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25B1 -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 Google Patents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25B1
KR102027125B1 KR1020190003212A KR20190003212A KR102027125B1 KR 102027125 B1 KR102027125 B1 KR 102027125B1 KR 1020190003212 A KR1020190003212 A KR 1020190003212A KR 20190003212 A KR20190003212 A KR 20190003212A KR 102027125 B1 KR102027125 B1 KR 10202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hole
girder
steel bar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곤
Original Assignee
김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곤 filed Critical 김선곤
Priority to KR102019000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25B1/ko
Priority to PCT/KR2019/008867 priority patent/WO20201454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33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built-up from readily separable standardised sections or elements, e.g. Bailey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강재거더와 PC복공판 간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PC복공판과 강재거더의 재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이 개시된다. 가설교량은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거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거더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복공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장공; 상기 복공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장공; 및 상기 제2 장공과 제1 장공을 통과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직접 체결하는 강봉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플랜지와 복공판에 서로 교차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거더와 복공판을 인장용 강봉을 통해 직접 연결하는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설교량은 PC(프리캐스트 콘트리트)복공판과 강재거더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PC복공판과 강재거더와의 결합은 PC복공판에 전단포켓을 형성하고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에 스터드 등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며 전단포켓에 채움재를 채워 PC복공판과 강재거더를 일체화함으로써 달성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593호(2016.01.20)에는 전단포켓이 PC복공판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3378호(2018.02.22)에는 두 개의 PC복공판의 이음부에 전단포켓이 형성되도록 측면부에 홈이 형성된 구조가 개시된바 있다.
종래의 가설교량은 PC복공판의 전단포켓, 전단연결재 및 채움재를 통해 강재거더와 PC복공판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공법은 설치 및 해체가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PC복공판과 강재거더의 재사용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갖는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593호(2016.01.20)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3378호(2018.02.2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강재거더와 PC복공판 간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PC복공판과 강재거더의 재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은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거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거더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복공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거더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장공; 상기 복공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장공; 및 상기 제2 장공과 제1 장공을 통과하여 거더와 복공판을 직접 체결하는 강봉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제1 장공은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장공은 제1 장공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 장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강봉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2 장공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봉의 상단부와 체결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복공판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너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제1 장공은 거더의 상부플랜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에서, 거더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장공은 웨브를 기준으로 복공판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너트와 제1 장공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너트와 제2 장공 사이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2 플레이트는 제2 장공의 하부를 완전히 덮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수용홈을 통해 채움재가 타설된다.
상기에서, 강봉의 외면을 채움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의 공법은 상부플랜지에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의 제1 장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거더가 설치되는 거더 설치단계;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바닥면에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제2 장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공판이 거더 상단에 거치되는 복공판 거치단계; 강봉을 제1 장공과 제2 장공에 통과시켜, 강봉의 하단은 상부플랜지 하단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1 너트를 결합하고, 강봉의 상단은 수용홈에서 제2 플레이트와 제2 너트를 결합하는 강봉세트 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공은 제1 장공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강봉세트 설치단계 후에, 수용홈을 통해 채움재가 일정량 타설되는 채움재 일부 타설단계; 타설된 채움재가 기준치 이상의 강도로 양생되면 강봉에 설치된 너트를 회전시켜 복공팡과 거더를 일체화하는 결합 마무리단계; 및 수용홈의 나머지 부위에 채움재를 채우는 채움재 마무리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은 강봉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설치 가능하여 강재거더와 PC복공판 간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PC복공판과 강재거더의 재사용 효율을 높이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분리된 가설교량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결합된 가설교량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분리된 가설교량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결합된 가설교량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의 유격 범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 공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분리된 가설교량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결합된 가설교량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분리된 가설교량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봉세트가 결합된 가설교량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좌우 방향이 복공판의 길이 방향인 횡방향이고, 도면에서 돌출하는 방향이 거더의 길이 방향인 종방향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였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은 거더(100)와, 복공판(200)과, 채움재(400) 및 강봉세트를 포함한다.
거더(100)는 "H"형태의 강재거더로 구성되며, 하부구조물 위에 복수개 설치된다. 복수개의 거더(100)는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다. 거더(100)는 상부플랜지(101)와, 하부플랜지(102) 및 웨브(103)로 이루어진다. 웨브(103)는 상부플랜지(101)와 하부플랜지(102)를 연결한다.
