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856B1 -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856B1
KR101055856B1 KR1020090081133A KR20090081133A KR101055856B1 KR 101055856 B1 KR101055856 B1 KR 101055856B1 KR 1020090081133 A KR1020090081133 A KR 1020090081133A KR 20090081133 A KR20090081133 A KR 20090081133A KR 101055856 B1 KR101055856 B1 KR 10105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pocket
shear
perforated pla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334A (ko
Inventor
김상효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Priority to KR102009008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더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과,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과, 아울러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에서 복공판의 포켓부와, 이에 수용되고 콘크리트와 합성된 전단포켓형틀에 의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일체화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합성작용을 증진시키고, 포켓부와 전단포켓형틀에 의한 전단포켓은 거더에 복공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추후에 복공판을 거더로부터 해체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며, 아울러 복공판과 거더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거더, 복공판, 전단포켓, 전단연결재, 지지부재, 고정부재, 취출부재

Description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STEEL ROOF FRAME COMBINED WITH GIRDER AND TEMPORARY BRIDGE}
본 발명은 복공판의 포켓부와, 이에 수용되고 콘크리트와 합성된 전단포켓형틀에 의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일체화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합성작용을 증진시키고, 포켓부와 전단포켓형틀에 의한 전단포켓은 거더에 복공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추후에 복공판을 거더로부터 해체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며, 아울러 복공판과 거더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나 교량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필용한 장비를 운반할 수 있도록 작업대 및 운반로를 확보하거나, 여름철 장마와 수해 및 홍수 등으로 수심이 깊은 강이나 하천 등에 인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들이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해 임시 가설교량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가설교량은 우회용 가교, 공사용 가교, 영구용 가교 등으로 사용되어 목적 및 용도가 다양해지며, 이와 더불어 가교의 설치 및 폭이 장대화되고 존치기간이 길어지면서 장시간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설교량은 그 목적에 따라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구조적으로도 거더 상부에 얹히는 복공판이 거더와 일체화된 거동을 통한 합성작용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가설교량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39823호(2007.07.09.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직사각 단면형상으로서 상부면이 개방되어 메인거더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메인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거더와, 그리고 몸체부의 상부면에 얹혀지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복공판이 메인거더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복공판과 거더가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면 강성을 증대시키고 거더의 처짐과 시공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고자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공판 내부에 보조거더가 다수 배열되고, 복공판 몸체부를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한 후, 복공판에 콘크리트를 보조거더 사이에 타설한 상태에서 덮개판으로 몸체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 복공판을 메인거더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와,
또한 콘크리트를 복공판 내에 배열된 보조거더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에 타설하여야함으로 재료의 손실로 인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아울러 보조거더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복공판 자차에 중량이 많이 나가 메인거더의 처짐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공판의 포켓부와, 이에 수용되고 콘크리트와 합성된 전단포켓형틀에 의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일체화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합성작용을 증진시키고, 포켓부와 전단포켓형틀에 의한 전단포켓은 거더에 복공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추후에 복공판을 거더로부터 해체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며,
아울러 복공판과 거더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단포켓형틀 내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고정부재는 전단연결재의 조임력에 의하여 복공판 및 전단포켓형틀을 거더에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복공판과 거더의 합성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교량의 내하력 및 구조물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는 스터드 타입이거나 또는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을 도입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연성 작용을 효과적으로 인가하고, 전단 강동 및 제품 품질의 균일화를 이룰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재는 전단포켓형틀 내벽면에 형성되어 포켓부로부터 전단포켓형틀을 분리하는 경우 전단포켓형틀의 배출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은 거더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 및 상기 전단포켓형틀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단포켓형틀 내에 수평 배열되고, 상기 전단연결재가 관통 삽입되어, 전단연결재의 죔에 의하여 상기 거더에 복공판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단연결재는 스터드(stud) 타입이거나 또는 'Y'자형 퍼포본드(perfobond)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단포켓형틀 내벽면에는 상기 포켓부로부터 전단포켓형틀의 배출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취출(取出)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교각, 교대 상부에 배열되는 거더; 및 상기 거더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과,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복공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은 복공판의 포켓부와, 이에 수용되고 콘크리트와 합성된 전단포켓형틀에 의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일체화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합성작용을 증진시키고, 포켓부와 