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198A -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198A
KR20160015198A KR1020157029931A KR20157029931A KR20160015198A KR 20160015198 A KR20160015198 A KR 20160015198A KR 1020157029931 A KR1020157029931 A KR 1020157029931A KR 20157029931 A KR20157029931 A KR 20157029931A KR 20160015198 A KR20160015198 A KR 20160015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wist lock
tube
pair
redundan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스린 비. 아놀드
채드 엠. 딕먼
Original Assignee
미니어쳐 프리시젼 컴포넌츠, 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니어쳐 프리시젼 컴포넌츠, 잉크. filed Critical 미니어쳐 프리시젼 컴포넌츠, 잉크.
Publication of KR2016001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20)는 제1 튜브(22)와 제2 튜브(24)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퀵 커넥트 하우징(28)에는 제2 튜브(24)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가 있다. 퀵 커넥트 하우징(28)과 슬라이딩 결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와 고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퀵 커넥트 하우징(28)과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를 둘러싼다.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을 포함하고,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을 수용하기 위한 락킹 채널(96)을 포함한다. 또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2 튜브(24)의 비드(26)에 대응하여 고정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포함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은 어셈블리의 원치 않은 분리를 방지하고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과의 끼워짐 결합을 위해, 락킹 채널(96)의 내측 방사상 및 수직하게 연장된다.

Description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LOCKING QUICK CONNECT ASSEMBLY}
본 발명은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분의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자동차에 이용가능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 라인(예를 들어, 연료 라인, 브레이크 라인, 오일 라인, 냉각수 라인, 유압 라인, 에어 라인 등)을 갖는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이용된다.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어셈블리 라인(라인을 따라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서브 어셈블리가 있는 곳)에서 조립된다. 그에 따라, 다양한 서브 어셈블리를 거쳐 자동차가 어셈블리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어셈블리 라인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빠르고 신속하게 유동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더하여,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차후에 분리될 수 있어 부품들이 더 손쉽게 교체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서비스와 수리는 더 쉽게 완료될 수 있다.
종래에,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미국특허 제5,542,716호 스자보(Szabo) 등의 발명명칭 "스냅 온 리테이너를 갖춘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에서, 일반적으로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암부를 갖는 퀵 커넥트 하우징을 포함한다고 공지되어 있다. 종종 SAE핀이라 불리고 제2 튜브는 환형으로 연장된 비드를 포함한다는 것은 자동차 산업에서 인식되어야 한다. 퀵 커넥트 하우징의 수지지부는 통상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해 관형상을 갖는다. 수지지부는 제1 튜브로의 수지지부의 삽입에 이용되고 제1 튜브와 수지지부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경사진 몇몇의 유지 바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형 바브를 더 가질 수 있다. 퀵 커넥트 하우징의 암부는 통상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튜브를 수용하는 중심구를 정의하는 내측면을 갖는다. 암부의 내측면은 제2 튜브와 암부의 내측면의 밀봉 결합 및 제2 튜브의 비드와의 결합을 위한 단차부를 포함한다.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리던던트 락 메커니즘은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실수로 분리되지 않아야 하는 특정 적용에 바람직할 수 있다. 리던던트 락 메커니즘은 통상 퀵 커넥트 하우징의 암부 내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클립의 형태를 취한다. 이것이 삽입됨에 따라, 클립은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분리를 방지하도록 제2 튜브의 비드와 결합한다. 종종, 리던던트 락 메커니즘 또는 클립은 퀵 커넥트 하우징에 붙어있지 않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부분이다. 그에 따라, 몇몇 문제점이 발생한다. 별개의 클립은 조립 공정 이전 또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서비스나 수리를 위해 분해될 때 분실될 수 있다. 또한,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느낄 수는 있으나 볼 수는 없는 가시 되지 않은 상황에서 분리된 클립을 퀵 커넥트 하우징의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개선되었고,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649,724호 위어스온(Wiethorn)의 발명명칭 "유체 커플링을 위한 보조 래치 및 표시(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uild Coupling)"에서는 힌지에 의해 퀵 커넥트 하우징에 부착된 클립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런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여전히 몇몇의 문제점을 가진다. 힌지로 결합된 클립은 조립 공정 이전 또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서비스나 수리를 위해 분해될 때, 어느 하나에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클립이 퀵 커넥트 하우징에 부착되었는지 분리된 부분인지와 관계 없이, 이러한 클립은 일단 체결되면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제거를 위해 도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도구의 사용이 어렵거나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다루기에는 작은 공간과 같은 가시 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히 문제될 수 있다.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에 필요한 것은 더 튼튼하고, 느슨한 클립 요소를 포함하지 않고,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이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평가했었다. 그러나, 당 업계에서 공지된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은 이러한 형태의 퀵 커넥트 어셈블리에 쉽게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 업계에 공지된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7,566,079호 칼라한(Callahan)등 의 발명명칭 "덕 커플링(Duct Coupling)"은 엔드-부팅 어레인지먼트(end-butting arrangement)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덕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된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은 SAE핀과 같은, 제2 튜브를 수용하고 퀵 커넥트 하우징과 제2 튜브 사이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2 튜브의 비드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공지진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은 제2 튜브를 퀵 커넥트 하우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전진시키는 단일의 동작으로 고정되는 기능을 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은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이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원치 않은 회전을 할 때 바라지 않은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클립이 없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에 필요한 것은 튼튼하고, 단순한 락킹 동작을 갖고, 도구 없이 쉽게 분리되고, 트위스트 락 메커니즘의 원치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리던던트 락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부가적으로 리던던트 래치 요소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암부를 갖는 퀵 커넥트 하우징을 포함한다. 