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39B1 - 결합확인기구 - Google Patents

결합확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339B1
KR101056339B1 KR1020080126979A KR20080126979A KR101056339B1 KR 101056339 B1 KR101056339 B1 KR 101056339B1 KR 1020080126979 A KR1020080126979 A KR 1020080126979A KR 20080126979 A KR20080126979 A KR 20080126979A KR 101056339 B1 KR101056339 B1 KR 10105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lock
display
engage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051A (ko
Inventor
다카아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67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20Joints and connections with indicator or insp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부재를 결합할 때에 결합완료상태의 표시를 보기 쉬운 크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를 방지하는 결합확인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2부재의 결합완료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재(10)와 상기 결합완료상태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가지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턱부(11)를 가지는 파이프(2)와 이 파이프(2)와 결합하는 커넥터(1)로 이루어지며, 커넥터(1)에는 하우징(6)에 대해서 결합표시부재(8)가 일방으로 탄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파이프(2)의 커넥터(1)로의 체결결합 완료시에 결합표시부재(8)가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커넥터(1)에서 육안에 의한 결합 확인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확인기구{CONNECTION CONFIRMING MECHANISM}
본 발명은 2개의 부재를 결합할 때에 그 결합의 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합확인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한 종류의 결합확인기구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배관과 커넥터 본체의 결합에 이용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에 대한 배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너에, 배관의 턱부와 걸어맞춰지는 빠짐방지돌기가 형성되고, 결합시에 배관의 턱부가 리테이너 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빠짐방지돌기가 밀어 올려져서 리테이너가 넓게 벌어짐으로써, 리테이너의 전면측에 배치된 체커(checker)가 턱부에 의해서 밀어내어져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2-24308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결합확인기구는 배관의 턱부에 의해서 밀어내어진 체커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노출면적이 배관의 턱부의 두께에 좌우되게 되며, 턱부를 비교적 얇게 형성한 것 같은 경우에는 체커의 노출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지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체커의 노출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배관(턱부)의 형상이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결합확인기구에서는, 사용자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배관을 비스듬하게 잘못 삽입하는 등에 의해서 배관의 선단이 리테이너를 벌리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양자가 미(未)결합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결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체커가 밀어내어져서 외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확인기구에서는 그 구성을 복잡화하는 일 없이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결합상태의 해제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합완료상태의 표시를 보기 쉬운 크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를 방지하는 결합확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성을 복잡화하는 일 없이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결합상태의 해제를 실현하는 결합확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제 1 발명은,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초기위치와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결합표시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결합표시부재(8)와; 상기 결합표시부재(8)를 상기 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결합표시부재(8)를 상기 초기위치에 거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완료시에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변형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에 의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와 걸어맞춰지는 걸림해제부(51)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제 2 발명은,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결합표시부를 차폐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결합표시부를 노출시키는 결합표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차폐부재(408)와; 상기 차폐부재(408)를 상기 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차폐부재(408)를 상기 초기위치에 거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완료시에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변형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에 의해서 상기 차폐부재(408)와 걸어맞춰지는 걸림해제부(51)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표시부재(8) 또는 상기 차폐부재(408)에 형성된 걸어맞춤부(43)와,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에 형성되어 걸어맞춤부(43)에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4)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기구는 걸어맞춤부(4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해제부(51)에 걸어맞춰지는 받이부(44)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재(101)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로크부재(101)에 형성된 해제편(105)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크부재(10)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 또는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제 1 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의 규제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부재(10)와 상기 결합표시부재(8) 중 적어도 일방 혹은 상기 로크부재(10)와 상기 차폐부재(408) 중 적어도 일방에는 타방과 걸어맞춰지는 캠면(180)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부재(10)는 상기 캠면(180)에 의해서 상기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 또는 상기 차폐부재(408)는 상기 캠면(180)을 통해서 상기 로크부재(10)에 대해서 걸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91)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재(191)는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또는 상기 로크부재(10)와 걸어맞춰지는 탄성변형부(191b)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변형부(191b)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규제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9)는 상기 로크부재(10)에 형성된 대응 걸어맞춤부(181)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163)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어맞춤부(163)와 상기 대응 걸어맞춤부(18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걸어맞춤부(163)와 대응 걸어맞춤부(181)의 걸어맞춤관계(예를 들면, 요철)는 서로 반대가 되는 관계로 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탄지수단(122)은 상기 결합표시부재(8) 또는 상기 차폐부재(408)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제 3 발명은,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 걸어맞춰져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위치와 그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10)와; 상기 로크부재(10)의 상기 로크위치에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규제위치와 상기 로크부재(10)의 상기 로크위치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규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허용위치에 거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부재(10)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시에 상기 로크해제위치에서 상기 로크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시에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학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는 그 일부가 상기 제 2 부재(1)의 외면에서 노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의 표시에 제공되는 결합표시부재(8)이고, 상기 이동허용위치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한편,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의 표시에 제공되는 차폐부재(408)이고, 상기 이동허용위치에서 결합표시부를 차폐하는 한편,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상기 결합표시부를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상기 결합을 해제할 때에,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상기 이동허용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로크부재(10)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규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받는 조작부재(304)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발명에 의하면, 결합완료시에 결합표시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결합표시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합완료상태의 표시를 보기 쉬운 크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부재와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에 기인하는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를 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한 상태에서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부재를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에 직접 접촉시키는 일 없이 적절한 타이밍으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해제수단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제 1 부재의 삽입에 따라서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걸림해제부와 받이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걸어맞춤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걸림기구를 복잡화하는 일 없이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의 걸림 또는 그 해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2 부재의 길이(제 1 부재의 삽입방향)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로크부재의 이동의 규제 또는 그 해제를 제 1 부재와의 걸어맞춤에 따라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로크부재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의 걸림 및 로크부재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1 부재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결합확인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적은 부품으로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결합확인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 및 슬라이드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탄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결합완료시에 로크부재의 해제를 저지함으로써 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결합완료 이후에는 특정한 조작(규제부재를 이동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및 로크부재를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 없이는 결합이 해제되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인 결합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결합완료상태의 표시를 보기 쉬운 크기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부재와 결합표시부재(또는 차폐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에 기인하는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규제부재를 이동규제위치에서 이동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제 21 발명에 의하면, 로크부재의 노출부위를 조작함으로써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에서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특히 단서규정이 없는 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전방, 전방측 등"은 도 1(A)의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축을 따르는 삽입방향(화살표 방향)을 나타내고,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후방, 후방측 등"은 그 삽입반대방향(인출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1)는 유체를 수송하는 파이프(2)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외각은 본체 커버(3)와 단부 커버(4)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유로(5)(도 3 참조)가 형성된 하우징(6)과; 이 유로(5)를 개폐하는 밸브(7)와;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완료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결합표시부재(8)와; 하우징(6)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재(9)와; 커넥터(1)에 삽입된 파이프(2)를 협지(挾持)하여 고정(이하, 간단히 "협지 고정"이라 한다)함으로써 양자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재(10);가 수용되어 있다.
