수번째 사이리스터(S1, S3 ,···, S127)를 순차적으로 오프→온→오프의 전송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짝수번째의 사이리스터(S2, S4,···, S128)를 순차적으로 오프→온→오프의 전송 동작을 행하게 한다. 그것에 의해, 사이리스터(S1∼S128)를 S1→S2→,···, →S127→S128의 순번으로 순차 오프→온→오프의 전송 동작을 행하게 하고, 그것에 동기(同期)시켜서, 점등 신호(φI)를 출력한다. 그것에 의해, LED(L1∼L128)는 L1→L2→,···,→L127→L128의 순번으로 순차 점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LPH(14)에서는, LED 회로 기판(62)에 설치된 모든 LED칩(CHIP1∼CHIP58)에서, 각 LED(L1∼L128)가 L1→L2→,···,→L127→L128의 순번으로 점등되어, 감광체 드럼(12) 위에 대해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주사(走査) 노광이 행해진다.
그 경우에, LPH(14)로부터의 노광은 형성되는 화상에 경사나 왜곡 등이 생기지 않도록, 감광체 드럼(12)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LPH(14)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설치되는 경우, 감광체 드럼(12)의 축선에 대해서 고정밀도로 위치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감광체 드럼(12)(상 유지체)의 축선이란, 본 실시예의 감광체 드럼(12)과 같이 상 유지체가 원통 형상인 경우에는,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축(121)(후단의 도 5 등 참조)의 중심선이 축선 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 유지체가 벨트 형상의 감광체(벨트 감광체)로서, 벨트 감광체의 평면부에 노광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벨트 감광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노광 영역에서의 벨트 감광체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선이 축선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의 LPH(14)의 위치 결정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LPH(14)의 위치 결정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도면 좌측이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으로서, 감광체 모듈(MOD)이 착탈 조작되는 측이다. 또한, 도면 우측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으로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이 감광체 드럼(12) 등에 전달되는 측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정면측에 배치된 부재의 번호에는 말미에 「F」를 사용하고, 배면측에 배치된 부재의 번호에는 말미에 「R」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LPH(14)의 하우징(61)에는, LPH(14)에서의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광축 방향(제 1 방향 : 이것을 「Y방향」이라고 정의함)의 위치를 정하는 제 1 돌출부의 일례로서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및 LPH(14)에서의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방향(제 2 방향 : 이것을 「Z방향」이라고 정의함)의 위치와 Y방향 및 Z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제 3 방향 : 이것을 「X방향」이라고 정의함)의 위치를 동시에 정하는 제 2 돌출부와 제 3 돌출부의 일례로서의 제 2 돌출 부재(252F, 252R)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감광체 드럼(12)을 지지하는 감광체 모듈(MOD)에는,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축(121)과 동일 축에, LPH(14)측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충돌됨으로써 LPH(14)의 Y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제 1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및 제 2 및 제 3 돌출부의 일례로서의 LPH(14)측의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를 지지함으로써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를 동시에 설정하는 제 2 및 제 3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 1 돌출 부재(251F)와 Y방향 지지 부재(122F)가, LPH(14)의 Y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제 1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돌출 부재(251R)와 Y방향 지지 부재(122R)가 제 1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F)와 XZ방향 지지 부재(123F)가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를 동시에 설정하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 부재(252R)와 XZ방향 지지 부재(123R)가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6은 본 실시예의 LPH(14)에서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제 2 돌출 부재(252F, 252R)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LPH(14)에서는,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는 각각 소정의 외경(外徑)을 가진 원주 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61)의 감광체 드럼(12)에 대향하는 면 위에서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중심 축이 LED칩(CHIP1∼CHIP58)의 배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로드 렌즈 어레이(64)의 배열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돌출 부재(251F, 251R)는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보다도 로드 렌즈 어레이(6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감광체 모듈(MOD)측의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되었을 때에(도 5도 참조),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지지점이 되어 후술하는 리프팅(lifting) 스프링(211)의 가압력에 의해 로드 렌즈 어레이(64)가 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리프팅 스프링(211)은 제 1 돌출 부재(251F, 2251R)가 배치된 위치의 근방, 또는 그것보다도 로드 렌즈 어레이(64)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가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할 때에는, LPH(14)는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접속 분리 기구(리트랙트 기구)에 의해, 감광체 드럼(12)에 대해서 노광을 행하는 소정의 노광 위치에 설정된다. 도 5는 LPH(14)가 이 노광 위치에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LPH(14)가 노광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 LPH(14)측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LPH(14)의 Y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LPH(14)측의 제 2 돌출 부재(252F, 252R)가 각각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가 동시에 설정된다.