암부는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를 갖는다. 또한, 암부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한다.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암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되지 않은 위치와 고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리던던트 래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암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방사상 외측에 배치된다.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암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고,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수용하기 위한 락킹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락킹 채널과 수직하게 정렬된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포함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암부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하기 위해 락킹 채널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이 락킹 채널에 수용되고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고정된 위치로 전진되는 동안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과의 끼워짐 결합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의 끼워짐 결합에 의해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윈도우에서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의 원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퀵 커넥트 어셈블리보다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암부는 수지지부와 인접한 근접단부와 근접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갖는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암부의 중심구로의 제2 튜브의 삽입에 사용되도록 암부의 근접단부에 대하여 더 큰 반경두께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포함한다. 더하여,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의 내측면은 제2 튜브의 비드에 대항하여 고정되어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분리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이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하나의 단순한 동작으로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제2 튜브의 비드가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지나고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고정된 위치로 전진될 때까지 간단하게 제2 튜브가 퀵 커넥트 하우징의 중심구로 전진함에 따라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작업은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이 서로를 향해 미는 곳에서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 사이의 간단한 축방향의 이동만이 요구된다.
다른 부가적인 이점은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완전히 결합되었다는 암시를 제공하도록 결합 공정 중 발생하는 두 번의 딸각거리는 소리 및/또는 걸리는 촉감이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이 제2 튜브의 비드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첫 번째 소리와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고정된 위치로 모든 방법으로 전진될 때 발생하는 두 번째 소리로 이는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분리나 고정을 푸는 것은 모두 간단하고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고정을 풀기 위해,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비스듬히 밀리고,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분리하기 위해 회전하거나 트위스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가시되지 않은 결합 상황에서 특히 더 적합하고 이는 분리된 클립 요소들이 제거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부가적으로 리던던트 래치 요소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이와 같이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암부를 갖는 퀵 커넥트 하우징을 포함한다. 암부는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지지부와 인접한 근접단부와 근접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갖는다. 또한, 암부는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를 갖는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암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도록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고, 부가적으로 암부는 암부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의 일 부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포함한다. 그와 동시에,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은 암부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하기 위해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에 대해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암부의 중심 공동내로 제2 튜브의 삽입에 이용되도록 암부의 근접단부를 향해 큰 방사상 두께를 같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포함한다. 또한,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제2 튜브와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제2 튜브의 비드에 대하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공지의 퀵 커넥트 어셈블리들과 관련된 상기 서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개시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리던던트 래치 락을 갖거나 갖지 않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사이의 선택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적용과 사용 목적에 따라, 복잡성과 가격 절감의 탄력성을 갖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사용하기 위해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필수적이 아닐 수 있고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같은 내용은 첨부된 도면과의 연관성을 고려하며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조하여 더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갖춰진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생략된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된 위치에 있는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된 위치에 있는 예증적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보면, 여러 도면에 걸쳐 도시된 대응되는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며, 제1 튜브(22)와 제2 튜브(24)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locking quick connect assembly, 20)가 개시된다.