파이프(2)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측에는 커넥터(1)와의 결합에 이용되는 턱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턱부(11)는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그 외주면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11a)과 파이프(2)의 축을 따르는 삽입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되게 형성된 후면(11b)을 가진다.
본체 커버(3)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이 이것보다도 약간 큰 지름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단부 커버(4)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체 커버(3)에는 그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표시창(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와 파이프(2)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하, "미(未)결합상태"라 한다}에서는 표시창(15)에서 결합표시부재(8)가 노출되지 않고{이하, "결합확인 비(非)표시상태"라 한다}, 한편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와 파이프(2)가 결합을 완료한 상태{이하, "결합완료상태"라 한다}에서는 표시창(15)에서 결합표시부재(8)가 노출된다{이하, "결합확인 표시상태"라 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15)에서의 결합표시부재(9)의 노출에 의해서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완료상태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시창(15)은 노출되는 결합표시부재(8)를 사용자가 보기 쉬운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6)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 부재로 이루어지며, 커넥터(1) 조립시에는 본체 커버(3)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하우징(6)은 그 내부의 유로(5)에 연속하는 파이프(2)의 삽입구멍(20)을 가지고 있고, 또 본체 커버(3)의 표시창(15)과 거의 대응하는 위치에 로크부재(10)가 끼워져 장착되는 1쌍의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6)의 외주에 감겨지는 스프링(22)은 그 일단측이 하우징(6)의 외주면의 스프링 걸림부(23)에 걸리는 한편, 그 타단측이 하우징(6)의 외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표시부재(8)의 전단부에 걸린다. 이 스프링(22)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8)가 후방으로 탄지된다. 또, 하우징(6)의 외주면에는 스프링(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결합표시부재(8)를 소정 위치(결합확인 비표시상태가 되는 초기위치)에 걸기 위한 볼록편(2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7)는 스프링(31)을 개재한 상태로 조인트부재(32)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31)의 탄지력에 의해서 하우징(6) 내의 유로(5)를 폐쇄하는 한편, 스프링(3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유로(5)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인트부재(32)는 관형상부(33)와 상기 하우징(6)의 전방측의 확경부(擴徑部)(6a)에 부착되는 플랜지부(34)를 가지며, 그 내부에 형성된 유로(35)가 하우징(6) 내의 유로(5)와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관형상부(33)는 다른 장치나 파이프 등에 접속된다. 또한, 조인트부재(32)의 플랜지부(34)는 단부 커버(4)에 의해서 하우징(6)의 확경부(6a)에 고정되게 되는데(도 3 참조), 조인트부재(32)를 하우징(6)에 대해서 용착함에 의해서 단부 커버(4)를 생략할 수도 있다.
결합표시부재(8)는 본체 커버(3)의 표시창(15)에서 노출되는 부위{도 1(B) 참조}로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반 환형상부(40)를 형성한 대략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제 부재이고, 하우징(6)에 걸리는 피걸림부(41)와,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 합을 해제하기 위한 결합해제부(42)를 가진다. 결합표시부재(8)는 그 전체에, 또는 적어도 표시창(15)에서 노출되는 부위{반 환형상부(40)}에 시인성이 높은 색(예를 들면, 적색)이 입혀진다.
피걸림부(41)는 결합표시부재(8)의 후부측에 1쌍의 노치부가 형성되도록 잘라내되 그 전방측에 위치하는 결합표시부재(8)의 본체에 접속되는 접속부(41a)가 그 폭이 적당히 좁혀지도록 잘라냄으로써, 이 접속부(41a)를 고정단으로 하여 후단측이 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41)의 후단측의 둘레방향 중앙에는 스프링(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6)의 볼록편(24)에 걸리는 후방 걸림돌조(43)가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또 후방 걸림돌조(43)의 양측에는 이 후방 걸림돌조(43)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때에 슬라이드부재(9)와 걸어맞춰지는 1쌍의 걸어맞춤편(44)이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1쌍의 걸어맞춤편(44)은 그 돌출높이가 후방 걸림돌조(43)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결합해제부(42)는 반 환형상부(40)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삼각편(45)을 가지고 있고, 그 전방측에는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 해제시에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돌조(46)와, 이 조작돌조(46)의 양측에 형성되며 결합표시부재(8)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본체 커버(3)에 걸리는 전방 걸림돌조(47)를 가진다(도 8 참조).
슬라이드부재(9)는 대략 환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 부재이고,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그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1쌍의 돌편(51)을 가진다. 이 돌편(5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조립후에는 하우징(6)에 형성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슬릿(5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과 걸어맞춤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슬릿(52)을 따라서 슬라이드부재(9)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이드한다. 슬라이드부재(9)는 하우징의 삽입구멍(20) 내에 부착되는 부시(53)에 접속되며, 양자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54)에 의해서 후방측으로 탄지된다.