복공판(200)은 PC복공판(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밖의 패널 형태로 구현도 가능하다. 복공판(200)은 거더(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거더(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즉,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거더(100)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거더(100)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블럭(111) 및 실링테이프(115)가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스 블럭(111)은 상부플랜지(101)의 상면에 설치되어, 거더(100)와 복공판(200)의 사이를 일정간격 이격시키며 복공판(200)의 수평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실링테이프(115)는 타설되는 채움재(400)의 누설을 방지한다.
채움재(400)는 후술할 복공판(200)의 수용홈(220)을 통해 타설되어 거더(100)와 복공판(200)의 사이를 메운다. 채움재(400)는 무수축 모르타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더(100)에는 제1 장공(1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장공(110)은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장공(110)은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01)에 형성되며, 거더(100)의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제1 장공(110)은 웨브(103)를 기준으로 복공판(2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제2 장공(210)은 복공판(20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 장공(210)은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장공(1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장공(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은 복공판(200)의 길이 방향(횡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복공판(200)의 상면에는 수용홈(220)이 구비된다. 수용홈(220)은 복공판(2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며, 제2 장공(2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수용홈(220)은 후술할 제2 플레이트(340) 및 제2 너트(320)를 수용한다. 수용홈(220)은 복공판(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 요입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지는 않는다.
제2 장공(210)은 수용홈(22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수용홈(220)의 바닥면으로부터 복공판(200)의 하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수용홈(220)이 제2 플레이트(340) 및 제2 너트(320)를 수용하여, 복공판(2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강봉세트는 거더(100)와 복공판(200)을 직접적으로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강봉(300)과, 제1 너트(310)와, 제2 너트(320)와, 제1 플레이트(330)와, 제2 플레이트(340) 및 하우징부(350)를 포함한다.
강봉(300)은 제2 장공(210)과 제1 장공(110)을 통과하여, 거더(100)와 복공판(200)을 직접 체결한다. 강봉(300)은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강봉(300)의 하단은 제1 장공(110)을 통과하여 제1 너트(310)와 체결되며, 상단은 제2 장공(210)을 통과하여 제2 너트(320)와 체결된다. 제1 너트(310) 또는 제2 너트(320)를 회전시켜 강봉(300)을 인장함으로써, 거더(100)와 복공판(200)은 결합된다.
제1 너트(310)는 제1 장공(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강봉(300)의 하단부와 체결된다. 제2 너트(320)는 제2 장공(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봉(300)의 상단부와 체결된다. 제1 너트(310) 및 제2 너트(320)는 강봉(30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강봉(300)을 인장시킨다.
제1 플레이트(330)는 제1 너트(310)와 제1 장공(110) 사이에 구비된다. 아울러, 제2 플레이트(340)는 제2 너트(320)와 제2 장공(210) 사이에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330) 및 제2 플레이트(340)는 스틸(Steel) 등의 강질 소재로 이루어져, 각각 제1 너트(310)와 거더(100)의 사이와 제2 너트(320)와 복공판(200)의 사이를 지지한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340)는 제2 장공(210)의 하부를 완전히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움재(400)가 복공판(20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220)을 통해 타설될 때, 채움재(400)는 제2 장공(210) 및 거더(100)와 복공판(200)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제2 플레이트(340)가 제2 장공(210)의 하부를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채움재(400)는 제2 장공(210)을 채우면서 하부로 유실되지 않는다.
하우징부(350)는 강봉(300)의 외면을 채움재(400)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봉(300)의 외주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하우징부(350)는 강관(Steel Pipe) 등의 강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350)는 강봉(300)을 채움재(400)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며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재사용율을 향상시킨다.