유체가 커넥터 어셈블리를 통해 흐를 수 있는 것과 같은, 다양한 각각의 적용에서, 제1 튜브(22)가 제2 튜브(24)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특정 적용에 한정하기 위한 의도는 없고, 예시적인 적용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퀵 커넥트 어셈블리(20)는 자동차 조립 및 수리 작업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분야에서, 제1 튜브(22)와 제2 튜브(24)는 종종 사출 또는 압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자동차 작동과 관련된 유체의 흐름을 위해 사용된다. 제2 튜브(24)는, 때때로 SAE핀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제2 튜브(22)에서 환형으로 연장된 비드(26)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관련하여, 개시된 퀵 커넥트 어셈블리(20)는 퀵 커넥트 하우징(quick connect housing, 28)을 포함한다. 퀵 커넥트 하우징(28)은 다양한 각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물질은 사출성형된 중합체일 수 있다. 퀵 커넥트 하우징(28)은 제1 튜브(22)과의 결합을 위한 관형의 수지지부(a male retention segment, 30)를 제공한다. 특히, 수지지부(30)는 제1 튜브(22)내로 삽입을 위한 말단부(distal end, 32)와 말단부(32)의 맞은 편에 마련된 근접단부(proximal end, 34)를 포함한다. 또한,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수지지부(30)는 제1 튜브(22)와의 결합을 위해 수지지부(30)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환형 바브(barb, 36, 38)를 포함한다. 복수의 환형 바브(36, 38)는 수지지부(30)의 말단부(32)에 가까운 한 쌍의 실링 바브(36)와 수지지부(30)의 근접단부(34)와 한 쌍의 실링 바브(36)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유지 바브(38)를 포함한다.
한 쌍의 실링 바브(36)는 그 사이에 실 채널(seal channel, 40)을 제공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실링 바브(36)의 각 실링 바브(36)는 실 채널(40)과 가장 인접한 곳에 가장 큰 반경을 갖는다. 제1 튜브(22)에 밀어 넣어지는 퀵 커넥트 어셈블리(28)의 수지지부(30)에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바브 실(barb seal, 42)은 수지지부(30)의 실 채널(40)에 배치된다. 바브 실(42)은 탄성 오링(o-r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유지 바브(38)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튜브(22)로 수지지부(30)의 삽입이 가능하게하고 제1 튜브(22)와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수지지부(30)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도록, 한 쌍의 유지 바브(38)의 각 유지 바브(38)는 수지지부(30)의 근접단부(34)와 가장 가까운, 또는 인접한 곳에 가장 큰 반경을 가지도록 경사진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유지 바브(38)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수지지부(30)가 제1 튜브(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퀵 커넥트 하우징(28)은 수지지부(3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부(female segment, 44) 포함한다. 그에 따라,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수지지부(30)와 암부(44)는 동축으로 정렬된다. 수지지부(30)와 암부(44)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flange, 46)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에 대해 환형으로 연장된다.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는 플랜지(46)에 인접한 근접단부(48)와 근접단부(48)의 맞은 편에 마련된 말단부(50)를 포함한다. 암부(44)는 외부면(52)과 외부면(52)의 반대편에 마련된 내부면(54)과 함께 관형상을 갖는다.
도 4 및 도 6과 관련하여, 암부(44)의 내부면(54)은 제2 튜브(24)를 받아들이기 위한 중심구(central bore, 56)를 형성한다. 특히 더, 암부(44)의 내부면(54)은 암부(44)의 말단부(50)와 인접한 제1 단차부(58)와 제1 단차부(58)와 인접하고 암부(44)의 근접단부(48)에 가까운 제2 단차부(60)를 포함한다. 제1 단차부(58)는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고, 제2 단차부(60)는 제1 단차부(58)의 미리 결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암부(44)의 내부면(54)은 암부(44)가 수지지부(30)로 변환되는 암부(44)의 근접단부(48)와 인접한 변환부(transition portion, 6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여, 암부(44)의 말단부(50)로부터 암부(44)의 근접단부(48)까지, 더 큰 직경의 제1 단차부(58)를 거쳐 더 작은 직경의 제2 단차부(60)를 거쳐 변환부(62)로 나아간다.
내측 실(inner seal, 64)은 제2 튜브(24)가 중심구(56)에 수용될 때,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암부(44)의 근접단부(48)와 가장 가깝게 중심구(56)의 제2 단차부(60)에 배치된다. 내측 실 스페이서(inner seal spacer, 66)는 내측 실(64)과 인접하며 내측 실(64)보다 암부(44)의 말단부(50)에 더 가깝게 중심구(56)의 제2 단차부(60)에 배치된다. 한편, 내측 실 스페이서(66)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물질은 사출성형된 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중심구(56)에 제2 튜브(24)가 수용될 때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외측 실(outer seal, 68)은 내측 실 스페이서(66)와 인접하며 내측 실 스페이서(66)보다 암부(44)의 말단부(50)에 더 가깝게 중심구(56)의 제2 단차부(60)에 배치된다. 내측 실(64)과 외측 실(68)은 다양한 각각의 물질 및 각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실(64)과 외측 실(68)은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오링(o-ring)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내측 실 스페이서(66)는 제2 단차부(60)의 내측 실(64)과 외측 실(68) 사이에 끼여 있으며 내측 실(64)은 암부(44)의 근접단부(48)와 인접하고 외측 실(68)은 암부(44)의 말단부(50)와 인접하다.