로크부재(10)는 그 단면이 대략 C자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 부재이고, 탄성변형에 의해서 넓게 벌어지는 것(이하, 간단히 "확개(擴開)"라 한다)이 가능한 양 단부에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61)는 턱부(11)의 경사면(11a)에 적합하게 한 경사면(61a)을 후방측에 가지고 있으며,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시에 전방으로 이동하는 턱부(11)에 의해 눌려 벌어짐으로써, 즉 그 내측둘레가 확개됨으로써 턱부(11)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턱부(11)가 통과한 후에는, 고정부(61)가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축소되어 파이프(2)의 외주면을 협지함과 아울러, 턱부(11)의 후면(11b)에 맞닿아서 파이프(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는 파이프와 결합상태(다만,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상태에서 결합확인 표시상태로의 이행 도중 및 이행 후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7은 결합해제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1)에서는 결합표시부재(8)가 스프링(22)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그 후방 걸림돌조(43)가 하우징(6)의 볼록편(24)에 걸림으로써 초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9)는 스프링(54)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되어 로크부재(10)에 맞닿은 상태에 있다. 또, 로크부재(10)는 하우징(6)의 개구부(21)에 끼워져 장착됨과 아울러, 그 상부가 본체 커버(3)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a)에 걸려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삽입구멍(20)에 파이프(2)가 정규 결합위치까지 삽입되면, 파이프(2)의 턱부(11)가 그 경사면(11a)에 의해서 로크부재(10)를 일단 확개시키면서 그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와 로크부재(10)의 사이에 협지되게 된다. 이 때, 파이프(2)의 선단이 밸브(7)에 맞닿게 되는데, 스프링(3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 밸브(7)를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유로(5)가 개방된다. 하우징(6)의 삽입구멍(20)에는 파이프(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유로를 밀봉하기 위한 0링(71,7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때, 슬라이드부재(9)는 그 테이퍼형상을 이루는 내주면(9a)에 파이프(2)의 턱부(11)의 경사면(11a)이 맞닿은 상태로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결합표시부재(8)에 맞닿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이 결합표시부재(8)에 맞닿는 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재(9)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쌍의 돌편(51)이 결합표시부재(8)의 1쌍의 걸어맞춤편(44)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 있다. 또, 결합표시부재(8)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42)에 형성된 1쌍의 전방 걸림돌조(47)가 본체 커버(3)에 형성된 대략 십자형을 이루는 슬릿(73)의 가장자리부(73a)에 맞닿음으로써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커넥터(1)와 파이프(2)가 적절히 결합된 상태에 있는 것이지만, 커넥터(1)가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결합완료를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는 커넥터(1)를 결합확인 표시상태로 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 파이프(2)를 전방으로 더 압입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9)의 돌편(51)이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의 하측으로 삽입됨으로써 그 전방측의 경사면(51a)을 따라서 피걸림부(41)의 후단측을 상방(지름방향 외측)으로 들어 올리도록 탄성변형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8)는 그 후방 걸림돌조(43)가 하우징(6)의 볼록편(24)을 타고 넘음으로써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되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2)의 탄지력에 의해서 후방의 결합표시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후방 걸림돌조(43)는 하우징(6)의 단차부(81)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창(15)에서 결합표시부재(8)가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2)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 결합표시부재(8)를 결합표시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해서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즉, 커넥터(1)와 파이프(2)가 미결합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결합표시부재(8)가 결합확인 표시상태로 되는 것}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커넥터(1)에 삽입된 파이프(2)를 정규 결합위치에서 더 전방으로 압입함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합완료상태의 오류 표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결합표시부재(8)의 결합표시위치로의 이동시에는 그 후방 걸림돌조(43)가 하우징(6)의 단차부(81)에 맞닿을 때에 적당한 클릭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결합완료상태를 육안에 의한 확인 뿐만 아니라 소리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방 걸림돌조(43)가 하우징(6)의 단차부(81)에 맞닿을 때의 진동이 커넥터(1) 및 파이프(2)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의 감각에 의해서도 결합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커넥터(1)가 결합확인 표시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파이프(2)의 압입을 중지하면, 스프링(54)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가 후방으로 눌려 되돌아가게 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의 턱부(11)가 다시 슬라이드부재(9)와 로크부재(10)와의 사이에 협지되게 된다.
또, 커넥터(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확인 비표시상태(도 4 참조)에서 결합확인 표시상태(도 6 참조)로의 변화에 의해서 로크부재(10)에 의한 파이프(2)의 협지 고정을 강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서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 있는 결합표시부재(8)의 반 환형상부(40)가 로크부재(10)를 덮지 않은 상태에 있지만, 결합확인 표시상태에서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표시위치로 이동한 결합표시부재(8)의 반 환형상부(40)가 로크부재(10)의 고정부(61)(확개부위)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결 합확인 표시상태에서의 로크부재(10)의 확개가 규제됨으로써, 불시에 파이프(2)에 인출방향(삽입반대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이프(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결합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동조작 또는 적당한 지그를 이용하여 본체 커버(3)의 슬릿(73)에서 노출되는 결합표시부재(8)의 조작돌조(46)를 내측으로 압입하면서 전방으로 이동시킨다{도 8(B) 참조}.
이 때, 결합표시부재(8)가 도 11(A)에 나타내는 결합상태(결합표시위치)에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그 삼각편(45)이 로크부재(10)의 양 단부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결합표시부재(8)가 더 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서 도 11(C)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편(45)의 2변(45a)에 의해서 로크부재(10)의 간극이 넓게 벌어지게 됨으로써 로크부재(10)에 의한 파이프(2)의 협지 고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결합표시부재(8)는 그 후방 걸림돌조(43)가 하우징(6)의 볼록편(24)의 후방측의 경사면(24a)(도 7 참조)을 타고 넘음으로써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파이프(2)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결합확인 표시동작의 설명도이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를 생략한 부재를 포함해서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도 12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2에 나타낸 슬라이드부재(9) 및 로크부재(10)의 대체부재로서 그 양자의 기능을 다하는 새로운 로크부재(101)를 구비한다. 이 경우, 결합표시부재(8)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피걸림부(41)을 형성하기 위한 노치부를 가지고 있지 않고, 또 양 걸어맞춤편(44) 사이에 형성된 후방 걸림돌조(43)도 필요하지 않으며, 단지 1개의 걸어맞춤편(144)이 형성된다. 로크부재(101)는 도 2에 나타낸 로크부재(10)와 거의 같게 기능하는 파이프 고정부(102)와, 그 상부 전방측에 형성된 걸림부(103)를 가진다. 걸림부(103)는 봉형상편(104)과, 이 봉형상편(104)의 양단에 접속된 해제편(회동편)(105)과, 봉형상편(104)과 파이프 고정부(102)를 연결하는 연결편(106)을 가진다. 걸림부(103)는 봉형상편(104)을 축으로 하여 해제편(105)이 회동하는 형태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가 미결합상태에 있는 경우 혹은 커넥터가 결합상태(다만,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13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편(105)이 그 전단부(105a)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144)을 걸은 걸림상태에 있다. 그리고, 도 5의 경우와 같이 파이프(2)가 정규 결합위치에서 더 전방으로 압입되면, 도 13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편(105)의 후단부(105b)가 파이프(2)의 턱부(11)의 경사면(11a)에 의해서 밀어 올려짐으로써, 즉 해제편(105)이 회동하여 그 전단부(105a)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로크부재(101)를 이용함으로써 커넥터(1)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로크부재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7은 미결합상태에 있어서의 결합표시부재, 슬라이드부재, 로크부재 및 체커 플레이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에서는 하우징(6)이 그 외각을 이루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커버(3) 및 단부 커버(4)가 생략되어 있다. 하우징(6)의 좌우 측벽에는 전방측으로 개구되는 표시창(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완료시에는 결합표시부재(8)의 측벽(150)이 표시창(15)에서 전방으로 진출되도록 하여 노출된다.