도 7은 LPH(14)가 노광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의 감광체 드럼(12), 제 1 돌 출 부재(251F, 251R),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제 2 돌출 부재(252F, 252R),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의 위치 관계 및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XZ방향 지지 부재(123F)는 X평면에서, 정점 위치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 설정되고, 축선에 대해서 X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대략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부(123F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123Fh)가 제 2 돌출 부재(252F)를 지지함으로써, X평면에서, 제 2 돌출 부재(252F)의 중심이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 설정된다. 즉, LPH(14)는 본체 프레임(FRA)에 설치된 제 1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스프링(212)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XZ방향 지지 부재(123F)측을 향하는 방향(Z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2 돌출 부재(252F)도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 내에서 XZ방향 지지 부재(123F)측으로 가압된다. 그것에 의해, 제 2 돌출 부재(252F)는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을 2점에서 지지하는 것이 되므로, X평면에서의 제 2 돌출 부재(252F)의 중심 위치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홈부(123Fh)의 대략 V자형의 단면 형상」이란, 홈부(123Fh)를 구성하는 2개의 면의 X평면에서의 간격이 가압 스프링(212)의 가압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말한다.
또한, XZ방향 지지 부재(123R)에는, 양단부가 곡선으로 구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부(123Rh)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123Rh)는 X방향의 폭이 제 2 돌출 부재(252R)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즉, 이러한 외경에 제조 공 차를 가미한 길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에 대해서 X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홈부(123Rh)에 제 2 돌출 부재(252R)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됨으로써, X평면에서, 제 2 돌출 부재(252R)의 중심이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 설정된다. 즉, 홈부(123Rh)에 의해 제 2 돌출 부재(252R)의 X방향 위치가 고정되면서, X평면에서의 제 2 돌출 부재(252R)의 중심 위치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X평면에서의 제 2 돌출 부재(252F) 및 제 2 돌출 부재(252R)의 중심 위치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 설정된다.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에 2점에서 밀착하여 지지됨으로써,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설치 위치로 정해지는 Z방향의 위치에, LPH(14)는 고정밀도로 Z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홈부(123Rh)에 의해 제 2 돌출 부재(252R)의 X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를 향하여, 즉, Z방향을 향하여 가압 스프링(212)에 의해 가압되고 있으므로,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돌출 부재(252F) 및 제 2 돌출 부재(252R)와, 제 1 돌출 부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는, 로드 렌즈 배열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X평면에서의 제 2 돌출 부재(252F) 및 제 2 돌출 부재(252R)의 중심 위치가 X평면에서의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 설정됨으로 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돌출 부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는 X평면에서의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서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에 충돌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돌출 부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가 X평면에서의 감광체 드럼(12)의 축선 위에서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에 충돌됨으로써, 고정밀도로 LPH(14)의 Y방향 위치가 설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LPH(14)의 Y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제 1 위치 결정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와, LPH(14)의 XZ방향 위치를 설정하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의 일례로서의 제 2 돌출 부재(252F, 252R)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를 사용함으로써, 각각 기능을 분리시켜서 LPH(14)의 위치를 감광체 드럼(12)의 축선에 대해서 고정밀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위치 결정 수단인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인 제 2 돌출 부재(252F, 252R)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보다도 로드 렌즈 어레이(6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감광체 모듈(MOD)측의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되었을 때에(도 5도 참조),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지지점이 되어 리프팅 스프링(211)(후단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로드 렌즈 어레이(64)가 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런데,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는 도 8(감광체 드럼(12)의 정면측의 단부 영역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축(121)과 동일축에 배치되고, 그 표면 위치가 감광체 드럼(12)의 축선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감광체 드럼(12)의 양단부에는, 감광체 드럼(12)의 내주면에 플랜지(flange ; 124)가 끼워 맞춤되어, 감광체 드럼(12)과 플랜지(124)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124)는 내주면에 소결(燒結) 베어링(125)을 갖는다. 