제2 장공(210)은 제1 장공(110)에 대응되게 수용홈(220) 바닥면에 2개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제2 장공(210)은 횡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 또는 타원 형상에 가깝다. 제1 장공(110) 및 제2 장공(210)은 강봉(300)의 설치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일정 유격 범위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봉(300)의 설치시 자유도를 높이고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장공 및 제2 장공의 유격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장공(110) 및 제2 장공(210)은 강봉(300)의 결합시 유격을 형성시킨다. 즉, 강봉(300)은 제1 장공(110)의 길이(a)만큼 종방향으로 유격을 가지며, 제2 장공(210)의 길이(b)만큼 횡방향으로 유격을 갖는다. 따라서, 거더(100)와 복공판(200)의 결합시 강봉(300)은 도 9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만큼 자유도를 가지면서 거더(100)와 복공판(200) 간의 위치가 정위치에 있지 않고 어긋난 경우에도 복공판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 공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설교량의 설치 공법은 거더 설치단계(S1)와, 복공판 거치단계(S2)와, 강봉세트 설치단계(S3)와, 채움재 일부 타설단계(S4)와, 결합 마무리단계(S5) 및 채움재 마무리 타설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더 설치단계(S1)에서, 거더(100)가 하부구조물 상부에 설치된다. 거더(100)는 하부구조물인 교각이나 교대 또는 지반 등에 정착되어 세워지는 기둥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거더(100)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다. 복공판(200)이 안착될 거더(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스 블럭(111) 및 실링테이프(115)가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다.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01)에는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의 제1 장공(1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장공(110)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장공(110)의 형성은 거더 설치단계(S1) 이전에 거더 제작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공판 거치단계(S2)에서, 복공판(200)이 거더(100)의 상단에 거치된다. 복공판(200)의 상면에는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수용홈(220)의 바닥면에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제2 장공(2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 장공(210)은 제1 장공(110)에 대해 수직 방향, 즉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 장공(210)의 형성은 복공판 거치단계(S2) 이전에 복공판 제작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강봉세트 설치단계(S3)에서, 강봉(300)을 제1 장공(110)과 제2 장공(210)에 통과시켜, 강봉(300)의 하단은 상부플랜지(101) 하단에서 제1 플레이트(330)와 제1 너트(310)를 결합하고, 강봉(300)의 상단은 수용홈(220)에서 제2 플레이트(340)와 제2 너트(320)를 결합한다. 강봉(300)의 외주면에는 채움재(400)로부터 강봉(300)을 보호하기 위한 강관 형태의 하우징부(350)를 함께 설치한다.
채움재 일부 타설단계(S4)에서, 수용홈(220)을 통해 채움재(400)가 일정량 타설된다. 거더(100)와 복공판(200) 사이에 스페이스 블럭(111)으로 형성되 있는 공간은 채움재(400)로 채워진다. 아울러, 채움재(400)의 타설후 소정의 강도까지 양생한다.
결합 마무리단계(S5)에서, 타설된 채움재(400)가 기준치 이상의 강도로 양생되면 강봉(300)에 설치된 너트를 회전시켜 복공팡(200)과 거더(100)를 일체화한다. 채움재(400)의 강도를 확인 후,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거더(100)와 복공판(200)은 서로 인장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채움재 마무리 타설단계(S6)에서, 수용홈(220)의 나머지 부위에 채움재(400)를 채워, 복공판(200)의 상부로 차량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가설교량의 사용이 완료된 후 수행하는 가설교량의 해체 공법은 설치 공법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즉, 복공판(200)의 수용홈(220)에 채워진 채움재(400) 일부를 제거하여 제2 너트(320)를 노출시킨 후, 제2 너트(320)를 회전시켜 강봉(300)을 분리한다. 복공판(200)과 거더(100)를 분리 및 해체한 후 야적장소로 이동시켜 다음 가설교량에 재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거더 101: 상부플랜지
102: 하부플랜지 103: 웨브
110: 제1 장공
111: 스페이스 블럭 115: 실링테이프
200: 복공판 210: 제2 장공
220: 수용홈 300: 강봉
310: 제1 너트 320: 제2 너트
330: 제1 플레이트 340: 제2 플레이트
350: 하우징부 400: 채움재

Claims (12)

  1.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거더(100)와; 상기 거더(100)의 상부에 거더(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거더(10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수개의 복공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거더(10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장공(110);
    상기 복공판(20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장공(210); 및
    상기 제2 장공(210)과 제1 장공(110)을 통과하여 거더(100)와 복공판(200)을 직접 체결하는 강봉(300)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장공(110)은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장공(210)은 제1 장공(1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장공(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강봉(30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제1 너트(310); 및 상기 제2 장공(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강봉(300)의 상단부와 체결되는 제2 너트(320)를 포함하며,
    상기 복공판(2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공(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너트(320)를 수용하는 수용홈(220)이 구비된 가설교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공(110)은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01)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100)는 상부플랜지(101)와, 하부플랜지(102) 및 상부플랜지(101)와 하부플랜지(102)를 연결하는 웨브(1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장공(110)은 웨브(103)를 기준으로 복공판(2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가설교량.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너트(310)와 제1 장공(110) 사이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330)와, 상기 제2 너트(320)와 제2 장공(21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340)를 포함하는 가설교량.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340)는 제2 장공(210)의 하부를 완전히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20)을 통해 채움재(400)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300)의 외면을 채움재(400)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부(350)가 구비되는 가설교량.
