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04Y1 -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04Y1
KR200478204Y1 KR2020140000631U KR20140000631U KR200478204Y1 KR 200478204 Y1 KR200478204 Y1 KR 200478204Y1 KR 2020140000631 U KR2020140000631 U KR 2020140000631U KR 20140000631 U KR20140000631 U KR 20140000631U KR 200478204 Y1 KR200478204 Y1 KR 200478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hollow member
bar body
slab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015U (ko
Inventor
변천섭
Original Assignee
(주)윈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하이텍 filed Critical (주)윈하이텍
Priority to KR202014000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0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 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여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하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RISE PREVENTING DEVICE OF HOLLOW MATERIALS FOR HOLLOW CORE SLAB}
본 고안은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 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여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하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건설할 때 공간활용의 다양화를 위하여 기둥이나 벽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넓어지고 건설하게 되는 데, 이러한 공간 활용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슬래브의 면적에 비례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슬래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보를 적절하게 건설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건설하는 경우에는 슬래브 두께의 증가에 비례하여 콘크리트 등과 같은 타설물이 증가하고, 슬래브의 자중도 증가하여 슬래브 자체뿐만 아니라 구조물 전체에도 상당한 하중으로 부담되어 구조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지보를 건설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으로 지지보를 타설하고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이 추가되어 건축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지지보에 의해 내부 활용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량이면서 슬래브의 두께는 얇고, 지지보의 수량을 적으면서 휨강성이 뛰어난 중공슬래브 등이 제안되어 구조물을 건설할 때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 or void slab)란 바닥 두께의 중앙에 중공부를 둔 슬래브의 총칭으로 중앙에 중공(hollow core)을 구비한 구조로서 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 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슬래브는 긴 기둥사이의 거리를 말하는 장경간(long span)과 수평구조 부재인 보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로 구성된 무량판(flat 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공슬래브는 통상적으로 중공 형성 등 현장작업이 어려워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공장에서 제작되는 중공슬래브는 별도의 제작설비가 필요하며, 그 중공 형성을 위한 제작과정이 상당히 복잡하여 작업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장에서 제작된 중공슬래브는 그 자체가 상당한 부피와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중공을 스티로폼 등의 경량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중공이 형성될 위치에 경량의 중공부재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증공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경량의 중공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부에 부상되어 중공슬래브가 제대로 타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량의 중공부재에 작용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거푸집에 앵커작업을 하는 것으로 거푸집 하부에서 앵커를 설치 및 해체작업을 함으로써 공정이 복잡하고, 미숙련자의 경우 작업이 어려워 품질과 안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거푸집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나 콘크리트 경화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량의 중공부재에 작용되는 부력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 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여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데크플레이트에 설치하고, 경량의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T형 데크플레이트에 적용 가능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지지바와 중공부재를 결속하는 결속구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몸체(110)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20)이 구비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양측단에 구비된 관통공(120)에 ∪ 형상으로 관통하여 바몸체(110)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결속에 의해 중공부재를 지지바(100)에 결속하는 결속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0)의 관통공(120)은 중공부재의 크기에 따라 바몸체(110) 양측 관통공(120)을 통해 바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양측단 결속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바몸체(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100)는 바몸체(11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하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기(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속구(20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결속밴드(210) 또는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인 결속 와이어(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는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 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여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데크플레이트에 설치하고, 경량의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는 T형 데크플레이트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지지바와 중공부재를 결속하는 결속구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서 지지바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가 데크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가 데크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상부에 중공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의해 중공부재가 데크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의해 중공부재가 데트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의해 중공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중공슬래브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0은 데크플레이트이고, 310은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T형 돌출판이며, 400은 중공부재, 500은 H빔, 600은 철근이다.
본 고안에 다른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몸체(110)에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120)이 구비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양측단에 구비된 관통공(120)에 ∪ 형상으로 관통하여 바몸체(110)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결속에 의해 중공부재를 지지바(100)에 결속하는 결속구(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하부에는 지지바(100)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면서 바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기(130)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바(100)의 관통공(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의 크기에 따라 바몸체(110) 양측 관통공(120)을 통해 바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양측단 결속구(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바몸체(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가 구비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속구(20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결속밴드(210)로 실시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결속 와이어(220)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구(200)의 결속밴드(210)는 일측단에 타측단 결속밴드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속돌기(도면에 부호 미도시)가 구비된 케이블 타이(Cable Ties)와 같은 결속밴드로 실시할 수 있으며, 결속 와이어(22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로 양 끝단부를 결속할 수 있는 와이어라면 어떤 종류의 와이어로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100)의 관통공(120)은 결속구(200)의 단면에 따라 직사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200)의 결속밴드(210) 끝단부를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일측단에 구비된 관통공(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고, 결속밴드(210)의 끝단부를 바몸체(110) 하부로 이송하여 바몸체(110) 타측단에 구비된 관통공(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 형상으로 결속밴드(210)의 양측단이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바(100)에 결속구(200)를 결합한 다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0)의 바몸체(110)를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부로 돌출된 T형 돌출판(310) 사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100)와 결속구(200)는 중공부재(400)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개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300)의 T형 돌출판(310) 사이에 지지바(100)를 삽입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중공부재(400)를 설치하되, 상기 중공부재(400)는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결속구(200)의 양측 결속밴드(210) 사이로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200)의 결속밴드(210) 양측단을 중공부재(400)의 상부에서 결속하여 중공부재(400)를 데크플레이트(3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결속구(200)의 결속밴드(210)를 결속하면 데크플레이트(3000의 T형 돌출판(310) 사이에 삽입된 지지바(1000의 바몸체(110) 양끝 상단면이 결속력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며 T형 돌출판(310)의 하단면에 밀착되면서 지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은 데크플레이트(3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H빔(500) 상부에 설치된 상태의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400)의 상부에 철근(600)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경량의 중공부재(400)는 중공부재(400)와 데크플레이트(300) 사이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중공부재(400)는 지지바(100)와 결속구(200)에 의해 데크플레이트(300) 고정되어 있어 데크플레이트(300) 상부로 부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보강돌기(130)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바몸체(110)의 강성이 증대되어 콘크리트의 압력에 바몸체(110)가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지지바(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400)의 크기에 따라 바몸체(110) 양측 관통공(120)을 통해 바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결속구(200)의 결속밴드(210) 양측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바몸체(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의 관통공(12)을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속구(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결속 와이어(220)로 실시하여 결속 와이어(220)의 양측 끝단부를 결속하여 중공부재(40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결속구(200)의 결속 와이어(220)를 지지바(100)에 결합할 때에는 지지바(100)의 관통공(120)을 결속 와이어(2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는 데크플레이트(300)에 지지되는 지지바(100)와 중공부재(400)를 결속하는 결속구(200)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및 부가, 변형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지지바
110 : 바몸체 120 : 관통공
130 ; 보강돌기
200 : 결속구
210 : 결속밴드 220 : 결속 와이어