결합표시부재(8)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6)의 표시창(15)에서 노출되는 부위인 좌우 측벽(150)과, 이들 측벽(150)을 연결함과 아울러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으로 대략 볼록형상을 이루는 저벽(151)을 가진다. 저벽(151)의 후방측의 광폭부(151a)는 하우징(6)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결합표시부재(8)의 전후방향의 이 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슬라이드부재(9)는 그 중앙부에 파이프(2)의 턱부(11)(도 22 참조)가 맞닿는 반달형상의 맞닿음판(160)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재(9)의 좌우로 돌출되는 볼록부(161)는 하우징(6) 내측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6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의 전후방향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슬라이드부재(9)의 후면에는 로크부재(10)를 걸기 위한 걸림돌조(163)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22)은 그 양 단부가 결합표시부재(8)와 슬라이드부재(9)에 각각 접속된다. 즉, 스프링(122)의 전단부는 결합표시부재(8)의 저벽(151)에 있어서의 협폭부(151b)의 내측에 수용되는 한편, 스프링(122)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부재(9)의 전면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돌기(164)(도 29 참조)가 삽입된다.
로크부재(1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양 측부(170)와, 이들 양 측부(17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접속되는 상부(171) 및 하부(17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부에 의해서 파이프(2)가 끼워져 통과하는 개구부(173)가 형성된다.
양 측부(170)는 하우징(6) 내측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7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부(171)는 하우징(6)의 개구부(175)에 삽입 가능한 판형상을 이루며, 미결합상태에서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몰상태에 있다. 한편, 결합완료상태에서는 로크부재(10)가 상승함으로써 상부(171)가 하우징(6)의 개구부(175)를 폐쇄 한다. 이 때, 상부(171)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171a)에는 하우징(6)의 개구부(175)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 돌기(176)가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부(171)에 의한 하우징(6)의 개구부(175)의 폐쇄동작이 용이하게 된다.
하부(172)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표시부재(8)에 대해서 그 좌우 측벽(150)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저벽(151)의 광폭부(151a)의 내측에 조립된다. 이 때, 하부(172)에 형성된 경사면(172a){도 16(A) 참조}이 결합표시부재(8)의 캠면(180)(도 15 참조)에 슬라이드 접촉한다. 캠면(180)은 상하 2개의 수평부와 그 사이에 배치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로크부재(10)의 상승동작을 안내한다.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172)의 전면에는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삽입되는 피걸림구멍(1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면(180)과 같은 캠면을 로크부재(10) 측에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조립상태에 있어서, 결합표시부재(8)는 스프링(122)에 의해서 전방(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스프링(122)의 탄지력은 로크부재(1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슬라이드부재(9)가 스프링(122)에 의해서 후방{로크부재(10) 측}으로 탄지되어 그 걸림돌조(163)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 걸림으로써 로크부재(10)의 상승{즉, 경사면(172a)의 캠면(180) 상에서의 슬라이드)이 저지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9)의 전방 상측에는 커넥터의 결합확인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체커 플레이트(규제부재)(191)가 설치되어 있다. 미결합상태에서는 체 커 플레이트(191)의 반 환형상부(191a)의 양 하단이 슬라이드부재(9)의 좌우 돌편(193)의 전방측에 겹쳐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드부재(9)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반 환형상부(191a)의 상부에는 좌우 1쌍의 탄성편(탄성변형부)(191b)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편(191b)의 자유단이 로크부재(10)의 상부(171)에 하측에서 맞닿은 상태에 있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에 대해서 파이프(2)가 정규 방향(축선방향)으로 삽입되면, 체커 플레이트(191)의 반 환형상부(191a)의 내측에 파이프(2)의 외주면이 맞닿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10)의 상부(171)의 하면에 맞닿아 있는 탄성편(191b)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체커 플레이트(191)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 결과, 반 환형상부(191a)의 양 하단이 슬라이드부재(9)의 좌우 돌편(193)과 겹치지 않는 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슬라이드부재(9)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한편,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에 대해서 파이프(2)가 부적절한 방향(즉, 축선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삽입되면, 파이프(2)가 체커 플레이트(191)에 맞닿지 않게 됨으로써 슬라이드부재(9)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그대로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파이프(2)의 부적절한 삽입에 기인하는 결합확인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도 22는 커넥터의 일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9는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20 및 도 21은 파이프와 결합 도중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22는 결합완료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또, 도 23(A),(B)는 각각 도 20 및 도 21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1)에서는 결합표시부재(8)가 스프링(122)에 의해서 전방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초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결합표시부재(8)는 슬라이드부재(9)에 걸려 있는 로크부재(10)의 경사면(172a)에 캠면(180)의 경사부가 맞닿음으로써 걸린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에 대해서 파이프(2)가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면, 파이프(2)가 체커 플레이트(191)를 밀어 올림으로써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규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더 삽입되면, 그 턱부(11)가 슬라이드부재(9)의 맞닿음판(160)에 맞닿게 됨으로써, 스프링(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부재(9)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에 의한 로크부재(1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이것과 동시에 로크부재(10)에 의한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도 해제된다.
이 결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표시부재(8)가 스프링(122)의 탄지력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과 동시에 로크부재(10)의 경사면(172a)이 결합표시부재(8)의 캠면(180)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로크부재(10)가 상승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10)의 개구부(173)의 하연부(173a)가 파이프(2)의 외주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이 하연부(173a)와 하우징(6)의 내면과의 사이에 파이프(2)가 협지 고정됨과 아울러, 결합표시부재(8)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창(15) 에서 노출되게 된다(도 14 참조).
또한, 도 2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의 사용자는 로크부재(10)의 상부(171)와 결합표시부재(8)를 하우징(6) 내로 압입하면서 파이프(2)를 인출방향(삽입반대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커넥터(1)를 다시 미결합상태로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5는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결합표시부재(8)의 형상 및 그 노출형태가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여기서는 결합표시부재(8)의 저벽(151)의 전단부(151c)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된 전단부(151c)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완료시에 하우징(6)의 표시창(1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7은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결합표시부재(8)의 형상 및 그 노출형태 가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여기서는 결합표시부재(8)의 저벽(151)에 있어서의 광폭부(151a)의 전방측에 좌우 1쌍의 노출편(2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출편(201)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완료시에 하우징(6)의 표시창(15)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노출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슬라이드부재를 정면측 및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0은 커넥터의 배면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30의 C-C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 5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5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슬라이드부재(9)의 형상이 변경되고 또 체커 플레이트(191)가 생략된 점에서 제 5 실시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9)는 맞닿음판(160)이 생략됨과 아울러, 좌우 돌편(193)이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변경되어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1)에서는 결합표시부재(8)의 캠면에 있어서의 경사부(180a)가 슬라이드부재(9)에 걸려 있는 로크부재(10)의 경사면(172a)에 맞닿음으로써 걸린 상태에 있다. 이 때, 슬라이드부재(9)는 결합표시부재(8)와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22)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됨으로써 그 걸림돌조(163)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 걸리게 된다.