외측 실 스페이서(70)는 외측 실(68)과 인접하도록 중심구(56)의 제1 단차부(58)에 배치된다. 외측 실 스페이서(70)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내부면(54)과의 결합을 위해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 비드(72)를 포함한다. 제2 튜브(24)가 암부(44)의 중심구(56) 내에 수용될 때, 제2 튜브(24)의 비드(26)는 외측 실 스페이서(70)와 충돌한다. 따라서, 외측 실 스페이서(70)는 중심구(56) 내부로 제2 튜브(24)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퀵 커넥트 어셈블리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twist lock retainer, 74)와 선택적으로 리던던트 래치 요소(redundant latch component, 76)를 더 포함한다. 통상,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중심구(56) 내에 제2 튜브(24)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퀵 커넥트 하우징(28), 궁극적으로 제1 튜브(22)로부터 제2 튜브(24)의 분리를 방지한다. 특정 적용에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중심구(56) 내에 제2 튜브(24)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전부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다. 다른 적용에서, 리던던트 락킹 기능은 제2 튜브(24)와 퀵 커넥트 어셈블리(20)의 결합을 유지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이후의 적용에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보조 또는 여분의 락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되지 않는 위치와 고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와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다양한 각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물질은 사출성형된 중합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5와 관련하여, 개시된 퀵 커넥트 어셈블리(20)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방사상 외측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가 퀵 커넥트 어셈블리(20)에 더해질 때,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방사상 외측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더하여,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근접단부(78)에서 말단부(80)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말단부(80)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말단부(80)가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말단부(50)와 동일평면으로 이어지도록,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말단부(50)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6과 관련하여,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redunnant latch retainer arm window, 8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는 외부면(52)에서부터 내부면(54)까지 암부(44)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음과 더불어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는 암부(44)의 말단부(50)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는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는 외부면(52)에서부터 내부면(54)까지 암부(44)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는 암부(44)의 근접단부(48)와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더하여,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는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를 포함한다.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는 외부면(52)에서부터 내부면(54)까지 암부(44)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고,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 및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퀵 커넥트 어셈블리(20)의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외부면(52)과 슬라이딩 결합하는 환형 칼라(annular collar, 88)를 포함한다. 또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환형 칼라(88)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redundant latch retaining arm, 90)을 포함한다.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환형 칼라(88)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가 존재하는 경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은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와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와의 순차적인 결합을 위해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은 내부로 경사진 단부(inwardly reamped end, 94)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고정되지 않은 위치는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부로 경사진 단부(94)가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와 결합되는 곳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고정된 위치는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부로 경사진 단부(94)가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와 결합되는 곳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환형 칼라(88)가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플랜지(46)와 접함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제2 튜브(24)가 중심구(56)에 수용될 때,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환형 칼라(88)는 암부(44)의 말단부(50)를 향해 슬라이드되고,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고정된 위치로 전진된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을 수용하기 위해, 퀵 커넥트 어셈블리(20)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채널(96)을 포함한다. 한 쌍의 락킹 채널(96)은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락킹 채널 포켓(9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락킹 채널(96)과 각 락킹 채널 포켓(98) 모두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근접단부(78)로부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말단부(8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을 수용하기 위해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방사상 대향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채널(100)은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채널 포켓(1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채널(100)과 각 가이드 채널 포켓(102) 모두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근접단부(78)로부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말단부(8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은 한 쌍의 락킹 채널(98)과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와의 결합을 위해,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은 한 쌍의 락킹 채널(96)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은 외측면(106)과, 외측면(106)과 대향되는 내측면(108)을 포함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이 한 쌍의 락킹 채널(96)에 수용되며 리던던트 래치 요소(76)가 고정된 위치로 전진될 때,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외측면(106)은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과 끼워짐 결합되도록 방사상 내측으로 커브진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과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의 끼워짐 결합은 여분의 락킹 특성을 제공함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더, 리던던트 래치 요소(76)가 고정된 위치로 전진될 때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은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과 락킹 채널 포켓(98)사이에 끼워지고, 그로 인해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방사상 외측방향으로의 복귀 및 암부(44)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와의 분리가 방지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내측면(108)은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근접단부(78)에 대하여 더 큰 반경두께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내측면(108)은 제2 튜브(24)가 암부(44)의 중심구(56)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내측면(108)은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의 중심구(56)로의 제2 튜브(24)의 삽입에 사용되고, 제2 튜브(24)의 락킹 방지 비드(26)에 의해 제2 튜브(24)와 퀵 커넥트 하우징(28) 사이의 차후 분리를 방지한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와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구성은 두 단계의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20)를 제공함을 인식해야 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제2 튜브(24)는 외측 실 스페이서(70)와 부딪칠 때까지 중심구(56)에 삽입된다. 첫 번째 단계 동안, 제2 튜브(24)의 비드(26)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를 통해 중심구(56)로 연장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방사상 외측으로 밀도록, 제2 튜브(24)의 비드(26)는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내측면(108)과 상호작용한다. 