전단포켓형틀에 의한 전단포켓은 거더에 복공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추후에 복공판을 거더로부터 해체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며, 아울러 복공판과 거더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단포켓형틀 내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고정부재 는 전단연결재의 조임력에 의하여 복공판 및 전단포켓형틀을 거더에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복공판과 거더의 합성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교량의 내하력 및 구조물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단연결재는 스터드 타입이거나 또는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을 도입하여 거더와 복공판의 연성 작용을 효과적으로 인가하고, 전단 강동 및 제품 품질의 균일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재는 전단포켓형틀 내벽면에 형성되어 포켓부로부터 전단포켓형틀을 분리하는 경우 전단포켓형틀의 배출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서 전단포켓형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본 명세서를 설명함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 관하여 먼저 기술하고, 다음으로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설명하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불명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의 동일 작용 및 기능에 대하여 중복 기재를 피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은
거더(1)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10); 상기 포켓부(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20); 및 상기 전단포켓형틀(20)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1)와 전단연결재(3)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서, 상기 포켓부(10)는
거더(1)의 상부플랜지(1a)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거더(1)는 교각, 교대(5) 및 지지기둥으로 이루어진 교량의 하부 구조체 상부에 배열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는 플랜지(1a)(1b)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플랜지(1a)(1b)는 웨브(1c)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공판(P)은 상기 거더(1)의 상부플랜지(1a) 상부에 얹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 등의 다면체로 이루어지며,
강철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그 내부는 속이 채워진 형태이거나, 또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P)에서 상기 포켓부(10)는 상기 복공판(P)이 거더(1)에 얹히는 경우 상기 거더(1)의 상부플랜지(1a)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포켓부(10)는 수직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면 형상은 다각 형상이나 원 형상(첨부된 도 6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첨부된 도 1에서는 상기 포켓부(10)의 평면 형상은 다각 형상 중 사각 형상을 채용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작업성 및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은
상기 포켓부(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상기 포켓부(10)와 전단포켓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포켓부(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켓부(10)에 삽입되며,
또 그 상부 및 하부는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공간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복공판(P)과 거더(1)를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포켓부(10)와 전단포켓형틀(20)의 형상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포켓부(10)에 전단포켓형틀(20)을 삽입하는 경우 그 삽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포켓부(10)에 전단포켓형틀(20)이 삽입된 후, 전단포켓형틀(20)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전단포켓을 형성하면,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이 걸림 역할을 하게 되어 복공판(P)이 거더(1)와 결합된 후, 복공판(P)을 확고히 고정시킴으로써 복공판(P)과 거더(1)가 완전한 일체화된 거동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에 의하여 복공판(P)의 설치 용이해지고, 거더(1)와 복공판(P)의 합성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구조물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교량의 내하력이 향상되고, 아울러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거더(1)의 단면 설계가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 추후에 복공판(P)의 해체 시 복공판(P)과 전단포켓형틀(20)의 분리를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복공판(P)과 거더(1)의 재활용성을 높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 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전단포켓형틀(20)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1)의 상부플랜지(1a)와 전단연결재(3)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30)는 상기 거더(1)의 상부플랜지(1a)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1d)에 대응하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거더(1)의 볼트공(1d)과 지지부재(30)의 관통공(31)을 전단연결재(3)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에 노출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전단연결재(3) 상부와 하부 양방향에서 너트(N)를 삽입하여 거더(1)의 상부플랜지(1a)와 지지부재(3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단포켓형틀(20)과 지지부재(30)는 용접에 의한 결합방식을 통하여 고정되고, 이 경우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벽면 하단부와 지지부재(30)의 가장자리를 용접기에 의하여 접착하여 상기 전단포켓형틀(20)에 의한 거더(1)와 복공판(P)의 일체화된 거동 및 합성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단연결재(3)는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에 돌출되어 콘크리트(C)를 타설함으로써 전단포켓과 전단연결재(3)의 일체화된 거동을 유도함으로써 전단강도 및 합성작용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단연결재(3)는 볼트형의 스터드(stud) 타입 또는 ‘Y'자형 퍼포본드(perfobond) 타입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우선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볼트형 스터드 타입의 전단연결재(3a)는 종래의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거더(1)의 상부플랜지(1a)에 형성된 볼트공(1d)에 삽입한 후 그 하단부를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과,