슬라이드부재(9)의 좌우 돌편(193) 사이의 거리는 파이프(2)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파이프(2)가 정규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9)의 좌우 돌편(193) 모두에 파이프(2)의 선단이 맞닿게 되는 한편, 파이프(2)가 부적절한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어느 일방의 돌편(193)에만 파이프(2)의 선단이 맞닿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정규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파이프(2)의 선단이 좌우 돌편(193) 모두에 맞닿게 됨으로써 슬라이드부재(9)가 평행이동하도록 전방으로 밀어내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서 빠짐으로써 로크부재(10)의 상승동작이 허용된다.
한편, 파이프(2)가 부적절한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파이프(2)의 선단이 어느 일방의 돌편(193)(여기서는 우측 돌편)에만 맞닿기 때문에, 도 33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9)가 일방향(여기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의 일부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 삽입된 그대로의 상태가 됨으로써 로크부재(10)의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체커 플레이트(191)를 생략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파이프(2)의 부적절한 삽입에 기인하는 결합확인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5는 상기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6은 미결합상태에 있어서의 결합표시부재, 슬라이드부재, 로크부재 및 조작부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7은 미결합상태에 있어서의 부시 및 로크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1∼제 6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1∼제 6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에서는 그 외각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체 커버(3)와 단부 커버(4)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6)이나 밸브(7) 외에,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결합표시부재(8), 슬라이드부재(9) 및 로크부재(10) 등이 수용되어 있다.
단부 커버(4) 내에는 튜브(T)의 고정에 이용되는 튜브 로크부재(301) 및 튜브용 스페이서(30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6)의 삽입측에는 삽입구(20)를 형성하는 파이프 스페이서(30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커버(3)의 하측에는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해제시에 사용자가 조작하기(조작력을 주기) 위한 조작부재(3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304)에는 결합표시부재(8)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부착구멍(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조작부재(304)는 본체 커버(3)를 통해서 내부의 결합표시부재(8)와 일체화된 상태에 있다.
결합표시부재(8)의 저벽(151)에는 하우징(6)에 걸리는 피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41)는 저벽(151)의 중앙부에 노치부가 형성되도록 잘라내되 그 전방측에 위치하는 접속부(41a)가 그 폭이 적당히 좁혀지도록 잘라냄으로써, 이 접속부(41a)를 고정단으로 하여 후단측이 지름방향(하방)으로 탄성변형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41)의 후단측의 양측부에는 스프링(22)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하우징(6)의 오목편(도시생략)에 걸리는 1쌍의 후방 걸림돌조(걸어맞춤부)(43)가 내측(상방)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1쌍의 후방 걸림돌조(43)의 내측에는 이들 후방 걸림돌조(43)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슬라이드부재(9)와 걸어맞춰지는 1쌍의 걸어맞춤편(받이부)(44)이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41)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후방 걸림돌조(43) 및 걸어맞춤편(44)은 후방 걸림돌조(43)와 슬라이드부재(9)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생기는 피걸림부(41)의 탄성변형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슬라이드부재(9)는 도 3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편(걸림해제부)(51)을 가지고 있다. 양 돌편(51)은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과 각각 걸어맞춤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9)의 중앙부에는 파이프(2)의 턱부(11)(도 39 참조)가 맞닿는 원호형상의 맞닿음판(160)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10)는 그 상부(171)의 하면에 접속된 스프링(311)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지된 상태에 있다. 스프링(311)의 하단측은 하우징(6)의 상면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312)에 수용된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10)의 양측부(170)의 전면에는 소정 길이의 홈(3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13)이 부시(53)의 좌우에 형성된 규제편(314)과 걸어맞춰짐으로써{즉, 홈(313)의 내측면이 규제편(314)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0)의 상하동작이 소정 범위 내로 규제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동작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도 41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8은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39는 파이프와 결합상태(다만,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0은 도 39의 상태에서 결합확인 표시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1은 결합확인 표시상태에 있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 있는 커넥터(1)에서는 결합표시부재(8)가 스프링(22)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그 후방 걸림돌조(43)(도 36 참조)가 하우징(3)의 오목편(도시생략)에 걸림으로써 초기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9)는 스프링(122)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된 상태로 로크부재(10)에 맞닿아 있다. 이 때, 도 4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9)의 돌편(51)은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에 걸어맞춰지지 않고 그 앞에 위치하고 있다. 또, 로크부재(10)는 본체 커버(3)의 개구부(175)를 통해서 하우징(6)에 끼워져 장착됨과 아울러, 스프링(311)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지되게 되나 부시(53)의 규제편(314)에 의해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 있다. 또, 밸브(7)가 스프링(321)에 의해서 후방으로 탄지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 있다.
계속해서,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에 대해서 파이프(2)가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면, 그 턱부(11)가 로크부재(10)의 개구부(173)의 하연부를 눌러 내리면서 통과하여 슬라이드부재(9)의 맞닿음판(160)에 맞닿음과 아울러, 그 선단이 밸브(7)에 맞닿게 된다. 로크부재(10)는 도 38의 미결합상태에서는 파이프(2)를 고정하는 로크위치에 있으나 파이프(2)의 삽입 개시에 의해서 일단 로크해제위치로 눌려 내려지고, 그리고 파이프(2)가 완전히 삽입되면 스프링(311)의 탄지력에 의해서 다시 로크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39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커넥터(1)와 파이프(2)가 적절히 결합된 상태에 있는 것이지만, 커넥터(1)가 결합확인 비표시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결합완료를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는 커넥터(1)를 결합확인 표시상태로 하기 위해서,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9에 나타낸 상태에서 파이프(2)를 전방으로 더 압입할 필요가 있다.
파이프(2)가 전방으로 더 압입되면, 파이프(2)의 턱부(11)가 맞닿음판(160)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부재(9)가 전방으로 눌려지게 되고, 도 42(B)에 나타낸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9)의 돌편(51)이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을 눌러 내리면서 타고 넘음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42(A) 참조}. 이 때, 피걸림부(41)가 하방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결합표시부재(8)의 후방 걸림돌조(43)와 하우징(6)의 오목편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결과,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표시부재(8)가 스프링(22)의 탄지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창(15)에서 노출됨으로써{도 34(A) 참조}, 결합확인 표시상태가 된다.