그리고, 소결 베어링(125)을 통하여 감광체 모듈(MOD)에 고정된 회전축(121)에 축 지지되어, 감광체 드럼(12)을 회전축(12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플랜지(124)의 외주면에는 볼 베어링이 밖으로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따르는 위치 결정 정밀도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당해 볼 베어링을 LPH(14)측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를 지지하는 Y방향 지지 부재(122F), Y방향 지지 부재(122R)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Y방향 지지 부재(122F), Y방향 지지 부재(122R)는 베어링 지지 부재(126)에 의해 감광체 모듈(MOD)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감광체 드럼(12)은 감광체 드럼(12)과 일체의 플랜지(124)가, 소결 베어링(125)을 통하여 감광체 모듈(MOD)에 고정된 회전축(121)에 축 지지되는 동시에, 플랜지(124)의 외주면측이 감광체 모듈(MOD)에 지지된 Y방향 지지 부재(122F)인 볼 베어링에 축 지지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121)의 외경과 소결 베어링(125)의 내외경과 플랜지(124)의 내외경을 정밀도 좋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볼 베어링 자체의 내외경도 정밀도 좋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Y방향 지지 부재(122F)나 Y방향 지지 부재(122R)로서의 볼 베어링의 외륜 표면 위치는, 축선과의 거리를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의 외륜 표면에, 제 1 돌출 부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가 충돌됨으로써, 고정밀도로 LPH(14)의 Y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의 외륜 표면측이 베어링 지지 부재(12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Y방향 지지 부재(122F) 및 Y방향 지지 부재(122R)의 외륜 표면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충돌되는 제 1 돌출 부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는 마모되는 일이 없으므로, LPH(14)의 Y방향 위치의 정밀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의 LPH(14)의 접속 분리 기구(리트랙트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리트랙트 기구로서, LPH(14)의 하우징(61)에 그 일부를 고정시켜서 배치된 가이드 바(232), 가이드 바(2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롤(231), LPH(14)의 하우징(61)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프팅 스프링(211),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LPH(1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트랙트 부재(220), 리트랙트 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테이지(221), 리트랙트 부재(2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트랙트 핸들(225), LPH(14)의 상하 방향 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240), LPH(14)의 정면측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수단의 일례로서의 스톱퍼(23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트랙트 기구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이, LPH(14)가 노광 위치에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리트랙트 핸들(225)이 도 5중 좌측으로 넘어감으로써, 리트랙트 부재(220)는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9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트랙트 부재(220)가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리트랙트 부재(220)에 의해 밀려 올라가 있던 LPH(14)는 가이드 바(232)가 리트랙트 부재(2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222)로 유도되어, 리프팅 스프링(211)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밀려 내려간다. 그 때에, 리트랙트 부재(220)에 설치된 경사면을 슬라이드 롤(231)이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밀려 내려가게 된다. 그것에 의해, LPH(14)는 하방향으로 감광체 드럼(12)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돌출 부재(251F, 251R)와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는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로부터 이탈된다. 그 때에, 제 1 돌출 부재(251F, 251R)와 제 2 돌출 부재(252R)는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XZ방향 지지 부재(123R)로부터 완전히 이탈된다. 즉, 제 1 돌출 부재(251F, 251R)는 감광체 드럼(12)의 표면 위치보다도 하측 위치로 퇴피한다.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R)는 XZ방향 지지 부재(123R)의 하면보다도 하측 위치로 퇴피한다.