Claims (5)

  1.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몸체(110)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20)이 구비된 지지바(100)와;
    상기 지지바(100)의 바몸체(110) 양측단에 구비된 관통공(120)에 ∪ 형상으로 관통하여 바몸체(110)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결속에 의해 중공부재를 지지바(100)에 결속하는 결속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0)의 관통공(120)은 중공부재의 크기에 따라 바몸체(110) 양측 관통공(120)을 통해 바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양측단 결속구(20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바몸체(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지지바(100)는 바몸체(110)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하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기(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0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결속밴드(2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00)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결속 와이어(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
KR2020140000631U 2014-01-28 2014-01-28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KR200478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31U KR200478204Y1 (ko) 2014-01-28 2014-01-28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31U KR200478204Y1 (ko) 2014-01-28 2014-01-28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15U KR20150003015U (ko) 2015-08-05
KR200478204Y1 true KR200478204Y1 (ko) 2015-09-08

Family

ID=5401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631U KR200478204Y1 (ko) 2014-01-28 2014-01-28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35A (ko) 2016-10-25 2018-05-04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93B1 (ko)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101339470B1 (ko) 2011-06-28 2013-12-10 김석균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93B1 (ko)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101339470B1 (ko) 2011-06-28 2013-12-10 김석균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35A (ko) 2016-10-25 2018-05-04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15U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754B1 (ko)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0991046B1 (ko)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JP2008095363A (ja) ガードフェンス
JP2008031722A (ja)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JP5654652B1 (ja) コンクリート中空スラブ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埋込体
KR101363489B1 (ko) 방음벽 기초
KR101024369B1 (ko) 중공 슬래브교의 시공방법
JP2006214212A (ja) 床スラブの施工方法および型枠パネル
KR200478204Y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JP2006283333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鉄骨梁建物の施工方法
KR102170635B1 (ko)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KR10170794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5213B1 (ko) 복공판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200262326Y1 (ko) 철근 결속용 스페이서
KR20130008316A (ko) 층간 소음방지용 바닥패널
KR101296320B1 (ko) 조립성이 개선되고 오차 조정이 가능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508315B1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JP2015021375A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JP2006045871A (ja) 床スラブ用コンクリート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