이 결합확인 표시상태에서는 로크부재(10)가 로크위치에 있으므로 그 개구부(173)의 하연부가 파이프(2)의 외주면에 맞닿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개구 부(173)의 하연부와 하우징(6)의 내면과의 사이에 파이프(2)가 협지 고정된다. 이 때, 초기위치(이동허용위치)에서 결합표시위치(이동규제위치)로 이동한 결합표시부재(규제부재)(8)는 그 저벽(151)이 로크부재(10)의 하부(172)를 덮은 상태가 되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10)의 하강동작이 규제됨으로써(즉, 로크위치에서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불시에 파이프(2)에 인출방향(삽입반대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이탈이 방지된다. 또, 로크부재(10)는 도 44(B), 도 4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171) 및 하부(172)가 결합표시부재(8)의 상벽(153) 및 저벽(151)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그 하방으로의 이동이 2개소에서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서, 파이프(2)가 커넥터(1)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부재(10)가 압압 불능한 상태가 되며, 커넥터의 사용상태에서의 파이프(2)의 빠짐이 방지된다.
도 41에 나타낸 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수동조작에 의해서 조작부재(304){즉, 결합표시부재(8)}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로크부재(10)의 하강동작의 규제를 해제함과 아울러, 본체 커버(3)의 개구부(175)를 통해서 로크부재(10)를 눌러 내려서 파이프(2)의 고정을 해제한다고 하는 2개의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파이프(2)가 빠지는 일이 없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확실하게 로크를 해제시켜서 파이프(2)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1)는, 예를 들면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택설비용으로서 배수관의 체결부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주방용 수도전(331)의 급수배관을 구성하는 파이프(2)와 튜브(T)의 체결을 커넥터(1)에 의해서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에는 파이프(2)와 튜브(T)를 접속할 때 에 커넥터부, 급수전, 퀵 파스너, AHS 커플링(등록상표) 등의 금속제 부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부품수가 많고 고비용이고 작업도 번잡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구조에 의하면, 단일체의 커넥터(1)로 이들 부품을 대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급수배관에 사용되고 있던 금속제의 커넥터보다도 부품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즉, 4개의 금속품을 1개의 수지품으로 변경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작업부하도 작다는(즉, 원터치로 급수배관과 접속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
도 44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 및 로크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4(A)∼(C)는 각각 미결합상태, 결합완료상태, 및 결합완료상태에서 결합해제상태로의 이행 도중을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크부재(10)의 하부(172)의 전면에는 피걸림구멍(18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4(A)에 나타내는 미결합상태에서는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삽입됨으로써 로크부재(10)가 하강위치에 유지된다. 이 하강위치는 커넥터(1)의 삽입구(20){도 34(A) 참조}의 하연부의 높이와 로크부재(10)의 개구부(173)의 하연부의 높이가 일치한 로크해제위치이고, 제 7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파이프(2)의 삽입시에 로크부재(10)를 일단 하강시킬 필요가 없다.
계속해서, 도 4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삽입되면, 슬라이드부재(9)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10)가 로 크위치까지 상승함으로써 파이프(2)가 협지 고정된다.
이 결합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도 4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재(304){즉, 결합표시부재(8)}를 전방의 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해제위치에서는 슬라이드부재(9)의 돌편(51)이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의 전방측 상방에 겹쳐지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부재(304)의 조작을 중지하면 스프링(22)(도 38 참조)의 탄지력에 의해서 다시 도 44(B)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조작부재(304)에 잘못 접촉하는 등의 경우에 조작부재(304)가 해제위치로 이동한 것만에 의해서 결합상태가 불필요하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상태를 완전히 해제하기 위해서는 조작부재(304)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또한 로크부재(10)를 눌러 내려서 파이프(2)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제 2 변형예)
도 45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 및 로크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5(A)∼(C)는 각각 미결합상태, 결합완료상태, 및 결합완료상태에서 결합해제상태로의 이행 도중을 나타낸다. 여기서,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1 변형예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로크부재(10)의 하부(172)의 전방측 하단에는 절결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삽입되면, 슬라이드부재(9)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로크부재(10)의 피걸림구멍(181)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돌조(163)가 상승한 로 크부재(10)의 절결부(341)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부재(9)는 로크부재(10)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즉, 슬라이드부재(9)는 제 1 변형예의 경우보다도 로크부재(10)에 더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결합상태를 해제할 때에 사용자가 조작부재(304){즉, 결합표시부재(8)}를 해제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도 4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9)의 돌편(51)이 결합표시부재(8)의 걸어맞춤편(44)을 타고 넘음으로써, 돌편(51)과 걸어맞춤편(44)의 배치관계는 도 45(A)의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부재(304)의 조작을 중지하여도 조작부재(304)는 해제위치에 유지된 그대로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상태를 해제할 때에, 사용자가 조작부재(304)를 조작한 후에는 로크부재(10)를 눌러 내리는 조작만에 의해서 파이프(2)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1 변경예의 경우와 같이 조작부재(304)와 로크부재(10)를 동시에 조작할 필요가 없다.
<제 8 실시형태>
도 4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47은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7(A),(B)는 각각 미결합상태 및 결합완료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를 생략한 부재를 포함해서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결합완료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도 록 결합표시부재(8)가 표시창(15)에서 노출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 8 실시형태에서는 결합표시부재(8) 대신에 차폐부재(408)를 이용한다. 이 차폐부재(408)는 하우징(6)을 차폐하는 초기위치와 하우징(6)을 노출시키는 결합표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며, 결합표시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예를 들면, 본체 커버(3)와 같은 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의 결합표시부재(8)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46(A) 및 도 4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서는 표시창(15)이 차폐부재(408)에 의해서 폐쇄되고, 한편 도 46(B) 및 도 4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9 실시형태에서는 차폐부재(408)의 이동에 의해서 표시창(15)이 개방됨으로써 내측에 있는 하우징(6)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6)은 그 전체에 또는 적어도 표시창(15)에서 노출되는 부위에 시인성이 높은 색이 입혀진다. 또한, 결합완료를 표시하는 결합표시부는 하우징(6)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도 된다.