이에 대해서, 제 2 돌출 부재(252F)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로부터는, 완 전하게는 이탈되지 않는다. 즉, 도 1O(제 2 돌출 부재(252F)의 선단부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돌출 부재(252F)의 선단부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Y방향에서 투사한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제 2 돌출 부재(252F)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하면보다도 상측 위치까지밖에 퇴피하지 않는다.
즉, 감광체 모듈(MOD)의 착탈시에는,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감광체 드럼(12)의 표면 위치보다도 하측 위치로 퇴피하고,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R)가 XZ방향 지지 부재(123R)의 하면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 2 돌출 부재(252F)의 홈부(123Fh)는 배면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하면보다도 상측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LPH(14)를 도 5에 나타낸 노광 위치에 재차 설정하기 위해서는, 리트랙트 핸들(225)을 도 9 우측으로 넘겨서, 도 5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정한다. 그렇게 하면, 리트랙트 부재(220)는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가이드 바(232)가 리트랙트 부재(2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222)로 유도되어, 리프팅 스프링(211)의 가압력이 가해지면서 밀려 올라간다. 그 때에, 리트랙트 부재(220)에 설치된 경사면을 슬라이드 롤(231)이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것에 의해, LPH(14)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감광체 모듈(MOD)에 콘택트된다.
그리고, LPH(14)가 감광체 모듈(MOD)에 콘택트됨으로써, 제 1 돌출 부 재(251F) 및 제 1 돌출 부재(251R)는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된다.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F) 및 제 2 돌출 부재(252R)는 각각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LPH(14)는 리프팅 스프링(211)의 가압력에 의해 감광체 드럼(12)측으로 가압되므로, Y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도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LPH(14)를 Z방향 위치에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에 2점에서 밀착하여 지지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LPH(14)는 본체 프레임(FRA)에 고정 설치된 가압 스프링(212)에 의해, 배면측에서 제 2 돌출 부재(252F)측을 향하는 방향(Z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런데, LPH(14)가 가압 스프링(212)에 의해 배면측에서 제 2 돌출 부재(252F)측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LPH(14)가 하방향으로 이격되고, 감광체 모듈(MOD)로부터 이탈한 때에는, LPH(14)는 정면측으로 가압된다. 그것에 의해, LPH(14)는 정면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정면측 단부가 스톱퍼(230)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H(14)가 하방향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는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가 배치된 위치보다도, X평면 내에서 Z방향 정면측으로 벗어나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LPH(14)를 상방향으로 콘택트시켜서 노광 위치에 설정하는 경우에 는, 제 1 돌출 부재(251F, 251R) 및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는 X평면 내에서 Z방향 정면측으로 벗어난 위치로부터,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에 설정되게 된다.
그래서, X평면 내에서 Z방향 정면측으로 벗어난 위치로부터, 각각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에의 설정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서, 제 2 돌출 부재(252R)를 지지하는 XZ방향 지지 부재(123R)의 홈부(123Rh)는 X방향에 대해서 Z방향으로 긴 폭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X평면 내에서 Z방향으로 리트랙트 핸들(225)의 조작시의 이동량보다도 긴 홈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제 2 돌출 부재(252F)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212)에 가압되면서,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에 2점에 밀착하여 지지됨으로써, LPH(14)의 Z방향 위치가 고정밀도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Y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를, X평면 내에서 Z방향으로 길이의 여유가 생기도록 설계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LPH(14)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한 경우에도, 제 2 돌출 부재(252F)의 선단부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Y방향으로부터 투사한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제 2 돌출 부재(252F)를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하면보다도 상측 위치까지밖에 퇴피시키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도 11은 LPH(14)를 감광체 모듈(MOD)로부터 이탈한 위치에서 노광 위치에 설정할 때의 제 2 돌출 부재(252F)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상대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H(14)가 감광체 모 듈(MOD)로부터 이탈한 위치에서는, 제 2 돌출 부재(252F)의 상단부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하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2 돌출 부재(252F)의 상단부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LPH(14)가 X평면 내에서 Z방향 정면측으로 벗어나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리트랙트 기구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확실히 Y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 내부로 유도된다. 그 때에, 제 2 돌출 부재(252F)의 상단부 및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하부에 각각 테이퍼를 형성해 둠으로써, 보다 확실하고 또한 원활하게 제 2 돌출 부재(252F)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로 유도된다.