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볼트공(1d) 대신 고장력 볼트를 상부플랜지(1a)에 용접하는 방식을 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의 전단연결재(3b)는 상기 상부플랜지(1a)의 볼트공(1d)과 지지부재(30)의 관통공(31)을 통하여 상호 볼트 체결방식을 통하여 지지부재(3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30) 상부에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의 전단연결재(3b)가 용접에 의한 접합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전단포켓과 전단연결재(3)의 일체화된 거동을 통하여 전단강도를 우수하게 하고, 또한 제품의 품질 균일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특히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의 전단연결재(3b)의 경우에는 그 형태에 의하여 인발에 대한 성능 또한 우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P)은 필요에 따라 가설되어 빈번하게 설치 및 해체되는 등의 특성에 의하여 그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따라서 거더(1) 상부에 거치 시 복공판(P)이 거더(1)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단포켓이 합성작용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40)를 도입하게 되는데,
이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단연결재(3)가 관통 삽입되어, 전단연결재(3)의 죔에 의하여 전단포켓형틀(20)을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0)는 가로바(40A)와 세로바(40B)가 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바(40A) 또는 세로바(40B),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전단연결재(3)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41)이 형성되고,
또 상기 가로바(40A)와 세로바(40B)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입부(43)가 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부재(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단포켓형틀(2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투입부(43)를 통하여 콘크리트(C)가 고정부재(40) 하부를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의 각 측면은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의 내벽면에 걸쳐지고, 동시에 고정부재(40)의 삽입공(41)에 전단연결재(3)가 삽입되어 고정부재(40) 상부로 돌출되며,
이 경우 너트를 전단연결재(3)에 체결하면서 고정부재(40)를 하방 및 각 측방으로 가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을 가압하여 복공판(P)을 거더(1)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에 배열되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배열위치는 대략 전단포켓형틀(20)의 상부 부분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부재(40)에 의한 가압력이 전단포켓형틀(20) 전체에 미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취출부재(21)의 배열위치와 고정부재(40)의 배열위치가 상호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출부재(21)는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을 상기 포켓부(10)에 쉽게 투입하고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취출부재(21)는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벽면에 상호 대칭하는 위치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취출부재(21)를 잡고 전단포켓형틀(20)을 포켓부(10)에 삽입하거나 또는 상부로 들어 올려 배출시킴으로써 전단포켓형틀(20)을 삽입 및 해체 작 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2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전에 상기 전단포켓형틀(20) 하부에 배열되고, 상기 전단연결재(3)에 결합된 너트(N) 부위와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벽면과 지지부재(30)의 각 측면이 맞닿는 부분에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50)를 도포하여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거더(1)와 그 하부에 연결된 볼트(B)의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교각, 교대(5) 상부에 배열되는 거더(1); 및 상기 거더(1)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10)와, 상기 포켓부(1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20)과,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20)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1)와 전단연결재(3)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1)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복공판(P);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거더(1) 일체형 복공판(P)을 이용한 가설교량에서 상기 거더(1)를 교각이나 교대 상부에 얹어, 상기 거더(1)의 하부플랜지(1b)와 교각 또 는 교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거더(1)의 상부플랜지(1a)에 볼트공(1d)을 통하여 전단연결재(3)를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시키고,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30)도 함께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음으로 상기 복공판(P)을 상기 거더(1) 상부에 얹으면 상기 포켓부(10) 내에 전단연결재(3)가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을 포켓부(10)에 삽입한 후,
실링부재(50)에 의하여 전단포켓형틀(20) 내의 위치하는 전단연결재(3) 하부 부분과, 전단포켓형틀(20)과 지지부재(30) 각 측부가 접하는 부분을 도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단포켓형틀(20)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공판(P)과 거더(1)가 완전히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C)를 전단포켓형틀(20)에 타설하기 전에 상기 고정부재(40)에 의하여 복강판을 가압하여 거더(1)와 복공판(P)의 일체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C)를 타설하지 않아도 거더(1)와 복공판(P)의 일체화된 거동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전단포켓형틀(20) 내측벽에 상기 취출부재(21)를 연결하여 작업 자가 포켓부(10)로부터 전단포켓형틀(20)을 투입하고 분리하는 것이 쉽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의 전단연결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의 취출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에서 전단포켓형틀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P : 복공판 C : 콘크리트
B : 볼트 N : 너트
1 : 거더 1a : 상부플랜지
1b : 하부플랜지 1c : 웨브
1d : 볼트공
3 : 전단연결재 3a : 스터드 타입의 전단연결재
3b : 'Y'자형 퍼포본드 타입의 전단연결재
5 : 교각 또는 교대
10 : 포켓부
20 : 전단포켓형틀 21 : 취출부재
30 : 지지부재 31 : 관통공
40 : 고정부재 40A : 가로바
40B : 세로바 41 : 삽입공
43 : 투입부
50 : 실링부재

Claims (5)

  1. 거더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 및
    상기 전단포켓형틀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더 일체형 복공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포켓형틀 내에 수평 배열되고,
    상기 전단연결재가 관통 삽입되어, 전단연결재의 죔에 의하여 상기 거더에 복공판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는 스터드(stud) 타입이거나 또는 'Y'자형 퍼포본드(perfobond)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포켓형틀 내벽면에는 상기 포켓부로부터 전단포켓형틀의 배출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한 취출(取出)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형 복공판.