<제 9 실시형태>
도 4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49는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9(A),(B)는 각각 미결합상태 및 결합완료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 및 제 8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를 생략한 부재를 포함해서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 및 제 8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제 8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3 실시형태의 결합표시부재(8) 대신에 차폐부재(408)을 이용한다. 도 48(A) 및 도 4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서는 표시창(15)이 차폐부재(408)에 폐쇄되고, 한편 도 48(B) 및 도 4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완료상태에서는 차폐부재(408)의 이동에 의해서 표시창(15)이 개방됨으로써 내측에 있는 하우징(6)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제 10 실시형태>
도 5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1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1(A),(B)는 각각 미결합상태 및 결합완료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7∼제 9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시를 생략한 부재를 포함해서 특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 7∼제 9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한다.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제 8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7 실시형태의 결합표시부재(8) 대신에 차폐부재(408)를 이용한다. 도 50(A) 및 도 5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결합상태에서는 표시창(15)이 차폐부재(408)에 의해서 폐쇄되고, 한편 도 50(B) 및 도 5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완료상태에서는 차폐부재(408)의 이동에 의해서 표시창(15)이 개방됨으로써 내측에 있는 하우징(6)의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 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 형상, 사이즈 등에 대해서는 결합되는 파이프의 구조나 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는 자동차의 워터펌프배관, 각종 오일배관 및 주택용 수도배관 및 급수·급탕배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방재용 스프링쿨러배관 등의 여러 가지의 대상에 적용 가능하다. 또, 결합표시부재와 같은 부재를 차폐부재로서 이용하는 구성은 상기 제 8∼제 10 실시형태에 나타낸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걸림상태에 있는 결합표시부재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9는 결합표시부재의 걸림해제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0은 커넥터에 있어서의 결합표시부재의 이동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커넥터에 있어서의 결합표시부재에 의한 결합해제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의 설명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표시부재, 슬라이드부재, 로크부재 및 체커 플레이트의 조립 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4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6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27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8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9는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30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배면도
도 31은 도 30의 A-A선 단면도
도 32는 도 30의 B-B선 단면도
도 33은 도 30의 C-C선 단면도
도 34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35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6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표시부재, 슬라이드부재, 로크부재 및 조작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37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부시 및 로크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38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9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0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1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2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와 결합표시부재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3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4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 및 로크부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5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부재 및 로크부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6은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47은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8은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49는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0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결합확인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51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넥터(제 2 부재) 2 - 파이프(제 1 부재)
3 - 본체 커버 4 - 단부 커버
5 - 유로 6 - 하우징
7 - 밸브 8 - 결합표시부재
9 - 슬라이드부재 10 - 로크부재
11 - 턱부 15 - 표시창
20 - 삽입구멍 22 - 스프링(탄지수단)
24 - 볼록편(피걸어맞춤부) 32 - 조인트부재
40 - 반 환형상부 41 - 피걸림부
42 - 결합해제부 43 - 후방 걸림돌조(걸어맞춤부)
44 - 걸어맞춤편(받이편) 45 - 삼각편
46 - 조작돌조 47 - 전방 걸림돌조
51 - 돌편(걸림해제부) 54 - 스프링
61 - 고정부 101 - 로크부재
102 - 파이프 고정부 104 - 봉형상편
105 - 해제편 122 - 스프링(탄지수단)
150 - 측벽 151 - 저벽
151a - 광폭부 151b - 협폭부
151c - 전단부 160 - 맞닿음판
161 - 볼록부 163 - 걸림돌조
164 - 스프링 걸림돌기 170 - 양측부
171 - 상부 172 - 하부
172a - 경사면 173 - 개구부
173a - 하연부 175 - 개구부
180 - 캠면 180a - 경사부
181 - 피걸림구멍(대응 걸어맞춤부) 191 - 체커 플레이트(규제부재)
191a - 반 환형상부 191b - 탄성편(탄성변형부)
193 - 돌편 201 - 노출편
304 - 조작부재 313 - 홈
314 - 규제편 331 - 주방용 수도전
341 - 절결부 408 - 차폐부재
T - 튜브

Claims (37)

  1.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초기위치와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결합표시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결합표시부재(8)와, 상기 결합표시부재(8)를 상기 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결합표시부재(8)를 상기 초기위치에 거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완료시에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변형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형성되어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에 의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와 걸어맞춰지는 걸림해제부(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표시부재(8)에 형성된 걸어맞춤부(43)와,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에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걸어맞춤부(4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해제부(51)에 걸어맞춰지는 받이부(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재(101)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로크부재(101)에 형성된 해제편(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크부재(10)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의 걸림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제 1 부재 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의 규제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와 상기 결합표시부재(8) 중 적어도 일방에는 타방과 걸어맞춰지는 캠면(180)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부재(10)는 상기 캠면(180)에 의해서 상기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표시부재(8)는 상기 캠면(180)을 통해서 상기 로크부재(10)에 대해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91)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재(191)는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또는 상기 로크부 재(10)와 걸어맞춰지는 탄성변형부(191b)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변형부(191b)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9)는 상기 로크부재(10)에 형성된 대응 걸어맞춤부(181)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163)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어맞춤부(163)와 상기 대응 걸어맞춤부(18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4.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122)은 상기 결합표시부재(8)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122)은 상기 결합표시부재(8)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6.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결합표시부를 차폐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결합표시부를 노출시키는 결합표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차폐부재(408)와, 상기 차폐부재(408)를 상기 결합표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차폐부재(408)를 상기 초기위치에 거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결합완료시에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변형 또는 이동함으로써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에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형성되어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에 의해서 상기 차폐부재(408)와 걸어맞춰지는 걸림해제부(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차폐부재(408)에 형성된 걸어맞춤부(43)와,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에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걸어맞춤부(4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걸림해제부(51)에 걸어맞춰지는 받이부(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부재(101)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로크부재(101)에 형성된 해제편(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부재(2)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크부재(10)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차폐부재(408)의 걸림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제 1 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9)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의 규제 또는 그 해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5.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와 상기 차폐부재(408) 중 적어도 일방에는 타방과 걸어맞춰지는 캠면(180)이 형성되며, 상기 로크부재(10)는 상기 캠면(180)에 의해서 상기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408)는 상기 캠면(180)을 통해서 상기 로크부재(10)에 대해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9)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91)를 더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재(191)는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또는 상기 로크부재(10)와 걸어맞춰지는 탄성변형부(191b)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변형부(191b)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2 부재(1)의 하우징(6)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8.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9)는 상기 로크부재(10)에 형성된 대응 걸어맞춤부(181)에 걸어맞춰져서 상기 로크부재(10)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163)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재(2)가 상기 제 2 부재(1)에 대해서 정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어맞춤부(163)와 상기 대응 걸어맞춤부(18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29.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122)은 상기 차폐부재(408)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122)은 상기 차폐부재(408)와 상기 슬라이드부재(9)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1. 제 1 부재(2)와 상기 제 1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를 육안에 의해서 확인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 걸어맞춰져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크위치와 그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로크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부재(10)와, 상기 로크부재(10)의 상기 로크위치에서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규제위치와 상기 로크부재(10)의 상기 로크위치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허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규제위치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22,122)과, 상기 탄지수단(22,12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허용위치에 거는는 걸림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부재(10)는 상기 제 1 부재(2)의 삽입시에 상기 로크해제위치에서 상기 로크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시에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결합확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0)는 그 일부가 상기 제 2 부재(1)의 외면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의 표시에 제공되는 결합표시부재(8)이고, 상기 이동허용위치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한편,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상기 제 1 부재(2)와 상기 제 2 부재(1)와의 결합완료의 표시에 제공되는 차폐부재(408)이고, 상기 이동허용위치에서 결합표시부를 차폐하는 한편,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상기 결합표시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4.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제 1 부재(2)와의 상기 결합을 해제할 때에,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이동규제위치에서 상기 이동허용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로크부재(10)를 상기 로크위치에서 상기 로크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5. 청구항 31 내지 청구항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규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받는 조작부재(30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1)는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규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을 받는 조작부재(30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확인기구.