계속해서 중심구(56)로 삽입되는 동안 제2 튜브(24)의 비드(26)가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통과함으로, 딸각거리는 소리와 함께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은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를 통해 중심구(56)로 밀린다. 제2 튜브(24)의 비드(26)가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의 내측면(108)의 경사진 형상부를 통과한 후에, 제2 튜브(24)는 제2 튜브(24)의 비드(26)가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에 대항하여 바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그 자리에 고정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부터 고정된 위치까지 전진된다.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과 끼워짐 결합되기 위해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이 락킹 채널(96)로 전진된다. 두 번째 단계 동안,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측으로 경사진 단부(94)는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로부터 분리된다. 환형 칼라(88)에서 축방향 압력에 의해 리던던트 래치 요소(76)가 전진될 때,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측으로 경사진 단부(94)는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와 딸각거리는 소리와 함께 결합한다. 유리하게, 두 단계의 공정에서 두 번의 딸각거리는 소리는 퀵 커넥트 어셈블리가 완전히 결합되었다는 암시를 제공한다. 이는, 특히 사용자가 결합공정 동안 또는 후에 퀵 커넥트 어셈블리를 볼 수 없는, 가시되지 않는 결합 상황에서 유용하다.
제2 튜브(24)의 비드(26)가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에 삽입되어 제2 튜브(24)가 중심구(56)로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고정된 위치로 전진될 수 없음을 또한 인식해야 한다. 일단 진행되면,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경사진 단부(94)와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리테이너 락 윈도우(84)의 분리 및 고정되는 위치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전진을 위해, 제2 튜브(24)의 비드(26)는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경사진 단부(94)에 상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는 제2 튜브(24)가 암부(44)의 중심구(56)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는 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결합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조립을 보장함으로써 유용하다.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20)는 유사한 두 단계의 절차로 분리될 수 있다. 첫째로, 리던던트 래치 요소(76)의 환형 칼라(88)는 고정된 위치에서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플랜지(46)와 부딪치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밀린다.
이는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로부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측으로 경사진 단부(94)의 결합을 분리하고,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104)과의 끼워짐 결합으로부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0)을 분리한다. 둘째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86)로부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분리하기 위해 회전된다. 이는 제2 튜브(24)의 비드(26)를 풀어주어 암부(44)의 중심구(56)로부터 제2 튜브(24)가 빠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리던던트 래치 요소(76)는 환형 칼라(88)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적어도 하나의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숄더(shoulder, 110)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숄더(110)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가이드 채널 포켓(102)과 접하고,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과 가이드 채널 포켓(102)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간은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92)의 내측으로 경사진 단부(94)에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2)와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84)와의 분리 및 변환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퀵 커넥트 하우징(28)의 암부(44)는 암부(44)의 외부면(5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alignment tab, 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시에,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에서 방사상 외측방향 및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근접단부(78)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방지 포켓(anti-rotation pocket, 1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가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104)을 풀어주기 위해 회전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112)의 회전 이동 제한으로 인한 퀵 커넥트 하우징(28)과 상대적인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74)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회전 방지 포켓(114)은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112)을 수용한다. 정렬탭(112)과 회전 방지 포켓(114)은 트위스트 락 칼라의 회전을 완전히 제한하지 않는 대신 퀵 커넥트 하우징(28)과의 상대적인 회전의 크기 또는 범위를 제한함을 인식해야 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변형은 상기 교시를 고려하여 가능하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특별하게 설명된 것보다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된 설명은 어떠한 독창적인 신규성을 수행하는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항에서 '상기'란 단어의 사용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확실한 설명의 의미의 선행과 관련되는 반면, '그'란 단어의 사용은 청구항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의미의 선행되는 단어는 아니다. 더하여, 청구항에서 도면부호는 단지 편의를 위함이고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40)

  1.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상기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부를 포함하고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가 있는 퀵 커넥트 하우징;
    상기 암부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되지 않은 위치와 고정되는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리던던트 래치 요소;
    상기 암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상기 암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수용하기 위한 락킹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 채널과 수직을 이루고, 상기 락킹 채널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암부의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윈도우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고정된 위치로 전진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이 상기 락킹 채널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과의 끼워짐 결합을 제공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는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수지지부와 인접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상기 암부의 상기 중심구로의 상기 제2 튜브의 삽입에 사용되고 제2 튜브에서 환형으로 연장된 상기 제2 튜브의 락킹 방지 비드에 의해 상기 제2 튜브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에 대하여 더 큰 반경두께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와 인접한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5.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암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환형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은, 상기 환형 칼라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되지 않은 위치를 정의하는 상기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튜브가 상기 중심구에 수용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상기 환형 칼라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를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고정된 위치를 정의하는 상기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하는 내부로 경사진 단부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6.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7. 청구항 5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에서 환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지지부와 상기 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상기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는 동안 이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상기 환형 칼라와 접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8.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외부면과 상기 외부면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내부면과 함께 관형상을 갖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9. 청구항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의 상기 내부면은, 상기 중심구를 정의하고,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와 인접한 제1 단차부, 상기 제1 단차부와 인접하고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가까운 제2 단차부 및 상기 암부가 상기 수지지부로 변환되는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인접한 변환부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0. 청구항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는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고,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1 단차부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1. 청구항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구에 수용되는 상기 제2 튜브와의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내측 실;