그리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트랙트 기구에 의한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되어 LPH(14)가 상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제 2 돌출 부재(252F)는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측면을 따라서, 홈부(123Fh)의 내부를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H(14)가 노광 위치에 설정되었을 때에, 가압 스프링(212)에 의해 정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에 2점에서 밀착하여 지지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여기서, 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에 2점에서 밀착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도 12(제 2 돌출 부재(252F)가 XZ방향 지지 부재(123F)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123Fh)의 V자부의 개구폭(M2)이 제 2 돌출 부재(252F)의 외경(M1)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홈부(123Fh)의 V자부의 개구폭(M2)을 제 2 돌출 부재(252F)의 외 경(M1)과 동일한 정도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 2 돌출 부재(252F)가 홈부(123Fh) 내에서 4개의 접점으로써 접촉하는 경우나, V자부 측면의 전방의 측면에서 2개의 접점으로써 접촉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그 경우에는, LPH(14)의 Z방향 위치나 X방향 위치에서 본래 배치하고 싶은 위치에 설정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예의 리트랙트 기구에서는, 가이드 부재(240)의 폭이 LPH(14)의 하우징(61)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a)가 도 5에서의 LL 단면도이고, (b)가 도 5에서의 NN 단면도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0)의 폭(T2)이 LPH(14)의 하우징(61)의 폭(T1)보다도 크게 형성됨으로써, LPH(14)는 접속 분리 동작이 행해질 때에 X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가 증가한다. 그것에 의해, 제 2 돌출 부재(252F)는 하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홈부(123Fh)의 V자부 측면의 2점에 원활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 2 돌출 부재(252R)에서도, X방향의 폭이 제 1 돌출 부재(251R)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 XZ방향 지지 부재(123R)의 홈부(123Rh)의 하부에 테이퍼가 형성되고, 또한, LPH(14)가 콘택트될 때에 X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상단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제 2 돌출 부재(252R)는 XZ방향 지지 부재(123R)의 홈부(123Rh)에 원활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제 1 돌출 부재(251F, 251R)와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를 별체로 구성했지만, 제 1 위치 결정 수단과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를 별체로 구성하여, 제 1 돌출 부재(251F)와 제 2 돌출 부재(252F)와, 제 1 돌출 부재(251R)와 제 2 돌출 부재(252R)를 일체로 구성하고, Y방향 위치와 X방향 위치와 Z방향 위치와 1개의 돌출부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와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를 감광체 모듈(MOD)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그들이 감광체 드럼(12)과 소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LPH(14)측의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각각 감광체 모듈(MOD)측에 설치된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됨으로써, LPH(14)의 Y방향 위치가 설정된다. 그와 동시에, LPH(14)측의 제 2 돌출 부재(252F, 252R)가 각각 감광체 모듈(MOD)에 설치된 XZ방향 지지 부재(123F, 123R)에 지지됨으로써, LPH(14)의 X방향 위치 및 Z방향 위치가 동시에 설정된다. 그리고, 제 1 돌출 부재(251F, 251R)는 제 2 돌출 부재(252F, 252R)보다도 로드 렌즈 어레이(6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돌출 부재(251F, 251R)가 감광체 모듈(MOD)측의 Y방향 지지 부재(122F, 122R)에 충돌되었을 때에 로드 렌즈 어레이(64)가 휘는 것을 억제하면서, LPH(14)를 감광체 드럼(12)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위치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경사나 왜곡 등이 매우 적은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LED 프린트 헤드(LPH)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LED 회로 기판의 평면도.