  11. 상부플랜지(101)에 가늘고 긴 슬릿(Slit) 형상의 제1 장공(1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거더(100)가 설치되는 거더 설치단계(S1);
    상면에 수용홈(220)이 형성되고 수용홈(220)의 바닥면에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제2 장공(2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공판(200)이 거더(100) 상단에 거치되는 복공판 거치단계(S2);
    강봉(300)을 제1 장공(110)과 제2 장공(210)에 통과시켜, 강봉(300)의 하단은 상부플랜지(101) 하단에서 제1 플레이트(330)와 제1 너트(310)를 결합하고, 강봉(300)의 상단은 수용홈(220)에서 제2 플레이트(340)와 제2 너트(320)를 결합하는 강봉세트 설치단계(S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장공(210)은 제1 장공(1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의 공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세트 설치단계(S3) 후에,
    수용홈(220)을 통해 채움재(400)가 일정량 타설되는 채움재 일부 타설단계(S4);
    타설된 채움재(400)가 기준치 이상의 강도로 양생되면 강봉(300)에 설치된 너트를 회전시켜 복공팡(200)과 거더(100)를 일체화하는 결합 마무리단계(S5); 및
    수용홈(220)의 나머지 부위에 채움재(400)를 채우는 채움재 마무리 타설단계(S6)를 포함하는 가설교량의 공법.
KR1020190003212A 2019-01-10 2019-01-10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KR10202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12A KR102027125B1 (ko) 2019-01-10 2019-01-10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PCT/KR2019/008867 WO2020145466A1 (ko) 2019-01-10 2019-07-18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12A KR102027125B1 (ko) 2019-01-10 2019-01-10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125B1 true KR102027125B1 (ko) 2019-10-01

Family

ID=6820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12A KR102027125B1 (ko) 2019-01-10 2019-01-10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64A (ko) * 2022-04-20 2023-10-27 최영구 가설교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334A (ko) * 2009-08-31 201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1500591B1 (ko) * 2013-06-28 2015-03-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KR101588593B1 (ko)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1833378B1 (ko) 2017-03-23 2018-02-28 김선곤 측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바닥판을 사용한 가교 및 이를 이용한 가교의 설치와 해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334A (ko) * 2009-08-31 201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1500591B1 (ko) * 2013-06-28 2015-03-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KR101588593B1 (ko)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1833378B1 (ko) 2017-03-23 2018-02-28 김선곤 측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바닥판을 사용한 가교 및 이를 이용한 가교의 설치와 해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9464A (ko) * 2022-04-20 2023-10-27 최영구 가설교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33906B1 (ko) * 2022-04-20 2024-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가설교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1613784B1 (ko) 조인트 노후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으로 시공하는 방법
KR102027125B1 (ko) 가설교량 및 이의 공법
KR20080107082A (ko)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KR1016968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e블럭 옹벽의 다양한 조립 시공방법
JP200715454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床版構造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61301B1 (ko) 강관말뚝 두부의 속채움 콘크리트 타설용 지지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시공방법
JP2019127822A (ja) 土留め構造及び土留め方法
KR20150130957A (ko) 거더합성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 시공방법
KR101803177B1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H04128424A (ja) アンカー支持梁の施工方法
JP2004169375A (ja) 排水溝構造
JP4211906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敷設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敷設方法
JP4391446B2 (ja) 基礎パッキン
JP2019094731A (ja) 軽量盛土構造
KR200478204Y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JP7371315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施工方法
JP2000303426A (ja) 笠コンクリート工構造
JP2019094730A (ja) 軽量盛土構造
KR100755605B1 (ko) 양방향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JP2003253648A (ja) 護岸用矢板壁の笠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及び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並びに高さ調節ボルト
JP6870905B2 (ja) 人工地盤及びその施工方法
JPH08302705A (ja) 斜面安定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