    상기 내측 실과 인접하며 상기 내측 실보다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에 더 가깝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내측 실 스페이서;
    상기 중심구에 상기 제2 튜브가 수용될 때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측 실 스페이서와 인접하며 상기 내측 실 스페이서 보다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에 더 가깝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외측 실;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의 상기 내부면과의 결합을 위해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1 단차부에 배치되는 외측 실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는 상기 제1 튜브가 삽입되는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근접단부를 갖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3. 청구항 12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는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말단부에 가까운 한 쌍의 실링 바브와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상기 한 쌍의 실링 바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바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형 바브를 갖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4. 청구항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 바브는 그 사이에 실 채널을 제공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5. 청구항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바브는 상기 제1 튜브로 상기 수지지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근접단부를 향해 더 큰 반경을 갖도록 경사지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6. 청구항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에 밀어 넣어지는 상기 퀵 커넥트 어셈블리의 상기 수지지부에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실 채널에 배치되는 바브 실을 더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7.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가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풀어주기 위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의 회전 이동 제한으로 인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과 상대적인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수용하는 회전 방지 포켓을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8.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상기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부를 포함하고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가 있는 퀵 커넥트 하우징;
    상기 암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환형 칼라를 갖고 고정되지 않은 위치와 고정된 위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리던던트 래치 요소;
    상기 암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상기 환형 칼라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락킹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한 쌍의 락킹 채널과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한 쌍의 락킹 채널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암부의 상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가 상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고정된 위치로 전진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이 상기 한 쌍의 락킹 채널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과의 끼워짐 결합을 제공하는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튜브와 제2 튜브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19. 청구항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수지지부와 인접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상기 암부의 상기 중심구로의 상기 제2 튜브의 삽입에 사용되고 제2 튜브에서 환형으로 연장된 상기 제2 튜브의 락킹 방지 비드에 의해 상기 제2 튜브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에 대하여 더 큰 반경두께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0. 청구항 19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와 인접한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1. 청구항 20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2. 청구항 2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는 상기 환형 칼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과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3. 청구항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방사상으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방사상으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4. 청구항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닝 암은, 상기 환형 칼라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되지 않은 위치를 정의하는 상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튜브가 상기 중심구에 수용되고 상기 리던던트 래치 요소의 상기 환형 칼라가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를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고정된 위치를 정의하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결합되는 내부로 경사진 단부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5. 청구항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6. 청구항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는 상기 한 쌍의 제2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와 상기 한 쌍의 제1 리던던트 래치 리테이너 암 윈도우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7. 청구항 26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가 상기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풀어주기 위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의 회전 이동 제한으로 인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과 상대적인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수용하는 회전 방지 포켓을 포함하는 리던던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8. 제1 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수지지부와 상기 수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부를 포함하고, 환형으로 연장된 비드를 갖는 제2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구가 있는 퀵 커넥트 하우징과,