도 4는 LED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LPH의 위치 결정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LPH에서의 제 1 돌출 부재 및 제 2 돌출 부재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LPH가 노광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의 감광체 드럼, 제 1 돌출 부재, Y방향 지지 부재, 제 2 돌출 부재, XZ방향 지지 부재의 위치 관계 및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감광체 드럼의 정면측 단부 영역의 단면도.
도 9는 리트랙트 부재가 정면측에서 배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 2 돌출 부재(252F)의 선단부와 XZ방향 지지 부재(123F)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LPH를 감광체 모듈로부터 이탈한 위치에서 노광 위치에 설정할 때의 제 1 돌출 부재와 XZ방향 지지 부재의 상대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제 1 돌출 부재가 XZ방향 지지 부재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3의 (a)는 도 5의 LL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NN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10 :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
11(11Y, 11M, 11C, 11K) : 화상 형성 유닛
12 : 감광체 드럼 14 : LED 프린트 헤드(LPH)
3O : 제어부 61 : 하우징
62 : LED 회로 기판 63 : LED 어레이(LED)
64 : 로드 렌즈 어레이 122F, 122R : Y방향 지지 부재
123F, 123R : XZ방향 지지 부재 123Fh, 123Rh : 홈부
211 : 리프팅 스프링 212 : 가압 스프링
251F, 251R : 제 1 돌출 부재 252F, 252R : 제 2 돌출 부재

Claims (12)

  1.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를 갖는 노광 부재와,
    상기 노광부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노광 부재와 상기 상 유지체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 1 위치 결정 수단과,
    상기 상 유지체의 축선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상기 노광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보다도 상기 노광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상기 제 1 돌출부보다도 상기 노광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측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2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2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부재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1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노광 부재측에서 상기 제 1 돌출부보다도 상기 노광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측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당해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를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3 돌출부와, 당해 상 유지체측에서 당해 제 3 돌출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당해 노광 부재를 당해 제 2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당해 제 3 돌출부의 당해 제 2 방향과 상기 제 3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하는 2개의 면이 형성된 제 3 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제 3 지지부의 당해 2개의 면은, 당해 2개의 면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간격이 당해 제 1 가압 부재의 가압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또한, 당해 2개의 면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간격이 최대가 되는 개구부가 당해 제 3 돌출부의 당해 제 3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부재는,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노광 부재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돌출부의 선단부가 상기 제 3 지지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투사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당해 노광 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부재는,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3 돌출부는, 상기 노광 부재가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해서 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당해 제 3 돌출부의 단부(端部)가 상기 제 3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당해 노광 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유지체를 포함하고,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상 유지체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부는, 당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 유지체 위에 결상(結像)하는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되고, 당해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광학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광학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되고, 당해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광학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2 돌출부보다도 상기 광학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열(列)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로 구성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상 유지체 위에 결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9. 노광 부재에 의해 노광되는 상 유지체와,
    상기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1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당해 노광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노광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결정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노광 부재로부터 상기 상 유지체측을 향하여 돌출해서 설치된 제 2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노광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유지체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축에 부착된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유지체 유닛.
  11. 노광부를 갖는 노광 부재를 노광하는 공정과,
    상기 노광부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노광 부재와 상기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상기 노광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를 정하는 공정은, 상기 위치를 정하는 공정보다도 상기 상 유지체에 가까운 위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2.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 유지체 위에 결상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광학 부재의 광축 방향인 제 1 방향에서의 당해 광학 부재와 당해 상 유지체의 거리를 정하는 공정과,
    상기 상 유지체와 소정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의 축선의 방향인 제 2 방향과 상기 제 1 방향 및 당해 제 2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제 3 방향에서의 당해 상 유지체에 대한 당해 광학 부재의 위치를 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거리를 정하는 공정은, 상기 위치를 정하는 공정보다도 상기 광학 부재에 가까운 위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방법.