  37. 삭제
KR1020080126979A 2007-12-19 2008-12-15 결합확인기구 KR101056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7084 2007-12-19
JPJP-P-2007-327084 2007-12-19
JPJP-P-2008-198590 2008-07-31
JP2008198590 2008-07-31
JPJP-P-2008-247442 2008-09-26
JP2008247442A JP2010054041A (ja) 2007-12-19 2008-09-26 結合確認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051A KR20090067051A (ko) 2009-06-24
KR101056339B1 true KR101056339B1 (ko) 2011-08-11

Family

ID=4079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79A KR101056339B1 (ko) 2007-12-19 2008-12-15 결합확인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84732A1 (ko)
EP (1) EP2224158A1 (ko)
JP (1) JP2010054041A (ko)
KR (1) KR101056339B1 (ko)
CN (1) CN101903694B (ko)
WO (1) WO2009078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9658B1 (fr) * 2007-08-01 2009-10-30 Somfy Sas Actionneur tubulaire pour l'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JP5438463B2 (ja) * 2009-10-28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GB2484760B (en) * 2011-03-22 2012-08-29 Roger Thomas Hurrey A hose connector
WO2012166546A2 (en) * 2011-06-02 2012-12-06 A. Raymond Et Cie Connectors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DE102012000607A1 (de) * 2012-01-16 2013-07-18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lement und Entriegelungselement für das Kupplungselement
ES2643263T3 (es) * 2012-04-18 2017-11-21 Avk Holding A/S Acoplamiento de tubería sin rosca con elemento de bloqueo
JP5925581B2 (ja) * 2012-04-26 2016-05-25 日置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センサ
FR3004506B1 (fr) * 2013-04-15 2015-11-06 Sartorius Stedim Biotech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JP2015055149A (ja) * 2013-09-13 2015-03-23 丸一株式会社 排水機器の接続構造
JP6216210B2 (ja) * 2013-10-25 2017-10-18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スコネクタ
JP6249993B2 (ja) * 2014-06-26 2017-12-20 日東工器株式会社 高圧流体を扱うのに適した雌型継手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管継手
JP6367619B2 (ja) * 2014-06-27 2018-08-01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連結装置
KR101670943B1 (ko) * 2015-11-25 2016-10-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커넥터 밸브 시스템
USD859618S1 (en) *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DE102017125683A1 (de) * 2017-11-03 2019-05-09 Eugen Forschner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981A (ja) * 2001-10-02 2003-04-18 Smc Corp カプラ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061A (en) * 1909-10-25 1910-03-29 Howard L Ruland Hose-coupling.
US994762A (en) * 1910-11-02 1911-06-13 John Lehmann Hose-coupling.
US3028179A (en) * 1958-12-29 1962-04-03 Weatherhead Co Self-sealing locking coupling with manipulator and pivoted latch means
DE3048223C2 (de) * 1980-12-20 1984-10-31 Erich Prof.Dr.med. 8520 Erlangen Rügheimer Konnektions-System für Gas-Leitungen mit ineinandersteckbaren Verbindungselementen für Beatmungs- bzw. Anästhesie-Geräte
US4541457A (en) * 1982-03-17 1985-09-17 Colder Products Company Two-way uncoupling valve assembly
US5033777A (en) * 1987-09-15 1991-07-23 Colder Products Company Male insert member having integrally molded part line free seal
US4776614A (en) * 1987-10-30 1988-10-11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with lock indicator
JPH0637260Y2 (ja) * 1988-07-29 1994-09-2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104156A (en) * 1990-10-18 1992-04-14 Teleflex Incorporated Male end fitting
EP0536434B1 (de) * 1991-10-08 1994-09-28 RECTUS-APPARATEBAU Walter Klein GmbH Selbstentlüftende Schnellverschlusskupplung für Druckgas-, insbesondere Druckluftleitungen
JP3899206B2 (ja) * 1999-06-11 2007-03-28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管継手
JP4522001B2 (ja) 2001-02-20 2010-08-11 株式会社東郷製作所 配管の嵌合検知装置
CN100591967C (zh) * 2003-07-17 2010-02-24 可得制品公司 带有闩锁机构的偶联器
FR2865259B1 (fr) * 2004-01-20 2006-04-21 Staubli Sa Ets Raccord rapide et procede de desacouplement des elements male et femelle d'un tel raccord
JP4663254B2 (ja) * 2004-05-25 2011-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5026691B2 (ja) * 2005-11-22 2012-09-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管継手及び管継手の表示切り替え方法並びに管継手内へのパイプの挿入確認方法
FR2908494B1 (fr) *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FR2919372B1 (fr) * 2007-07-25 2013-05-10 Legris Sa Raccord a temo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981A (ja) * 2001-10-02 2003-04-18 Smc Corp カプ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4041A (ja) 2010-03-11
CN101903694B (zh) 2013-01-02
CN101903694A (zh) 2010-12-01
EP2224158A1 (en) 2010-09-01
KR20090067051A (ko) 2009-06-24
WO2009078179A1 (ja) 2009-06-25
US20100284732A1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339B1 (ko) 결합확인기구
KR102616821B1 (ko) 듀얼-래치 퀵커넥터
JP4623371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5438463B2 (ja) コネクタ
US9777876B2 (en) Connector
US5518276A (en) Quick connector with pull back verification method
US7547048B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pivotal retainer
US20110121560A1 (en) Latch mechanism
KR101798309B1 (ko) 2개의 파이프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부 및 플러그-인 연결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EP2673544B1 (en) Quick connector
KR20160015198A (ko)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CN109196262B (zh) 由阴型接头构件和阳型接头构件构成的管接头
CN111306388A (zh) 用于连接软管的快速接头总成
CA2559057A1 (en) Rotatable two part quick connector
JP3669285B2 (ja) クィックコネクタ
JP201901186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使用方法
JP4462893B2 (ja) 管継手
US6010160A (en) Quick connector having ring for confirming proper connection
JP201114098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配管接続構造
WO2020255681A1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18165544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WO2012096143A1 (ja) パイプコネクタ
JP5305234B2 (ja) 管継手
WO1996030688A1 (en) Quick connector having ring for confirming proper connection
CA2216649A1 (en) Quick connector having ring for confirming proper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