    상기 암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방사상 외측에 배치되는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수지지부와 인접한 근접단부와 상기 근접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연장된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암부의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 암 윈도우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에서 방사상 내측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상기 암부의 상기 중심구로의 상기 제2 튜브의 삽입에 사용되고 상기 제2 튜브의 락킹 방지 비드에 의해 상기 제2 튜브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차후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에 대하여 더 큰 반경두께를 갖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29. 청구항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방사상 맞은 편에 위치하는 한 쌍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인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0. 청구항 28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포함하고,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는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위스트 락 리테이닝 암을 풀어주기 위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의 회전 이동 제한으로 인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과 상대적인 상기 트위스트 락 리테이너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탭을 수용하는 회전 방지 포켓을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1. 청구항 28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는 외부면과 상기 외부면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내부면과 함께 관형상을 갖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2. 청구항 3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의 상기 내부면은, 상기 중심구를 정의하고,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와 인접한 제1 단차부, 상기 제1 단차부와 인접하고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가까운 제2 단차부 및 상기 암부가 상기 수지지부로 변환되는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인접한 변환부를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3. 청구항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부는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고,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제1 단차부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4. 청구항 3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구에 수용되는 상기 제2 튜브와의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인접하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내측 실;
    상기 내측 실과 인접하며 상기 내측 실보다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에 더 가깝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내측 실 스페이서;
    상기 중심구에 상기 제2 튜브가 수용될 때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측 실 스페이서와 인접하며 상기 내측 실 스페이서 보다 상기 암부의 상기 말단부에 더 가깝게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2 단차부에 배치되는 외측 실;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암부의 상기 내부면과의 결합을 위해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구의 상기 제1 단차부에 배치되는 외측 실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5. 청구항 28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는 상기 제1 튜브에 삽입되는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근접단부를 갖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6. 청구항 35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는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말단부에 가까운 한 쌍의 실링 바브와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근접단부와 상기 한 쌍의 실링 바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바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형 바브를 갖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7. 청구항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링 바브는 그 사이에 실 채널을 제공하도록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8. 청구항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바브는 상기 제1 튜브로 상기 수지지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튜브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의 상기 수지지부의 차후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근접단부를 향해 더 큰 반경을 갖도록 경사지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39. 청구항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에 밀어 넣어지는 상기 수지지부에 밀봉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수지지부의 상기 실 채널에 배치되는 바브 실을 더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40. 청구항 28 항에 있어서,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은 상기 퀵 커넥트 하우징에서 환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지지부와 상기 암부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KR1020157029931A 2013-03-20 2014-01-31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KR20160015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47,731 2013-03-20
US13/847,731 US9523453B2 (en) 2013-03-20 2013-03-20 Locking quick connect assembly
PCT/US2014/013988 WO2014149195A1 (en) 2013-03-20 2014-01-31 Locking quick connec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98A true KR20160015198A (ko) 2016-02-12

Family

ID=5023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931A KR20160015198A (ko) 2013-03-20 2014-01-31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523453B2 (ko)
EP (1) EP2976564B1 (ko)
KR (1) KR20160015198A (ko)
CN (1) CN105339719B (ko)
CA (1) CA2907758C (ko)
ES (1) ES2759863T3 (ko)
MX (1) MX363781B (ko)
WO (1) WO2014149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0206B2 (en) 2015-03-16 2017-11-07 Caterpillar Inc. Quick connector for hydraulic hose coupling
US10385999B2 (en) 2015-07-09 2019-08-20 Terumo Cardiovascular Systems Corporation Fluid coupling devices
DE112016003703T5 (de) * 2015-08-14 2018-04-26 Dana Canada Corporation Rücklaufsperrventilanordnung mit einer integrierten Befestigungsfunktion
EP3365072B1 (en) 2015-10-24 2022-10-19 King Systems Corporation Breathing circuit systems and devices
US10337656B2 (en) 2015-10-27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Quick connect with visual indicator
US10107433B2 (en) * 2016-04-05 2018-10-23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establishing and ensuring a fluid-tight connection between conduits
FR3051240B1 (fr) * 2016-05-11 2019-09-06 A Raymond Et Cie Raccord a deconnexion par traction sur une bague
US10006577B2 (en) 2016-07-15 2018-06-26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Permanent quick connector and assembly therewith
JP6890965B2 (ja) * 2016-12-15 2021-06-18 株式会社マキタ 携帯用切断機
RU2760422C2 (ru) * 2017-04-04 2021-11-24 Тэйми Р Энд Д Инк. Опорный узел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ертлюжной опоры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линий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EP3413405B1 (de) * 2017-06-08 2019-03-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binder
US10865922B2 (en) * 2017-10-05 2020-12-15 Novares Us Engine Components, Inc. Anti-tamper permanent quick connect coupling device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DE102018113690A1 (de) * 2018-06-08 2019-12-12 Veritas Ag Fluidverbindungselement
DE102018219932A1 (de) 2018-11-21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Kopplung
DE102018220521A1 (de) * 2018-11-28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Fluidverbindung
US11168649B2 (en) 2019-07-25 2021-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quick connector securement in vehicle evaporative emissions systems
CN114585849B (zh) 2019-10-08 2023-07-14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具有可更换限流孔板的快速连接件
US11873930B2 (en) * 2022-05-24 2024-01-16 Novares Us Engine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with service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1311A1 (fr) 1978-12-20 1980-06-26 Abnox Ag Accouplement de tuyaux
US4664427A (en) 1985-04-01 1987-05-12 Master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fitting
US4802696A (en) 1986-10-23 1989-02-07 The Gates Rubber Company Quick connect coupling
US4871195A (en) 1988-09-26 1989-10-03 Central Machine And Tool Company Safe locking quick disconnect coupling
US4966398A (en) 1989-02-14 1990-10-30 Buell Industries, Inc. Fluid conduit coupling
US5069424A (en) 1990-10-17 1991-12-0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US5395140A (en)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401063A (en)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FR2717883B1 (fr) 1994-03-04 1996-06-14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et étanche pour conduites tubulaires.