  5. 교각, 교대 상부에 배열되는 거더; 및
    상기 거더 상부에 배열되고,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전단포켓형틀과, 그리고
    상기 전단포켓형틀 저부에 배열되고, 상기 거더와 전단연결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복공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더 일체형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KR1020090081133A 2009-08-31 2009-08-31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105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33A KR101055856B1 (ko) 2009-08-31 2009-08-31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33A KR101055856B1 (ko) 2009-08-31 2009-08-31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34A KR20110023334A (ko) 2011-03-08
KR101055856B1 true KR101055856B1 (ko) 2011-08-09

Family

ID=4393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133A KR101055856B1 (ko) 2009-08-31 2009-08-31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353B1 (ko) 2012-10-08 2012-11-29 (주)대우건설 부분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632960B1 (ko) 2015-08-31 2016-06-23 주식회사 하이브리텍 가설주형과 복공판 일체형 구조 및 지점부 긴장 구조를 가지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05002B1 (ko) * 2016-04-04 2017-02-09 김선곤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593B1 (ko) *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1794683B1 (ko) * 2015-10-21 2017-11-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충전강관 트러스 거더의 조립을 이용한 교량의 런칭시공방법
CN106522079B (zh) * 2016-11-15 2019-02-2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预制装配式组合混凝土栈桥体系及其施工方法
WO2018190444A1 (ko) * 2017-04-13 2018-10-18 김선곤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WO2020145466A1 (ko) * 2019-01-10 2020-07-16 김선곤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KR102027125B1 (ko) * 2019-01-10 2019-10-01 김선곤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FR3097586B1 (fr) * 2019-06-18 2021-07-16 Groupe Briand Système de connexion mécanique pour plancher mixte, permettant un montage et un démontage rapides du plancher mixte et la réutilisation de ses composants, et plancher mixte correspondant
CN110593485A (zh) * 2019-09-25 2019-12-20 天津大学 一种主材免损伤的可拆卸钢-混凝土组合梁
CN110539398A (zh) * 2019-09-27 2019-12-06 浙江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预制桥面板钢混组合梁的施工方法
CN111155390B (zh) * 2020-01-09 2021-10-19 江苏科技大学 一种适用于滩涂地层的装配式道路及其施工方法
KR102421682B1 (ko) * 2021-06-30 2022-07-19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바닥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의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67A (ko) * 2002-06-07 2003-12-18 심창수 바닥판 교체가 용이한 전단연결구조를 구비한 강합성 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0739823B1 (ko)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KR100911451B1 (ko) 2008-10-30 2009-08-11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67A (ko) * 2002-06-07 2003-12-18 심창수 바닥판 교체가 용이한 전단연결구조를 구비한 강합성 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0739823B1 (ko) 2007-02-05 2007-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KR100911451B1 (ko) 2008-10-30 2009-08-11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메인거더와 대형복공판이 일체화된 합성가설교량용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설교량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353B1 (ko) 2012-10-08 2012-11-29 (주)대우건설 부분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632960B1 (ko) 2015-08-31 2016-06-23 주식회사 하이브리텍 가설주형과 복공판 일체형 구조 및 지점부 긴장 구조를 가지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05002B1 (ko) * 2016-04-04 2017-02-09 김선곤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334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56B1 (ko)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0739823B1 (ko) 복공판과 거더 일체형 가설교량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101988716B1 (ko) 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 및, 거더의 시공방법
KR100755946B1 (ko) 합성가설교량
KR101436812B1 (ko)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120672B1 (ko) 조립식 거더 교량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1836325B1 (ko)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JP200910282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鋼床版桁橋
JP2010265689A (ja) 床形成方法
JP4287755B2 (ja) 鋼桁と合成床版の結合構造
KR101034280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KR101004618B1 (ko) 임시 강재 횡방향리브와 영구 콘크리트 횡방향리브를 이용한 합성거더교 시공방법
KR20120100005A (ko) 프리스트레싱 강선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6283169B2 (ja)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JP2006336231A (ja) 複合床版
JP2010159568A (ja) 既設単純桁橋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080103721A (ko) 교량 슬래브용 거푸집 지지체
KR20170009193A (ko)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i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0997449B1 (ko)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1147U (ko) 철골 구조물용 전단 연결재 및 이를 구비하는 교량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