KR1020070094707A 2006-12-08 2007-09-18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방법 및 노광 방법 KR101057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2368A JP5250969B2 (ja) 2006-12-08 2006-12-08 画像形成装置、露光装置および像保持体ユニット
JPJP-P-2006-00332368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73A KR20080053173A (ko) 2008-06-12
KR101057687B1 true KR101057687B1 (ko) 2011-08-18

Family

ID=3952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707A KR101057687B1 (ko) 2006-12-08 2007-09-18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방법 및 노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04511B2 (ko)
JP (1) JP5250969B2 (ko)
KR (1) KR101057687B1 (ko)
CN (1) CN101196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3476B2 (ja) * 2007-08-17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5045306B2 (ja) * 2007-08-21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45691B2 (ja) * 2008-06-30 2011-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87688B2 (en) * 2008-07-22 2016-07-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Exposur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076130A (ja) * 2008-09-24 2010-04-08 Fuji Xerox Co Ltd 露光部材位置決め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3276B2 (ja) * 2009-03-23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2209B2 (ja) 2009-04-23 2014-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書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5692512B2 (ja) * 2010-12-10 2015-04-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光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62255B2 (ja) * 2011-12-08 2016-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4475B2 (ja) * 2011-12-26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67711B2 (ja) * 2012-01-27 2016-02-24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94331B2 (ja) * 2012-07-30 2014-09-24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106415A (ja) 2012-11-28 2014-06-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991262B2 (ja) * 2013-04-25 2016-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228631B2 (en) 2016-12-15 2019-03-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drum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29760B2 (en) 2016-12-15 2019-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8230747A1 (ja) * 2017-06-16 2018-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D885389S1 (en) * 2017-09-04 202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sensor for scanner
US10877431B1 (en) 2020-03-18 2020-12-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3031862A (ja) * 2021-08-25 2023-03-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31864A (ja) * 2021-08-25 2023-03-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714A1 (en) 2004-03-18 2005-09-22 Oce-Technologies B.V. Device for accurate positioning of an object on a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1Y2 (ja) * 1987-10-30 1994-02-16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3182484B2 (ja) 1993-12-28 2001-07-03 ローム株式会社 Ledプリントヘッド
JP3457786B2 (ja) * 1995-12-25 2003-10-20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080156A (ja) * 1999-09-14 2001-03-27 Fuji Xerox Co Ltd 潜像書込みヘッドの位置決め機構
JP3984040B2 (ja) * 2001-12-05 2007-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書込みヘッド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278945B2 (ja) * 2002-09-24 2009-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書込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JP2004126018A (ja) * 2002-09-30 2004-04-22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16885B2 (ja) * 2003-01-14 2008-07-0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15236A (ja) 2003-10-10 2005-04-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581580B2 (ja) * 2004-09-15 2010-11-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6714A1 (en) 2004-03-18 2005-09-22 Oce-Technologies B.V. Device for accurate positioning of an object on a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0969B2 (ja) 2013-07-31
CN101196707A (zh) 2008-06-11
KR20080053173A (ko) 2008-06-12
US20080145103A1 (en) 2008-06-19
CN101196707B (zh) 2011-08-31
JP2008143010A (ja) 2008-06-26
US7804511B2 (en)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687B1 (ko)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 상 유지체 유닛, 화상 형성방법 및 노광 방법
JP562122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露光装置
JP5186891B2 (ja) 画像形成装置
US7505059B2 (en) Line hea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position of the same
JP2010076130A (ja) 露光部材位置決め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6717606B2 (en) Optical print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rod lens with a predetermined conjugate length
KR20180037578A (ko) 화상 형성 장치
US108457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print head
US2019017925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print head
US20080181667A1 (en) Line Hea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Line Head
JP525107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保持体モジュール
JP45815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
US10015352B2 (en) Exposur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s, LED head as the exposure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exposure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5929589B2 (ja) 画像形成装置
JP5386790B2 (ja)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67901B2 (ja) 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US2012014829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tical print head, and process cartridge
JP2008284841A (ja) 画像形成装置
US10491776B2 (en) Exposure device and light receiving device
JP51764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3994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露光モジュール
US11340550B2 (en) Cleaning rod for optical print head included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60435A (ja) 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73812A (ja) ライン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