JPH07322404A (ja) 1994-05-20 1995-12-08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
US5542716A (en) 1994-11-04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700040A (en) * 1995-02-23 1997-12-23 Bundy Corporation Fluid quick connector
US5711549A (en) 1995-06-07 1998-01-27 Itt Automotive, Inc. High pressure quick connect for use in automotive brake system application
DE19540279A1 (de) * 1995-10-28 1997-04-3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rohre,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Stränge
EP0803676B1 (de) 1996-04-23 2001-09-26 Christian Heilmann Schnellkupplung für die Verbindung von Schlauch- und Rohrleitungen
JP3938798B2 (ja) 1996-11-20 2007-06-2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4462671B2 (ja) * 1998-09-17 2010-05-12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FR2863683B1 (fr) 2003-12-10 2006-02-17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JP2005282835A (ja) * 2004-03-31 2005-10-13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コネクタ
US7484774B2 (en) 2005-05-03 2009-02-0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566079B1 (en) 2008-08-13 2009-07-28 Douglas Callahan Duct coupling
DE102009033943A1 (de) * 2009-07-14 2011-01-20 Aft Inh. Dirk Kramer E.K. Steckkupplung
US8366154B2 (en) * 2011-06-15 2013-02-05 Wang Cheng-An Water pipe connector
US8632052B2 (en) * 2012-01-20 2014-01-21 Hsiu-Hsiung LIU Quick release connector
DE102012106925A1 (de) * 2012-07-30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US20140265316A1 (en) 2013-03-15 2014-09-18 Kevin Mullin Locking catch and latch for quick connect hydraulic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39719A (zh) 2016-02-17
US10247340B2 (en) 2019-04-02
ES2759863T3 (es) 2020-05-12
US20140284915A1 (en) 2014-09-25
CA2907758A1 (en) 2014-09-25
US20170102103A1 (en) 2017-04-13
MX2015013424A (es) 2016-08-17
WO2014149195A1 (en) 2014-09-25
CN105339719B (zh) 2017-06-23
US9523453B2 (en) 2016-12-20
CA2907758C (en) 2021-06-08
EP2976564B1 (en) 2019-09-04
MX363781B (es) 2019-04-03
EP2976564A1 (en)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5198A (ko) 락킹 퀵 커넥트 어셈블리
US7677608B2 (en) Quick connector
US6520546B2 (e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2204599B1 (e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US20160245441A1 (en) Connector, releasing tool, set comprising connector and releasing tool
WO2012043024A1 (ja) クイックコネクタ
MXPA06006445A (es) Acoplamiento de conexion rapida.
US10465742B2 (en) Cable end fitting and cable abutment and method of securement
KR20140085445A (ko) 2개의 도관 섹션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20100112182A (ko) 관 조인트용 소켓 및 관 조인트
CN108368958B (zh) 包括可分割环的用于可靠的流体连接的管状快速联接件
KR20090067051A (ko) 결합확인기구
TWI740421B (zh)
US20030155766A1 (en)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US9890886B2 (en) Reverse snap push/pull quick connect coupling
CN104428573B (zh) 具有安装应力减小环的流体连通装置
EP2783148B1 (en) Plug-in connection with a retaining clip
US8763492B2 (en)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CN219082544U (zh) 流体管线联接装置
JP2018165544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2435321B1 (ko) 퀵 커넥트 커플링용 잠금 장치
JP5787441B2 (ja) 配管用コネクタ
JP4822394B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EP3956596B1 (en) Hos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